KR102076347B1 -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347B1
KR102076347B1 KR1020180067095A KR20180067095A KR102076347B1 KR 102076347 B1 KR102076347 B1 KR 102076347B1 KR 1020180067095 A KR1020180067095 A KR 1020180067095A KR 20180067095 A KR20180067095 A KR 20180067095A KR 102076347 B1 KR102076347 B1 KR 10207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olar panel
space
green
constr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370A (ko
Inventor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Priority to KR102018006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3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42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방수방근을 위한 시트를 시공하는 제1단계; 태양광 패널의 기둥이 시공되는 상기 시트 일 영역에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각 기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시공하는 제2단계; 상기 태양광 패널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의 다른 영역에 보습을 위한 매트를 시공하고, 식물 식재를 위한 토양을 포설하여 제1녹지를 조성하는 제3단계; 상기 시트의 나머지 영역에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는 함체형 식생유닛을 배치하여 제2녹지를 조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녹지와 제2녹지 사이에 중량체를 배치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중량체와 제1녹지 사이에 배수를 위한 멀칭재를 배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기둥이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시트에 세워지고, 상기 기둥 상부에 상기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시공에 따른 시트 훼손이 예방되므로 누수와 식물 뿌리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 특히, 태양광 패널에서 떨어지는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적어도 제1녹지에 대한 건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Pressure-resistant greening method for constructing the green tract of land under the sunlight panel}
본 발명은 내풍압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광 패널의 기둥이 방수 및 방근을 위한 시트와 초음파 융착된 고정구를 통해 시공되므로, 시트 훼손과 그로 인한 누수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태양광 패널을 통해 떨어지는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태양광 패널 하부 식물에 대한 건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박해지는 도심환경의 정비 일환으로 도시녹화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시녹화는 도심지 건물의 옥상 내지는 건물 안밖 등 자투리 공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녹지조성을 위하여 종래에는 옥상 바닥면에서 순차적으로 수분이 건축물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식재의 뿌리로부터 방수층과 건물을 보호하는 방근층, 습식피해방지를 위한 배수층, 토양 유실방지를 위한 필터층, 식물의 생장기반이 되는 토양층,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층을 필수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도심지 녹지조성과 더불어, 건물에 대한 차열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녹지공간에 필로티 형태의 중량 구조물(예를 들어, 정자, 캐노피, 태양광 패널 등)을 시공할 경우, 기둥이 바닥면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통상 앵커볼트를 사용하며, 앵커볼트 사용시에는 방수 및 방근층이 훼손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뿌리에 의하여 건물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로티 형태의 구조물 하부에는 우천시에도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식물의 건조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필로티 형태의 중량 구조물의 시공이 용이한 녹화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방수방근층의 훼손을 방지하면서 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 하부로의 원활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녹화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80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패널 시공에 따른 시트 훼손이 예방되므로 누수와 식물 뿌리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 특히, 태양광 패널에서 떨어지는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적어도 제1녹지에 대한 건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텀애쉬가 배수를 위한 멀칭재와 식재층의 토양으로 사용되므로, 산업폐기물의 적용분야 확장과 더불어,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이 1 내지 8mm 이하 입도의 바텀애쉬와 유기물이 기특정된 비율로 혼합된 인공토양이거나, 이러한 인공토양을 포함하는 토양이므로, 식물로의 양분공급이 원활하여 안정적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구조의 식생유닛에 식재되므로, 녹지조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화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방수방근을 위한 시트를 시공하는 제1단계; 태양광 패널의 기둥이 시공되는 상기 시트 일 영역에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각 기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시공하는 제2단계; 상기 태양광 패널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의 다른 영역에 보습을 위한 매트를 시공하고, 식물 식재를 위한 토양을 포설하여 제1녹지를 조성하는 제3단계; 상기 시트의 나머지 영역에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된 함체형 식생유닛을 배치하여 제2녹지를 조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녹지와 제2녹지 사이에 중량체를 배치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중량체와 제1녹지 사이에 배수를 위한 멀칭재를 배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기둥이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시트에 세워지고, 상기 기둥 상부에 상기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시트와 매트 사이에 저수와 배수를 위한 배수판이 더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광 패널 테두리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에 적층 시공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 테두리를 통해 떨어지는 낙수가 토양 유실 또는 침식을 일으키지 않도록 8mm 이상 20mm 이하의 바텀애쉬를 재가공한 멀칭재로 유도되도록 시공되며, 상기 멀칭재의 투수계수는 적어도 0.69×10-2(cm/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양은, 1 내지 8mm 이하 입도의 바텀애쉬로서, 강하제가 기특정된 비율로 혼합된 인공토양이거나, 인공토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하제는, 목초액, 바크, 임산가공부산물인 잣송이 껍질을 가공한 소재 및 퇴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서, 바텀애쉬에 30 내지 90%의 중량비 또는 부피비로 혼합되며, 인공토양은 투수계수가 적어도 0.4×10-3(cm/sec)인 투수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유닛은, 내부 바닥에 음각의 적어도 하나의 저수부가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기특정된 높이에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부가 형성된 함체형 유닛으로, 시트에 결합된 고정용 콘에 고정되어 경사지 또는 풍력에 대응되도록 하며, 내부가 일체형 또는 착탈형 격막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녹지 면적에 대응하여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은, 판재로서, 상기 시트와 초음파 융착되는 밑면에 금속시편이 사출에 의해 내재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시트에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시편은, 방사상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 시공에 따른 시트 훼손이 예방되므로 누수와 식물 뿌리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고, 특히, 태양광 패널에서 떨어지는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적어도 제1녹지에 대한 건조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텀애쉬가 배수를 위한 멀칭재와 식재층의 토양으로 사용되므로, 산업폐기물의 적용분야의 확장과 더불어, 재활용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이 1 내지 8mm 이하 입도의 바텀애쉬와 유기물이 기특정된 비율로 혼합된 인공토양이거나, 인공토양을 포함하므로, 식물로의 양분공급이 원활하여 안정적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이 상부가 개방된 함체구조의 식생유닛에 식재되므로, 녹지조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지의 조성 상태를 나타낸 시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과 그 위에 결합되는 격막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상하 적층을 위한 유닛 지지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녹화조성방법으로서,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는 녹화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구조물이 태양광 패널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조물로서의 대상은 태양광 패널은 물론, 필로티 구조의 정자 내지는 캐노피 등이 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녹지의 조성 상태를 나타낸 시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방법은, 시트(20)를 시공하는 제1단계, 태양광 패널(1) 시공을 위하여 고정구(70)를 시공하는 제2단계, 태양광 패널(1) 하부 영역에 제1녹지(G1)를 조성하는 제3단계, 나머지 영역에 제2녹지(G2)를 조성하는 제4단계, 제1녹지(G1)와 제2녹지(G2) 사이에 중량체(60)를 배치하는 제5단계, 중량체(60)와 제1녹지(G1) 사이에 멀칭재(50)를 배치하는 제6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1단계는 시트(20)를 시공하는 단계로서, 녹지가 조성될 바닥(10)에 방수방근 기능을 수행하는 시트(2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시트(20)는 방수와 방근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이거나, 방수와 방근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하는 단일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PE(Polyethylene)에 적어도 EVA(Ethylene vinyl acetate)가 혼합된 엔지니어링 PE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트(20)는 바닥(10) 면적에 따라 다수의 시트가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시트는 열풍 융착기에 의한 간접가열 방식 등에 의해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는 고정구(70)를 시공하는 단계로서, 태양광 패널(1)의 기둥(2)이 시공되는 시트(20) 일 영역에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각 기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70)를 시공하는 단계이다.
고정구(70)는 기둥(2)과 시트(20) 사이에 존재하여 기둥(2) 시공 시, 시트(20) 훼손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하, 고정구(70)의 상세도인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70)는 시트(20)와 초음파 융착되는 밑면에 금속시편(75)이 사출에 의해 내재된 플레이트(71)와, 플레이트(71)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체결부(73)를 포함하며, 이러한 고정구(70)는 PE 소재로서 플레이트(71)와 체결부(73)가 일체의 구조물로서 존재한다.
금속시편(75)은 플레이트(71)의 강도 보강을 위한 수단이다. 플레이트(71)는 연성이기 때문에 바람 등 일기에 의해 태양광 패널(1)과 이를 지지하는 기둥(2)에 횡하중이 발생할 경우, 그 하중은 체결부(73)를 통해 플레이트(71)로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플레이트(71)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굽어져 최악의 경우 태양광 패널(1)이 붕괴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따라서 플레이트(7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을 위하여 플레이트에 사출을 통하여 금속시편(75)을 내재시킨 것이다.
이러한 금속시편(7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격벽(87)이 형성되고, 격벽(87)을 중심으로 방사상 다수의 홀(77)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플레이트(71)에 내재된다.
접착제(79)는 고정구(70)를 시트(20)에 융착할 때, 융착력이 높이기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금속시편(75)에 다수의 홀(77)이 형성되어 플레이트(71)와 시트(20)간의 융화력을 배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접착제(79)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s)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구(70)의 대략 100 내지 200℃의 온도로 5 내지 15초간의 초음파 가열을 통해 시트(20)와 용융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는 제1녹지(G1)를 조성하는 단계로서, 태양광 패널(1) 하부에 대응하는 시트(20) 상에 배수판(120)을 설치하고, 보습매트(30)를 덮은 후, 보습매트(30)를 고정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배수판(120)에 고정하고, 그 위에 식물 식재를 위한 토양을 포설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배수판(120)은 시트(20)에 고정되는 유닛 고정용 콘(110)에 배수판(120)과 피스 등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고정된다.
도 2에서 각 중량체(60)의 외측에는 식생유닛(80)이 마련되고, 식생유닛(80)의 외측에는 경계재(90)가 마련되여 경계재(90)를 경계로 태양광 패널용 녹화 시스템이 하나의 단위를 이루게 된다.
경계재(90)의 외측에는 숭상형 유닛(100)이 더 가설될 수 있다.
한편, 식생유닛(80) 또는 숭상형 유닛(100)은 미리 식생이 식재되어 운반되는데, 여러 유닛들을 상하로 중첩하여 운반하며, 이 때, 하부 유닛의 식생이 상부 유닛에 의하여 훼손되지 않도록 유닛 지지대를 설치한다(도 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 하부영역의 시트(20) 상부에 보습매트(30), 토양(40)과 식물의 식재를 통해 제1녹지(G1)가 조성된다. 이때, 식물은 태양광 패널 하부영역이 음지이므로 그늘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음지식물을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습매트(30)는 수분을 머금어 식물의 건조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한다. 보습매트(30)는 예를 들어 두께 5mm의 면섬유, PE섬유가 혼합되어 보습력이 우수한 소재로 고정구(70) 상단부에 고정용 자재(스테플러 기타 제한없음, 미도시)를 고정함으로써 보습매트(30)간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토양(40)은 황토 등 천연의 소재 및 인공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거나, 천연 내지는 인공토양을 기특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공 소재로는 산업폐기물로서 매립되는 바텀애쉬(bottom ash)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8mm 이하 입도로 가공된 바텀애쉬를 인공토양으로서 사용한다.
이때, 바텀애쉬는 입도가 작을수록 산도가 높으며, 특히 2mm 이하부터는 알칼리성을 띄고 있으므로 바텀애쉬를 적어도 중성 내지는 산성으로 전환이 필요하며, 이는 강하제와의 혼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강하제는, 목초액, 바크, 임산가공부산물인 잣송이 껍질을 가공한 소재 및 퇴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서, 바텀애쉬에 30 내지 90%의 중량비 또는 부피비로 혼합되며, 인공토양은 투수계수가 적어도 0.4×10-3(cm/sec)인 투수성능을 가지는 것이 좋다. 투수성능은 물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물성적 요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인공토양에는 양분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양분으로는 한약재, 커피박, 굴패각, 제올라이트, 코코비트, 퇴비 및 바크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더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시트(20)와 매트(30) 사이에 식물로의 안정된 수분 공급과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수판(120)이 더 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판(120)에는 고정구(7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구가 시트(20)상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판(120)은 우수 및 내양관 패널에서 낙수된 물의 이동통로의 역할을 하여 물 이동이 전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녹화 대상지 내 고르게 보습매트를 통해 수분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배수판(120)은 각 배수판의 끝단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배수판(120)간 연결성이 우수하여 물넘이구조가 형성되므로, 배수판 간 물의 흐름이 단절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녹지(G1)는 매트(30)와 토양(40)의 포설을 통해서만 조성되는 것은 아니며, 제2녹지(G2) 조성을 위한 식생유닛(80)을 통해서도 조성될 수 있다.
제4단계는 제2녹지(G2)를 조성하는 단계로서, 시트(20)의 나머지 영역에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된 함체형 식생유닛(80)을 배치하여 녹지를 조성하는 단계이다.
식생유닛(80)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구조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음각의 공간으로 저수부(81)가 마련되고, 이웃하는 저수부(81) 사이에는 식물의 과습피해방지를 위하여 물넘이부(83)가 마련되고, 테두리 외곽에는 식생유닛(80)의 외부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부(85)가 마련된다.
저수부(81)는 별도의 구분을 공급하거나, 우천 시,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존재하며, 저수부(81)와 저수부(81)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넘이부(83)가 마련되어 저수부(81)간의 수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배수부(85)는 식물의 과습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특정된 수위 이상 저수되면 식생유닛(80) 외부로 수분이 강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81) 바닥으로부터 기특정된 높이에 존재한다.
이때, 배수부(85)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웃하는 다른 식생유닛(80)의 배수부(85)와 서로 연결되어 하수로서 배출되거나, 또는 기특정된 영역에 저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식생유닛(80)은 녹지가 조성된 모듈화 유닛으로, 연속 배치만으로 녹지를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녹지조성 및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효과가 있다.
상기 식생유닛(8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막(89)이 결합될 수 있는데, 격막(89)은 고정형 또는 탈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탈착형으로 구성하여 도시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식생유닛은, 유닛몸체와 유닛상부 격막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격막의 분리 없이 그물망체로 덮어 마감하는 방식과 유닛 설치 후 격막부를 제거하는 방식이 가능하며, 격막 제거 시 토양표층에 드러나는 유닛 테두리 부위의 노출이 없어 토양포설형 방식처럼 자연스러운 표면마감이 가능하다.
식물을 선재배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식생유닛(80)의 운반, 적층 시 식물 눌림으로 인한 하자 방지를 위한 별도의 유닛지지대(5cmm, 10cm)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격막상부 결합홀과 몸체하부 결합홀이 서로 결합되어 적층 시 유닛간 공간을 확보하는 구조이다(미도시).
한편, 식생유닛(80)을 제2녹지(G2) 면적에 대응하여 다수를 연속으로 배치하되, 제2녹지(G2)의 테두리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즉, 식생유닛(80)은 도 5의 a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면이 가공될 수 있으며, 가공 시, 절단면(c)은 격벽(87)에 의해 폐쇄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의 안정된 생육이 가능토록 한다.
제5단계는 중량체(60)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제1녹지(G1)와 제2녹지(G2) 사이에 중량체(6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중량체(60)는 풍압에 의한 시트(2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제1녹지(G1)와 제2녹지(G2) 사이 보행로 확보는 물론, 태양광 패널(1)에서 떨어지는 낙수로 인하여 녹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트(20)는 태풍 등 강한 풍압이 발생할 경우, 시트(2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그 상부에 배치된 매트(30)와 토양(40)은 물론, 토양(40)에 식재된 식물이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20)의 유동을 제한하면서, 제1녹지(G1)와 제2녹지(G2)를 관리하거나, 보행의 편의를 위한 수단으로 중량체(60)를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중량체(60)는 석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량체(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 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태양광 패널에서 떨어지는 낙수로 인하여 녹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낙수가 어느 한곳으로 집중될 경우, 해당 영역의 토양이 패이고 수분이 집중되어 식물생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중량체(60)는 태양광 패널(1) 단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중량체(60)는 낙수의 흐름을 유도하여 제1녹지(G1)의 건조피해가 방지되도록 한다.
제1녹지(G1)는 태양광 패널(1)에 의하여 우수의 유입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임의로 수분을 공급하지 않으면, 건조하여 식물이 생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적어도 우천시 우수가 제1녹지에 유입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60) 일면에 구배로(61)가 형성된다.
구배로(61)는 도 6a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 6b와 같이 낙수가 떨어지는 일면 전체에 구배로(61)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구배로(61)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은 중량체(60)와 제1녹지(G1) 사이에 존재하는 멀칭재(50)를 통해 제1녹지(G1)에 공급되며, 멀칭재(50)는 제6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멀칭재(50)는 중량체(60)와 제1녹지(G1) 사이에 존재하면서 중량체(60)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이 매트(30)를 통해 모세관력에 의해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멀칭재(50)는 바텀애쉬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체(60)와 제1녹지(G1) 사이는 물론, 제1녹지(G1) 및 제2녹지(G2)의 토양 상층에 더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경관의 수려함은 물론, 풍압 등 토양의 유실 내지는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멀칭재(50)는 태양광 패널(1) 테두리를 통해 떨어지는 낙수가 토양 유실 또는 침식을 일으키지 않도록 8mm 이상 20mm 이하의 바텀애쉬를 재가공한 것으로서, 상기 멀칭재(50)는 투수계수가 적어도 0.69×10-2(cm/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녹화방법을 통하여 태양광 패널은 앵커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존하지 않고도 시트의 훼손 없이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녹지조성으로 인한 누수피해는 물론, 뿌리 성장에 의한 크랙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과 같은 필로티 형태의 구조물 하부 식물에 대한 건조피해를 방지하여 유지관리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태양광 패널 2 : 기둥
10 : 바닥 20 : 시트
30 : 매트 40 : 토양
50 : 멀칭재 60 : 중량체
61 : 구배로 70 : 고정구
71 : 플레이트 73 : 체결부
75 : 금속시편 77 : 천공
79 : 접착제 80 : 식생유닛
81 : 저수부 83 : 물넘이부
85 : 배수부 87 : 격벽
89 : 격막 90 : 경계재
100 : 숭상형 유니트 110 : 유닛 고정용 콘
120 : 배수판

Claims (8)

  1. 녹화방법에 있어서,
    바닥에 방수방근을 위한 시트를 시공하는 제1단계;
    태양광 패널의 기둥이 시공되는 상기 시트 일 영역에 초음파 융착을 통하여 각 기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시공하는 제2단계;
    상기 태양광 패널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의 다른 영역에 보습을 위한 매트를 시공하고, 식물 식재를 위한 토양을 포설하여 제1녹지를 조성하는 제3단계;
    상기 시트의 나머지 영역에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된 함체형 식생유닛을 배치하여 제2녹지를 조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1녹지와 제2녹지 사이에 중량체를 배치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중량체와 제1녹지 사이에 배수를 위한 멀칭재를 배치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은 기둥이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시트에 세워지고, 상기 기둥 상부에 상기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고,
    상기 중량체는,
    상기 태양광 패널 테두리에 대응하는 상기 시트에 적층 시공하되, 상기 태양광 패널 테두리를 통해 떨어지는 낙수가 토양 유실 또는 침식을 일으키지 않도록 8mm 이상 20mm 이하의 바텀애쉬를 재가공한 멀칭재로 유도되도록 구배로가 형성되어 시공되며, 상기 멀칭재는 투수계수가 적어도 0.69×10-2(cm/sec)이고,
    상기 기둥은,
    판재로서, 상기 시트와 초음파 융착되는 밑면에 금속시편이 사출에 의해 내재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시트에 시공되되, 상기 금속시편에는 방사상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재되며, 고정구를 시트에 융착할 때, 홀에 의하여 플레이트와 시트간의 융착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매트 사이에 저수와 배수를 위한 배수판이 더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은,
    1 내지 8mm 이하 입도의 바텀애쉬로서, 강하제가 기특정된 비율로 혼합된 인공토양이거나, 인공토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하제는,
    목초액, 바크, 임산가공부산물인 잣송이 껍질을 가공한 소재 및 퇴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서, 바텀애쉬에 30 내지 90%의 중량비 또는 부피비로 혼합되며, 인공토양은 투수계수가 적어도 0.4×10-3(cm/sec)인 투수성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유닛은,
    내부 바닥에 음각의 적어도 하나의 저수부가 형성되고, 바닥으로부터 기특정된 높이에 수분 배출을 위한 배수부가 형성된 함체형 유닛으로,
    시트에 결합된 고정용 콘에 고정되어 경사지 또는 풍력에 대응되도록 하며,
    내부가 일체형 또는 착탈형 격막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녹지 면적에 대응하여 다수가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80067095A 2018-06-11 2018-06-11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KR10207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95A KR102076347B1 (ko) 2018-06-11 2018-06-11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95A KR102076347B1 (ko) 2018-06-11 2018-06-11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70A KR20190140370A (ko) 2019-12-19
KR102076347B1 true KR102076347B1 (ko) 2020-02-11

Family

ID=6905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95A KR102076347B1 (ko) 2018-06-11 2018-06-11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0005A1 (it) * 2021-01-04 2022-07-04 Univ Della Calabria Dipartimento Di Ingegneria Civile Dinci Sistema di tetto ver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31B1 (ko) 2014-03-18 2014-12-08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태양전지와 우수 저류가 가능한 녹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18B1 (ko) 2009-12-04 2012-04-20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31B1 (ko) 2014-03-18 2014-12-08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태양전지와 우수 저류가 가능한 녹화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공지반부 도시생태계 적응, 관리 기술개발, 에코앤바이오(주), 2016.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00005A1 (it) * 2021-01-04 2022-07-04 Univ Della Calabria Dipartimento Di Ingegneria Civile Dinci Sistema di tetto ver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70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851B2 (en) Modular green roof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including modular panels with complimentary edge systems
KR102193142B1 (ko) 녹화지붕 구조
KR102076347B1 (ko)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KR20090102024A (ko) 방근시트 및 방근시트 시공방법
JP6719792B1 (ja)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84938B1 (ko) 옹벽녹화블록
JP5440980B2 (ja) 建造物表面緑化工法
JP3793491B2 (ja) 緑化構造及び緑化方法
JP3587821B2 (ja) 緑化構造及び緑化方法
JP2003009648A (ja) 構造物の緑化構造
JP2004201603A (ja) 温度上昇抑制構造
KR100541853B1 (ko)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JP4311548B2 (ja) 植栽部の底部構造
KR200313479Y1 (ko) 식물재배용 녹지조성구조
JP2010239976A (ja) 緑化基盤構造及び緑化基盤システム
WO2017137986A1 (en) Rooftop water retention system
IE20060660A1 (en) A roof system
JP2005295963A (ja) 建造物の緑化装置及び緑化方法
JP2005341869A (ja) 植栽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上緑化用植栽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