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142B1 - 녹화지붕 구조 - Google Patents

녹화지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142B1
KR102193142B1 KR1020200102020A KR20200102020A KR102193142B1 KR 102193142 B1 KR102193142 B1 KR 102193142B1 KR 1020200102020 A KR1020200102020 A KR 1020200102020A KR 20200102020 A KR20200102020 A KR 20200102020A KR 102193142 B1 KR102193142 B1 KR 10219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of
roof structure
isolation
green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양기
Original Assignee
정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양기 filed Critical 정양기
Priority to KR1020200102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2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77Underroof drainage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8Down pipes; Special clamping means therefor
    • E04D2013/0826Passages of down pipes through walls or fl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우기시 빗물이 상토(87)를 적시며 걸름시트(86)를 통과하여 격리공간(84)들의 저수부재(85) 속으로 저수되면서 격리판(83)들을 넘어 층층이 하강하여 지붕상판(81)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어 걸름시트(86) 위의 상토(87)에 뿌리를 내린 식물로 하여금 수분을 섭취하면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기시 격리공간(84)의 저부, 즉 걸름시트(86) 아래에 채워진 저수부재(85)에 저수된 물로 하여금 걸름시트(86) 위로의 습도를 유지케 하여[걸름시트(86)를 경계로 지하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말라버리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수명을 보장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성장을 가능케 한 녹화지붕 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녹화지붕 구조{GREEN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녹화지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정자, 파골라, 정류장 부스, 주택 또는 공장 등의 지붕에 나무나 화초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여 지구온난화 또는 도심열섬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각종 대기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기시 빗물이 상토를 적시며 걸름시트를 통과하여 격리공간들의 저수부재 속으로 저수되면서 격리판들을 넘어 층층이 하강하여 지붕상판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어 걸름시트 위의 상토에 뿌리를 내린 식물로 하여금 수분을 섭취하면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기시 격리공간의 저부, 즉 걸름시트 아래에 채워진 저수부재에 저수된 물로 하여금 걸름시트 위로의 습도를 유지케 하여[걸름시트를 경계로 지하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말라버리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수명을 보장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성장을 가능케 한 녹화지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화지붕은 지구온난화 또는 도심열섬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각종 대기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자, 파골라(Pergola), 정류장 부스(Booth), 주택 또는 공장 등의 지붕에 나무나 화초 등을 가꿀 수 있도록 한 건축 시설물을 일컫는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43573호)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지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지붕의 하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지붕의 상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 1의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따라, 지붕은 양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위에 결합되어 지붕을 구성하는 구성물들을 적층하기 위한 패널(20)과, 경사에 의해 상측의 토양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수평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0)과, 패널(20) 및 걸림턱(30)을 덮어 건축물 외부로부터의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층(40)과, 방수층(40)의 상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토양층(50)고, 토양층(50)에 식재되는 다년생의 조경식물(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우기시 빗물이 토양층(50) 속에 고여, 즉 빗물의 배수가 안 되어 조경식물(60)의 뿌리가 썩는 현상이 발생하는 한편 건기시 오히려 수분 부족으로 인해 조경식물(60)이 말라 죽는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45761호)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자 지붕(110)의 상부에 방수포(121)를 깔아 배치하는 방수포 배치 단계; 방수포(121)의 상면으로 와이어(wire, 123)를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 단계; 와이어(123)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와이어(123) 영역으로 방수 콘크리트(125)를 타설하는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기 전에 방수 콘크리트(125) 상에 다수의 조경부재(127)를 배치하여 방수 콘크리트(125)에 조경부재(127)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조경부재 고정 단계; 및 조경부재(127)들 또는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녹화재료(129)를 부착하여 식재하거나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흙을 덮고 흙에 대해 녹화재료(129)를 심어서 식재하는 녹화재료 식재 단계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역시 우기시 빗물이 흙 속에 고여, 즉 빗물의 배수가 안 되어 녹화재료(129)의 뿌리가 썩는 현상이 발생하는 한편 건기시 수분 부족으로 인해 녹화재료(129)가 말라 죽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84995호)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제1 및 제2 벽체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d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지붕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e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제3 및 제4 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100)은 바닥(107)과 네 개의 벽체 그리고 지붕(109)을 포함하고, 벽체는 네 개의 벽체로 이뤄지고, 제1 벽체(210) 및 제2 벽체(220)는 바닥(107)의 상부에 형성되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벽체이고,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는 제1 벽체(210) 및 제2 벽체(220)의 일측에 이웃하여 형성되며,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벽체이다.
제1 벽체(210) 및 제2 벽체(220)는 벽체 프레임(250)을 포함하고, 벽체 프레임(250)은 제1 벽체(210) 및 제2 벽체(220)의 외곽틀의 역할을 하고, 벽체의 상부에는 지붕(109)이 형성된다.
지붕(109)에는 콘크리트층(501)을 형성하여 지붕(109)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이러한 콘크리트층(501)의 상부에는 방수층(503)을 형성하여, 지붕(109) 상부의 물이 실내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방수층(503)의 상부에는 제1 벽천 배관(511)이 배치되고, 제1 벽천 배관(511)을 통해 지붕(109)에 식재된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물이 공급되고, 제1 벽천 배관(511)의 상부로는 제1 현무암층(513)이 형성되고, 제1 현무암층(513)은 지붕(109)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1 현무암층(513)의 상부에는 화산석 송이층(515)이 형성되고, 화산석 송이층(515)의 상부에는 제2 현무암층(517)이 형성된다.
지붕(109)에서 흘러나온 물을 재활용 하기 위해 벽천 가이드(520)가 제공되고, 벽천 가이드(520)는 지붕(109)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붕(109)으로부터 낙하는 물을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의 벽천으로 가이드한다.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는 벽체 프레임(250)이 외곽틀을 이루고, 벽체 프레임(250)의 일측 표면에는 현무암층(301)이 형성되고, 벽체 프레임(250)의 타측 표면에는 황토층(303)이 형성된다.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의 현무암층(301)에는 물이 흘러내려 벽천이 형성된다.
벽천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 물탱크(701), 하부 물탱크(703), 제2 벽천 배관(705), 펌프(707)가 구비되고, 하부 물탱크(703)의 물을 상부 물탱크(701)로 이송하는 펌프(707)는 하부 물탱크(703)의 내부에 장착되고, 벽천 프레임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제2 벽천 배관(705)이 배치된다. 제2 벽천 배관(705)은 하부 물탱크(703)와 제1 벽천 배관(511)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지붕(109)의 상부 중앙에는 상부 물탱크(701)가 형성된다. 상부 물탱크(701)는 제1 벽천 배관(511)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며, 또한 이렇게 저장된 물이 지붕(109)으로 흘러가게 된다.
상부 물탱크(701)에 저장된 물이 햇볕에 의한 증발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물탱크(701)의 상부에는 증발 방지 덮개(710)가 결합되고, 상부 물탱크(701)에 저장된 물이 식물 성장에 필요한 부분만으로 흘러가도록 하기 위해 상부 물탱크(701)가 지붕(109)과 연결된 일측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720)가 결합된다.
가이드 플레이트(720)에는 제1 벽천 배관(51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723)과, 상부 물탱크(701)의 물이 화산석 송이층(515)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출공(72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20)를 상부 물탱크(701)에 장착함으로써, 제1 벽천 배관(51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낭비없이 식물 성장을 위해 물이 공급되어야 할 화산석 송이층(515)으로 적절히 공급되도록 한다.
하부 물탱크(703)에서 펌프(707)에 의해 이송된 물은 제1 벽천 배관(511) 및 제2 벽천 배관(705)을 경유하여 가이드 플레이트(720)의 유입공(723)을 통과하여 상부 물탱크(701)에 유입된다. 그리고는 가이드 플레이트(720)의 유출공(725)을 통해 유출되어 화산석 송이층(515)을 거치면서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의 현무암층(301)을 타고 흘러내리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은 펌프(707)를 통해 하부 물탱크(703)의 물을 제2 벽천 배관(705) 및 제1 벽천배관(511)을 경유시켜 상부 물탱크(701)에 채운 후 화산석 송이층(515)으로 유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화산석 송이층(515)의 경사도에 따라 물이 곧바로 변천 가이드(520)를 따라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의 벽천으로 흘러내려 펌프(707)의 지속적인 구동이 필요로 하며, 특히 제3 벽체(230) 및 제4 벽체(240)로의 물의 낙하로 인한 오염과 습도 증가로 인한 건축물 자체의 수명단축을 초래하고, 펌프(707)의 구동을 멈출 경우 화산석 송이층(515)이 곧바로 건조되어 식물이 쉽게 매말라 죽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07435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457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849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우기시 빗물이 상토를 적시며 걸름시트를 통과하여 격리공간들의 저수부재 속으로 저수되면서 격리판들을 넘어 층층이 하강하여 지붕상판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어 걸름시트 위의 상토에 뿌리를 내린 식물로 하여금 수분을 섭취하면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기시 격리공간의 저부, 즉 걸름시트 아래에 채워진 저수부재에 저수된 물로 하여금 걸름시트 위로의 습도를 유지케 하여[걸름시트를 경계로 지하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말라버리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수명을 보장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성장을 가능케 한 녹화지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수부재인 소라껍질 속으로 물이 채워질 경우 나선형의 소라집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저수 및 수분의 보존력이 뛰어나 건기시 걸름시트 위로의 수분 공급을 통한 뿌리의 촉촉함을 유지시켜 식물의 성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녹화지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혹서기나 건기시를 대비하여 공급파이프를 통해 펌프의 펌핑으로 물을 지붕상판의 어퍼파트에 마련된 격리공간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건강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걸름시트 아래의 격리공간에 채워진 물의 체크수위를 체크하는 체크센서를 통해 컨트롤러로서 펌프의 구동을 자동 제어토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녹화지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우기시의 빗물에 의한 물이 공급될 경우 가능하면 지붕상판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배수파이프를 언더파트의 격리공간에 채워진 저수부재의 상측 기준수위까지 위치시켜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지상으로 실시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청결한 배수상태를 유지케 하는 녹화지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물이 탑수조통 위로 서서히 넘치면서 전방위로 균일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녹화지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는,
코너지주들 위에 탑재되며 어퍼파트 및 언더파트로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방수처리된 지붕상판과,
상기 지붕상판의 어퍼파트로부터 언더파트를 향하여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이격 세워져 격리공간들을 각각 마련하는 격리판들과,
상기 격리공간들의 저부에 각각 채워져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재와,
상기 저수부재 위에 씌워져 물을 하향 통과시키는 걸름시트와,
상기 걸름시트 위의 상기 격리공간들의 상부에 각각 적층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상토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자, 파골라, 정류장 부스, 주택 또는 공장 등의 지붕에 나무나 화초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여 지구온난화 또는 도심열섬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각종 대기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우기시 빗물이 상토를 적시며 걸름시트를 통과하여 격리공간들의 저수부재 속으로 저수되면서 격리판들을 넘어 층층이 하강하여 지붕상판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어 걸름시트 위의 상토에 뿌리를 내린 식물로 하여금 수분을 섭취하면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기시 격리공간의 저부, 즉 걸름시트 아래에 채워진 저수부재에 저수된 물로 하여금 걸름시트 위로의 습도를 유지케 하여[걸름시트를 경계로 지하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말라버리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수명을 보장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성장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수부재인 소라껍질 속으로 물이 채워질 경우 나선형의 소라집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저수 및 수분의 보존력이 뛰어나 건기시 걸름시트 위로의 수분 공급을 통한 뿌리의 촉촉함을 유지시켜 식물의 성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혹서기나 건기시를 대비하여 공급파이프를 통해 펌프의 펌핑으로 물을 지붕상판의 어퍼파트에 마련된 격리공간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건강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걸름시트 아래의 격리공간에 채워진 물의 체크수위를 체크하는 체크센서를 통해 컨트롤러로서 펌프의 구동을 자동 제어토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물이 탑수조통 위로 서서히 넘치면서 전방위로 균일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우기시의 빗물에 의한 물이 공급될 경우 가능하면 지붕상판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배수파이프를 언더파트의 격리공간에 채워진 저수부재의 상측 기준수위까지 위치시켜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지상으로 실시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청결한 배수상태를 유지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의 순환구조로 절수를 도모함과 동시에 외관상의 간소함을 함께 실현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지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지붕의 하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지붕의 상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사시도.
도 3b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단면도.
도 3c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제1 및 제2 벽체의 확대 단면도.
도 3d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지붕의 확대 단면도.
도 3e는 선행기술문헌 3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의 제3 및 제4 벽체의 확대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을 포함한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을 포함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는 정자, 파골라, 정류장 부스, 주택 또는 공장 등의 지붕에 나무나 화초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여 지구온난화 또는 도심열섬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각종 대기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지주(70)들 위에 탑재되며 어퍼파트(Upper Part; 82a) 및 언더파트(Under Part; 82b)로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방수처리된 지붕상판(81)과,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로부터 언더파트(82b)를 향하여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이격 세워져 격리공간(84)들을 각각 마련하는 격리판(83)들과, 격리공간(84)들의 저부에 각각 채워져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재(85)와, 저수부재(85) 위에 씌워져 물을 하향 통과시키는 걸름시트(86)와, 걸름시트(86) 위의 격리공간(84)들의 상부에 각각 적층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상토(87)를 포함한다.
코너지주(70)들 위에 탑재되면서 방수처리된 지붕상판(81)은 지형 및 환경에 따라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은 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4각 또는 8각 등의 중고외저(中高外低)의 피라밋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장 높은 곳을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라 하고 가장 낮은 곳을 지붕상판(81)의 언더파트(82b)라 정의한다.
격리판(83)들은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로부터 언더파트(82b)를 향하여 간격을 두고 이격 세워져 격리공간(84)들을 층층이 마련하고, 이 격리공간(84)들의 저부에 예를 들면 부직포와 같은 걸름시트(86)를 경계로 저수부재(85)를 각각 채워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격리공간(84)들의 상부에 걸름시트(86)를 경계로 상토(87)를 적층시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격리공간(84)들의 저부는 걸름시트(86)를 경계로 물을 저수하는, 즉 지하수의 보관공간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걸름시트(86)는 물은 하향 통과시키는 대신 상토(87), 즉 흙의 알맹이 등과 같은 입자 등의 침투는 차단토록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격리공간(84)들의 저부가 퇴적물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는 우기시 빗물이 상토(87)를 적시며 걸름시트(86)를 통과하여 격리공간(84)들의 저수부재(85) 속으로 저수되면서 격리판(83)들을 넘어 층층이 하강하여 지붕상판(81)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어 걸름시트(86) 위의 상토(87)에 뿌리를 내린 식물로 하여금 수분을 섭취하면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기시 격리공간(84)의 저부, 즉 걸름시트(86) 아래에 채워진 저수부재(85)에 저수된 물로 하여금 걸름시트(86) 위로의 습도를 유지케 하여[걸름시트(86)를 경계로 지하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말라버리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수명을 보장토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물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저수부재(85)는 소라껍질을 적용할 수 있고, 이 소라껍질은 껍질의 강도가 단단하여 물 속에 오래 있더라도 뭉개지지 않고 그 형상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며, 특히 소라껍질 속으로 물이 채워질 경우 나선형의 소라집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저수 및 수분의 보존력이 뛰어나 건기시 걸름시트(86) 위로의 수분 공급을 통한 뿌리의 촉촉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식물의 성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는 지상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91)에 연통되어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에 마련된 격리공간(84)으로 공급하여 어퍼파트(82a)로부터 언더파트(82b)에 이르기까지 격리판(83)들을 차례로 넘으면서 격리공간(84)들 속에 순차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파이프(92)를 포함한다.
혹서기나 건기시를 대비하여 공급파이프(92)를 통해 펌프(91)의 펌핑으로 물을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에 마련된 격리공간(84)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건강한 성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걸름시트(86) 아래의 격리공간(84)에 채워진 물의 체크수위를 체크하는 체크센서(93)를 통해 컨트롤러(94)로서 펌프(91)의 구동을 자동 제어토록 함으로써 더욱 편리한 식물의 성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 위에 지지되어 가장 높게 설치되면서 공급파이프(92)와 연통되는 탑수조통(95)을 구비하여, 공급파이프(92)를 통해 공급된 물이 탑수조통(95) 위로 서서히 넘치면서 전방위로 균일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녹화지붕 구조는 언더파트(82b)의 격리공간(84)에 채워진 저수부재(85)의 상측 기준수위까지 위치되면서 지상으로 배열되어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파이프(96)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91)를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우기시의 빗물에 의한 물이 공급될 경우 가능하면 지붕상판(81)의 처마 끝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배수파이프(96)를 언더파트(82b)의 격리공간(84)에 채워진 저수부재(85)의 상측 기준수위까지 위치시켜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지상으로 실시간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청결한 배수상태를 유지케 한다.
이때, 공급파이프(92) 및 배수파이프(96)는 펌프(91)를 내장한 언더수조통(97)에 연통됨과 동시에 코너지주(70)들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되도록 하여 물의 순환구조로 절수를 도모함과 동시에 외관상의 간소함을 함께 실현토록 한다.
본 발명은 지구온난화 또는 도심열섬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면서 각종 대기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자, 파골라(Pergola), 정류장 부스(Booth), 주택 또는 공장 등의 지붕에 나무나 화초 등을 가꿀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시설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한다.
70 : 코너지주 81 : 지붕상판
82a : 어퍼파트 82b : 언더파트
83 : 격리판 84 : 격리공간
85 : 저수부재 86 : 걸름시트
87 : 상토 91 : 펌프
92 : 공급파이프 93 : 체크센서
94 : 컨트롤러 95 : 탑수조통
96 : 배수파이프 97 : 언더수조통

Claims (7)

  1. 코너지주(70)들 위에 탑재되며 어퍼파트(82a) 및 언더파트(82b)로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방수처리된 지붕상판(81)과,
    상기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로부터 언더파트(82b)를 향하여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이격 세워져 격리공간(84)들을 각각 마련하는 격리판(83)들과,
    상기 격리공간(84)들의 저부에 각각 채워져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재(85)와,
    상기 저수부재(85) 위에 씌워져 물을 하향 통과시키는 걸름시트(86)와,
    상기 걸름시트(86) 위의 상기 격리공간(84)들의 상부에 각각 적층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상토(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85)는 소라껍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상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91)에 연통되어 상기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에 마련된 상기 격리공간(84)으로 공급하여 상기 어퍼파트(82a)로부터 언더파트(82b)에 이르기까지 상기 격리판(83)들을 차례로 넘으면서 상기 격리공간(84)들 속에 순차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급파이프(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시트(86) 아래의 상기 격리공간(84)에 채워진 물의 체크수위를 감지하는 체크센서(93)와,
    상기 체크센서(93)에서 체크수위의 물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펌프(91)를 구동시켜 상기 공급파이프(92)를 통해 물을 공급토록 하는 컨트롤러(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상판(81)의 어퍼파트(82a) 위에 지지되어 가장 높게 설치되면서 상기 공급파이프(92)와 연통되는 탑수조통(9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파트(82b)의 격리공간(84)에 채워진 상기 저수부재(85)의 상측 기준수위까지 위치되면서 지상으로 배열되어 기준수위 이상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파이프(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92) 및 배수파이프(96)는 상기 펌프(91)를 내장한 언더수조통(97)에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코너지주(70)들 중 어느 하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지붕 구조.
KR1020200102020A 2020-08-13 2020-08-13 녹화지붕 구조 KR102193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020A KR102193142B1 (ko) 2020-08-13 2020-08-13 녹화지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020A KR102193142B1 (ko) 2020-08-13 2020-08-13 녹화지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142B1 true KR102193142B1 (ko) 2020-12-21

Family

ID=74090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020A KR102193142B1 (ko) 2020-08-13 2020-08-13 녹화지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1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2744A (zh) * 2021-07-24 2021-09-21 无锡市锡山三建实业有限公司 集雨型屋顶雨水花园
CN113498692A (zh) * 2021-06-25 2021-10-15 南通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绿色节能的装配式房屋
CN113513182A (zh) * 2020-12-31 2021-10-19 南京科森挤出装备有限公司 房顶全铺薄不锈钢板填土种植植物的方法
CN113632662A (zh) * 2021-08-24 2021-11-12 中部建设(深圳)有限公司 一种建筑物排水系统装置及方法
CN117266457A (zh) * 2023-09-19 2023-12-22 北京建工四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适用大坡度全防水的种植屋顶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7-07-27 한영복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39566B1 (ko) *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KR101045807B1 (ko) * 2010-12-29 2011-07-04 홍채호 내광성,내열성,내수성,내하중성,방수성,방근성,저수성,배수성,여과필터,토양기반,식생 등 지붕 및 인공지반 옥상녹화를 구성하는 모든 기술성능요소가 통합된 이중바닥 방식의 경량박형 생태지붕방수 구조물
KR101345761B1 (ko) 2012-09-26 2013-12-27 유경조경주식회사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KR101440944B1 (ko) * 2013-03-07 2014-09-17 신천희 식물지붕 파고라
KR20180041337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7-07-27 한영복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39566B1 (ko) *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KR101045807B1 (ko) * 2010-12-29 2011-07-04 홍채호 내광성,내열성,내수성,내하중성,방수성,방근성,저수성,배수성,여과필터,토양기반,식생 등 지붕 및 인공지반 옥상녹화를 구성하는 모든 기술성능요소가 통합된 이중바닥 방식의 경량박형 생태지붕방수 구조물
KR101345761B1 (ko) 2012-09-26 2013-12-27 유경조경주식회사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KR101440944B1 (ko) * 2013-03-07 2014-09-17 신천희 식물지붕 파고라
KR20180041337A (ko) *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KR101884995B1 (ko) 2016-10-14 2018-08-02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3182A (zh) * 2020-12-31 2021-10-19 南京科森挤出装备有限公司 房顶全铺薄不锈钢板填土种植植物的方法
CN113498692A (zh) * 2021-06-25 2021-10-15 南通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绿色节能的装配式房屋
CN113498692B (zh) * 2021-06-25 2022-05-24 南通市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绿色节能的装配式房屋
CN113412744A (zh) * 2021-07-24 2021-09-21 无锡市锡山三建实业有限公司 集雨型屋顶雨水花园
CN113632662A (zh) * 2021-08-24 2021-11-12 中部建设(深圳)有限公司 一种建筑物排水系统装置及方法
CN117266457A (zh) * 2023-09-19 2023-12-22 北京建工四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适用大坡度全防水的种植屋顶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142B1 (ko) 녹화지붕 구조
US6711851B2 (en) Modular green roof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including modular panels with complimentary edge systems
JP4165841B2 (ja) 植栽マット用貯水槽トレー及びその設備
EP2331768B1 (en) Roof with modular plant covering
US20070094927A1 (en) Rooftop vegetation pod
JP2007267732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KR102029239B1 (ko) 친환경 파고라
JP4303504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531542B2 (ja) 植栽装置
CN104389386B (zh) 节水型容器种植屋面
JP2015037380A (ja) 立体庭園における自動潅水システム
CN1579137A (zh) 一种用于建筑物平台和屋顶绿化的花槽装置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CN2772208Y (zh) 一种平台花池排水装置
JP2007061103A (ja) 植栽設備
KR102076347B1 (ko) 태양광 패널이 시공되는 공간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내풍압 녹화방법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3834015B2 (ja) 屋上緑化装置
KR100579758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JP3609816B2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3989818B2 (ja) 屋上緑化プランターと屋上緑化システム
JP4543139B2 (ja) 集合住宅等のバルコニーに敷設する立体庭園
JP4906250B2 (ja) 緑化基盤構造
KR200346692Y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CN210900774U (zh) 一种立体绿化景观设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