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758B1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Google Patents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9758B1 KR100579758B1 KR1020040018755A KR20040018755A KR100579758B1 KR 100579758 B1 KR100579758 B1 KR 100579758B1 KR 1020040018755 A KR1020040018755 A KR 1020040018755A KR 20040018755 A KR20040018755 A KR 20040018755A KR 100579758 B1 KR100579758 B1 KR 100579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ugh
- rainwater
- drain
- fresh water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수행되는 동시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녹지화 및 공원화의 저변이 확대되어 도시미관과 생활환경이 향상시킬 수 있고,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경량토를 이용하여 식물의 생육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어 건축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은, 상면상에 다수 개의 배수공(120)이 천공된 몸체(110)상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우수가 채워지는 다수의 홈통(130)과, 건축물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통(140)이 형성된 배수판(100)에 있어서, 상기 홈통(130)의 내부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를 흡수 보관시키는 흡수성 재질의 흡수부재(150)가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150)의 하측에 해당되는 홈통(130)의 저면상에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공(132)이 천공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배수판, 110:몸체,
120:배수공, 130:홈통,
132:유출공, 140:지지통,
150:흡수부재.
본 발명은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상 등에 공원화 및 녹지화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그 바닥면상에 설치되어 우수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수행되는 동시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가 고도화됨에 따라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고, 이에 따른 도시개발로 고층건물과 같은 건축물이 증가되면서 녹지가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며, 또한 녹지의 감소 및 도시화에 따라 대기 및 수질환경이 악화되면서 생활환경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도시민의 정서적 불안정이 발생되어 사회적 문제점으로 재기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물의 옥상과 같은 버려져 방치되는 유휴공간을 녹지화 또는 공원화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대개는 건축물의 슬라브(slab)상에 배수를 위한 배수판을 설치하고 이 배수판의 상측에 흙을 덮은 다음 수목이나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그리고 수목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수목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상당한 높이로 흙을 쌓아야 하므로 엄청난 하중이 건축물에 작용되어 건축물의 안전성에 중대한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일조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옥상에 조성되므로 흙이 쉽게 건조되면서 식물이 쉽게 생존할 수 없고 고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슬라브에 설치되는 배수판은 보통 우수의 배수만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단시간내에 수분이 모두 배출되므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0097호(등록일자:2000. 8. 7)에 나타난 "록지조성용 배수처리판"과 같이 일정량의 수분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배수판상에 지지각겸수관(3,3')을 형성한 배수판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수판은 우수가 보관되는 지지각겸수관(3,3')의 하부가 밀폐된 구조이므로 과도한 양의 우수가 채워져 배출되지 않으므로 배수판 고유의 배수기능이 상실되고 장시간 우수가 체류되는 경우 부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장시간의 사용으로 지지각겸수관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채워지게 될 경우 적정한 양의 수분을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기 지지각겸수관(3,3')에 채워진 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될 경우 그 상층부에 위치된 수목이나 잔디와 같은 식물의 뿌리 부분과 이격되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우수 등의 배수가 용이하게 수행되는 동시에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녹지화 및 공원화의 저변이 확대되어 도시미관과 생활환경이 향상시킬 수 있고,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중량이 상대적 으로 가벼운 경량토를 이용하여 식물의 생육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어 건축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상에 다수 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몸체상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우수가 채워지는 다수의 홈통과, 건축물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통이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홈통의 내부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를 흡수 보관시키는 흡수성 재질의 흡수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의 하측에 해당되는 홈통의 저면상에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홈통의 저부에 일정량의 우수가 저장되도록 홈통의 저면상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상면상에 유출공이 천공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저면상에 상하, 좌우 대각방향으로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저부로 돌출되는 상기 홈통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수부재는 동결시에 홈통이 파손되지 않도록 홈통의 내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크기의 스폰지 재질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는 몸체(110)의 상면상에 다수 개의 배수공(120)이 천공되고, 이 몸체(11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우수가 채워지는 다수의 홈통(130)과, 이 홈통(130)과 이격 배치되어 건축물의 바닥면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통(140)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홈통(13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유입된 물을 흡수 보관시키는 흡수성 재질의 흡수부재(150)가 구성되고, 이 흡수부재(150)의 하측에 해당되는 홈통(130)의 저면상에 물이 배출되는 유출공(132)이 천공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수부재(150)는 바람직하게 물을 쉽게 흡수하여 머금을 수 있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스펀지로 형성되는 흡수부재는 그 재단시에 사각형으로 절단하는 것이 잉여자재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가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사각형 형상 즉 육면체 형상으로 절단 형성되고, 이 흡수부재(150)가 삽입되는 홈통 또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동결시에 부피가 증가되는 점을 고려하여 홈통의 내부공간 보다 크기가 작아 홈통의 내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게 형성됨으로서 동절기의 부피 팽창에 따른 홈통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00)은 대략 평판 형상의 몸체(110)에 다수의 홈통 (130) 및 지지통(140)이 형성되므로 강성이 취약하고 그 사용시에 상면상에 다량의 흙이 쌓여 큰 하중이 작용되므로 몸체의 저면상에 상하, 좌우 대각방향으로 보강돌부(160)가 형성되는 한편, 몸체(110)의 상하 및 좌우측 선단부에는 그 설치시에 인접하는 배수판(100)과의 연결을 위한 고정편(112) 및 고정홈(114)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편(112)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중앙에 홀부가 형성된 대략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홈(114)은 상측으로부터 고정편(112)이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편과 유사한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통(14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상에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공(142)이 천공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배수판 (100)은, 상기 홈통(130)의 저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도록 홈통(130)의 저면상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상면상에 유출공(132)이 천공된 돌출부(134)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돌출부(134)는 홈통(130)의 바닥면과 그 돌출 높이에 해당되는 높이 이상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출공(132)을 통해 배출되면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수부재(150)에 수분을 제공하는 수분공급원으로서의 기능이 수행 되어 배수판의 상측에 식재되는 식물에 장기간에 걸쳐 적정한의 양의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수 개의 배수판(100)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옥상과 같은 바닥면상에 설치하고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판의 상면상에 부직포(20) 등을 덮어 설치한 다음 부직포의 상부에 흙을 쌓아 토사층(30)을 형성하고 이 토사층(30)에 나무나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토사층(30)에 물을 공급하거나 비가 내려 과다한 물이 공급되면 토사층을 통해 스며든 물이 부직포(20)를 통해 배수판(100)측으로 흘러 내리게 되어 배수공(120)을 통해 슬라브(10)상으로 배출되고, 홈통(130)측으로 유입되는 물은 흡수부재(150)에 흡수되다가 이 흡수부재(150)의 흡수량을 넘는 물은 홈통(130)의 바닥면으로 흘러 내린 다음 유출공(132)을 통해 배출되므로 흡수부재에는 정해진 양의 수분이 수용되어 담수기능이 수행되고 이와 같이 흡수된 수분이 식물에 항상 일정하게 공급된다.
그리고, 홈통(130)내에 저장된 수분을 식물이 식재된 토사층(30)에 공급하는 과정이 토사층(30)에 밀착되는 흡수부재(150)를 매개로 수행되므로 원활하고 안정되게 수행된다.
또한 지지통(140)으로 유입되는 물도 한번에 모두 배수되지 않고 유출공 (142)을 통해 점차적으로 배출되므로 식물에 수분을 점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간 접적인 담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홈통(130)의 내부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4)가 형성된 경우에는 홈통(130) 바닥으로 흘러 내린 물이 모두 유출공(132)으로 배수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부의 높이에 해당되는 높이로 물이 잔류 저장되면서 흡수부재(150)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게 되므로 강수량이 작거나 가뭄이 심한 장소 또는 건축물의 구조상 빗물의 유입이 작은 장소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형상은 상술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에 의하면, 일정한 양의 수분을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쉽게 건조화되고 가벼운 경량토로도 건축물의 옥상 등에 공원화 및 녹지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건축물의 안전성 확보에 따른 저변의 확대를 통해 도시미관과 생활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홈통이 밀폐구조가 아니므로 원할한 배수기능이 수행되면서 적정한 양의 수분이 저장되고 흡수부재를 매개로 식재된 식물에 안정되고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상면상에 다수 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몸체상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우수가 채워지는 다수의 홈통과, 건축물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통이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상기 홈통의 내부공간에 삽입 설치되어 유입된 우수를 흡수 보관시키는 흡수성 재질의 흡수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흡수부재의 하측에 해당되는 홈통의 저면상에 우수가 배출되는 유출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홈통의 저부에 일정량의 우수가 저장되도록 홈통의 저면상에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상면상에 유출공이 천공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의 저면상에 상하, 좌우 대각방향으로 보강돌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저부로 돌출되는 상기 홈통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홈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흡수부재는 동결시에 홈통이 파손되지 않도록 홈통의 내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크기의 스폰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8755A KR100579758B1 (ko) | 2004-03-19 | 2004-03-19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8755A KR100579758B1 (ko) | 2004-03-19 | 2004-03-19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9557U Division KR200346692Y1 (ko) | 2003-12-19 | 2003-12-19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2324A KR20050062324A (ko) | 2005-06-23 |
KR100579758B1 true KR100579758B1 (ko) | 2006-05-17 |
Family
ID=3725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8755A KR100579758B1 (ko) | 2004-03-19 | 2004-03-19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975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933B1 (ko) | 2006-07-13 | 2007-08-13 | (주)자연과학 | 식생블럭 조립체 |
KR102195247B1 (ko) | 2020-07-09 | 2020-12-24 | (주) 금룡 |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4060B1 (ko) * | 2005-10-10 | 2006-04-27 |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 하천변의 자정식물 식재틀 |
KR100598770B1 (ko) * | 2005-10-24 | 2006-07-12 | (주)화신엔지니어링 | 도로의 가변차로에 설치되는 배수용 식재블럭 |
-
2004
- 2004-03-19 KR KR1020040018755A patent/KR1005797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933B1 (ko) | 2006-07-13 | 2007-08-13 | (주)자연과학 | 식생블럭 조립체 |
KR102195247B1 (ko) | 2020-07-09 | 2020-12-24 | (주) 금룡 | 내구성이 증대된 잔디식재용 완충배수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2324A (ko) | 2005-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18429B2 (ja) | 緑化装置 | |
US20070094927A1 (en) | Rooftop vegetation pod | |
US20160135381A1 (en) | Vegetated roof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 |
KR102193142B1 (ko) | 녹화지붕 구조 | |
DK2904895T3 (en) | Vertical planting system | |
JP2007267732A (ja) | 屋上緑化システム | |
JP5430973B2 (ja) | 温度上昇抑制システム | |
CN112568021A (zh) | 一种绿色生态装饰屋顶 | |
JP2006304760A (ja) |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 |
KR101328678B1 (ko) | 조립식 대형화분과 그 설치방법 | |
JP2004041196A (ja) | 緑化装置 | |
KR100579758B1 (ko)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
KR100965403B1 (ko) |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 |
JP2004089209A (ja) | 緑化装置 | |
JP2003105883A (ja) | 温度上昇防止システム | |
JP2006322261A (ja) | 建物屋上の冷却システム | |
CZ22468U1 (cs) | Lehká střešní krytina s vegetačním porostem, s využitím hydrogelu | |
KR200346692Y1 (ko) |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 |
JP2003082825A (ja) | 建築物の屋根構造体 | |
JP2006241812A (ja) | 環境温度低減装置 | |
CN104285708A (zh) |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 |
KR100349557B1 (ko) |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 |
JP2003250365A (ja) | 循環式散水方法及びその装置ならびに集水プレート | |
KR200370304Y1 (ko) |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된 투수성 보도블록 | |
JP2004147593A (ja) |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