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761B1 -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761B1
KR101345761B1 KR1020120106891A KR20120106891A KR101345761B1 KR 101345761 B1 KR101345761 B1 KR 101345761B1 KR 1020120106891 A KR1020120106891 A KR 1020120106891A KR 20120106891 A KR20120106891 A KR 20120106891A KR 101345761 B1 KR101345761 B1 KR 10134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andscaping
sperm
roof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한
Original Assignee
유경조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조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경조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은, 정자 지붕(110)의 상부에 방수포(121)를 깔아 배치하는 방수포 배치 단계; 상기 방수포(121)의 상면으로 와이어(wire, 123)를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 단계; 상기 와이어(123)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와이어(123) 영역으로 방수 콘크리트(125)를 타설하는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기 전에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에 다수의 조경부재(127)를 배치하여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에 상기 조경부재(127)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조경부재 고정 단계; 및 상기 조경부재(127)들 또는 상기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녹화재료(129)를 식재하는 녹화재료 식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Afforest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pavilion roof}
본 발명은,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자 지붕을 녹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단조로운 경관을 뛰어넘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자(亭子)는 자연 경관을 감상하면서 한가로이 놀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주변 경관이 좋은 곳에 아담하게 지은 집을 가리킨다.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으며, 단층(單層)인 것이 정자의 가장 큰 특징이다. 정자는 사각 정자, 육각 정자, 팔각 정자 등 그 형태와 종류가 다양하다.
한편, 정자의 지붕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양쪽이 대칭적으로 경사진 처마 형태를 갖는다. 정자 지붕에는 목재 판재, 플라스틱 판재 혹은 다수의 기왓장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정자 지붕의 경우, 그 상면에 목재 판재, 플라스틱 판재 혹은 다수의 기왓장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외관상 매우 단조로울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형태는 주변의 녹지와 잘 조합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정자가 주변의 자연 경관을 해치는 요인이 될 도 있다.
만약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정자 지붕에 녹화 구조를 형성할 경우,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 환경과 잘 조합되어 뛰어난 경관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426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0277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2641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2482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자 지붕을 녹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단조로운 경관을 뛰어넘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정자 지붕(110)의 상부에 방수포(121)를 깔아 배치하는 방수포 배치 단계; 상기 방수포(121)의 상면으로 와이어(wire, 123)를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 단계; 상기 와이어(123)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와이어(123) 영역으로 방수 콘크리트(125)를 타설하는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기 전에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 상에 다수의 조경부재(127)를 배치하여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에 상기 조경부재(127)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조경부재 고정 단계; 및 상기 조경부재(127)들 또는 상기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녹화재료(129)를 부착하여 식재하거나 상기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흙을 덮고 상기 흙에 대해 녹화재료(129)를 심어서 식재하는 녹화재료 식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 전에 상기 와이어(123)를 지지하면서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쉴드(concrete shield, 131)를 상기 방수포(121)의 상면에 배치하여 상기 정자 지붕(110)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지지용 쉴드 배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쉴드(131)는 상기 정자 지붕(110)의 상면 꼭짓점에서 상기 정자 지붕(110)의 노출 단부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되 상기 정자 지붕(1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경부재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정자 지붕(110)의 단부에 수직형 마감패널(133)을 부착시키는 수직형 마감패널 부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형 마감패널(133)은 그 하단부가 상기 정자 지붕(110)의 하단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쉴드(131)의 상단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23)는 금속 와이어로, 폐루프 방식, 바둑판 방식 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조경부재(127)는 조경용 돌 또는 식생용 돌일 수 있으며, 상기 녹화재료(129)는 꽃, 나무, 잔디 또는 바위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자 지붕을 녹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단조로운 경관을 뛰어넘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정자 지붕에 녹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 환경과 잘 조합되어 뛰어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자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정자 지붕(110)은 정자(100)의 상부를 이루는 일종의 덮개이다.
목재 판재, 플라스틱 판재 혹은 다수의 기왓장이 배치되어 외관상 매우 단조로웠던 종래의 정자 지붕(미도시)과 달리, 본 실시예의 정자 지붕(110)에는 도 1 및 도 2처럼 녹화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즉 꽃, 나무, 잔디 또는 바위솔 등의 녹화재료들이 자라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단조로운 경관을 뛰어넘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정자 지붕(110)에는 도 1 및 도 2처럼 녹화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 환경과 잘 조합되어 뛰어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정자 지붕(110)에 대한 녹화 구조의 설명에 앞서 정자(100)의 구조에 대해 주로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알아본다.
정자(100)의 하부에는 바닥판(101)이 배치되고, 그 양측으로 하부보(102)가 연결된다. 하부보(102) 영역에는 바닥 콘크리트 기초(103)에 고정된 다수의 브릿지(104)가 배치된다. 바닥판(101)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바닥판(101) 안쪽으로 진입하는 계단(105)이 배치된다.
바닥판(101)과 정자 지붕(110) 사이에는 벽체가 아닌 골조 형태의 기둥(106)이 배치된다. 기둥(106)의 상부 영역에는 처마도리(107)가, 그리고 그 하부의 내측에는 난간(108)이 배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정자의 구조에서 그 상부에 배치되는 정자 지붕(110)은 종래와 달리 녹화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녹화 구조의 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자 지붕(110)의 녹화 구조는, 방수포 배치 단계(S11), 와이어 지지용 쉴드 배치 단계(S12), 와이어 배치 단계(S13),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4), 조경부재 고정 단계(S15), 수직형 마감패널 부착단계(S16), 그리고 녹화재료 식재 단계(S17)의 공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방수포 배치 단계(S11)는, 도 3처럼 정자 지붕(110)의 상부에 방수포(121)를 깔아 배치하는 과정이다.
정자 지붕(110)에 녹화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물을 주거나 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포(121)가 배치된다. 방수포(121)는 천 재질로 된 것에서부터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지지용 쉴드 배치 단계(S12)는, 도 4처럼 와이어(123)를 지지하면서 방수 콘크리트(125)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쉴드(concrete shield, 131)를 방수포(121)의 상면에 배치하여 정자 지붕(11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콘크리트 쉴드(131)는 일종의 금속 브래킷으로서 와이어(123)가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한편 방수 콘크리트(125)와 조경부재(127)들이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는 벽체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콘크리트 쉴드(131)는 도 5처럼 정자 지붕(110)의 상면 꼭짓점에서 정자 지붕(110)의 노출 단부 사이에 다수개, 예컨대 2개 배치되되 정자 지붕(1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와이어(123)가 지지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한편 방수 콘크리트(125)와 조경부재(127)들이 흘러내리는 것을 저지하는 벽체 역할을 한다.
와이어 배치 단계(S13)는 도 3처럼 방수포(121)의 상면으로 와이어(wire, 123)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콘크리트 쉴드(131)에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처럼 와이어 지지용 쉴드 배치 단계(S12)와 와이어 배치 단계(S13)는 동시에 작업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의 순서와 달리 와이어 배치 단계(S13)가 먼저 진행된 후에 와이어 지지용 쉴드 배치 단계(S12)가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와이어 배치 단계(S13)에서 사용되는 와이어(123)는 금속 와이어일 수 있는데, 폐루프 방식, 바둑판 방식 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많은 양의 와이어(123)가 배치될수록 방수 콘크리트(125)의 결속력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S14)는, 도 6처럼 와이어(123)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와이어(123) 영역으로 방수 콘크리트(125)를 타설하는 과정이다. 정자 지붕(110)의 폭과 넓이, 혹은 두께에 따라 방수 콘크리트(125)의 타설량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콘크리트 쉴드(131)가 미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 콘크리트(125)의 타설 시 방수 콘크리트(125)가 흘러내리지 않는다.
조경부재 고정 단계(S15)는, 도 7처럼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기 전에 방수 콘크리트(125)에 다수의 조경부재(127)를 심어 방수 콘크리트(125)와 조경부재(127)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이때의 조경부재(127)는 조경용 돌 또는 식생용 돌일 수 있으며, 크기와 사이즈, 혹은 종류는 정자 지붕(110)의 사이즈 혹은 정자 지붕(110)이 배치되는 장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고정된 조경부재(127)들 사이에 식생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흙이 덮일 수 있다.
수직형 마감패널 부착단계(S16)는, 도 8처럼 정자 지붕(110)의 단부에 수직형 마감패널(133)을 부착시키는 과정이다.
수직형 마감패널(133)은 그 하단부가 정자 지붕(110)의 하단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콘크리트 쉴드(131)의 상단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수직형 마감패널(133)을 결합시킴으로써 정자 지붕(110)에 대한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녹화재료 식재 단계(S17)는, 도 9처럼 조경부재(127)들 또는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녹화재료(129)를 식재하는 과정이다.
이때의 녹화재료(129)는 꽃, 나무, 잔디 또는 바위솔 등일 수 있는데, 특히 조경부재(127)들에 붙어 자랄 수 있기 때문에 조경부재(127)들과 더불어 한 층 더 뛰어난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정자 지붕(110)의 녹화 방법에 대해 일련적으로 한 번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처럼 정자 지붕(110)의 상부에 방수포(121)를 깔아 배치한다(S11). 그런 다음, 도 4처럼 와이어(123)를 지지하면서 방수 콘크리트(125)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쉴드(131)를 방수포(121)의 상면에 배치하여 정자 지붕(110)에 고정시킨다(S12). 그런 다음, 와이어(123)를 배치한다(S13).
다음, 도 6처럼 와이어(123)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와이어(123) 영역으로 방수 콘크리트(125)를 타설한다(S14). 방수 콘크리트(125)의 타설량은 정자 지붕(110)의 폭과 넓이, 혹은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음, 도 7처럼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기 전에 방수 콘크리트(125)에 다수의 조경부재(127)를 심어 방수 콘크리트(125)와 조경부재(127)를 일체로 고정시킨다(S15).
조경부재(127)를 고정시킨 후에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으면, 도 8처럼 정자 지붕(110)의 단부에 수직형 마감패널(133)을 부착시켜 마감처리를 한다(S16).
그런 다음, 도 9처럼 조경부재(127)들 또는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녹화재료(129)를 식재함으로써 정자 지붕(110)의 녹화 방법은 비교적 손쉽게 완료되며, 추후 도 1 및 도 2와 같이 종래에는 보이지 못하던 아름다운 정자 지붕(110)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정자 지붕(110)을 녹화시킬 수 있어 종래의 단조로운 경관을 뛰어넘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정자 지붕(110)에 녹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자연 환경과 잘 조합되어 뛰어난 경관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정자 지붕 121 : 방수포
123 : 와이어 125 : 방수 콘크리트
127 : 조경부재 129 : 녹화재료
131 : 콘크리트 쉴드 133 : 수직형 마감패널

Claims (6)

  1. 정자 지붕(110)의 상부에 방수포(121)를 깔아 배치하는 방수포 배치 단계;
    상기 방수포(121)의 상면으로 와이어(wire, 123)를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 단계;
    상기 와이어(123)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상기 와이어(123) 영역으로 방수 콘크리트(125)를 타설하는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가 굳기 전에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 상에 다수의 조경부재(127)를 배치하여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에 상기 조경부재(127)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조경부재 고정 단계; 및
    상기 조경부재(127)들 또는 상기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녹화재료(129)를 부착하여 식재하거나 상기 조경부재(127)들 사이사이에 흙을 덮고 상기 흙에 대해 녹화재료(129)를 심어서 식재하는 녹화재료 식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123)는 금속 와이어로, 폐루프 방식, 바둑판 방식 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조경부재(127)는 조경용 돌 또는 식생용 돌이며,
    상기 녹화재료(129)는 꽃, 나무, 잔디 또는 바위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방수 콘크리트 타설 단계 전에 상기 와이어(123)를 지지하면서 상기 방수 콘크리트(125)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쉴드(concrete shield, 131)를 상기 방수포(121)의 상면에 배치하여 상기 정자 지붕(110)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지지용 쉴드 배치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쉴드(131)는 상기 정자 지붕(110)의 상면 꼭짓점에서 상기 정자 지붕(110)의 노출 단부 사이에 다수개 배치되되 상기 정자 지붕(110)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조경부재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정자 지붕(110)의 단부에 수직형 마감패널(133)을 부착시키는 수직형 마감패널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형 마감패널(133)은 그 하단부가 상기 정자 지붕(110)의 하단부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콘크리트 쉴드(131)의 상단부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정자 지붕의 녹화 구조.
KR1020120106891A 2012-09-26 2012-09-26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KR10134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91A KR101345761B1 (ko) 2012-09-26 2012-09-26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91A KR101345761B1 (ko) 2012-09-26 2012-09-26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761B1 true KR101345761B1 (ko) 2013-12-27

Family

ID=4998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91A KR101345761B1 (ko) 2012-09-26 2012-09-26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142B1 (ko) 2020-08-13 2020-12-21 정양기 녹화지붕 구조
CN112840930A (zh) * 2019-11-26 2021-05-28 德清中康生态园有限公司 一种园林观赏型凉亭树冠造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7-07-27 한영복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118888A (ja) * 2006-11-10 2008-05-29 Kajima Corp 建築物の屋根などの傾斜面の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73B1 (ko) 2005-09-21 2007-07-27 한영복 잔디를 식재한 건축물의 지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8118888A (ja) * 2006-11-10 2008-05-29 Kajima Corp 建築物の屋根などの傾斜面の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0930A (zh) * 2019-11-26 2021-05-28 德清中康生态园有限公司 一种园林观赏型凉亭树冠造型方法
KR102193142B1 (ko) 2020-08-13 2020-12-21 정양기 녹화지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196B1 (ko) 화분 난간
KR101440944B1 (ko) 식물지붕 파고라
KR101345761B1 (ko) 정자 지붕의 녹화 방법 및 그 구조
CN207987934U (zh) 一种用于边坡生态治理的稳固结构
JP2006241960A (ja) 緑化と一体化自在の防護柵。
JP3895198B2 (ja) 緑化方法と植栽ユニット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JP3416799B2 (ja) 樹木固定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打設面用の樹木生育装置とその樹木生育工法
JPH03117434A (ja) 屋上緑化における樹木の安定方法
KR101251988B1 (ko) 수목의 플랜터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랜터
KR100927957B1 (ko) 조립식 화단
KR101844804B1 (ko) 식생 경관석 제조방법
JP2872192B2 (ja) 屋上の緑化構造
JP2002138480A (ja) 植生構造体と植生方法
CN217104579U (zh) 一种绿化景观木栈道结构
JP4901136B2 (ja) 建物の緑化構造
JPH06207413A (ja) 斜面緑化工法
JP2004190432A (ja) 三角保持枠及び緑化法面の構造
JP3610318B2 (ja) 人工地盤緑化工法及び人工地盤緑化構造
CN107964967A (zh) 一种用于边坡生态治理的稳固结构及施工方法
KR101223738B1 (ko) 식생블록
JP5395420B2 (ja) 植栽装置とその構築方法
JP4301983B2 (ja) 水場の敷設工法
JP2578222Y2 (ja) 覆工斜面緑化用の法枠装置
KR20090028988A (ko) 계단식 옹벽의 화단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