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336B1 - 녹화조성구조물 - Google Patents

녹화조성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336B1
KR101238336B1 KR1020100005917A KR20100005917A KR101238336B1 KR 101238336 B1 KR101238336 B1 KR 101238336B1 KR 1020100005917 A KR1020100005917 A KR 1020100005917A KR 20100005917 A KR20100005917 A KR 20100005917A KR 101238336 B1 KR101238336 B1 KR 10123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ayer
vegetation
gree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275A (ko
Inventor
마승희
Original Assignee
마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승희 filed Critical 마승희
Priority to KR102010000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3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벽 등의 벽체나 옥상 등의 바닥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조성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벽체(2) 반대쪽 표면을 통해 식물(6)이 식생되는 식생층(10) 및, 상기 식생층(10)의 배면에 구성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을 포함함으로써, 벽체 및 바닥(예컨대, 지붕, 기둥, 방음벽, 펜스, 건축물의 내외벽, 베란다, 옥상 등)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녹화조성구조물(1)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녹화조성구조물{GRE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실내,외벽 등의 벽체나 옥상 등의 바닥에 녹지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조성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의 바닥, 실내,외벽, 칸막이 등의 벽체에 녹지를 조성하는 공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런데, 건축물의 내,외부에 녹지를 조성할 때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로나 물 받침, 방수재 등을 이용한 방수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 때문에 녹화를 조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 관리 소홀로 인해 녹화 조성이 실패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벽체의 경우, 물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기 때문에 물 관리가 매우 어렵다.
또한, 녹지를 조성할 때 꽃이나 화초 등 식물의 식생을 위한 식생토를 사용하고 있는데, 바람이나 수압 등에 의해 식생토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벽체의 경우, 중력 등 때문에 식생토를 유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외벽 등의 벽체 및 옥상 등의 바닥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한 녹화조성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2)의 벽면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벽체(2) 반대쪽 표면을 통해 식물(6)이 식생되는 식생층(10); 상기 식생층(10)과 상기 벽체(2) 사이에 형성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보수층(20)과 상기 벽체(2) 사이에 형성되는 방수 및 방근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체(2)에는 상기 녹화조성구조물(1)이 상기 벽체(2)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홈(2A)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벽체(2)의 홈(2A)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2)에 체결부재(10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보수층(20)이 접합되는 지지판(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100)이 방수소재로 형성되거나 방수코팅되거나, 상기 벽체(2)의 홈(2A)이 방수 및 방근처리될 수 있다.
상기 벽체(2)에 설치되며, 상기 녹화조성구조물(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케이스(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록 형태로 모듈화되어 상기 벽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생층(10)의 표면에는, 상기 식물(6)의 식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식생위치홈(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층(10)은 유기용토, 부직포, 녹화마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수층(20)은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된 부직포층(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층(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재(32)는 현무암, 석회암, 하천옥석, 안산암, 쇄석, 자갈, 인공화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상의 슬래브(4) 위에 도포작업 또는 방수 및 방근시트에 의해 형성된 방수 및 방근층(40); 상기 방수 및 방근층(40) 위에 배수판(62)을 설치하여 형성되며, 배수관(4A)과 연결된 배수층(60); 상기 배수층(60) 위에 보수성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 상기 보수층(20) 위에 형성되며, 녹화 조성을 위해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된 식생층(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상의 슬래브(4) 위에 모듈구조로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식물(6)이 식생될 수 있는 복수개의 식생모듈(1A)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식생모듈(1A)은 식생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식생공간에 배수판(62)을 설치하여 형성되는 배수층(60)과, 상기 배수층(60) 위에 보수성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과, 식물(6)이 식생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상기 보수층(20) 위에 형성된 식생층(1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50)가 방수 및 방근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케이스(50)의 식생공간이 도포작업 또는 방수 및 방근시트에 의해 방수 및 방근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을 제시한다.
상기 각 식생모듈의 케이스의 측면에는 각 식생모듈의 배수층(60)이 이웃한 식생모듈의 배수층(60) 또는 옥상에 연결된 배수관(4A)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홀(50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화코르크에 의해 식생층을 형성하고 식생층의 배면에 보수층을 구성함으로써, 벽체 및 옥상녹화조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녹화조성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 예의 모식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식생층의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 예의 모식도.
도 5는 제3실시 예의 단면도.
도 6은 제4실시 예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제5실시 예의 모식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상녹화조성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9는 제1실시 예의 단면도.
도 10은 제2실시 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벽체(2)에 녹화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으로서, 벽체(2)의 벽면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벽체(2) 반대쪽 표면을 통해 식물(6)이 식생되는 식생층(10)과, 식생층(10)과 벽체(2) 사이에 형성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탄화코르크는 코르크용 나무를 숯처럼 탄화하여 얻은 재목의 수지로서, 일정 형상으로 성형 가능하면서 공극과 밀도 특성 등에 의해 식생토처럼 충분히 식물(6)이 뿌리를 내리고 식생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층(10)이 탄화코르크에 의해 수분 조절 기능을 갖지만 수분을 함유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보수층(20)이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첫째, 식물(6)이 벽체(2)의 벽면을 향해 뿌리를 내릴 수 있어서 벽체(2)의 벽면을 따라 녹화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담쟁이 식물(6)처럼 벽체(2)를 타고 오르는 덩굴류 식물(6)뿐만 아니라 화초나 양초, 이끼, 관목 등 다양한 종류의 식물(6)로 벽체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둘째, 탄화코르크는 패널 등의 형상으로 고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식생층(10)을 벽체(2)처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2)에 녹화를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이하고, 사각형은 물론 원형, 별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식생토는 녹화 조성작업시는 물론 조성 후 풍압이나 수압, 중력 등에 날려서 주변을 더럽힐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층(10)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풍압이나 수압, 중력 등에 의한 변형, 파손에 대하여 강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은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 등에서 미리 모듈(module)구조로 제조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벽체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운반 및 녹화조성작업이 용이하며, 모듈 배치에 따라 여러가지 크기 및 형태로 조형될 수 있다,
셋째, 탄화코르크는 식생토와 비교하여 매우 가벼운 소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은 벽체(2)에 하중 부담없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분을 흡수하여도 하중으로 인한 처짐이나 낙하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넷째, 탄화코르크의 공극과 밀도 특성이 벽체녹화에 바람직하다.
즉,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식생층(10)의 전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6)에 의해 벽체녹화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적정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충격흡수에 강하다.
또한 방습 단열 보온에 뛰어나며, 친환경제품으로서 천연성, 내오염성, 탈취성, 흡음성, 항균성, 항곰팡이성, 부패하지 않는 성질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탄화코르크는 숯과 같이 탄화되어 얻어지는 것으로서, 정화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다섯째, 탄화코르크는 천연소재로서 소각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
여섯째, 보수층(20)에 의해 수분이 벽체(2)로 흘러들어갈 염려가 없으므로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로나 물받침, 방수재 등이 없어도 방수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벽체(2)에 녹화를 조성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보수층(20)의 우수한 보수성에 의해, 보수층(20)에서 보유하고 잇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식생층(10)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물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일곱째, 보수층(20)에 의해 수분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보수층(20)의 전 높이에 걸쳐 수분을 고르게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벽체(2)의 높이에 상관없이 벽체(2)의 벽면을 따라 녹화를 조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식생층(10)은 탄화코르크의 공극과 밀도 특성으로 인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는데, 그 자체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표면이 매끄하도록 후처리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식생층(10)의 표면에는 식물(6)의 식생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식생위치홈(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식물(6)이 식생층(10)에 뿌리를 내릴려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한데, 미리 식생위치홈(10A)을 확보함으로써 식물(6)이 식생층(10)에 저항받지 않고 용이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식물(6)의 식생위치배치에 따라 식생의 조성 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다.
보수성 부재는 보수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나, 특히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부직포층(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직포는 보수성, 보습성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매우 가벼워서 특히 벽체녹화 조성의 경우 무게 부담을 현격히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단열성도 우수하다. 또한 부직포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부직포는 평활도, 평면도 등에 상관없이 어떠한 면에도 잘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식생층(10)의 배면을 반드시 평면으로 후처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시스템은, 식생층(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탄화코르크는 고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서 돌처럼 견고한 소재는 아닌데, 석재(32)들에 의해 식생층(10)이 보호,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식생층(10)이 천연소재인 탄화코르크에 의해 형성되지만 인위적으로 형상이 만들어진 것인데, 석재(32)들에 의해 식생층(10)이 복개되고 자연 그대로의 소재인 석재(32)가 표면으로 노출됨으로써 보다 자연친화적인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석재(32)에 의해 식생층(10)의 수분 증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석재(32)에 의해 미적 감각이 보다 고취될 수 있다.
석재(32)는 무엇이든 될 수 있으며, 특히 식생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표면층(30)에 충분한 다공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현무암, 석회암, 하천옥석, 안산암, 쇄석, 자갈, 인공화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시스템은, 보수층(20)과 벽체(2) 사이에 도포작업 또는 방수 및 방근시트에 의해 수분이 식물(6)의 뿌리가 뚫고 나가지 않도록 방수 및 방근층(40)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 및 방근층(40)은 PVC나 비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벽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하지 않았지만 벽체(2)의 벽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벽체(2) 자체를 이룰 수도 있다.
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에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이 벽체(2)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홈(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벽체(2)가 케이스 역할을 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은 케이스없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은 케이스가 없는 경우, 방수 및 방근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녹화조성구조물(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체없이 벽체(2)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체에 의해 벽체(2)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도 5의 경우, 지지구조체로서 벽체(2)의 홈(2A)에 삽입되어 벽체(2)에 체결부재(102)에 의해 설치되며, 보수층(20)이 접합되는 지지판(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층(20)은 콘크리트 구조물인 벽체(2)보다는 지지판(100)에 보다 잘 접합될 수 있으며, 도 2의 경우 녹화조성구조물(1)이 접착제에 의해 벽체(2)에 설치되는데 반해 도 5의 경우 체결부재(102)에 의해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녹화조성구조물(1)이 벽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100)은 체결부재(102)에 의해 벽체(2)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면 어떠한 소재이든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목재나 아크릴과 같은 포맥스가 될 수 있다. 아크릴과 같은 포맥스는 방수소재인 바, 지지판(100)으로서 보다 바람직하다할 수 있다. 지지판(100)은 자체가 포맥스와 같이 방수소재로 형성되거나, 방수코팅될 수 있다. 또한 벽체(2)의 홈(2A)에 도포작업 또는 방수 및 방근시트에 의한 방수 및 방근층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02)는 지지판(100)을 벽체(2)에 설치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벽체(2)가 콘크리트 구조물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못이나 앵커 등이 될 수 있다. 보수층(20)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지지판(100)에 접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보수층(20)의 소재가 부직포와 같은 경우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은, 벽체(2)에 설치되며 녹화조성구조물(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케이스(50)를 더 포함함으로써, 벽체(2)의 표면에 액자처럼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는 링형 틀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녹지조성공간을 갖는 액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자형의 경우, 케이스는 자체가 방수 및 방근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방수 및 방근층(40)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은 포장작업과 유사하게 현장시스템화작업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벽체(2)에 먼저 보수층(20) 형성을 위한 부직포를 깔아서 보수층(20)을 형성하며, 보수층(20) 위에 식생층(10)을 형성하는 부재를 설치하여 식생층(10)을 형성하고, 식생층(10) 위에 석재(32)들을 부착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화조성구조물(1)은 공장 등에서 모듈구조로 제조되어, 벽돌쌓기처럼 복수개의 모듈(1A)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모듈화된 녹화조성구조물(1)은 케이스(50)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녹화조성시 식생은 씨앗형태로 심어질 수도 있고, 어린 식물(6) 등이 옮겨져 심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벽체(2)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외벽일 뿐만 아니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나 책장 등 가구의 벽면, 방음벽, 기둥 등 모든 벽체(2)가 해당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옥상에 녹화를 조성하기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으로서, 옥상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은 벽체(2) 대신 옥상에 녹화를 조성한다는 점 이외는 전술한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과 동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옥상은 실외로서 강수 등이 고일 수 있는 바, 방수 및 방근층(40)과 보수층(20) 사이에, 배수판(62)을 설치하여 형성되며 배수관(4A)과 연결된 배수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옥상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은, 단열층을 비롯하여 옥상녹화 공법에서 많이 알려져 있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옥상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시스템화작업에 의해 설치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화되어 조립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식생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케이스가 방수 및 방근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방수 및 방근층(40)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경우, 각 식생모듈의 케이스의 측면에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각 식생모듈의 배수층(60)이 이웃한 식생모듈의 배수층(60) 또는 옥상에 연결된 배수관(4A)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배수홀(5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옥상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조성구조물(1)은, 반드시 옥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붕, 기둥, 방음벽, 펜스, 건축물의 내외벽, 베란다 등 건축물의 바닥에 녹화를 조성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잇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녹화조성구조물 2; 벽체
4; 슬래브 6; 식물
10; 식생층 20; 보수층
22; 부직포층 30; 표면층
32; 석재 40; 방수 및 방근층
50; 케이스 60; 배수층

Claims (15)

  1. 벽체(2)의 벽면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벽체(2) 반대쪽 표면을 통해 식물(6)이 식생되는 식생층(10) 및, 상기 식생층(10)과 상기 벽체(2) 사이에 형성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2)에는 녹화조성구조물(1)이 상기 벽체(2)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홈(2A)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2)의 홈(2A)에 삽입되어 상기 벽체(2)에 체결부재(10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보수층(20)이 접합되는 지지판(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100)이 방수 및 방근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벽체(2)의 벽면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벽체(2) 반대쪽 표면을 통해 식물(6)이 식생되는 식생층(10) 및,
    상기 식생층(10)과 상기 벽체(2) 사이에 형성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
    상기 벽체(2)에 설치되어 녹화조성구조물(1)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식생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50)는 방수 및 방근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블록 형태로 모듈화되어 상기 벽체(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10)의 표면에는, 상기 식물(6)의 식생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식생위치홈(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10)은 유기용토, 부직포, 녹화마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수층(20)은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된 부직포층(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석재(32)는 현무암, 석회암, 하천옥석, 안산암, 쇄석, 자갈, 인공화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조성구조물(1).
KR1020100005917A 2010-01-22 2010-01-22 녹화조성구조물 KR10123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17A KR101238336B1 (ko) 2010-01-22 2010-01-22 녹화조성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17A KR101238336B1 (ko) 2010-01-22 2010-01-22 녹화조성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75A KR20110086275A (ko) 2011-07-28
KR101238336B1 true KR101238336B1 (ko) 2013-03-04

Family

ID=4492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17A KR101238336B1 (ko) 2010-01-22 2010-01-22 녹화조성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139B1 (ko) 2018-08-21 2019-02-12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방염 처리된 식생 보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227B1 (ko) * 2011-09-22 2012-03-16 영농조합법인 지?랜드 코이어블록을 이용한 방음벽의 녹화시공구조
KR101414933B1 (ko) * 2012-03-06 2014-07-04 김정권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26B1 (ko) 2000-05-01 2002-09-05 임철수 코르크를 이용한 인공 식물섬
JP2002315436A (ja) 2001-04-23 2002-10-29 Dokoo:Kk ユニット式壁面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工法
JP2008029322A (ja) * 2006-06-29 2008-02-14 Takenaka Komuten Co Ltd 植栽パネル、壁面緑化構造及び壁面緑化工法
KR100934787B1 (ko) * 2009-05-22 2009-12-31 김준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26B1 (ko) 2000-05-01 2002-09-05 임철수 코르크를 이용한 인공 식물섬
JP2002315436A (ja) 2001-04-23 2002-10-29 Dokoo:Kk ユニット式壁面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工法
JP2008029322A (ja) * 2006-06-29 2008-02-14 Takenaka Komuten Co Ltd 植栽パネル、壁面緑化構造及び壁面緑化工法
KR100934787B1 (ko) * 2009-05-22 2009-12-31 김준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139B1 (ko) 2018-08-21 2019-02-12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방염 처리된 식생 보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75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6066A1 (en) Modular Green Roof System
CN103982009A (zh) 一种屋顶绿化结构及施工方法
CN205171643U (zh) 地库顶板排水系统
KR100553005B1 (ko) 옥상녹화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CA2778795A1 (en) Construction element covered with vegetation for horizontal, pitched and/or vertical surfaces of structures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20110062730A (ko) 고단열 성능을 갖는 저관리-경량형 옥상 녹화시스템 및 시공 방법
CN104770237A (zh) 立体垂直绿化种植系统及其应用方法
KR101218111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JP2008125450A (ja) コケ緑化用コンクリート体及びコンクリート体のコケ緑化構造
JP5354504B2 (ja) 木質壁面緑化パネル
KR20100116283A (ko) 건물의 옥상녹화시스템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JP6719792B1 (ja) 農業用ハウス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4298146A (ja) 植栽装置とドレインパン。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JP3151572B2 (ja) 建築構造物の緑化用床構造
JP2011193802A5 (ko)
KR101468700B1 (ko) 건축물의 벽면 장식용 다공성 에코 패널
Bica et al. What characteristics define ecological building materials
CN216358089U (zh) 一种垂直绿墙结构
KR20140042590A (ko) 생육기반이 포함된 성형재 및 이를 이용한 자립구조체형 인공지반녹화시스템
JP2008048645A (ja) コケ緑化用コンクリート体及びコンクリート体のコケ緑化構造
JP2012241411A (ja) 屋根緑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