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111B1 -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111B1
KR101218111B1 KR1020100005918A KR20100005918A KR101218111B1 KR 101218111 B1 KR101218111 B1 KR 101218111B1 KR 1020100005918 A KR1020100005918 A KR 1020100005918A KR 20100005918 A KR20100005918 A KR 20100005918A KR 101218111 B1 KR101218111 B1 KR 10121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layer
block
vegetation block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276A (ko
Inventor
마승희
Original Assignee
마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승희 filed Critical 마승희
Priority to KR102010000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1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Abstract

본 발명은 화초나 이끼, 관목 등의 식물을 식생하기 위한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식물의 정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정착위치홈이 형성되고,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되 적층시에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부(12)가 형성된 식생층(10); 상기 식생층(10)의 하면에 적층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인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부직포층(22)을 포함하는 보수층(20); 상기 식생층(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1)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GREENING BLOCK AND STRUCTU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초나 이끼, 관목 등의 식물을 식생하기 위한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실내,외에 화분을 놓거나,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에 녹지를 조성하고 잇다.
그런데, 실내에 화분을 놓게 될 경우, 화분에 물을 줄 때 배수를 위해 물받침이 필요한데, 물을 과다하게 주면 물받침의 물이 넘쳐 주변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에 화분을 놓게 될 경우, 화분이 넘어지거나 떨어지면서 깨지고 식생토가 흘러나와 주변을 더립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에 화분을 놓게 될 경우, 물 관리 소홀로 인해 식생을 죽일 확률이 높다.
또한 실내에 화분을 놓게 될 경우, 화분이 넘어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한정되어 화분을 놓아야 하며, 화분이 공간을 차지하여 실내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식물의 정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정착위치홈이 형성되고,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되 적층시에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부(12)가 형성된 식생층(10); 상기 식생층(10)의 하면에 적층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인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부직포층(22)을 포함하는 보수층(20); 상기 식생층(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1)을 제시한다.
삭제
상기 식생층(10)은 유기용토, 부직포, 녹화마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석재(32)는 현무암, 석회암, 하천옥석, 안산암, 쇄석, 자갈, 인공화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식생층(10)은 분리 가능토록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며, 맨 아래층은 상기 보수층(2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식생층(10)은 분리 가능토록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며, 맨 윗층은 상기 표면층(3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웃한 식생블록(1)과 탈부착 가능토록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식생블록(1)을 화분(100), 액자(110), 필통(120), 책꽂이(130), 쓰레기통 등의 용기(140), 파티션(150) 등의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화코르크에 의해 식생층을 형성하고 식생층의 배면에 보수층을 구성함으로써, 화분은 물론, 필통, 액자, 책꽂이, 쓰레기통, 파티션 등의 문구류, 사무용품, 사무가구 구조물에 용이하게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제1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생층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 예의 단면도.
도 4는 제2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제3실시 예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이 적용된 구조물의 모식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block)(1)은 식물이 뿌리를 내리는 식생층(10)이 탄화코르크(carbonized cork)를 재료로 하여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식생층(10)의 배면에 보수성(保水性) 부재로 형성된 보수층(20)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탄화코르크는 코르크용 나무를 숯처럼 탄화하여 얻은 재목의 수지로서, 일정 형상으로 성형 가능하면서 공극과 밀도 특성 등에 의해 식생토처럼 충분히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식생할 수 있다.
그리고, 식생층(10)이 탄화코르크에 의해 수분 조절 기능을 갖지만 수분을 함유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보수층(20)이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첫째, 탄화코르크는 식생토와 달리 패널 등의 형상으로 고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식생블록(1)을 고형체로 모듈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 위에 설치하는 것은 물론 벽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식생블록(1)을 고형체로 모듈화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100)은 물론, 액자(110), 필통(120), 책꽂이(130), 쓰레기통, 파티션(150) 등 여러가지 구조물에 용이하게 조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식생블록(1)을 고형체로 모듈화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 배치에 따라 여러가지 크기 및 형상으로 조형될 수 있어서 디자인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또한 식생토는 주변을 더립힐 수 있고 식생토를 이용한 식생은 넘어지거나 떨어지면 식생이 훼손될 수 있고 식생토를 다시 주워담기 불편한데, 식생블록(1)은 고형체이고 탄화코르크에 의해 적정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이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탄화코르크는 식생토와 비교하여 매우 가벼운 소재이기 때문에, 식생블록(1)의 무게 부담이 없으며, 이에 따라 어디든 설치 가능하고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탄화코르크는 친환경제품으로서 천연성, 내오염성, 탈취성, 흡음성, 항균성, 항곰팡이성, 부패하지 않는 성질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탄화코르크는 숯과 같이 탄화되어 얻어지는 것으로서, 정화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또한 탄화코르크는 천연소재로서 소각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식생층(10) 및 보수층(20)에 의해 수분 조절이 가능하여, 물 관리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보수층(20)에서 수분이 충분히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로나 물받침, 방수재 등이 없어도 되며, 이에 따라 액자(110), 필통(120), 책꽂이(130), 쓰레기통, 파티션(150) 등 여러가지 구조물에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1)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식생층(10)은 탄화코르크만으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탄화코르크를 주재료로 하며 식생층(10)의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소재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식생층(10)은 식생을 위한 유기물질을 공급하며 보습성을 높이기 위해, 유기용토, 부직포, 녹화마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기용토, 부직포, 녹화마대는 탄화코르크와 혼합되어 식생층(10)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성형된 식생층(10)에 살포되어 고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식생층(10)은 탄화코르크의 공극과 밀도 특성으로 인해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는데, 그 자체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그 표면이 매끄하도록 후처리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식생층(10)의 표면에는 식물의 식생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식생위치홈(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식물이 식생층(10)에 뿌리를 내릴려면 충분한 공간이 필요한데, 미리 식생위치홈(10A)을 확보함으로써 식물이 식생층(10)에 저항받지 않고 용이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으며, 식물의 식생위치배치에 따라 식생의 조성 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다.
식생층(10)은 도 1 및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크기 및 형상의 조형을 위해 복수 층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와 같은 경우, 식생층(10)의 각 층은 여러가지 크기 및 형상으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호 분리 가능토록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요한 경우 식생층(10)의 각 층의 보다 견고한 조립을 위해 식생층(10)에는 끼움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와 같은 경우, 모듈화를 위해, 식생층(10)의 맨 아래층은 보수층(20)과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식생층(10)의 맨 윗층은 표면층(30)과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보수성 부재는 보수성이 우수한 소재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나, 특히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부직포층(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직포는 보수성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매우 가벼워서 특히 벽체녹화 조성의 경우 무게 부담을 현격히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단열성도 우수하다. 또한 부직포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성형이 용이하다. 또한 부직포는 평활도, 평면도 등에 상관없이 어떠한 면에도 잘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식생층(10)의 하면을 반드시 평면으로 후처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녹화조성을 위한 녹화시스템은, 식생층(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탄화코르크는 고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서 돌처럼 견고한 소재는 아닌데, 석재(32)들에 의해 식생층(10)이 보호,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식생층(10)이 천연소재인 탄화코르크에 의해 형성되지만 인위적으로 형상이 만들어진 것인데, 석재(32)들에 의해 식생층(10)이 복개되고 자연 그대로의 소재인 석재(32)가 표면으로 노출됨으로써 보다 자연친화적인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석재(32)에 의해 식생층(10)의 수분 증발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석재(32)에 의해 미적 감각이 보다 고취될 수 있다.
석재(32)는 무엇이든 될 수 있으며, 특히 식생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표면층(30)에 충분한 다공이 확보될 수 있도록, 현무암, 석회암, 하천옥석, 안산암, 쇄석, 자갈, 인공화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식생블록(1)은 도포작업 또는 방수 및 방근시트에 의한 방수 및 방근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식생블록(1)은 하나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가 조합되어 여러가지 크기 및 형상으로 조형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경우, 복수개의 식생블록(1)의 견고한 조합을 위해, 식생블록(1)에는 이웃한 식생블록(1)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끼움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생블록(1)은 여러가지 구조물에 조합될 수 있다.
첫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식생블록(1)을 이용하여 화분(100)을 만들 수 있다.
이때, 화분(100)의 외형을 이루는 외형부재(10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분(100)처럼 팟(pot)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팟 형태의 외형부재(102)는 복수개가 요철구조의 끼움 결합, 자석 결합 등에 의해 상호 조립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둘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을 액자(110)에 조합할 수 있다.
즉, 액자(110)는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식생부(1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파티션(150)의 실시 예와 같이 식생블록(1)을 설치하기 위해 액자(110)의 벽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액자(110)의 테두리를 따라 식생블록(1)을 설치할 수도 있다.
셋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을 필통(120)에 조합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필통(120)의 필기구 삽입부(122) 옆에 식생블록(1)이 삽입되는 식생부(1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쓰레기통과 같이 필통(120)의 필기구 삽입부(122)의 상측에 링형으로 식생부가 형성되는 등 여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넷째,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을 책꽂이(130)에 조합할 수 있다.
이때,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13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꽂이(130)의 칸(132) 안에 위치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132) 외측에 위치될 수도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꽂이(130)의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식생부는 책꽂이(130)에 고정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탈부착 가능토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섯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을 용기(140)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용기(140)는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142) 및, 본체부(142)의 상부 또는 상측에 본체부(142)의 공간에 쓰레기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링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140)는 용기(140)의 개방된 상면이 식물에 의해 복개될 수 있는 바, 쓰레기통 등과 같이 이미지에 좋지 않은 용기(140)를 미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익하다.
여섯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블록(1)을 파티션(150)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식생블록(1)을 파티션(150)의 벽면 또는 상측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1)은 방수가 문제되지 않는 바,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식생블록 10; 식생층
20; 보수층 22; 부직포층
30; 표면층 32; 석재

Claims (17)

  1. 식물이 식생될 수 있도록 탄화코르크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며,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식물의 정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정착위치홈이 형성되고,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되 적층시에 상호 접촉되는 접촉면에 탈부착 가능토록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부(12)가 형성된 식생층(10);
    상기 식생층(10)의 하면에 적층되며, 보수성(保水性) 부재인 부직포를 재료로 하여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부직포층(22)을 포함하는 보수층(20);
    상기 식생층(10)의 상면에 부착되며 석재(32)들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표면층(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1).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10)은 유기용토, 부직포, 녹화마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블록(1).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석재(32)는 현무암, 석회암, 하천옥석, 안산암, 쇄석, 자갈, 인공화산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1).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10)은 분리 가능토록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며, 맨 아래층은 상기 보수층(20)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1).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층(10)은 분리 가능토록 적층된 복수층으로 형성되며, 맨 윗층은 상기 표면층(30)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1).
  9. 삭제
  10. 청구항 1,3,6,7,8 중 어느 한 항의 식생블록(1)의 크기나 개수에 대응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상호 탈부착 가능한 복수개의 외형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100).
  11. 청구항 1,3,6,7,8 중 어느 한 항의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110).
  12. 청구항 1,3,6,7,8 중 어느 한 항의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120).
  13. 청구항 1,3,6,7,8 중 어느 한 항의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꽂이(130).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는 탈부착 가능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꽂이(130).
  15. 상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142) 및,
    상기 본체부(142)의 상부 또는 상측에 링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청구항 1,3,6,7,8 중 어느 한 항의 식생블록(1)이 정착되는 식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140).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42)는 쓰레기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140).
  17. 청구항 1,3,6,7,8 중 어느 한 항의 식생블록(1)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150).
KR1020100005918A 2010-01-22 2010-01-22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21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18A KR101218111B1 (ko) 2010-01-22 2010-01-22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18A KR101218111B1 (ko) 2010-01-22 2010-01-22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76A KR20110086276A (ko) 2011-07-28
KR101218111B1 true KR101218111B1 (ko) 2013-01-03

Family

ID=4492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18A KR101218111B1 (ko) 2010-01-22 2010-01-22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1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67A (ko) * 2014-07-31 2016-0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KR101947139B1 (ko) 2018-08-21 2019-02-12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방염 처리된 식생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69934B1 (ko) * 2020-05-29 2020-10-26 최은희 탄화 코르크를 이용한 인삼 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532B1 (ko) * 2020-02-03 2021-10-13 허영호 잔디생존홈 패드를 사용한 천연잔디 재배방법
KR102245372B1 (ko) * 2020-08-19 2021-04-28 김광현 탄화코르크 알갱이 및 탄화코르크 보드를 활용한 수경 재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037A (ja) * 2002-05-09 2003-11-18 Kuwaharagumi 植生培地構造及び緑化用マット
KR100457781B1 (ko) * 2001-08-29 2004-11-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KR100934787B1 (ko) * 2009-05-22 2009-12-31 김준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81B1 (ko) * 2001-08-29 2004-11-1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JP2003325037A (ja) * 2002-05-09 2003-11-18 Kuwaharagumi 植生培地構造及び緑化用マット
KR100934787B1 (ko) * 2009-05-22 2009-12-31 김준선 식생보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연녹화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667A (ko) * 2014-07-31 2016-02-1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KR101701001B1 (ko) 2014-07-31 2017-01-3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친환경 식생블록
KR101947139B1 (ko) 2018-08-21 2019-02-12 주식회사 코르크월드 방염 처리된 식생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169934B1 (ko) * 2020-05-29 2020-10-26 최은희 탄화 코르크를 이용한 인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76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616B1 (en) Modular field planting system
KR101983016B1 (ko) 미세먼지 저감과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백 벽면녹화 시스템
KR101218111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N103982009A (zh) 一种屋顶绿化结构及施工方法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KR101508736B1 (ko) 식생고정 프레임과 섬유질토양매트를 이용한 식생판 및 이를 이용한 입체녹화 구조물
KR200455094Y1 (ko) 초박형 식생유니트
JP2008048676A (ja) 屋根の緑化システム
US107722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100510256B1 (ko)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6081535A (ja) 植物栽培用容器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JP3751214B2 (ja) 緑化容器
Bures A view beyond traditional growing media uses
Dmitriy et al. Modern technologies of ornamental plants cultivation in vertical structures
KR200464609Y1 (ko) 수경식재형 플랜터
KR101006427B1 (ko) 조경물
JP2004089210A (ja) 植物栽培装置
CN202890033U (zh) 植栽容器及具植栽容器的花墙装置
JP4279010B2 (ja) 植栽ユニット
KR101187405B1 (ko)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JP2001299094A (ja) 植物栽培用構造体
JP2017079632A (ja) 植物栽培発泡断熱材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