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09Y1 - 수경식재형 플랜터 - Google Patents

수경식재형 플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09Y1
KR200464609Y1 KR2020090016910U KR20090016910U KR200464609Y1 KR 200464609 Y1 KR200464609 Y1 KR 200464609Y1 KR 2020090016910 U KR2020090016910 U KR 2020090016910U KR 20090016910 U KR20090016910 U KR 20090016910U KR 200464609 Y1 KR200464609 Y1 KR 200464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ydroponic
moisturizing
plant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729U (ko
Inventor
우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과미래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과미래, 주식회사 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과미래
Priority to KR202009001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0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경식재형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방수수조와, 상기 방수수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방수수조의 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상부층으로 갈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보습성 수경 식재토와,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에 식재되는 다수의 식재식물 및 상기 방수수조에 급수된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를 포함하여, 보습효과에 따른 저장수 순환에 의해 수질이 활성화되고 용존 산소량이 증대되며, 1회의 저장수 공급으로 장시간의 관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한다.
플랜터, 수경재배, 방수수조, 보습성 수경 식재토, 방한재, 수위계, 급수관

Description

수경식재형 플랜터{HYDROPONICS PLANTER}
본 고안은 수경식재형 플랜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재토의 보습 및 삼투현상 효과에 의해 저장수를 순환시킴으로써 표토층까지 수분을 공급하여 수질을 활성화할 수 있는 수경식재형 플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랜터(planter)는 수분, 습도유지, 장식미의 부여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랜터는 저장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부폐하기 쉽고, 토양층이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물의 식재를 위해 일반적인 흙을 사용함으로써 무겁고, 각종 벌레와 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토양을 자주 갈아주고, 물을 수시로 공급하는 한편, 벌레와 이물질 등을 수시로 제거해야 하는 등 관리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저장수의 순환에 의해 수질이 활성화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내 뿐 아니라 실외의 대형 정원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재토 전체가 건조될 때까지 저장수를 공급할 필요가 없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공간 연출이 가능한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은, 상부가 개방된 방수수조와; 상기 방수수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방수수조의 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상부층으로 갈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보습성 수경 식재토와;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에 식재되는 다수의 식재식물; 및 상기 방수수조에 급수된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한다.
청구항 2는, 상기 수위계는,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에 삽입되는 급수겸용 수위관과; 상기 급수겸용 수위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흡입공; 및 상기 급수겸용 수위관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 를 제공한다.
청구항 3은,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는, 상기 방수수조와 상기 목재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방한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한다.
청구항 4는, 상기 목재 프레임은 하부에 바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습 효과가 뛰어난 기능성 식재토를 사용하여 증발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저장수의 자연 순환으로 수질이 활성화되고, 용존 산소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 번에 많은 양의 저장수를 공급함으로써 장시간 수분 유지가 가능하여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위계의 설치로 수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흙을 사용하지 않아 냄새, 벌레 및 기타 이물질의 발생이 방지됨으로써 청결한 관리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 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100)는, 방수수조(30)와, 목재 프레임(10)과, 보습성 수경 식재토(70)와, 식재식물(80) 및 수위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수수조(3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구조를 가지며, 급수된 저장수의 누수를 방지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목재 프레임(10)은 상기 방수수조(3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방수수조(30)를 지지하고, 미적 효과를 나타내는 외장재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를 야외에 설치할 경우에는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방수수조(30)와 상기 목재 프레임(10) 사이에 방한재(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한재(20)로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볍고, 저렴하며, 방한 효과가 우수한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야외 설치시 예상치 못한 외부수, 우수 등을 대비할 수 있도록 최고 수위선(M) 상에는 배수구(도면 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는 상기 방수수조(30)의 내측에 다단으로 적층 된다. 이 경우,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의 입자는 저장수의 보습효과에 따른 원활한 순환을 위해 상부층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재식물(80)은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에 다수 식재되어 정원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식재식물(80)을 상기 식재토(70)에 식재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수위계(50)는 상기 방수수조(30)에 급수된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의 수위계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수위계(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에 삽입되는 급수겸용 수위관(51)과, 상기 급수겸용 수위관(51)의 하부에 형성되는 흡입공(52) 및 상기 급수겸용 수위관(5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 파이프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목재 프레임(10), 상기 방한재(20) 및 상기 방수수조(3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수위계 삽입공(11)(21)(31)을 통해 삽입되는 “ㄴ”자 형상의 수위계 파이프(54)와, 상기 수위계 파이프(54)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걸름망(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판 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목재 프레임(10), 상기 방한재(20) 및 상기 방수수조(3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수위계 설치공(12)(22)(32)에 장착되 는 이격 쫄대(57)와, 투명 눈금판(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상기 수위계(50)의 설치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급수겸용 수위관(51), 상기 수위계 파이프(54) 및 상기 투명 눈금판(56)으로 유입된 물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방수수조(30)에 남아있는 저장수의 양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40은 상기 목재 프레임(10), 상기 방한재(20) 및 상기 방수수조(30)의 설치 후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에 상기 식재식물(80)을 식재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본 고안의 변형예와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에 식재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에 정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식물(80)이 심어져 있는 식재화분(81)을 준비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식재화분(81)에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선(l1)(l2)을 표시한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선(l1)(l2)을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의 피복(81a, 81b)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수조(30)의 한 쪽 모서리에 상기 수위계(50)를 설치한 후 제1 보습성 수경 식재토(71)를 적층한다. 이후, 상기 제1 보습성 수경 식재토(71) 위에 상기 식재화분(81)을 세워 놓는다.
계속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보습성 수경 식재토(71) 위에 제2 보습성 수경 식재토(72)를 적층하여 상기 식재화분(81)의 상기 절단선(l1) 부근까지 매립한다.
마지막으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보습성 수경 식재토(72) 위에 복토용의 제3 보습성 수경 식재토(73)를 적층하여 마감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방수수조(30)에 최고 수위선(M)까지 물을 공급하면 수경 정원이 완성된다. 상기 최고 수위선(M)은 상기 제1 보습성 수경 식재토(71)와 상기 제2 보습성 수경 식재토(72)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및 제3 보습성 수경 식재토(71)(72)(73)로는 보습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제품을 사용하며, 입자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층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가 3개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의 적층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3개 층 이상으로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는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즉, 공간이 비교적 협소한 실내에서는 관상용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원, 자연 녹지, 공원과 같이 공간이 넓은 실외에서는 생태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를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목재 프레임(10)의 하부 모서리에 바퀴(60)가 적절한 수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의 설치 장소가 변경되더라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운반에 소요되는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인테리어의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의 형태로 장방형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100)를 다각 기둥 형태의 모듈식 또는 퍼즐식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설치 및 용도에 따른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여 미적 효과를 한 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외부로부터 상기 최고 수위선(M)까지 공급된 저장수는 입자 크기가 상이한 상기 제1, 제2, 제3 보습성 수경 식재토(71)(72)(73)의 공극층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해 최하층으로부터 표토층까지 순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질이 활성화되고, 용존 산소량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보습성 수경 식재토의 자체적인 보습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따라서 1회의 저장수 공급으로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70) 전체가 건조되기 전까지 추가적인 저장수의 공급이 불필요하므로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및 실외에 다양한 형태로 연출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매우 높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저장수의 순환, 활성화 및 보습을 통한 수경재배 원리를 적용한 친환경적이고 관리 및 활용이 용이한 플랜터라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의 수위계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경식재형 플랜터에 식재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재 프레임 11 : 수위계 삽입공
12 : 수위계 설치공 20 : 방한재
21 : 수위계 삽입공 22 : 수위계 설치공
30 : 방수수조 31 : 수위계 삽입공
32 : 수위계 설치공 40 : 고정 프레임
50 : 수위계 51 : 급수겸용 수위관
52 : 흡입공 53 : 덮개
54 : 수위계 파이프 55 : 걸름망
56 : 투명 눈금판 57 : 이격 쫄대
60 : 바퀴 70 : 보습성 수경 식재토
71 : 제1 보습성 수경 식재토 72 : 제2 보습성 수경 식재토
73 : 제3 보습성 수경 식재토 80 : 식재식물
81 : 식재화분 81a, 81b : 절단된 피복
100 : 수경식재형 플랜터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최고 수위선 상에 배수구가 형성되는 방수수조와;
    상기 방수수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목재 프레임과;
    상기 방수수조의 내측에 다단으로 적층되며, 상부층으로 갈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보습성 수경 식재토와;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에 식재되는 다수의 식재식물; 및
    상기 방수수조에 급수된 저장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
    를 포함하여,
    상기 보습성 수경 식재토의 공극층을 통한 삼투압 작용에 의해 상기 저장수가 최하층으로부터 표토층까지 자연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식재형 플랜터는,
    상기 방수수조와 상기 목재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방한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식재형 플랜터.
  4. 삭제
KR2020090016910U 2009-12-28 2009-12-28 수경식재형 플랜터 KR200464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10U KR200464609Y1 (ko) 2009-12-28 2009-12-28 수경식재형 플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10U KR200464609Y1 (ko) 2009-12-28 2009-12-28 수경식재형 플랜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29U KR20100000729U (ko) 2010-01-22
KR200464609Y1 true KR200464609Y1 (ko) 2013-01-10

Family

ID=4419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910U KR200464609Y1 (ko) 2009-12-28 2009-12-28 수경식재형 플랜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59B1 (ko)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19B1 (ko) * 2020-12-08 2021-06-09 여형구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480A (ja) 1998-09-11 2000-03-28 Tadashi Miyamoto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JP2004089209A (ja) 2003-12-26 2004-03-25 Kawada Construction Co Ltd 緑化装置
KR20060060421A (ko) * 2004-11-30 2006-06-05 정준호 수위계를 구비한 수조화분
KR20090052782A (ko) * 2008-02-21 2009-05-26 우성필 이동식 자연생태 수경공원의 시공법과 그 이동식 수경공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480A (ja) 1998-09-11 2000-03-28 Tadashi Miyamoto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JP2004089209A (ja) 2003-12-26 2004-03-25 Kawada Construction Co Ltd 緑化装置
KR20060060421A (ko) * 2004-11-30 2006-06-05 정준호 수위계를 구비한 수조화분
KR20090052782A (ko) * 2008-02-21 2009-05-26 우성필 이동식 자연생태 수경공원의 시공법과 그 이동식 수경공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059B1 (ko) 2018-12-27 2019-10-21 씨에스이(주) 도로 미세먼지 및 지면온도 저감 기능을 갖는 스마트 플랜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29U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60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стенного цвет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CA1265928A (en) Indoor multiple-purpose hydroponic cultivation planter
US20110296751A1 (en) Self contained system for growing perennial flowers in a rock-like or other ornamental planter
US20150334926A1 (en) Plantation installation
KR200464609Y1 (ko) 수경식재형 플랜터
KR101070331B1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JP2006081535A (ja) 植物栽培用容器
KR101031234B1 (ko) 화분장치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CN104956940A (zh) 一种绿化设施及多层建筑
KR20190001552U (ko) 상록활엽수의 접목묘 생산 수단
KR20100047790A (ko) 실내용자연생태시스템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416039Y1 (ko)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1006427B1 (ko) 조경물
KR102253876B1 (ko) 패널형 화분 및 이를 구비한 벽면녹화구조물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KR101893025B1 (ko) 저관리형 벽면 녹화 시스템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JP5466535B2 (ja) フローラルフォームを使用した植木鉢
KR20110087721A (ko) 거리 경관용 화분
KR200257482Y1 (ko) 다기능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