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182Y1 -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 Google Patents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182Y1
KR200281182Y1 KR2020020011290U KR20020011290U KR200281182Y1 KR 200281182 Y1 KR200281182 Y1 KR 200281182Y1 KR 2020020011290 U KR2020020011290 U KR 2020020011290U KR 20020011290 U KR20020011290 U KR 20020011290U KR 200281182 Y1 KR200281182 Y1 KR 200281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irrigation
storage spac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형
Original Assignee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1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182Y1/ko
Priority to JP2002229198A priority patent/JP2003310061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에 의해 케이스 하부에 저수공간을 확보하고, 케이스 상단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되는 관수관을 통해 저수공간에 관수를 공급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급수를 하지 않고도 충분한 물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는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3), 하부면과 상기 케이스(3) 바닥면(4)의 사이에 저수공간(10)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흙(4)을 담도록 되어 있는 상판(7), 상기 상판(7)의 일측 모서리에 관통된 관수관공(11)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3)의 상단 모서리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는 관수관(9) 및, 상기 상판(7)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판(7) 위에 깔려 상기 저수공간(10)에 저장된 관수(13)에 충분히 담겨져 있는 보습포(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에 의하면, 자연 급수가 곤란한 실내의 화분에 저면관수법을 이용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급수를 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별도의 관수통을 통해 급수 또는 저장된 관수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수확인창을 이용해 손쉽게 관수 잔류량을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화분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본 고안은 식물재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장시간 동안 물을 주지 않고도 식물 생존에 필요한 수분을 식물이 심어져 있는 용기의 아래쪽에서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물 안에서 관상용으로 또는 드물게 식용으로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실외에서 식물을 키우는 것과는 달리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바, 필수요소인 일사량과 수분 공급량을 적절히 유지하여야 한다. 이 중 일사량은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 등의 용기를 채광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적절한 유지가 가능하나, 수분 공급량에 있어서는 관리자가 직접 식물의 품종이나 계절에 따라 차이는 나지만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 정도 충분한 물을 주어야 적절한 유지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식물의 생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적정 주기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100)이 심어져 있는 화분(101) 등의 용기에 물을 주어야 하는데, 이 때 도시된 것처럼 급수통(103)을 이용하게 되며, 화분(101) 위쪽에서 흙(105) 위로 뿌려진 물은 흙(105) 속에 잔류하다가 식물(100)의 뿌리로 흡수되나, 과도한 양의 물이 급수되는 경우에는 화분(101) 바닥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107)를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며, 이렇게 방출된 물이 바닥으로 흘러 바닥면을 더럽히지 않도록 화분(101) 밑에는 받침접시(109)가 끼워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실내에 배치되는 화분(101)은 급수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일정량 이상을 급수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일정한 주기로 급수를 하여야 하는 관리상의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급수 시 부주의로 과도한 양의 물이 급수될 경우 쉽게 화분(101) 주위가 지저분해 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한 번의 급수로 장기간 동안 충분한 양의 물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저면관수법이 개발된 바 있다.
이 저면관수법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 역할을 하는 외통(203), 외통 안쪽에 끼워져 외통(203)과의 사이에 관수(210)가 저장되는 저수공간(207)을 형성하는 내통(205), 외통(203)의 바닥면으로부터 내통(205) 바닥면을 관통하여 식물(200)의 뿌리가 있는 곳까지 뻗어 있는 심지(209), 내통(205)의 바닥면에 깔리는 부직포(211)로 이루어진 화분(201)과 같은 식물재배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 급수통(202)을 이용해 화분(201) 위로 급수를 하게 되면, 급수된 물은 대부분 흙(204) 속으로 흡수되어 들어가고, 나머지 일부 급수가 외통(203) 안쪽에 관통된 급수공(213)을 통해 외통(203)과 내통(205) 사이에 형성된 저수공간(207)으로 흘러 들어가 저수된다. 이와 같이, 급수에 의해 저수공간(207) 안으로 일정량의 관수가 급수되고 난 다음에는 관수에 담겨진 심지(209)를 통해 흙(204)으로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관리자는 측면에 구비된 수위확인관(215)를 통해 잔존하는 관수의 양을 외부에서 수시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분 관리가 매우 간편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저면관수형 화분(20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화분의 흙(204) 위에 물을 직접 주는 급수 방식을 사용할 뿐 아니라, 저수공간(207)으로의 급수공(213)이 외통(203)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가 과도하게 공급될 경우에는 공급된 물에 쓸려 흙(204) 위의 각종 이물질 들이 부유된 채로 함께 저수공간(207)으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저수공간(207)을 형성하는 내외통(205,203)의 벽면에 각종 이물질들이 들러 붙어 저수공간(207)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저수공간(207)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 예컨대, 내통(205)을 빼내기 위한 손잡이(217) 등의 구조물이 불필요하게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수의 과잉 공급 시 흙(204) 위쪽으로 과도한 양의 물이 흡수됨과 동시에 아래쪽에서도 심지(209)나 심지 삽입공(219)을 통해 과도한 양의 물이 흙(204)으로 공급되어 일시적이나마 흙(204)의 과습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심지 삽입공(219)을 통해 흙(204)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211)를 내통(205)의 바닥면에 깔아야 하므로 최초 화분을 세팅할 때 여러 갈래의 심지(209)와 부직포(211) 그리고 심지 삽입공(219)을 적절히 배열 설치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워 지는 등 사용상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위확인관(215)가 외통(203)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파손될 위험성이 높고, 설치에 방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저수공간(207)의 저면 가까이에 삽입 설치되어야 하는 수위확인관(215)의 입수구가 급수공(213)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쉽게 막힘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저면관수형 화분용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외통과 내통을 구분하지 않고 관수를 위한 통을 별도로 제작하여 저수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흙 위로 급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여 흙의 과습을 방지하며, 별도의 심지를 이용하지 않고도 흙으로 충분한 급수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수공간에 저장된 관수의 수위확인 수단을 단순화함으로써 실내에서 화분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저면관수식 화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판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용기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식물재배 용기 2 : 식물
3 : 케이스 5 : 재배용 흙
7 : 상판 9 : 관수관
10 : 저수공간 11 : 관수관공
13 : 관수 15 : 보습포
17 : 수위 확인창 21 : 장식통
23 : 수위 확인공 25 : 지지다리
27 : 관통 슬롯 29 : 비닐 포장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 하부면과 케이스 바닥면의 사이에 저수공간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흙을 담도록 되어 있는 상판, 이 상판의 일측 모서리에 관통된 관수관공에 밀착 삽입되어 케이스의 상단 모서리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는 관수관 및, 상판을 관통하도록 이 상판 위에 깔려 저수공간에 저장된 관수에 충분히 담겨져 있는 보습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식물재배 용기는 종래에 사용되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화분에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갖는 화분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 용기(1)는 일반적인 화분과 마찬가지로, 관상용 화초 또는 식용 작물 등의 식물(2)을 심기 위한 토양 즉, 흙(5)과 이 흙(5)을 담는 통 역할을 하는 케이스(3)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케이스(3)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평면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측벽이 위로 갈수록 벌어지거나 수직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바닥벽이 도 5와 같이 중앙 부분에 낮은 돌출부를 형성하는 등 측단면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이 형태 뿐 아니라 재질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투명한 재질을 채용함으로써 내부에 장입된 흙(5)이나 관수(13)를 외부에서 세심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케이스(3) 전체를 투명하게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저수공간(10)을 형성하는 벽면 부분에 도 5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위 확인창(17)을 설치하여 케이스(3) 내부에 자장된 관수의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창(17)의 설치면적을 확장하여 저수공간(10) 대응 부위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관수(13)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확인창(17)의 길이나 위치 또는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수위 확인 가능범위는 케이스(3)의 바닥면(4)에서 케이스(3) 내에 삽입 설치되는 상판(7) 밑부분에 이르는 관수(13) 저장가능 범위를 말한다.
여기에서 케이스(3)는 주로 재배용 흙(5)과 관수(13) 등을 담는 용기 역할을 하므로 외면에 도색을 하는 것 이외에, 형태를 바꾸거나 하는 등의 장식은 곤란한데,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부조 또는 투조 형태로 다양한 모양의 무늬를 가공한 장식통(21)을 케이스(3) 외주면에 끼워 장식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것처럼 장식통(21)이 케이스(3)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싸게 되는 경우에는 케이스(3) 전체가 투명할 때는 저수공간(10)에서 벗어나지 않는 임의의 위치에, 케이스(3)에 확인창(17)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확인창(17)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3)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수위 확인공(23)이 가공되어야 한다. 반대로 장식통(21)이 케이스(3) 외주면 전체를 감싸지 않는 경우라도 저수공간(10)에 저장된 관수(13)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확인공(23)과 같은 최소한의 개방공간은 확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3)에 재배용 흙(5)과 관수(13)를 장입하기 전에 먼저 흙(5)과 관수(13)를 분리 수용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 밑부분에는 상판(7)이 설치된다.
상판(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 내주면 하부에 꽉 끼워질 수 있도록 케이스(3)와 동일한 길이비로 제작된 평판으로서, 케이스(3) 바닥면(4)과의 사이에 저수공간(10)을 확보할 수 있도록 즉, 바닥면(4)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밑부분에 복수개의 지지다리(25)가 좌우 대칭을 이루며 부착되어 있는데, 각각의 지지다리(25)는 바닥면(4)의 높이에 따라 변화되는 저수공간(10)의 간격변화에 대응하도록 즉, 상판(7)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길이가 변하게 된다. 또한 상판(7)의 좌우측에는 보습포(15)의 좌우단 부분이 끼워지는 한 쌍의 관통 슬롯(27)이 가급적 좌우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절결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7)과 거의 동일한 길이비를 갖는 보습포(15)의 폭에 알맞는 적절한 길이로 연장된다.
아울러, 상판(7)에는 관수관(9)이 삽입 설치되는 관수관공(11)이 관통 형성되는 바, 관수관공(11)은 관수관(9)이 빈 틈 없이 밀착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관수관(9)과 동일한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삼각형인 관수관(9)의 단면 형상에 따라 관수관공(11)도 직삼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위와 같이 관통 슬롯(27)을 통해 상판(7)에 관통 삽입되는 보습포(15)는 흡수성이 우수한 부직포와 같은 섬유재질의 소재로서, 슬롯(27)에 끼워진 양측단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저수공간(10) 내에서 케이스(3)의 바닥면(4)을 향해 늘어뜨려져, 저수공간(10)에 저장되어 있는 관수(13)에 충분히 담겨지므로 흡수된 관수(13)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상판(7) 위의 재배용 흙(5)으로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흙(5) 위에 불투수층을 형성하도록 비닐포장(29)을 씌워 흙(5) 면을 통한 수분 흡수를 완전히 봉쇄하고, 보습포(15)를 통해서만 식물(2)에 수분을 공급하는 100% 저면관수가 실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판(7)의 관수관공(11)에 삽입 설치되는 관수관(9)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에 충분한 높이까지 재배용 흙(5)을 채운 상태에서도 상단 입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본 실시예서와 같이 용기(1)의 미관을 고려하여 관수관(9)을 케이스(3)의 일측 모서리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관수관(9)의 단면 형상을 케이스(3) 모서리 부분에 적합한 직각삼각형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관수관(9)은 배치 위치에 따라 단면 형상이 케이스(3)의 모서리 모양과 상관 없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를 이용하여 화초나 작물 등의 식물(2)을 키우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용기 부품 들을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판(7)의 관통 슬롯(27)에 보습포(15)를 끼운 다음, 보습포(15)의 양측단이 아래로 늘어진 상태에서 상판(7)을 케이스(3)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관수관공(11)에 관수관(9)을 끼워 설치한 다음, 충분한 양의 재배용 흙(5)을 케이스(3)에 장입하고, 필요에 따라 흙(5)면 위에 비닐포장(29)을 깐 다음, 포장(29)의 식수공(31)을 통해 원하는 식물(2)을 심게 된다.
이렇게 해서 식수 준비가 끝나게 되며, 실내에서 용기(1)를 이용해 식물(2)을 키울 때는 관수관(9)을 통해 저수공간(10)에 충분한 양의 관수(13)를 공급하면 되고, 수시로 확인창(17) 또는 확인공(23)을 통해 저수공간(10)의 관수(13) 잔량을검사하여 저수량이 소진된 때에만 관수관(9)을 통해 재차 관수(13)를 보충하면 된다. 아울러, 관수관(9)을 통해 각종 영양액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관수관(9) 입구에 뚜껑(미도시)을 달아 관수관(9) 내주면 청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도 있고, 케이스(3)의 외주면에 장식통(21)을 끼워 용기(1)의 장식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에 따르면, 급수가 관수관을 통해서만 용기 하부의 저수공간으로 공급되며, 상판에 의해 저수공간이 재배용 흙과 완전하게 차단되어 있으므로, 관수관 및 저수공간의 청결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흙면에 비닐포장을 씌운 경우에는 식물 위에서 물을 뿌린 때에도 흙을 통해서 수분이 전혀 흡수되지 않으므로 수분의 상하 이중흡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일시적인 과습으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저수공간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등이 필요하지 않고, 확인창을 이용해 관수의 수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단순화를 꾀할 수도 있는 등 용기의 유지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3), 하부면과 상기 케이스(3) 바닥면(4)의 사이에 저수공간(10)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흙(4)을 담도록 되어 있는 상판(7), 상기 상판(7)의 일측 모서리에 관통된 관수관공(11)에 밀착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3)의 상단 모서리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는 관수관(9) 및, 상기 상판(7)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판(7) 위에 깔려 상기 저수공간(10)에 저장된 관수(13)에 충분히 담겨져 있는 보습포(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는 최소한 상기 저수공간(10)을 형성하는 부분이 투명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는 바닥면(4)에서부터 상기 상판(7)에 이르는 높이를 갖는 수위 확인창(17)이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관(9)은 상기 케이스(3)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도록 외주면의 외형선이 상기 모서리 부분의 내주면 외형선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20020011290U 2002-04-15 2002-04-15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81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290U KR200281182Y1 (ko) 2002-04-15 2002-04-15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2002229198A JP2003310061A (ja) 2002-04-15 2002-08-06 底面潅水を利用する植物栽培用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290U KR200281182Y1 (ko) 2002-04-15 2002-04-15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62A Division KR20020032504A (ko) 2002-04-15 2002-04-15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182Y1 true KR200281182Y1 (ko) 2002-07-13

Family

ID=2954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290U KR200281182Y1 (ko) 2002-04-15 2002-04-15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310061A (ko)
KR (1) KR2002811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2088A2 (en) * 2005-07-22 2007-01-25 Quang Ngoc Nguyen Naturally pure pot for planting
KR101216583B1 (ko) 2010-03-30 2012-12-31 주식회사 윤토 관수장치가 구비된 액자화분
JP2013176401A (ja) * 2013-06-20 2013-09-09 Dream World:Kk 液体収容容器及び該容器を用いた園芸用植木鉢
CN108781871A (zh) * 2018-06-26 2018-11-13 江苏锦叶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透气性强且施水效果好的玫瑰花种植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10061A (ja)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US20060016126A1 (en) Peripheral planting system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JP3262724B2 (ja) 栽培装置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JPH08154509A (ja) 植物の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KR102302869B1 (ko) 자동 물 공급이 가능한 채분
JPH1156136A (ja) ペットボトル等を活用した植木鉢等への給水装置
JP3472366B2 (ja) 植物の栽培装置
JP5388255B1 (ja) 植物の栽培構成物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0451153Y1 (ko)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KR200257482Y1 (ko) 다기능 화분
KR200246716Y1 (ko) 화분 구조
KR200350600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