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153Y1 -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 Google Patents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153Y1
KR200451153Y1 KR2020100003768U KR20100003768U KR200451153Y1 KR 200451153 Y1 KR200451153 Y1 KR 200451153Y1 KR 2020100003768 U KR2020100003768 U KR 2020100003768U KR 20100003768 U KR20100003768 U KR 20100003768U KR 200451153 Y1 KR200451153 Y1 KR 200451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reservoir
plant
pot
veget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2020100003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1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화분에 물저장공간과 식물의 식생기반이 같이 구비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식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지열 또는 복사열의 영향을 덜 받게 하며, 관수 또는 우수를 저장하였다가 서서히 식물에 공급토록 하여 관수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식물 권근부의 통기성을 좋게 하여 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의 화분본체와; 화분본체의 하부에 요철형상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우수 또는 관수를 통해 유입된 물을 보관할 수 있는 물저장고와; 화분본체에 채워지는 토양과; 물저장고와 토양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지는 깔판과; 상단부가 깔판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물저장고에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저장고의 수분을 토양측으로 공급해주는 심지로 이루어지며; 화분본체의 물저장고 상단 위치에는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Flowerpot having storage space of water}
본 고안은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물을 주면 저장하였다가 이를 토양과 같은 식생기반에 서서히 공급해주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식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지열 또는 복사열의 영향을 덜 받게 하며, 식물의 뿌리가 수분공급위치측으로 접근할 때 이를 차단해주어 안정적인 물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흙이 없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기를 때에는 내부에 흙을 담을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고 하단 중앙에 통수공이 형성되는 화분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화분의 경우 물을 주면 일부는 토양이 머금게 되지만 대부분의 수분은 화분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통수공을 통해 화분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관수시기를 놓치게 되면 식물이 고사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화분을 사용하게 되면 지면위에 화분이 그대로 놓여지게 되므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해 화분에 심겨지는 식물이 냉해를 입거나 고사하는 등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다.
이를 감안하여 화분 받침대에 물저장공간을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물저장고 겸 물받이가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분 등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은 일일이 인력에 의해 끼우거나 탈착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물저장공간을 갖는 화분 받침대와 화분, 또는 물저장고 겸용 물받이와 화분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였으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물을 빨아올리도록 구비되는 심지 등도 실이나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심지구를 통해 연결해주어야 하였으므로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 유럽 등지에서 생활화된 통수공이 없는 화분은 일반 꽃포트를 시장에서 구입해 화분에 직접 꽂아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외관이 수려한 화분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물 줄 시기가 되면 꽃포트를 화분으로부터 빼내어 물을 준 후 토양이 머금은 수분이외의 수분이 모두 빠져나온 후 이를 다시 화분에 장착해야 하는 것이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화분의 권근부 통풍이 잘되지 않아 뿌리부패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화분에 물저장공간과 식물의 식생기반이 같이 구비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식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지열 또는 복사열의 영향을 덜 받게 하며, 관수 또는 우수를 저장하였다가 서서히 식물에 공급토록 하여 관수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식물 권근부의 통기성을 좋게 하여 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의 화분본체;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 요철형상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우수 또는 관수를 통해 유입된 물을 보관할 수 있는 물저장고; 상기 화분본체에 채워지는 식생기반; 및 상단부가 상기 식생기반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물저장고에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저장고의 수분을 상기 식생기반측으로 공급해주는 심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분본체의 물저장고 상단 위치 또는 상기 물저장고의 상단 측면에는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은 토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저장고와 상기 식생기반의 사이에는 깔판이 가로방향으로 놓여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양을 상기 화분본체에 수용한 상태에서 식물의 씨앗을 심거나, 식물을 식재하거나, 다른 장소에서 식물을 하나의 포트 또는 화분이나 다수의 포트를 갖는 포트받이 또는 삽목상자에서 재배한 상태 그대로 상기 화분본체에 끼워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은 다공성 섬유질로 된 식생기반체로 구성하고, 상기 식생기반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생기반과 상기 물저장고의 사이에 방근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지는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천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화분본체의 하부에 요철형의 물저장고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관수를 해주거나 비가 내리면 토양이 머금은 수분 이외의 수분이 저장고에 모일 수 있고, 이러한 물저장고에 모인 물은 깔판, 방근시트, 심지의 재질적인 특성에 따른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속적이면서도 은근하게 식물의 권근부측에 공급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자연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관수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관수에 필요한 인력 또는 시설이 필요없이 적은 노력으로도 지속적이고 은근한 관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물저장고가 화분의 맨아래 깊은 요철부에 의해 형성되므로 식물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이 채워지는 경우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덜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다른 장소에서 식물을 하나의 화분 또는 포트에 길러 이러한 화분 또는 포트를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에 끼워 구성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장소에서 식물을 다수의 포트를 갖는 포트받이를 통해 기르거나 삽목상자를 통해 길러 이를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에 한꺼번에 끼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유통할 때에나 꽃가게에서도 다수개의 화분에 매일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도심의 가로화단 또는 콘크리트 바닥위에도 삽목상자 등의 식생판에 심겨진 꽃화분을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에 끼워 구성하게 되면 삽목상자 등의 불결한 외관이 깨끗하게 가려질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 하부에 위치되는 물저장고를 통해 물을 저장하게 되므로 잦은 관수없이도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른 봄 외부 기온에 상관없이 하우스 등의 인위적인 환경에서 생육 재배한 식물들을 최대한 일찍 가로 화단에 설치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화단을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기간이 짧아 낮은 외부기온으로 인해 재배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토양 대신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 제 10-0807285 호에 따른 다수개의 식혈을 가지는 식생기반체를 대형으로 제작하여 이를 화분본체에 수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콘크리트 보도블럭 등의 인공 구조물위에 쉽게 설치하거나 다수개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관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아름답고 빠르게 화단을 형성할 수 있어 이른 봄 혹은 늦가을 자연재해로부터 많은 피해를 줄이면서도 꽃의 관상기간은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히 지역의 축제나 행사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행사를 빛낼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의 다른 실시 설명도.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에 관수를 하거나, 비가 내렸을 때 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모아서 서서히 식물의 권근부측으로 공급해주도록 한 것으로, 상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의 화분본체(10) 하부에 요철형의 물저장고(20)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물저장고(20)는 화분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 및 개수가 정해질 수 있으며, 물저장고(20)의 높이는 화분의 전체적인 크기 및 식물의 식재 깊이를 고려하여 화분본체(10) 전체 높이의 1/2을 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물저장고(20)를 요철형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화분본체(10)에 담기는 토양(30)이 물저장고(10)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토양(30)과 물저장고(20)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깔판(40)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때 깔판(40)은 물은 통과시키면서 토양(30)이 하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은 막아주는 정도의 강도와 메쉬사이즈를 갖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이든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수위가 요철형의 물저장고(20)를 넘게 되면 과습현상에 의한 식물의 뿌리썩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화분본체(10)의 물저장고 상단 위치 또는 물저장고(20)의 상단 측면에는 다수의 통수공(11)을 측방으로 형성하게 되며, 물저장고(20)에 담긴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서서히 지속적으로 식물의 권근부에 공급해줄 수 있도록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천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심지(50)를 물저장고(20)에 상하방향으로 끼워 구성하게 되고, 심지(50)의 상단부는 깔판(40)과 접촉하도록 배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에 오랜 기간 식물을 생육해줄 경우 식물이 자라면서 수분 공급위치측으로 뿌리를 뻗게 되므로 이를 차단해줄 수 있도록 깔판(40) 위쪽에는 방근부재(6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근부재(60)는 물은 통과시킬 수 있으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저장고(20)측으로 뻗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면서 화분이 놓이는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지열 또는 복사열을 차단해줄 수 있는 단열성을 갖는 직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하면 되는데, 이와 함께 방근부재(60)는 토양과 접촉하더라도 썩지않는 항균성 및 발수성과, 토양의 산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내산성을 가지면 더욱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깔판(40)을 물저장고(20)위에 깔아주고, 깔판(40) 위에 토양(30)을 채우며, 토양(30)에 식물의 씨앗을 뿌리거나, 식물의 씨앗을 심거나,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이후, 화분본체(10)의 상부에 관수를 해주면 물은 토양(30)을 적시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토양(30)은 어느 정도까지는 물을 머금고 나머지는 모두 하방향으로 배출된다.
화분본체(10) 하부에는 요철형의 물저장고(20)가 형성되어 있고, 물저장고(20) 상단부에는 깔판(40)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은 깔판(40)을 통과하여 요철형의 물저장고(20)에 모이게 되며, 수위가 물저장고(20)를 넘는 경우에는 화분본체(10)의 물저장고 상단위치에 측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통수공(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과습에 의한 식물의 뿌리썩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물저장고(20)에는 상하방향으로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천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진 심지(50)가 끼워져 있으므로 심지(50)의 재질적인 특성에 따른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저장고(20)의 물이 서서히 상승하게 되고, 심지(50)의 상단부가 깔판(40)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심지(50)를 통해 이동한 물은 깔판(40)을 통과하여 토양(30)에 공급될 수 있으며, 토양(30)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의 뿌리가 이러한 수분을 흡수하여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을 외부에 놓아주는 경우 비가 내리면 이러한 빗물이 배출되지 않고 관수시와 마찬가지로 물저장고(20)에 고일 수 있으며, 물저장고(20)를 넘어서는 물은 통수공(11)을 통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어 과습에 의한 식물의 뿌리썩음을 방지할 수 있고, 물저장고(20)에 모인 물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심지(50)를 통해 식물의 권근부에 서서히 공급해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관수 또는 우수가 그대로 배출되지 않고 화분본체(1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형의 물저장고(20)에 모였다가 심지(50)를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식물의 권근부에 물을 서서히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것이므로 최소의 관수로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저장고(20)가 화분의 맨아래 깊은 요철부에 의해 형성되므로 식물과 지면의 사이가 이격될 수밖에 없어 식물이 지열 또는 복사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따라서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물저장고(20)에 물이 채워지면 이러한 물저장고(20)가 보온층 역할을 하여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식물이 영향을 덜받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식물의 생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물저장고(20)측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어 물저장고(20)로 침투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식물의 뿌리가 물저장고(20)에서 뒤엉켜 물저장고(20)에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짐은 물론 심지(50)가 파괴되어 물을 원활하게 이송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되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화분을 통해 오랜 시간동안 식물의 생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깔판(40) 위쪽에 방근부재(60)를 더 구비하게 되며, 이와 같이 하면 식물이 자라면서 수분 공급위치측으로 뿌리를 뻗더라도 방근부재(60)에 의해 식물이 물저장고(20)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장소에서 식물을 하나의 화분 또는 포트에 길러 이러한 화분 또는 포트를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10)에 끼워 구성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장소에서 식물을 다수의 포트를 갖는 포트받이를 통해 기르거나 삽목상자를 통해 길러 이를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10)에 한꺼번에 끼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유통할 때에나 꽃가게에서도 다수개의 화분에 매일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도심의 가로화단 또는 콘크리트 바닥위에도 삽목상자 등의 식생판에 심겨진 꽃화분을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10)에 끼워 구성하게 되면 삽목상자 등의 불결한 외관이 깨끗하게 가려질 수 있어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고, 본 고안에 따른 화분본체(10) 하부에 위치되는 물저장고(20)를 통해 물을 저장하게 되므로 잦은 관수없이도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른 봄 외부 기온에 상관없이 하우스 등의 인위적인 환경에서 생육 재배한 식물들을 최대한 일찍 가로 화단에 설치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내에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화단을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기간이 짧아 낮은 외부기온으로 인해 재배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화분본체(10)에 토양 대신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특허 제 10-0807285 호에 따른 다수개의 식혈(71)을 가지는 식생기반체(70)를 대형으로 제작하여 이를 화분본체(10)에 수납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콘크리트 보도블럭 등의 인공 구조물위에 쉽게 설치하거나, 다수개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관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아름답고 빠르게 화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른 봄 혹은 늦가을 자연재해로부터 많은 피해를 줄이면서도 꽃의 관상기간은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히 지역의 축제나 행사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기 적합한 것이다.
물론, 토양 대신 식생기반체(70)를 화분본체(10)에 수납하는 경우 토양이 유실될 염려가 없으므로 별도의 깔판(40)은 필요치 않게 되며, 식생기반체(70)를 적용한 화분의 경우에도 오랜 기간 동안 식물의 생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식생기반체(70)의 수납 전에 방근부재(60)를 먼저 깔아주어 식물의 뿌리가 물저장고(20)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줌이 바람직하다.
10 : 화분본체 11 : 통수공
20 : 물저장고 30 : 토양
40 : 깔판 50 : 심지
60 : 방근부재 70 : 식생기반체
71 : 식혈

Claims (7)

  1. 상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의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물을 보관할 수 있는 물저장고와, 상기 화분본체에 채워지는 식생기반을 포함하여서 된 화분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고는 우수 또는 관수를 통해 유입된 물을 보관하도록 요철형상을 가지고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본체의 물저장고 상단 위치 또는 상기 물저장고의 상단 측면에는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물저장고의 수분을 상기 식생기반측으로 공급해주도록 상기 물저장고에 상하방향으로 심지가 끼워지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식생기반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은 다공성 섬유질로 된 식생기반체로 구성하고, 상기 식생기반체에 식물을 식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과 상기 물저장고의 사이에 방근부재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천 또는 스펀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KR2020100003768U 2010-04-12 2010-04-12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KR200451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68U KR200451153Y1 (ko) 2010-04-12 2010-04-12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68U KR200451153Y1 (ko) 2010-04-12 2010-04-12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153Y1 true KR200451153Y1 (ko) 2010-11-30

Family

ID=4447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68U KR200451153Y1 (ko) 2010-04-12 2010-04-12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1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653B2 (en) * 2016-07-08 2023-01-17 Rodney James Middleton Plant p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325A (ja) 1998-09-30 2000-04-11 Nkk Corp 水補給機能を具えた植栽用ポット
KR100539186B1 (ko) 2005-10-07 2005-12-28 노명근 수분흡수형 화분
KR100857571B1 (ko) 2006-08-21 2008-09-09 송기봉 종이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325A (ja) 1998-09-30 2000-04-11 Nkk Corp 水補給機能を具えた植栽用ポット
KR100539186B1 (ko) 2005-10-07 2005-12-28 노명근 수분흡수형 화분
KR100857571B1 (ko) 2006-08-21 2008-09-09 송기봉 종이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3653B2 (en) * 2016-07-08 2023-01-17 Rodney James Middleton Plant pot
AU2017292897B2 (en) * 2016-07-08 2023-02-16 Rodney James Middleton An improved plant p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60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стенного цвет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KR200448520Y1 (ko)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CZ308191B6 (cs) Vertikální zahrada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JP2014171471A (ja) 花器を植木鉢として使用するための技術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200451153Y1 (ko) 물저장고를 갖는 화분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KR101313866B1 (ko) 시스템 식재 포트
JP5685688B2 (ja) 水耕栽培装置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CN211020163U (zh) 一种阳台楼顶有机仿大田栽培设备
JP3262724B2 (ja) 栽培装置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3784586B2 (ja) 木を植えるプランター
KR102645809B1 (ko)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JP2003009687A (ja) 給水マット付植物トレイと貯水タンクの一体型底面給水プランター
JP3048063U (ja) 着生植物着生用鉢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JP200300968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