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716Y1 - 화분 구조 - Google Patents

화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716Y1
KR200246716Y1 KR2020010019794U KR20010019794U KR200246716Y1 KR 200246716 Y1 KR200246716 Y1 KR 200246716Y1 KR 2020010019794 U KR2020010019794 U KR 2020010019794U KR 20010019794 U KR20010019794 U KR 20010019794U KR 200246716 Y1 KR200246716 Y1 KR 200246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conduit
supply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규
Original Assignee
원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규 filed Critical 원영규
Priority to KR2020010019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716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수분 공급이 가능한 화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흙의 상부에서 수분을 자동 공급토록하여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이 장기간 건강히 화초를 생육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그의 주요 구성은, 화분의 흙 상부로 설치한 수분 공급부와, 내부엔 물을 포함하게 구성하여 공급부의 하단부가 물에 담겨지게 한 액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공급부는, 도관(23)과 도관(23)의 내부에 설치하는 도수구(22)를 포함하며, 도관(23)의 선단부엔 비료알갱이(25)가 수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물수용부는, 중앙에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부(51)를 갖는 용기(50)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공급부의 하단은 화분의 하단을 관통하여 용기(50)의 하단으로 내려오게 하여 물(12)에 적셔지게 하고, 다른 일단은 흙의 상부 위로 설치하며, 용기(50)의 상부엔 통공(55)을 갖는 뚜껑(53)을 결합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구조{CONSTRUCTURE OF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초가 말라 죽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화분의 관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2001-8925 호에서는 상,하부체로 이루어 지는 화분에 심지를 내장하여 물이나 수경 재배용 액체가 공급되게 하고, 또한 한 측부엔 물이나 수경재배용 액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뜨개를 설치한 것이 나와 있으며, 그 상부체엔 흡습이 가능한 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 출원인에 의한 화분의 구조에서는 물이나 수경재배용 액체가 하부에서 상부로 수분이 빨아 올려지는 식으로 되어 있어 흙의 층 중, 대기와 가까운 상층으로 올라 갈수록EC(electric conductivity: 전기 전도도; 토양 내 존재하는 염류 농도의 지표로 사용되는 단위)의 농도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EC 농도는 S(siemens) 또는 mS(millisiemens)라는 단위로 표시되며, S 단위는 1/Ω, mS = 1/mΩ 이다. 식물의 생육 장애는 삼투압 증가에 의한 흡수 장애가 주원인이며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전기 전도도가 높을 수록 염류 농도가 높고 식물에 대한 장해의 유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 한다.
종래의 경우, 흙의 상층이 EC 농도가 높은 이유는 상층은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하부층 보다 더 건조되기 쉽고 또 수분이 하부에서 상부로 빨아 올려 지기 때문에 아무래도 상층으로의 수분 공급이 하층 보다는 못하고 상층에의 (무기)염류의 농도가 높게 된다. 또한 비록 초기의 물이나 액체는 농도가 일정하더라도 시간이 지날 수록 수분은 항상 증발되므로 잔류 염류의 농도가 높아지며 또 층에 따른 염류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집중되게 된다.
결국, 잔류 염류 농도의 증가는 관상용 화분식물이 오래 살지 못하고 죽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분을 흙 위에서 공급하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성장에 항상 적정한 염류의 농도가 유지되게 하여, 식물이 죽는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구성의 한 예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에 설치하는 공급부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3 내지 도 6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른 구성예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에 뚜껑을 결합한 다른 실시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화분의 흙 상부로 설치한 수분 공급부와, 내부엔 물을 포함하게 구성하여 공급부의 하단부가 물에 담겨지게 한 액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공급부는, 도관(23)과 도관(23)의 내부에 설치하는 도수구(22)를 포함하며, 도관(23)의 선단부엔 비료알갱이(25)가 수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물수용부는, 중앙에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부(51)를 갖는 용기(50)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공급부의 하단은 화분의 하단을 관통하여 용기(50)의 하단으로 내려오게 하여 물(12)에 적셔지게 하고, 다른 일단은 흙의 상부 위로 설치하며, 용기(50)의 상부엔 통공(55)을 갖는 뚜껑(53)을 결합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한 실시예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에 수직으로 안내관(10)을 형성시키고, 이 관 내엔 공급구(11)를 여러개 설치한다.
하분의 저부엔 물 구분층(13)을 형성하여 그 아래에 물(12)이나 수경재배용 액체를 채운다.
화분의 상부엔 공급부(11)는 곤로의 심지와 같이 재질 또는 파사면이나 유리섬유 또는 부직포, 면 소재를 이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분의 흡수가 좋은 어떠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한 공급부(11)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직포 등과 같은 심지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의 재질 대신이 공급부(21)의 재질을 유리관, 플라스틱 또는 비닐관으로 형성시켜 그 구부러진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 하고 그 내부엔 섬유 등과 같은 흡수 재질로 이루어져 물을 빨아 올릴 수 있는 도수구(22)를 내장하고, 그 도관(23)의 가장 선단엔 비료알갱이(25)가 내장되게 한다.
비료알갱이(25)는, 도수구(22)를 통해 물이 흘러 내려서 흙에 떨어질때, 이 비료 알갱이를 통과하게 함으로서 흙에 영양분이 공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비료알갱이(25)는 큰 입자로 이루어진 지효성 비료를 사용하며, 이는 물에 서서히 녹게 되어 있다. 이 비료 알갱이(25)는 일정 형상의 캡슐에 내장되게 하여 이 캡슐을 도관(23) 내의 선단에 내장시키거나 또는 도수구(22)와 바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캡슐로 내장시킬 경우엔 일정 사용 시간이 지난 후,캡슐만 교체하면 계속하여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 가운데를 물(12)로 채우고 이를 공급부(11) 또는 도관(3)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고 화초(30)는 그 물(12)의 외주로 형성되게 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의 중앙을 갈라 물(12)이나 수경재배액이 내장되게 하고 그 외주로 흙(14)이 깔려 화초(30)가 심어 지게 구성하였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방이 물(12)로 둘러 싸고 가운데에 화분(40)을 구성하여 이 화분(40)에 흙(14)과 화초(30)가 심어 지게 구성하고 이 흙(14)으로 공급부(11)나 도관(23)을 통해 물이나 수경재배액이 공급되게 한다.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분의 상부 외주에서 중앙에 심어 놓은 화초(30)로 물이 공급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 7 은 또 다른 실시예로, 아래로 내려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걸림부(51)를 갖는 용기(50) 내에 물(12)을 채우고, 걸림부(51)에 화분(52)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공급부(11) 또는 도관(23)이 화분(52)을 관통하여 올라와 흙(14)으로 물이 공급되게 한다.
또한, 하단에 걸림부(54)를 가지고 군데 군데 통공(55)을 형성한 뚜껑(53)을 체결할 수 있게 한다. 이 뚜껑에 의하면 온실 효과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겨울철 베란다 등에 내 놓아도 추위로 부터 어느 정도 보호가 되고 햇볕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별한 날 또는 행사가 있는 날 선물 또는 팬시 용품으로도 널리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은 단지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을 예를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 구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 구조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한 구조가 나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들 구조 역시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앞선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출원한 내용의 구성에 본 고안의 내용이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들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에서 물을 아래에서 흙으로 바로 공급할 수 있게 한 구조에 본 고안에서와 같이 물이 흙의 상부에서 공급되게 하는 구조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화초의 상부에서 즉, 흙 위에서 바로 수분이나 수경재배용 액체를 공급하여 줌으로서 (무기)염류의 축적 및 불균일한 분포로 인해 화초가 오래 살지 못하고 죽은 단점을 극복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사람이 장기간 신경쓰지 않고 돌보지 않아도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화분의 구조에 의하며 종래의 통상의 화분 구조와 달리 물을 항상 다량 함유하고 있어 화분을 실내에 들여 놓을 경우, 실내의 습도 공급 및 조절의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종래와 다른 새로운 구조의 화분의 구성은 실내을 아름답게 장식하여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비록 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수경재배액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수경 재배 가능한 화초를 재배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물비료라고 할 수 있는 수경재배로 재배가 가능한 대표적인 화초로는 카란코에, 사피니아, 바이올렛, 장미, 난 등이 있다.

Claims (3)

  1. 흙을 포함하는 공지의 화분 구조에 있어서,
    화분의 흙 상부로 설치한 수분 공급부와,
    내부엔 액체를 포함하게 구성하여 공급부의 하단부가 액체에 담겨지게 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부는, 도관(23)과 도관(23)의 내부에 설치하는 도수구(22)를 포함하며, 도관(23)의 선단부엔 비료알갱이(25)가 포함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용부는,
    중앙에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부(51)를 갖는 용기(50)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공급부의 하단은 화분의 하단을 관통하여 용기(50)의 하단으로 내려오게 하여 물(12)에 적셔지게 하고, 다른 일단은 흙의 상부 위로 설치하며, 용기(50)의 상부엔 통공(55)을 갖는 뚜껑(53)을 결합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구조
KR2020010019794U 2001-06-30 2001-06-30 화분 구조 KR200246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794U KR200246716Y1 (ko) 2001-06-30 2001-06-30 화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794U KR200246716Y1 (ko) 2001-06-30 2001-06-30 화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716Y1 true KR200246716Y1 (ko) 2001-10-17

Family

ID=7310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794U KR200246716Y1 (ko) 2001-06-30 2001-06-30 화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7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30B1 (ko) 2006-10-21 2008-05-19 송웅호 식생상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1900A (en) Automatic pure cultivator
KR20120086234A (ko) 피동식 급수 화분체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101037162B1 (ko) 화분장치
KR200246716Y1 (ko) 화분 구조
CN213306457U (zh) 实验室用施肥花盆
CN201640072U (zh) 立体花盆
KR20100055191A (ko) 화분장치
JP2799663B2 (ja) 水耕栽培用装置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JP6535663B2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JPH08228605A (ja) 植木鉢
JP3043872U (ja) 植物栽培装置
KR200350600Y1 (ko) 화분
KR100379852B1 (ko)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JP3074099U (ja) 水耕栽培装置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820001524Y1 (ko) 화 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