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14B1 -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14B1
KR101301014B1 KR1020130059651A KR20130059651A KR101301014B1 KR 101301014 B1 KR101301014 B1 KR 101301014B1 KR 1020130059651 A KR1020130059651 A KR 1020130059651A KR 20130059651 A KR20130059651 A KR 20130059651A KR 101301014 B1 KR101301014 B1 KR 10130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pot
soil
porous protective
po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모
Original Assignee
전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모 filed Critical 전준모
Priority to KR102013005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01G13/0212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용 및 원예용 화분의 상면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화분에 화분흙을 넣고 화초 등 관상용 및 원예용 식물을 식재한 다음 화분 상부에 플라스틱 등의 다공성 보호커버를 피복하여 화분에 물을 줄 때 흙이 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다공성 보호커버 또는 잔디 형상의 다공성 보호커버는 커버 상부에 자연석 등을 부착하여 화분 상부 흙을 피복하여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은 물론 화분의 자연미를 강조하고, 화분에 물을 줄 때 흙이 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화분의 수분 보유능을 증진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는 화분에 물을 줄 때 물이 화분의 흙속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물 흡수 구멍을 형성시키거나 촘촘한 그물망 형태로 제작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2~8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는 관상용 화분의 미관을 개선함은 물론 화분 운반시 화분 흙이 쏟아져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보습성 있어 물을 한번만 주어도 화분의 수분이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Flowerpot upper sides porous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은 관상용 또는 원예용 화분의 상부 노면에 사용하는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초를 심은 화분의 상부에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다공성 보호커버를 덮어 화분에 물을 줄 때 화분의 흙이 튀거나 패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화분의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촘촘하게 형성하거나 인조잔디 형상으로 구성하여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는 커버 상부에 자연석 등을 부착하여 관상용 화분의 자연미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다.
현대인은 아파트와 같은 실내 환경이나 사무실 등에서 화분에 화초나 분재용 식물 등을 식재하여 많이 키우고 있으며, 이러한 꽃과 같은 식물의 재배가 도시민의 메마른 정서를 순화, 함양시켜서 우리의 정서 문화생활을 풍부하게 만들어 줌에 따라 화초의 재배가 널리 보급되기에 이르렀다.
종래 기술에는 화분을 이동시키거나 운반할 때 화분의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분 흙덮개에 관한 기술이 선행기술로 공개되어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7377호에는 사람이나 애완동물들이 화분 흙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분 덮개가 제안되고 있는데, 식물의 줄기 부분을 제외한 화분의 최상층 부분을 천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덮고 노끈으로 조여줌으로써 목적을 달성하며, 화분 흙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도 보여준다.
상술한 방식의 화분덮개는 화분 흙이 쏟아지거나 날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는 있지만, 그 도구의 제조 및 설치가 복잡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화분 흙이 화분 내에서 움직이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게다가 소형화분에 심겨진 연약식물 또는 로제트형 식물을 심은 화분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즉, 연약식물이나 로제트형 식물은 화분 흙의 요동에 의해 뿌리와 줄기 등에 손상을 받기 쉬울 뿐만 아니라, 화분 흙의 요동할 때 상기 연약한 식물 또는 로제트형식물도 함께 움직이는데, 이때 화분 덮개에 부딪혀 오히려 더 많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연약식물 또는 로제트형식물을 위해서는, 화분의 흙이 요동하지 않거나, 요동할 경우에도 뿌리나 줄기가 손상받지 않게 해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9861호(B1) (1999. 03. 20)
일반적으로 화분에 식물을 심을 때 용기 형상의 화분에 흙을 담고 그 흙속에 화초류나 과실나무 또는 분재용 식물을 식재하여 키우게 된다. 그러나 보통 가정에서나 사무실의 화분은 식물을 심은 다음 화분 상부의 흙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분에 물을 줄 때 흙이 튀거나 패여서 화분 주변이 깨끗하지 못하며, 또한 화분 내의 수분이 쉽게 증발되어 자주 관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화분의 상부 커버로 톱밥류나 솜 또는 부직포류 같은 것이 주로 사용되었고, 작은 인조석이나 착색돌 또는 천연의 이끼류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톱밥류는 화분에 물을 줄 때 물위에 쉽게 떠올라 화분에서 흘러 넘쳐 떠내려가는 문제점이 있고 솜 또는 부직포류는 쉽게 더러워지므로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한편, 착색돌을 화분 흙 덮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료비가 비교적 비싸고 인조돌에 착색한 것이므로 자연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습성이 없고 운반시 쉽게 쏟아져 내려 돌은 물론 흙까지 유실되어 소기의 덮개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천연이 이끼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습성이나 흙의 유실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자칫 관리를 소홀히 하면 이끼가 쉽게 말라 죽어 누렇게 색깔이 변하게 되어 보기에 흉하게 되므로 화분 본래의 조경효과를 반감시키는 또다른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된 다공성 보호커버 또는 잔디 형상의 다공성 보호커버를 화분의 상부면에 피복하여 화분에 물을 줄 때 흙이 패이거나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다공성 보호커버 또는 잔디 형상의 다공성 보호커버에 자연석 또는 채색돌을 부착하여 자연스러움이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화분에 관수할 때 흙이 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며 화분의 수분 보유능을 증진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다공성 보호커버 또는 잔디 형상의 다공성 보호커버는 화분에 물을 줄 때 물이 화분의 흙속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물 흡수 구멍을 형성시키거나 촘촘한 그물망 형태로 제작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2~8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관상용 또는 원예용 화분의 상부면에 사용하는 보호커버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의 다공성 보호커버로 구성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2~8개의 조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잔디 형상의 다공성 보호커버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는 상부면에 자연석 또는 조형물을 설치하여 화분의 상면이 흙이 노출되지 않아 깨끗하고 아름답게 보여질 수 있으며, 화분에 물을 줄 때 물이 화분 상면의 흙을 직접 타격하지 않아 화분의 흙이 흘러내리거나 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는 실내에서 쉽게 건조하기 쉬운 화분의 보습성을 증진시켜 화분에 물을 주는 횟수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화분을 운반하거나 이동시킬 때 화분의 흙 등이 쏟아지지 않아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다공성 보호커버를 화분에 설치한 사시도.
도 2는 자연석을 부착시킨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도 3은 자연석을 부착시킨 화분 상부면 잔디형 보호커버.
도 4는 자연석을 부착시킨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관상용 또는 원예용 상부면에 사용하는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로부터 예상되는 발명은 변경 가능한 구성은 이 발명의 범위 내로 한다.
도 1은 다공성 보호커버를 화분에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자연석을 부착시킨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이며, 도 3은 자연석을 부착시킨 화분 상부면 잔디형 보호커버이고, 도 4는 자연석을 부착시킨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첨부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1) 내부에 흙을 담고 화분에 화초류나 분재수목 또는 과실수 등을 식재하여 키울 때 화분(1)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보호커버(4)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식물(3)이 심겨진 화분(1)에 다공성의 보호커버(4)를 씌운 사시도이다. 상기 보호커버(4)는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으로 다공성의 망 형태 보호커버를 대칭이 되도록 형성시키며, 중앙부는 화분(1)에 심겨진 식물(3)이 자랄 수 있는 개구부(6)가 뚫려 있다. 또한 한 쌍의 다공성 보호커버(4)는 일측에 연결장치(8)가 형성되어 있어 다공성 보호커버(4)의 개구부(6)에 화분(1)의 식물(4)를 끼울 때 좌우로 오픈시켜 식물(4)를 끼운 다음 화분의 상부면에 안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4)에 다수개의 자연석(5)을 일정한 간격으로 자연스럽게 부착시켜 화분의 상부면에 자연적인 심미감을 주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다공성의 보호커버(4)를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4)로 구성하고, 자연석(5)을 일정 간격으로 부착하여 잔디 또는 이끼 형상으로 화분(1)의 상부면을 피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다공성 보호커버(4)를 4조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다공성 보호커버(4)는 한 쌍 또는 여러조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공성의 잔디형 또는 이끼형 보호커버의 조각은 화분의 형태나 식물의 생육상태에 따라 그 수를 임의대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의 보호커버(4)는 화분(1)의 상부면에 잘 고정될 수 있도록 보호커버(4)의 아래 쪽에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기가 화분의 흙에 깊게 박히도록 형성한다. 상기 돌기의 길이는 30~100mm의 길이로 다공성 보호커버의 하부에 다수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분(1)은 화분의 상부면 흙이 피복이 되어 화분에 심어진 화분식물(3)과 미적인 감각이 잘 어우러져 화분의 미적감각을 최대로 살릴 수 있고, 화분의 상부면 보호커버(4)에 의하여 화분에 물을 줄 때 화분의 흙이 튀거나 흘러내리지 않아 화분이 청결하게 유지되며, 보호커버(4)에 의해 화분 내의 수분 증발이 억제되어 화분 물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화분을 운반하거나 이동취급할 때에는 흙(3)이 화분에서 쏟아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화분흙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1 : 화분 3 : 식물
4 : 다공성보호커버 5 : 자연석
6 : 개구부 7 : 잔디형 보호커버
8 : 연결장치

Claims (3)

  1. 화분 상부면에 착설하는 착탈이 용이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를 망 형태로 대칭이 되도록 2조각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2조각으로 형성된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의 일측에는 분리된 보호커버가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장치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식물이 심겨진 화분에 장착될 때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의 상부에 자연석을 부착시키며,
    상기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의 아래쪽에는 30~100mm 길이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화분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돌기가 화분의 흙에 박혀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가 화분에 고정됨으로써,
    화분에 관수시 보호커버에 의해 물이나 흙탕물이 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형 다공성 보호커버.


  2. 삭제
  3. 삭제
KR1020130059651A 2013-05-27 2013-05-27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10130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51A KR101301014B1 (ko) 2013-05-27 2013-05-27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51A KR101301014B1 (ko) 2013-05-27 2013-05-27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14B1 true KR101301014B1 (ko) 2013-09-02

Family

ID=4945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51A KR101301014B1 (ko) 2013-05-27 2013-05-27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11U (ko) 2014-11-06 2016-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용 덮개
KR20160001640U (ko) 2014-11-07 2016-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저속형 관수장치
KR101888119B1 (ko) * 2017-12-18 2018-08-14 이광우 화분 덮개
KR102266718B1 (ko) 2020-12-30 2021-06-17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화분용 덮개
KR200497558Y1 (ko) * 2023-09-27 2023-12-19 김정희 커버부재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4753U (ko) * 1985-11-25 1987-10-20
JPS6449050U (ko) * 1987-09-23 1989-03-27
JPH11178450A (ja) * 1997-12-24 1999-07-06 Aisin Takaoka Ltd 植木鉢用植土カバー
JP2002142569A (ja) 2000-11-10 2002-05-21 Masayuki Sakamoto 植木鉢用雑草予防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4753U (ko) * 1985-11-25 1987-10-20
JPS6449050U (ko) * 1987-09-23 1989-03-27
JPH11178450A (ja) * 1997-12-24 1999-07-06 Aisin Takaoka Ltd 植木鉢用植土カバー
JP2002142569A (ja) 2000-11-10 2002-05-21 Masayuki Sakamoto 植木鉢用雑草予防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611U (ko) 2014-11-06 2016-05-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용 덮개
KR20160001640U (ko) 2014-11-07 2016-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저속형 관수장치
KR101888119B1 (ko) * 2017-12-18 2018-08-14 이광우 화분 덮개
KR102266718B1 (ko) 2020-12-30 2021-06-17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화분용 덮개
KR200497558Y1 (ko) * 2023-09-27 2023-12-19 김정희 커버부재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100933250B1 (ko) 다리 난간용 화분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JP2012223177A (ja) 観葉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部材と植木鉢
CN204742116U (zh) 基质培、气雾培、水培三培结合的攀延植物栽培盆
JP2014121306A (ja) 素焼き鉢の吸水機能を利用して栽培・管理に自然吸水。
CN209463045U (zh) 花盆盖
CN109716976B (zh) 花盆盖
JP2002058349A (ja) 植木鉢用内容器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CN205912548U (zh) 一种石头花盆
CN210382018U (zh) 一种室外用的陶瓷花盆
TWM444706U (zh) 複合式植栽盆
CN201398333Y (zh) 节水花盆
KR20040075677A (ko)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KR200275726Y1 (ko)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CN208691965U (zh) 一种家用型阳台花盆摆放架
KR200350600Y1 (ko) 화분
CN206993817U (zh) 新型花盆
KR200412712Y1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KR200313531Y1 (ko) 풍란재배 화병
WO2007026417A1 (ja) 花卉植栽構造
KR20240022367A (ko) 공기 흐름을 개선한 난초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