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26Y1 -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 Google Patents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726Y1
KR200275726Y1 KR2020020005930U KR20020005930U KR200275726Y1 KR 200275726 Y1 KR200275726 Y1 KR 200275726Y1 KR 2020020005930 U KR2020020005930 U KR 2020020005930U KR 20020005930 U KR20020005930 U KR 20020005930U KR 200275726 Y1 KR200275726 Y1 KR 200275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flower
water tank
flower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
Original Assignee
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 filed Critical 강호
Priority to KR2020020005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72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가로 조경용 화분은 받침대 위에 대형화분을 얹어놓고 내부에 흙을 담은 후 꽃나무를 심어 가로변을 장식하여 도심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조성하고 꽃나무가 잘 성장하면서 꽃이 시들지 않고 장기간 보존하려면 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물을 수시로 공급하여 흙과 뿌리가 항상 습기에 젖어있게 해야 꽃이나 식물이 싱싱한 상태가 오래 유지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쉽게 시들어 말라 죽게 되므로써 오히려 미관을 해치는 일이 발생하였으며 꽃을 심는 대형 화분도 단일체로 형성되어 계절에 따라 다른 꽃나무로 선택해 이식하기 위해 삽으로 캐낼때는 남겨두어야 할 꽃나무의 뿌리에도 손상을 주게 되는 등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몸체 중앙의 물탱크 위에는 하부 화분을 안착하고 내둘레에 등간격으로 돌설된 다수의 돌기에는 별개로 형성된 상부 화분을 착, 탈되게 한 후 상부화분과 하부 화분에 각각 뚫린 관통공으로는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인하는 흡수 원단을 끼워 상측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꽃나무 뿌리에 근접되게 하고 하측은 물탱크 내에 침지시켜 꽃나무가 성장하고 꽃을 피우는데에 필요한 수분을 항상 알맞게 공급하므로써 제때에 물을 주지 않아도 시들어 말라죽지 않도록 고안한 것임.

Description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flowerpot formed water tank}
본 고안은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몸체의 중앙에 물탱크를 형성하고 하부화분과 상부화분에 심어진 꽃나무는 저면의 관통공으로 다수개 침지된 흡수원단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적당량의 수분을 공급받아 항상 신선한 꽃을 오래 유지되게 한 것이다.
종래의 가로 조경용 화분은 받침대 위에 대형화분을 얹어놓고 내부에 흙을 담은 후 꽃나무를 심어 가로변을 장식하여 도심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조성하고 꽃나무가 잘 성장하면서 꽃이 시들지 않고 장기간 보존하려면 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물을 수시로 공급하여 흙과 뿌리가 항상 습기에 젖어있게 해야 꽃이나 식물이 싱싱한 상태가 오래 유지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쉽게 시들어 말라 죽게 되므로써 오히려 미관을 해치는 일이 발생하였으며 꽃을 심는 대형 화분도 단일체로 형성되어 계절에 따라 다른 꽃나무로 선택해 이식하기 위해 삽으로 캐낼때는 남겨두어야 할 꽃나무의 뿌리에도 손상을 주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몸체 중앙의 물탱크 위에는 하부 화분을 안착하고 내둘레에 등간격으로 돌설된 다수의 돌기에는 별개로 형성된 상부 화분을 착, 탈되게 한 후 상부화분과 하부 화분에 각각 뚫린 관통공으로는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인하는 흡수 원단을 끼워 상측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꽃나무 뿌리에 근접되게 하고 하측은 물탱크 내에 침지시켜 꽃나무가 성장하고 꽃을 피우는데에 필요한 수분을 항상 알맞게 공급하므로써 제때에 물을 주지 않아도 시들어 말라죽지 않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절취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물탱크 3,3',3",3'''; 만곡 융출부 4,4',4",...; 돌기
5,5',5",...,10,10',10",...; 관통공 6; 받침대 7; 물내입공 8; 하부화분
9; 개구부 11; 상부화분 12,12',12",... 흡수원단
몸체(1)의 중앙은 물탱크(2)와 상둘레는 만곡 융출부(3),(3'),(3"),(3''')를형성하고 내부에는 돌기(4),(4'),(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설되고 저면은 관통공(5),(5'),(5"),...과 측변의 받침대(6)에 물내입공(7)이 뚫린 하부화분(8)을 안착하고 다수의 돌기(4),(4'),(4"),...에는 중앙은 개구부(9)로 되고 저면 둘레는 관통공(10),(10'),(10"),...이 뚫린 상부화분(11)을 복착하되 하부화분(8)의 관통공(5),(5'),(5"),...과 상부화분(11)의 관통공(10),(10'),(10"),...으로는 흡수원단(12),(12'),(12"),...을 각각 끼워 물탱크(2)에 침지시켜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수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13 은 배수공,
14 는 돌기부,
15 는 물. 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하부화분(8)의 관통공(5),(5'),(5"),...으로 흡수원단(12),(12'),(12"),...을 각각 끼워 하측은 몸체(1)의 물탱크(2) 저면에 닿을 만큼 늘어뜨리고 상측 흡수원단(12),(12'),(12"),...의 끝은 상부화분(11)의 개구부 (9) 저면 둘레의 관통공(10),(10'),(10"),...으로 각각 끼워 끝부분이 식재할 꽃나무 뿌리(도시하지 않았음)에 근접되게 약간 올려준 후 상부화분(11)의 둘레가 하부화분(8)의 내둘레에 다수개 돌설된 돌기(4),(4'),(4"),...에 안착되게 하고 몸체 (1)와 일체로 형성된 만곡 융출부(3),(3'),(3"),(3''') 외둘레로는 하부화분(8)의 하측 받침대(6)를 끼워 조립을 하고 물내입공(7)으로 물을 넣어 물탱크(2)에 채워주면 된다.
하부화분(8)에 꽃나무를 심을 때는 개구부(9)로 흙을 넣고 심게 되며 둘레로는 줄기가 늘어지는 사계절 상록수나 다른 종류의 꽃나무를 선택해 심을 수 있으며
흡수원단(12),(12'),(12"),...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꽃나무가 성장하고 꽃을 피우는데에 필요한 수분을 흡인해주게 되며 몸체(1)의 상둘레에 형성된 만곡 융출부 (3),(3'),(3"),(3''')는 상부 화분(8)의 만곡부분을 일체감 있게 받쳐주므로 하중을 지탱해 주고 웬만한 충격에는 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물탱크(2)의 물은 물내입공(7)을 통해 쉽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꽃나무가 심어진 뿌리에 근접되는 부분까지 항상 적합한 수분이 흡인 되므로 언제나 꽃이 싱싱한 상태가 유지되어 미관상 좋을 뿐만아니라 이식할때에 뿌리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유지관리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몸체(1)의 중앙은 물탱크(2)와 상둘레는 만곡 융출부(3),(3'),(3"),(3''')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돌기(4),(4'),(4"),...가 등간격으로 다수개 돌설되고 저면은 관통공(5),(5'),(5"),...과 측변의 받침대(6)에 물내입공(7)이 뚫린 하부화분(8)을 안착하고 다수의 돌기(4),(4'),(4"),...에는 중앙은 개구부(9)로 되고 저면 둘레는 관통공(10),(10'),(10"),...이 뚫린 상부화분(11)을 복착하되 하부화분(8)의 관통공(5),(5'),(5"),...과 상부화분(11)의 관통공(10),(10'),(10"),...으로는 흡수원단(12),(12'),(12"),...을 각각 끼워 물탱크(2)에 침지시켜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을 흡수되게 하여서 된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KR2020020005930U 2002-02-28 2002-02-28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KR200275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30U KR200275726Y1 (ko) 2002-02-28 2002-02-28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930U KR200275726Y1 (ko) 2002-02-28 2002-02-28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726Y1 true KR200275726Y1 (ko) 2002-05-13

Family

ID=7311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930U KR200275726Y1 (ko) 2002-02-28 2002-02-28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7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TWM630051U (zh) 用於集水及防止蒸發的植物栽培裝置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0275726Y1 (ko) 물탱크가 형성된 가로 조경용 화분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JPH11253054A (ja) 植物栽培用二重鉢
JP2002058349A (ja) 植木鉢用内容器
KR200402372Y1 (ko) 캔 화분
KR200142264Y1 (ko) 화분
JP3673251B2 (ja) 鉢植栽培方法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JP2003009687A (ja) 給水マット付植物トレイと貯水タンクの一体型底面給水プランター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KR100379852B1 (ko)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JP2000116232A (ja) 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0757Y2 (ko)
JPH0965766A (ja) W 鉢
CN2466889Y (zh) 植物吸水容器
KR200213753Y1 (ko) 화초분(花草盆)
KR200350600Y1 (ko) 화분
JP3048573U (ja) 水耕装置
JP3120272U (ja) 底面給水式植物栽培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