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781B1 -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 Google Patents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781B1
KR100457781B1 KR10-2001-0052340A KR20010052340A KR100457781B1 KR 100457781 B1 KR100457781 B1 KR 100457781B1 KR 20010052340 A KR20010052340 A KR 20010052340A KR 100457781 B1 KR100457781 B1 KR 10045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unit
soundproof
soil
soundproof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054A (ko
Inventor
김혜주
김경훈
강효석
김현수
양관섭
안근영
김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7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기초 및 지주설치 단계와, 주벽의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주벽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주벽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와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토양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고, 그 최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도입하여 식생방음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공법은 본 공법은 기존에 설치된 흡음형 금속제 방음판의 반사열, 눈부심과 경관 저해의 문제를 해결하고, 삭막한 도시 경관과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생물서식공간과 도시 내 생물다양성 증진 등 도시생태환경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METHOD TO CONSTRUCT VEGETATED SOUNDPROOFED WALL USING OF SOIL HEAPING TYPE AND THEREOF VEGETATION SOUNDPROOFED WALL}
본 발명은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설치된 흡음형 금속제 방음판의 반사열, 눈부심과 경관 저해의 문제를 해결하고, 삭막한 도시 경관과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생물서식공간과 도시 내 생물다양성 증진 등의 도시생태환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소음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키는 목적으로 조성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은 방음의 역할을 제외하고는 도시의 경관을 저해하는 도로시설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환경 개선을 위해 식생서식 기반 및 도시 비오톱(biotope)의 조성, 녹지축과의 연계성을 가진 생태적 개념의 방음벽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주벽의 내측 공간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제1 식생방음유니트와, 주벽면에 식물을 도입할 수 있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와, 기초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 및/또는 방음유니트를 적층하고, 그 상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여 시공되는 식생방음벽을 제공하여 도시경관과 생물서식처의 증대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의 심리적, 생태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식생방음벽의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식생방음벽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식생방음벽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방음유니트의 종단면도.
도 5는 식생방음벽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 100 : 제1 식생방음유니트
101 : 상단 개구부 102 : 단턱부
103 : 배수공 200 : 제2 식생방음유니트
201 : 상단 개구부 202 : 단턱부
203 : 절곡부 300 : 방음유니트
301 : 개구부 302 : 단턱부
S : 토양 P : 식물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은 기초 및 지주설치 단계와, 주벽의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주벽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주벽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와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토양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고,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의 최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도입하여 식생방음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기초와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제2 식생방음유니트 이외에 방음유니트를 함께 적층하여 식생방음벽을 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는 예를 들어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은 폐쇄되고, 우수 시 하부에 적층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수분 공급이 원활하도록 배수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는 예를 들어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절곡부가 구비되게 형성되고, 식생 도입을 위해 선정된 식생에 적합한 직경과 타공율로 타공되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 내측에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P.E. 소재의 망과 같은 유실방지망이 부착된다.
상기 방음유니트는 예를 들어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흡음효과를 높이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적합한 직경과 타공율로 타공된 절곡부가 구비되게 형성되고, 주벽 내부에는 방음재료가 구비된다.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와 방음유니트는 예를 들어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유니트는 그 주벽 하단부에 결합될 유니트의 상단 개구부에 끼워맞춤되어 적층되도록 단턱부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의 전,후면판은 타공율 30∼45%, 직경 1∼2cm로 형성된다.
상기 기초 위에 적층되는 제1,2 식생방음유니트 중 필요한 유니트에는 소정 깊이의 보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양 채움단계에서 상기 상·제2 식생방음유니트에는 식재부의 하중을 경감하기 위해 경량토를 채우며,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주변의 일반 토양을 활용할 수 있고, 또는 지룡토, 훈탄, 부엽토 등 기타 식생용토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1 식생방음유니트에는 강우 시 원활한 배수를 위해 하단부에 배수용 경량토를 이용한 40∼60mm 깊이의 배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1,2 식생방음유니트에 물이 적합한 정도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보수층과 배수층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또 제1,2 식생방음유니트에 배수공을 형성한 경우에도 개방된 형태로 사용하거나, 막음부재로 막은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에는 전체적으로 토양을 채우거나,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토양을 채운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 및 방음유니트의 형태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의 식물 식재단계에서 식물을 식재한 후 보습 유지와 토양 비산 방지를 위해 멀칭을 실시한다.
상기 식재단계에서 식재되는 식물의 선정 기준은 낮은 토심에서 생육가능하고, 천근성 식물로 내건성, 내한성과 내공해성이 강한 식물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돌나물 (Sedum sarmentosum), 잔디 (Zoysia 속)를 이용하고, 덩굴식물로서 송악 (Hedera rhombea), 줄사철 (Euonymus fortunei),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등이 이용된다. 상기 멀칭단계는 마사토와 바아크를 이용하여 멀칭한다.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의 식물 도입단계에서 표면에는 버드나무와 같은 영양번식이 가능한 생나무가지의 삽목을 실시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종자 분사공법을 이용하여 식생방음유니트의 표면을 녹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은 기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 및/또는 방음유니트가 적층되고, 그 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가 적층된 것과, 제1 식생방음유니트가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폐쇄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과,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에 우수시 하부에 적층된 유니트에 수분의 공급이 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된 것과,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가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식생의 도입을 위해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되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 내측에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유실방지망이 부착된 형태로 제작된 것과, 상기 방음유니트가 화분 형태로 주벽 내부에 방음재료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기초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것과,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 내부에 토양이 충진되고, 제1 식생방음유니트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되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는 주벽의 표면에 식물이 도입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 제작에 이용되는 재료를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알루미늄 시트, 스테인리스 시트, GI시트, STS 시트 등을 이용하고, ??-채널, 앵글, S.D 스크류 , 고무 패드, 물받이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위한 식물소재로는 예를 들어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돌나물 (Sedum sarmentosum), 잔디 (Zoysia 속)를 이용하고, 덩굴식물로서 송악 (Hedera rhombea), 줄사철 (Euonymus fortunei),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제2 식생방음유니트용 식물소재로는 예를 들어 종자 분사(Seed spray)용으로 도라지, 구절초, 패랭이, 김의털, 비수리, 쑥부쟁이, 쑥씨를 이용하고, 삽목용으로 버드나무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본 공법은 방음벽의 전면판, 후면판, 상부 모든 부분에 식생의 도입이 가능하며, 기존에 설치된 방음벽 구조물 (기초, 지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식생방음벽으로 주거민이 밀집한 도시지역의 경관 개선과 생태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을 먼저 설명하고, 식생방음벽 공법을 다음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도 1에는 식생방음벽의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식생방음벽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식생방음벽의 방음유니트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100은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것이고, 200은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것으로,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폐쇄되어 있고, 우수 시 하부에 적층된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에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배수공(10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을 주어 절곡부(203)가 구비되도록 제작되고, 식생의 도입을 위해 타공율 40%, 직경 1∼2㎝ 정도로 타공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면판 내부에는 P.E. 소재의 망(210)이 부착되어 토양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타공은 선정된 식생에 가장 적절한 직경을 선택해서 제작한다.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100),(200)에는 필요한 경우 막음부재로 배수공을 막아 일정량의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는 40∼60mm 깊이의 보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100),(200)에는 상단 개구부(101),(201)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적층을 위한 요철을 주어 단턱부(102),(202)를 형성함으로써 적층의 안정성과 함께 토양다짐의 역할을 병행하게 제작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제1,2 식생방음유니트(100),(200)의 내부에는 토양(S)이 충진되고,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의 상부에는 식물(P)이 식재되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에는 주벽의 표면에 버드나무 삽목을 실시한 후, 종자 분사(seed spray) 공법으로 처리하게 된다.
도 3에는 식생방음벽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10) 위에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가 6단으로 적층되고, 최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의 주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과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의 개구부에 식물(P)이 식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도 4는 방음유니트의 종단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5는 식생방음벽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4에서 100은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것이고, 200은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보인 것이고, 300은 방음유니트를 보인 것으로,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폐쇄되어 있다.
상기 방음유니트(300)는 주벽의 내부에 방음재료(310)가 채워져 구성된다.
이 방음유니트(300)의 방음구조는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음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방음유니트(300)에는 상단 개구부(301)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적층을 위한 요철을 주어 단턱부(302)를 형성함으로써 적층의 안정성과 함께 토양다짐의 역할을 병행하게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100),(200)의 그 외 다른 구성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생방음벽은 도 5와 같이, 기초(10) 위에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가 3단으로 적층됨과 아울러, 그 위에 방음유니트(300)가 3단으로 적층되고, 최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가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의 주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과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의 개구부에 식물(P)이 식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을 구체적인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기초 및 지주설치
기존의 방음벽 시공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한다.
나. 식생방음유니트 제작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폐쇄되어 있고, 우수 시 하부에 적층된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에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배수공을 만든다. 이때 제1,2 식생방음유니트(100),(200)의 하단부에는 적층을 위한 요철을 주어 적층의 안정성과 함께 토양다짐의 역할을 병행하게 제작한다.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을 주어 제작하고, 식생의 도입을 위해 타공율 40%, 직경 1∼2㎝ 정도로 타공한다. 전·후면판 내부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P.E. 소재의 망(210)을 부착하여 토양의 유출을 방지하고, 타공은 선정된 식생에 가장 적절한 직경을 선택해서 제작하며, 최제2 식생방음유니트(200)는 막음부재로 배수공을 막아 일정량의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는 40∼60mm 깊이의 보수층을 둔다.
다. 방음유니트 제작
상기 방음유니트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흡음효과를 높이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적합한 직경과 타공율로 타공된 절곡부가 구비되게 형성되고, 주벽 내부에는 방음재료가 구비된다. 상기 방음재료로는 기존의 방음판 흡음재로 사용되고 있는 Glass Wool,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한다.
라. 토양채우기
토양충진은 경량토와 지룡토를 85:15 (%)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서는 일반 토양을 지룡토, 훈탄, 부엽토 등 기타 식생용토와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제1 식생방음유니트에는 강우 시 원활한 배수를 위해 하단부에 40∼60mm 깊이로 배수용 경량토를 채운다.
마. 식재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에는 세덤류, 잔디 (Zoysia 속), 덩굴식물 등을 식재하며, 이 때 식재되는 식물의 선정 기준은 낮은 토심에서 생육가능하고, 뿌리가 깊지 않은 천근성 식물로 내건성, 내한성과 내공해성이 강한 식물을 선정한다.
바. 멀칭
토양의 비산방지와 보습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경량토와 지룡토가 혼합된 식생방음유니트에는 마사토를 이용한 멀칭을 실시하고, 공사잔토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아크를 이용하여 멀칭한다.
사. 방음벽 설치
중장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1,2 식생방음유니트(100),(200)와 방음유니트(300)를 필요에 따라 적층하며,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기초(10)위에는 우선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를 6단으로 적층하거나, 도 5와 같이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 3단과 방음유니트(300) 3단을 적층한 후, 그 최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100)를 적층하여 식생방음벽을 완성한다.
아. 식물 도입
제2 식생방음유니트(200)에는 타공된 구멍을 통해 버드나무 삽목을 실시한 후, 표면에는 종자 스프레이(seed spray) 공법으로 녹화 처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공법은 기존에 설치된 흡음형 금속제 방음판의 반사열, 눈부심과 경관 저해의 문제를 해결하고, 삭막한 도시 경관과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생물서식공간과 도시 내 생물다양성 증진 등 도시생태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기초 및 지주설치 단계와;
    주벽의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주벽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주벽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주벽 내부에 방음재료가 구비되고 ,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기초와 상기 제1,제2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되는 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와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토양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위에 제2 식생방음유니트와 방음유니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하고, 그 최상단부에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도입하여 식생방음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위에 적층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의 최하단 유니트에는 막음부재로 배수공을 막아 일정량의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는 40∼60mm 깊이의 보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유니트는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흡음효과를 높이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적합한 직경과 타공율로 타공된 절곡부가 구비되게 형성되고, 주벽 내부에는 방음재료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9. 삭제
  10. 삭제
  11. 기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와 방음유니트가 적층되고, 그 상단부에 제1 식생방음유니트가 적층된 것과,
    제1 식생방음유니트가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폐쇄되고, 우수시 하부에 적층된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수분의 공급이 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작된 것과,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가 화분 형태로 전면판과 후면판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절곡부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식생의 도입을 위해 복수개의 구멍이 타공되며, 전·후면판 내부에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유실방지망이 부착된 형태로 제작된 것과,
    상기 방음유니트가 화분 형태로 주벽 내부에 방음재료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기 기초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것과,
    상기 제1,2 식생방음유니트 내부에 토양이 충진되고, 제1 식생방음유니트의 상부에 식물이 식재되며, 제2 식생방음유니트의 주벽 표면에 식물이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12. 주벽의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여 식생방음벽을 형성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에 있어서,
    기초 및 지주설치 단계와;
    주벽의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주벽 내부에 토양이 담기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기 주벽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 사이에 결합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와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토양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고, 그 최상단부에 상기 제1 식생방음유니트를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식생방음유니트에 식물을 도입하여 식생방음벽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기초 위에 적층되는 제2 식생방음유니트의 최하단 유니트에는 막음부재로 배수공을 막아 일정량의 수분을 유지시킬 수 있는 40∼60mm 깊이의 보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KR10-2001-0052340A 2001-08-29 2001-08-29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KR10045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340A KR100457781B1 (ko) 2001-08-29 2001-08-29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340A KR100457781B1 (ko) 2001-08-29 2001-08-29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054A KR20030020054A (ko) 2003-03-08
KR100457781B1 true KR100457781B1 (ko) 2004-11-18

Family

ID=2772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340A KR100457781B1 (ko) 2001-08-29 2001-08-29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11B1 (ko) * 2010-01-22 2013-01-03 마승희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417U (ko) * 1986-12-25 1988-07-06
JPH05112913A (ja) * 1991-10-23 1993-05-07 Nippon Steel Corp 緑化植物栽培部を有する防音パネル
JPH07238512A (ja) * 1994-02-28 1995-09-12 Sekisui Jushi Co Ltd 緑化防音壁
JP2000080612A (ja) * 1998-09-04 2000-03-21 Asanuma Corp 部分緑化型防音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417U (ko) * 1986-12-25 1988-07-06
JPH05112913A (ja) * 1991-10-23 1993-05-07 Nippon Steel Corp 緑化植物栽培部を有する防音パネル
JPH07238512A (ja) * 1994-02-28 1995-09-12 Sekisui Jushi Co Ltd 緑化防音壁
JP2000080612A (ja) * 1998-09-04 2000-03-21 Asanuma Corp 部分緑化型防音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11B1 (ko) * 2010-01-22 2013-01-03 마승희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054A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62341B2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CN102454143B (zh) 改善地球暖化人工铺面制造方法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WO2009111995A1 (en)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100457781B1 (ko) 토양 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KR100476122B1 (ko)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4927038B2 (ja) 緑化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植え込み構造、並びに緑化工法
JPH06228919A (ja) 緑化防音壁用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緑化防音壁
KR100538541B1 (ko) 방음벽의 조기녹화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KR200291855Y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JPH1018321A (ja) 緑化用壁材
KR100480835B1 (ko) 철망 블럭을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20050105874A (ko) 플랜터형 식생방음벽
KR100533336B1 (ko) 세덤매트를 이용한 조경의 시공방법
JP2012120462A (ja) 緑化地盤ユニット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KR101225457B1 (ko) 식생상자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156100A (ja) 緑化ミニ庭園
KR20090028988A (ko) 계단식 옹벽의 화단 구성 방법
JP2005200953A (ja) 法面緑化用擁壁構造
KR100463394B1 (ko) 식생 방음벽 시공용 철망 블럭
JP2004129507A (ja) 屋上の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