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252B1 -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 Google Patents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252B1
KR100652252B1 KR1020050032236A KR20050032236A KR100652252B1 KR 100652252 B1 KR100652252 B1 KR 100652252B1 KR 1020050032236 A KR1020050032236 A KR 1020050032236A KR 20050032236 A KR20050032236 A KR 20050032236A KR 100652252 B1 KR100652252 B1 KR 10065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odule
soundproof
pla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602A (ko
Inventor
서광석
Original Assignee
서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석 filed Critical 서광석
Priority to KR102005003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2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식생 매트(160)가 결합되어 식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되고 비탈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110)과, 식물을 직접 토양에 식재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111)과, 격자형상의 저수조(140)와 배수구(150)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112)과, 토양이 채워질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113) 및 좌·우측면(114)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114)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0)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면(111)의 상향 돌출연결부(121)와 하면(112)의 연결홈(122)으로 구성된 식생 모듈(100)과; 상기 식생 모듈(100)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아 아래쪽으로 방출하기 위해 개방되고 배수경사면(215)를 이루며 배수채널(216)의 상부홈을 형성하는 상면(210)과, 방음판(220)이 설치되는 전면(211)과, 흡음재(221)가 내장될 중공부와 배수채널(2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212) 및 좌·우측면(213)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중공부와 배수채널(216)을 구분하는 칸막이벽(217)과, 상기 배수채널(216)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방출되도록 배수구(230)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214)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213)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40)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상면(210)의 상향 돌출연결부(241)와 하면(214)의 연결홈(242)으로 구성된 방음판 설치 모듈(200)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을 제공함으로써,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재가 아닌 식생매트를 이용한 종자 파종을 하여 식물의 환경 적응력을 극대화 하고,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물의 뿌리 활착에 적당한 비탈각도를 부여하여 식생 모듈의 상면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식물이 고사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또한,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물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식생 모듈에 저수조를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기 전 또는 식물의 생존동안 건조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며, 식생 매트와 식재를 병행함으로써 식생 방음벽 또는 구조물벽면 전체면의 녹화가 가능해 환경친화적인 경관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 및 대기질의 정화등 생활환경의 개선과 도심생태계 복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Description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VEGETATION MODULE AND VEGETATION SOUND PROOF WALL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종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저면사시도.
도 4a,b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매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식생 매트가 설치되고 식재 기반재가 채워진 상태의 식생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식생 모듈과 결합하는 방음판 설치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종단면도.
도 9 는 도 7 의 저면사시도.
도 10 은 식생 모듈 및 방음판 설치 모듈과 결합하는 연결부 방음판.
도 11a,b 는 상기 모듈과 방음판이 결합되어 지주에 삽입된 식생 방음벽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방음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a,b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종단면도.
도 14 는 도 13의 구조물 벽면용 식생모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식생 모듈 110 : 식생 모듈의 전면
111 : 식생 모듈의 상면 112 : 식생 모듈의 하면
113 : 식생 모듈의 배면 114 : 식생 모듈의 좌·우측면
120 : 식생 모듈의 돌출부 121 : 식생 모듈의 상향 돌출연결부
122 : 식생 모듈의 연결홈 130 : 보강지지대
131 : 앵커볼트 140 : 저수조
141 : 계단형 저수조 150 : 식생 모듈의 배수구
151 : 배수구 형성면 160 : 식생 매트
161 : 섬유질망 162, 164 : 식생 용지
163 : 종자층 165 : 식생 매트 덮개
170 : 대칭인 식생 모듈 180 : 식재 기반재
200 : 방음판설치 모듈 210 : 방음판설치 모듈의 상면
211 : 방음판설치 모듈의 전면 212 : 방음판설치 모듈의 배면
213 : 방음판설치 모듈의 좌·우측면 214 : 방음판설치 모듈의 하면
215 : 배수경사면 216 : 배수채널
217 : 칸막이벽 220 : 방음판
221 : 흡음재 230 : 방음판설치 모듈의 배수구
240 : 방음판설치 모듈의 돌출부
241 : 방음판설치 모듈의 상향 돌출연결부
242 : 방음판설치 모듈의 연결홈 250 : 대칭인 방음판설치 모듈
260 : 통기구 300 : 연결부 방음판
310 : 연결부 방음판의 지지대 400 : 지주
410 : 콘크리트 기초
본 발명은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재가 아닌 식생매트를 이용한 종자 파종을 함으로써 식물의 환경 적응력을 극대화 하고,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물의 뿌리 활착에 적당한 비탈각도를 줌으로써 식생 모듈의 식생매트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식물이 고사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물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식생 모듈에 저수조를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기 전 또는 식물의 생존동안 건조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며, 식생 매트와 식재를 병행함으로써 식생 방음벽 또는 구조물벽면 전체면의 녹화가 가능해 환경친화적인 경관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 및 대기질의 정화등 생활환경의 개선과 도심생태계 복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각종 소음 공해로 도로변이나 아파트 경계 외벽등에 방음벽의 설치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고, 통상적으로 기설치된 방음벽은 전면이 단조로이 알루미늄 슬릿판·철재·콘크리트·투명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거나 도심녹화의 일환으로 상기 방음벽과 병행하여 화분형태로 상부에 식재를 하거나 식생 매트를 벽 외부에 수직으로 부착하거나 사전제작된 식생블록을 철제등의 지지구조체 사이에 적층하는 방식이다.
상기 알루미늄 방음벽이나 콘크리트 방음벽 등은 날로 증가하는 교통소음으로 가로녹지를 대체하면서 도시 생활에 필수적인 생활공간과 녹지와의 생태적·사회적 연계가 심각하게 위협받게 되었으며, 상기의 화분형태로 상부에 식물을 식재하는 방식이나 식생 매트를 벽 외부에 수직으로 부착하는 방식은 대부분 농장에서 일년생정도의 식물을 납품받아 식재가 이루어져 이식에 의한 환경변화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져 병충해 등에 고사할 확률이 높고, 강우시 저수공간이 없어 봄·가을의 건조한 환경에서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기 전에 건조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사전제작된 식생블록을 철제등의 지지구조체 사이에 적층하는 방식도 저수공간 이 없어 식물이 물을 충분히 흡수하기 전에 물이 흘러내기거나 증발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식물의 뿌리 활착과 성장은 일정 정도의 각도를 유지한 방사형태로 이루어지는 데 비해 식물이 식재되는 종래의 모듈은 수직체이어서 식물의 뿌리 성장이 방해를 받아 건조피해가 겹치게 되면 식물의 고사 확률은 더더욱 높아지게 된다.
더불어, 식재만의 녹화방식으로는 상기 문제점뿐만 아니라 식재된 식물의 성장한계로 인해 방음벽 또는 구조물벽면 전체면의 녹화로 인한 환경친화적인 경관의 조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식생매트만의 녹화방식과 이를 병행한 녹화방식은 방음벽 또는 구조물벽면 전체면의 녹화는 가능하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재가 아닌 식생매트를 이용한 종자 파종을 함으로써 식물의 환경 적응력을 극대화 하고,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물의 뿌리 활착에 적당한 비탈각도를 부여하여 식생 모듈의 상면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식물이 고사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식생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물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식생 모듈에 저수조를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기 전 또는 식물의 생존동안 건조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고, 식생 매트와 식재를 병행함으로써 식생 방음벽 또는 구조물벽면 전체면의 녹화가 가능해 환경친화적인 경관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 및 대기질의 정화등 생활환경의 개선과 도심생태계 복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생 매트가 결합되어 식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되고 비탈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과, 식물을 직접 토양에 식재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과, 격자형상의 저수조와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과, 토양이 채워질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 및 좌·우측면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지주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면의 상향 돌출 연결부와 하면의 연결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식생 모듈은 식생 모듈의 배면에 계단형 저수조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식생 모듈의 형상을 풍압이나 자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부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보강지지대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생 매트를 덮을 수 있도록 식생 매트 덮개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식생 모듈을 구조물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시키기 위해 식생 모듈의 배면에 볼트삽입구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식생 모듈의 배면을 중심면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인 모듈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식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식생 모듈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아 아래쪽으로 방출하기 위해 개방되고 배수경사면를 이루며 배수채널의 상부홈을 형성하는 상면과, 방음판이 설치되는 전면과, 흡음재가 내장될 중공부와 배수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 및 좌·우측면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중공부와 배수채널을 구분하는 칸막이벽과, 상기 배수채널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방출되도록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과, 지주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상면의 상향 돌출 연결부와 하면의 연결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판 설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의 좌·우측면 상부에 원활한 산소공급을 위한 통기구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식생 모듈과 마찬가지로,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은 방음판 설치 모듈의 배면을 중심면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인 모듈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방음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 매트는 배면측 섬유질망과, 상기 망의 표면에 적층되는 수용성 식생 용지와, 상기 식생 용지 표면의 인공토층에 종자가 파종됨으로써 형성되는 종자층과, 상기 종자층 표면에 한 번 더 적층되는 수용성 식생 용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주와, 상기 한 쌍의 지주의 삽입홈에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이 먼저 끼 워지고, 그 상측으로 상기 식생 모듈이 적층되며, 또 그 상측으로 지주의 삽입홈에 끼워지고 식생 모듈의 상향 돌출 연결부와 연결홈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연결부 방음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종단면도이고, 도 3 은 이의 저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 모듈(100)의 전면(110)에는 식생매트(160)가 일정한 비탈각도를 이루면서 삽입 결합되는데 결합되기전 식생모듈(100)의 전면(110) 개구부에는 망상판(도시되지 않음)이 기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식생매트(16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나사(도시되지 않음)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생매트(160)가 결합되는 비탈각도는 방사형태의 뿌리생육에 지장을 주지않기 위해 최대 7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 모듈(100)의 저면에는 직육면체의 저수조(140)가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저수조 상판에는 배수구(150)가 천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구 형성면(151)에는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이루어진 여과쉬트(도시되지 않음)를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조(140)의 규격은 가로 109mm, 세로 90mm, 높이 100mm의 직육면체로 폭방향으로 2개, 길이방향으로 6개, 총 12개가 배열되고, 배수구는 3~4열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시공 현장 의 특성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생 모듈(100)의 재질은 경량화·경제성을 고려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강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공질의 콘크리트나 철재 또는 목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식생 모듈(100)의 중공부를 가로지르면서 다수의 보강지지대(130)를 설치하여 풍압이나 자중에 의해 모듈의 형상이 뒤틀리거나 변형되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상기 보강지지대(130)의 형상은 지그재그형상일 수도 있고 격자형상일 수도 있으며, 상기 식생 모듈(100)의 규격은 상면폭 125mm, 돌출부(120)를 제외한 상·하면길이 880mm, 높이 50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시공 현장의 특성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생 모듈의 배면(113)에 계단형 저수조(14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계단형 저수조(141)는 식생 모듈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계단형 저수조(141)를 제작하여 식생 모듈의 배면(113)에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계단형 저수조(141)의 재질은 식생 모듈과 동일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매트의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측 섬유질망(161)은 천연 섬유질의 재질로 식물 뿌리의 생육과 토양의 유출방지에 유용한 망목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식생 용지(162,164)는 물을 충분히 머금을 수 있는 수용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종자층(163)에는 내건 성·내한성·내공해성 등이 강한 식물의 종자를 인공토층에 뿌려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식생 매트가 설치되고 식재 기반재가 채워진 상태의 상기 식생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식생 매트(160)의 전체면을 덮을 수 있는 식생 매트 덮개(165)가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식생 매트 덮개(165)의 제작시에는 슬릿판간의 틈을 식생 매트(160)에서 식물이 발아하여 외부로 생육이 가능한 20-30mm정도로 둠과 동시에, 슬릿판 자체에도 경사를 가지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 모듈(100)의 중공부에 채워질 식재 기반재(180)인 토양은 경량토와 질석·부엽토·피트모스 등이 포함된 완효성 비료와 수분 보습제인 테라코템 및 미생물제인 펩타이드 아미노산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재 기반재(180)인 토양에 식재되는 식물종은 내건성·내한성·내공해성이 강한 식물인 담쟁이, 송악, 술패랭이꽃, 층꽃나무, 눈개쑥부쟁이, 줄사철, 기린초, 애기기린초, 땅채송화 등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상기 식생 모듈과 결합하는 방음판 설치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은 이의 종단면도이며, 도 9 는 이의 저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기 식생 모듈(100)에서 배수되는 물이 아래로 방출되도록 배수경사면(215)과 배수채널(216)이 형성되어 있고, 식생 모듈의 배수구(150)를 통한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좌·우측면(213)의 상부에 통기구(26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식생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이나 강 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공질의 콘크리트나 철재 또는 목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전면(211)에는 방음판(220)이 설치되고, 방음판(220)과 칸막이벽(217)과 상면(210)의 경사배수면(215)과 좌·우측벽(213)으로 형성된 중공부에는 흡음재(221)가 내장되는데, 상기 방음판(220)은 통상적으로 국내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늄 슬릿판을 사용하거나, 고가인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목재 방음판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흡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Glass Wool, Rock Wool, 폴리에스터등을 내장할 수 있고, 내부 흡음재에 물기가 생겼을 때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PVF 필름 등을 사용하여 흡음재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은 상기 식생 모듈과 방음판 설치 모듈과 결합하는 연결부 방음판으로서, 상기 연결부 방음판(300)의 양측단 지지대(310) 사이에도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음판을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인 식생방음벽의 방음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은 한 쌍의 지주에 삽입된 식생 방음벽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설치 상태를 설명하면, 준비된 상기 식생 모듈(100)의 저면의 배수구 형성면(151)에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이루어진 여과쉬트를 접합하고, 전면(110)에 상기 식생 매트(160)를 결합하며 상면(111)만 개방된 식생 모듈(100)에 식재 기반재(180)를 채우면서 식물을 식재하는 제 1 단계, 지반에 설치된 한 쌍의 지주(400)의 삽입홈에 방음판(220)이 설치된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좌·우측면 돌출부(240)를 끼워 삽입하는 제 2 단계, 식재가 끝난 상기 식생 모듈(100)의 좌·우측면 돌출부(120)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움과 동시에 방음판 설치 모듈(200) 상면(210)의 상향 돌출연결부(241)를 식생 모듈(100)의 연결홈(122)에 결합하는 제 3 단계, 상기 연결부 방음판(300)의 좌·우측단 지지대(310)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움과 동시에 연결부 방음판(300)의 좌·우측단 지지대(310)의 연결홈을 상기 식생 모듈(100)의 상향 돌출연결부(121)에 결합되는 제 4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단계에 의해 완성되는 식재 기반재(180)가 채워진 식생 모듈(100)과 방음판 설치 모듈(200) 및 연결부 방음판(300)을 다수 준비한 후 상기 제 2 단계에서 제 4 단계를 반복하면 원하는 면적의 식생 방음벽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주(400)는 지반의 콘크리트(410)와 같은 기초위에 세워지고 상기 모듈(100,200)이나 연결부 방음판(300)을 삽입하기에 적합한 H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방음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식생 모듈과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의 배면을 중심면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인 모듈(170,250)을 형성시킨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결합시켜 양측으로 식생 방음벽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인 경관 조성이라는 효과가 배가되게 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종단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의 구조물 벽면용 식생모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이는 주로 아파트 벽면 등 구조물 벽면에 식생 모듈의 배면(113)을 앵커 볼트(131)를 이용하여 밀착·고정시키면서 구조물 벽면 전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식생 모듈만을 설치함으로써 벽면 전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 방음벽에서 강우시 식생 모듈(100)로 유입된 물의 배수·저수 과정을 살펴보면, 강우시 최상부의 식생 모듈(100)로 유입된 물은 식재 기반재(180)의 공극에 보유되거나 저수조(140)에 저장되고 나머기 잉여수는 배수구(150)를 통해 아래로 방출되고, 방출된 물은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배수채널(216)을 통해 하단부 식생 모듈(100)의 상면(111)으로 방출되며, 그 방출수가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여 다시 그 하향으로 적층된 식생 모듈(100)로 방출되거나 지면으로 방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구(150)는 토양에 산소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
한편, 구조물 벽면용으로 설치된 식생 모듈(100)로 유입된 물은 구조물 벽면에 식생 모듈만이 일정 간격을 두고 적층되면서 앵커볼트(131)로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상부 식생 모듈에서 배수된 물은 다시 그 아래의 식생 모듈로 방출되며, 최하단의 식생 모듈의 바닥면에는 배수를 위하여 지면과 간격을 두기 위한 돌출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야 한다.
갈수기에는 식재 기반재(180)에 보유된 수분이 없다하더라도 상기 저수조(140)의 저장된 물이 토양과 식물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고온건조시에 식물이 건조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강우시에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갈수기에는 부족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계단형 저수조(141)가 추가로 설치된 식생 모듈(100)에 있어서는 식생 모듈의 상부에서부터 저수조가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강우시에 식생 모듈의 상부에서도 저수가 가능하여 갈수기에 대비해 더 많은 수분을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에의 수분의 공급이 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식생 방음벽의 방음성능은 식생 방음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독일의 '도로변 방음벽 시공기술규정(ZTLsw 88)'에 의하면 방음벽의 흡음력은 최고수준에 해당하고, '철도변의 건축적 소음방지 기준(RLE)'에도 부합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므로, 이에 기존의 식생 방음벽과 재질면에서는 유사한 본 발명의 방음성능도 일반 방음벽에 비해 우수하다 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식생 모듈(100) 저면의 배수구 형성면(151)에 열접합된 폴리프로필렌 장섬유로 이루어진 여과쉬트를 접합시켜 미세토양의 유실방지 및 뿌리의 과신장을 방지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 방음판(300)을 제작·설치할 때에는 소음이 노출되어 방음효과를 충분히 살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틈새나 연결부 처리를 확실히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식생 매트(160)에는 식재에 의한 방식이 아니라 종자 파종을 함으로써 이식으로 인한 환경변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식물이 고사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고, 식생 매트 덮개(165)를 사용하는 경우 고정볼트(도시되지 않음)나 경첩 등을 이용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생 매트(160)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 매트 덮개(165)의 슬릿판에 경사를 주어 식물에서 낙하하는 종자가 용이하게 다시 식생 매트(160)로 떨어지게 하여 발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은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재가 아닌 식생매트를 이용한 종자 파종을 함으로써 식물의 환경 적응력을 극대화 하고, 식생 모듈의 전면에 식물의 뿌리 활착에 적당한 비탈각도를 부여하여 식생 모듈의 상면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식물이 고사할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물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하기 위해 식생 모듈에 저수조를 구비함으로써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기 전 또는 식물의 생존동안 건조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며, 식생 매트와 식재를 병행함으로써 식생 방음벽 또는 구조물벽면 전체면의 녹화가 가능해 환경친화적인 경관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열섬현상 완화 및 대기질의 정화등 생활환경의 개선과 도심생태계 복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14)

  1. 식생 매트(160)가 결합되어 식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되고 비탈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110)과, 식물을 직접 토양에 식재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111)과, 격자형상의 저수조(140)와 배수구(150)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112)과, 토양이 채워질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113) 및 좌·우측면(114)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114)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0)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면(111)의 상향 돌출연결부(121)와 하면(112)의 연결홈(1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의 배면(113)에 계단형 저수조(141)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의 형상을 풍압이나 자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부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보강지지대(130)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의 전면(110)에 식생 매트(160)를 덮을 수 있도록 식생 매트 덮개(165)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을 구조물 벽면에 앵커볼트(131)로 고정시키기 위해 식생 모듈의 배면(113)에 볼트삽입구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의 배면(113)을 중심면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인 모듈(170)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식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
  7. 식생 매트(160)가 결합되어 식생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되고 비탈각도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110)과, 식물을 직접 토양에 식재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111)과, 격자형상의 저수조(140)와 배수구(150)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112)과, 토양이 채워질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113) 및 좌·우측면(114)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114)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0)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면(111)의 상향 돌출연결부(121)와 하면(112)의 연결홈(122)으로 구성된 식생 모듈(100)과,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식생모듈의 하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주(400)와,
    상기 식생모듈(100)의 하면(112)의 연결홈에 상향 돌출연결부(241)로 연결되고 상기 지주(400)에 돌출부(240)의 상부가 끼워져 식생 모듈(100)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아 아래쪽으로 방출하기 위해 개방되고 배수경사면(215)을 이루며 배수채널(216)의 상부 홈을 형성하는 상면(210)과, 방음판(220)이 설치되는 전면(211)과, 흡음재(221)가 내장될 중공부와 배수채널(216)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면(212) 및 좌·우측면(213)을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중공부와 배수채널(216)을 구분하는 칸막이벽(217)과, 상기 배수채널(216)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방출되도록 배수구(230)가 구비되어 있는 하면(214)과, 지주(400)의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좌·우측면(213)에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40)와, 다른 모듈과 적층할 때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상면(210)의 상향 돌출연결부(241)와 하면(214)의 연결홈(242)으로 구성된 방음판 설치 모듈(200)과,
    상기 식생모듈(100)의 상향 돌출연결부와 연결홈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연결부 방음판(300)을 포함하는 식생 방음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의 배면(113)에 계단형 저수조(141)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의 형상을 풍압이나 자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부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보강지지대(130)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의 전면(110)에 식생 매트(160)를 덮을 수 있도록 식생 매트 덮개(165)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을 구조물 벽면에 앵커볼트(131)로 고정시키기 위해 식생 모듈의 배면(113)에 볼트삽입구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모듈(100)의 배면(113)을 중심면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인 모듈(170)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식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모듈.
  13. 상기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좌 ㆍ우측면(213)의 상부에 원활한 산소공급을 위한 통기구(260)가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
  14. 상기 제 7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 설치 모듈(200)의 배면(212)을 중심면으로 하여 양측으로 대칭인 모듈(250)이 형성되어 양측으로 방음판(2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방음벽.
KR1020050032236A 2005-04-19 2005-04-19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10065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36A KR100652252B1 (ko) 2005-04-19 2005-04-19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2236A KR100652252B1 (ko) 2005-04-19 2005-04-19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02A KR20050051602A (ko) 2005-06-01
KR100652252B1 true KR100652252B1 (ko) 2006-12-01

Family

ID=3866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236A KR100652252B1 (ko) 2005-04-19 2005-04-19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53B1 (ko) 2009-01-28 2011-11-3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디자인 월 및 그 제조방법
KR101127630B1 (ko) * 2008-07-03 2012-03-23 박병훈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395B1 (ko) * 2006-08-21 2008-01-21 송기봉 화분이 구비된 경사면 설치구조물
KR100853728B1 (ko) * 2006-10-02 2008-08-22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조립형 벽면녹화 장치
KR100758538B1 (ko) * 2006-12-28 2007-09-13 유영실 관상식물의 식생 방법
KR101006630B1 (ko) * 2008-12-29 2011-01-07 장익식 에코기능 방음벽
KR100922627B1 (ko) * 2009-05-25 2009-10-21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도로소음 방지용 v자형 조경방음벽
KR101008967B1 (ko) * 2010-03-04 2011-01-17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식생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
KR101419119B1 (ko) * 2012-08-07 2014-07-11 벽화수주식회사 수직형 녹화구조물
CN103026889A (zh) * 2013-01-08 2013-04-10 严斯文 墙壁草皮栽培方法
CN105386415B (zh) * 2015-11-16 2018-02-13 黄立 一种生态型声屏障装置及用于市政道路的绿化隔离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829A (ja) 1997-08-23 1999-03-05 Nisshoku Corp 植生用ネット
JPH11131484A (ja) 1997-10-24 1999-05-18 Nisshoku Corp 植生基体および該植生基体を用いた法面の緑化工法
KR20010004831A (ko) * 1999-06-30 2001-01-15 허태학 방음벽 녹화공법
KR20020010749A (ko) * 2000-07-31 2002-02-06 조남준 방음벽
KR20040100661A (ko) * 2003-05-23 2004-12-02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829A (ja) 1997-08-23 1999-03-05 Nisshoku Corp 植生用ネット
JPH11131484A (ja) 1997-10-24 1999-05-18 Nisshoku Corp 植生基体および該植生基体を用いた法面の緑化工法
KR20010004831A (ko) * 1999-06-30 2001-01-15 허태학 방음벽 녹화공법
KR20020010749A (ko) * 2000-07-31 2002-02-06 조남준 방음벽
KR20040100661A (ko) * 2003-05-23 2004-12-02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세덤류 식생매트와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유닛과 적층식식생방음벽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30B1 (ko) * 2008-07-03 2012-03-23 박병훈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KR101087953B1 (ko) 2009-01-28 2011-11-3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디자인 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02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EP1642493B1 (en) Greening apparatus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KR100676993B1 (ko) 식물 재배 매트 및 이의 설치 방법
JP2762341B2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KR100520420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KR101996068B1 (ko)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JP3184895B2 (ja) 緑化防音壁
JP4226708B2 (ja) 壁面等の緑化用コンテナ
CN213427230U (zh) 一种模块化生态绿墙系统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CN104285708A (zh) 一种半隔断式屋顶绿化栽培槽
CN212232291U (zh) 一种生态砖
KR20090040980A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WO2006041292A1 (en) Sound-damping screen covered with growth, comprising panels covered with plants and a support construction
KR200348313Y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JP2003061459A (ja) 緑化用ユニットおよび緑化壁
CN210112587U (zh) 一种建筑屋顶绿色种植结构
JPH08120693A (ja) 擁 壁
KR200275161Y1 (ko) 녹화용 옹벽블럭
KR100966800B1 (ko) 식생옹벽 시스템
CN217150071U (zh) 可收集雨水的箱式砌块及护岸
JPH1018321A (ja) 緑化用壁材
JP2006101812A (ja) 植物育成構造体及び緑化システム
CN216532806U (zh) 一种绿色建筑用屋顶绿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