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980A -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980A
KR20090040980A KR1020070106435A KR20070106435A KR20090040980A KR 20090040980 A KR20090040980 A KR 20090040980A KR 1020070106435 A KR1020070106435 A KR 1020070106435A KR 20070106435 A KR20070106435 A KR 20070106435A KR 20090040980 A KR20090040980 A KR 2009004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layer
rooftop
recycl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403B1 (ko
Inventor
변문기
Original Assignee
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문기 filed Critical 변문기
Priority to KR102007010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4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에서 공급되는 빗물을 토양층 하부에 설치된 빗물 저수층이 흡수 및 유지하고, 빗물 저수층에 저장된 빗물을 토양층에 공급함으로써, 옥상녹화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됨에 따라, 관리비용 절감 및 수자원 절약이 이루어지고, 옥상녹화 시스템이 블록화되어 장소 또는 규모에 큰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설치가 가능해지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옥상녹화, 배수판, 지지판, 빗물 저수층, 토양층, 고흡수성 수지층, 코코넛 섬유층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Rooftop Greening System For Returning a Rain Water Using Super Absorbent Polymer}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에서 공급되어 토양층을 통해 떨어지는 빗물을 고흡수성 수지층 및 코코넛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빗물 저수층이 흡수 및 유지하여, 빗물 저수층에 저장된 빗물을 토양층에 공급함으로써, 옥상녹화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되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녹화 시스템은 단층이나 고층건물의 옥상에 조경하는 녹화시설을 말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표면에서 분리된 인공구조물상의 조경시설 구조물로서, 자연지반에서 분리된 부분에 인공적인 지형지질로서의 지반을 새로이 조성하여 조경공간으로 이용하는 시설(Community Space Arrangement)이다.
이러한 옥상녹화 시스템은 건물 옥상에 녹지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대기오염 도가 감소되어 도시의 열섬현상이 완화되고, 태양열의 차단 및 단열작용으로 인해 건물의 냉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약되며, 녹화시스템 수목의 광합성 및 증발작용으로 인해 도시내의 습도가 조절되고, 강우가 상기 수목에 일시 저장되어 도심부의 홍수가 예방된다.
덧붙여, 옥상녹화 시스템에 곤충이나 식물을 위한 생태환경 및 별도공간이 조성되어 도시생태계가 복원되고, 도시민에게 휴식공간이 제공되며, 아울러, 수목조성으로 인해 건축물이 보호되고, 도시의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에도 상기의 이유는 물론 도시경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옥상을 녹화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 제안 및 진행되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옥상녹화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옥상녹화 시스템의 구조 개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보급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개시도이다.
한국공개특허 2001-0065760호에서 개시된 옥상녹화 시스템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바닥면(22)으로부터 층별로 P.E. 필름(23), 단열용 판재(24), 구배조절용 E.P.S. 판넬조립체(25), 상하양면에 P.P.분리막(26, 27)이 형성된 PCV/P.O. 박막(28), E.P.S. 재질의 고밀도 단열재로서 홈을 갖춘 저,배수용 단열판(29), 여과투수용 P.P. 부직포(30) 및 식물성장 토양분(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옥상녹화 시스템의 구조는 저,배수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갈수기를 제외하곤 빈번한 관수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층으로 복잡한 구 조를 이루고 있어 조성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하중부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보급형 옥상녹화 시스템(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외피(1)로부터 순차적으로 단열층(2), 방수층(3), 저수층(4), 방근층(5), 필터층(6), 투수층(7), 식재층(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급형 옥상녹화 시스템은 비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온도가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건축물 냉,난방 에너지가 절약되고, 녹지에 의한 일사의 반사 및 증발작용이 도시 열섬화 현상을 완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빗물을 정화하여 재활용하는 별도의 제반요소가 포함되지 않아, 강우의 하계집중도가 높은 한국의 경우 토양을 적시고 남은 빗물은 배수층을 통해 방출되고, 이에 따라 인공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가 규칙적으로 필요하게 됨으로써,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리비용 절감을 위해 건조에 강한 새덤류 식물에 한정된 식재로 인해 심미감 및 계절감을 연출하는데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장마 또는 폭우시에 옥상녹화 시설물의 토양이 침식 및 범람하여, 화학비료의 성분인 질소, 인 등이 박테리아 및 이물질과 함께 배수층을 거쳐 생활하수관을 통해 흘러감으로써, 지하수는 물론 강, 호수 등의 수질오염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옥상녹화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의 수목을 선택하여 식재함으로써, 옥상정원의 경관을 더욱 풍요롭게 함은 물론 빗물정화 및 빗물재활용이 가능한 옥상녹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저면에 복수의 배수홀을 갖는 배수판이 형성되어 빗물을 배출하는 블록형상의 블록틀 및 블록틀의 배수판 상부에 적층되어 빗물을 흡수 유지하도록 고흡수성 수지층 및 코코넛 섬유층으로 이루어진 빗물 저수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옥상녹화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되고, 옥상녹화 시스템이 블록화되어 장소 또는 규모에 큰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설치가 가능해지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식물식재를 위한 토양층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판 및 복수의 배수홀을 갖는 하부 배수판이 형성되는 블록형상의 블록틀과;
상기 블록틀의 배수판 상부에 적층되어 빗물을 흡수 유지하는 빗물 저수층과;
상기 빗물 저수층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면서 토양층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 저수층에 흡수된 빗물을 토양층에 공급하는 복수의 심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빗물 저수층은 고흡수성 수지층 및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코코넛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빗물 저수층은 상기 배수판과 지지판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코코넛 섬유층 및 상기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된 코코넛 섬유층 상부에 적층되는 고흡수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지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이 지지하는 토양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지지판은 토양층에 흡수된 빗물이 상기 빗물 저수층으로 떨어지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우선, 대기에서 공급되는 빗물을 빗물 저수층이 흡수 및 유지하여 이를 토양층에 공급함으로써, 옥상녹화 시스템에 인위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관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됨에 따라, 관리비용 절감 및 수자원 절약이 이루어지고,
상기 옥상녹화 시스템이 블록화되어 장소 또는 규모에 큰 제약을 받지 않으 면서 시스템의 설치가 가능하고,
덧붙여, 종래 옥상녹화 시스템에 비해 설치구조가 간소화되어 설치비용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전문기술이 불필요해지고,
또한, 상기 옥상녹화 시스템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의 식물을 선택하여 식재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시각적 연출 및 계절적 연출을 통해 옥상정원의 경관을 풍요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저면도이고, 도 7a는 도 4의 블록화 개시도이고, 도 7b는 도 4의 경사면 블록화 개시도이고, 도 7c는 도 7b의 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녹화 시스템(300)은 블록틀(100)의 내부공간 하층 바닥에 빗물 저수층(130)이 조성되고, 상기 빗물 저수층(130) 상부에 복수의 심지(14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심지(140)는 빗물 저수층(130)과 토양층(170)을 연결하여 빗물 저수층(130)에 포함된 빗물이 토양층(170)에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 블록틀(100)은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녹화를 조성하기 위한 토양층(170) 및 빗물 저수층(130)이 설치되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저수층(130)이 포화 흡수하고 남은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수홀(120)을 갖는 배수판(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틀(100)은 블록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도면은 4개로 도시)개로 조합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녹화를 조성하는 경우 녹화 시스템(300)의 관리가 편리해지고, 통상 사각구조로 이루어진 건물 옥상에 녹화 시스템(300)을 설계 및 시공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덧붙여, 상기 블록틀(100)의 블록화로 인해 상기 녹화시스템은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뿐만 아니라 토사가 유출되기 쉬운 경사면에 층별로 설치되어 토사 유출로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평평한 지면을 갖지 않는 언덕, 산비탈면, 경사면이 형성되는 그 밖의 건물외벽 등에도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에 층별로 설치되는 녹화시스템은 도 7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구조물(리벳, 볼트, 못 등)(350)로 연결되어, 상하 블록틀간에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지표면과 수면이 교차하는 하천 수제부에 본 발명의 녹화시스템이 설치되어 하천의 경관 및 생태계를 풍요롭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녹화 시스템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층(17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블록틀(100)의 배수판(110) 상부에 빗물 저수층(130)이 설치된다.
상기 빗물 저수층(130)은 토양층(170)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흡수 유지하는 역할을 제공하기 위해 고흡수성 수지층(131) 및 코코넛 섬유층(13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131)의 재료가 되는 고흡수성 수지는 물에 자유롭게 용해되는 고분자의 친수성에 손상없이, 각 고분자간에 가교구조를 도입한 수지로써, 물을 끌어들여 흡수하는 작용 및 끌어들인 물을 유지하는 작용 2가지를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자체 부피의 최대 천배까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이렇게 팽창된 상태로 수분을 흡수하고 있다가, 일정기간동안 수분을 서서 히 배출한후 결국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러한 고흡수성 수지를 원예용으로 사용시 토양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식물의 뿌리부분에 두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고흡수성 수지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해 토양의 통기성은 향상되나, 교목처럼 비중이 큰 식물을 사용할 수 없는 옥상녹화에서는 토양의 들썩임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옥상녹화 시스템과 같이 고흡수성 수지만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층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코넛 섬유층(132)의 재료가 되는 코코넛 섬유는 코코넛 열매의 껍질을 탄화시켜 만든 섬유로 쓰레기로 버려지는 코코넛 열매 껍질을 재활용하여 만든 섬유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상기 코코넛 섬유는 코코넛 열매의 껍질을 탄화시켜 만든 섬유로 미세 다공질 구조를 갖고 있어, 수분 흡수성 및 통기성의 기능이 탁월하고, 친환경적이며, 구입비용이 저렴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흡수성 수지층(131) 및 코코넛 섬유층(132)으로 이루어지는 빗물 저수층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층(130)은 코코넛 섬유층(132)이 상기 블록틀의 배수판에 얇게 적층되고, 상기 코코넛 섬유층(132) 상부에 고흡수성 수지층(131)이 적층되며,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131) 상부에 다시 코코넛 섬유층(132)이 얇게 도포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빗물 저수층(130)은 위아래 코코넛 섬유층(132) 사이에 일정두께의 고흡수성 수지층(131)이 채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코넛 섬유층(132)이 지지판(150)과 배수판(110) 사이의 공간 4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110)의 상면에 설치된 코코넛 섬유층(132) 위에 고흡수성 수지층(131)이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빗물 저수층(130)은 코코넛 섬유층(132)을 대략 사각박스 형태로 만들고, 그 속에 고흡수성 수지층의 팽창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일정량의 고흡수성 수지층을 채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기 다른 실시예의 경우 코코넛 섬유층을 고흡수성 수지층의 상하부에 설치하는 일 실시예에 비해, 고흡수성 수지층이 유실 및 이탈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고흡수성 수지층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코코넛 섬유층이 붕괴되어 흩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 및 코코넛 섬유층의 두께는 토양층에 심어지는 식물의 종류, 크기, 개체수 및 설치되는 장소의 평균 강수량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코넛 섬유로 형성된 코코넛 섬유층(132)은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131)의 상하부 또는 고흡수성 수지층(131)을 둘러싼채로 설치되어, 고흡수성 수지층(131)의 유실을 방지하고, 빗물 저수층(130)의 항균기능, 정화기능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며, 고흡수성 수지층(131)의 비친화적 환경요소 및 고비용적 요소를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코코넛 섬유층(132)은 고흡수성 수지층(131)의 외피 및 빗물 저수층(130)의 깔판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131) 및 코코넛 섬유층(132)으로 이루어진 빗물 저수층(130)은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을 흡수시 빗물의 부피에 의해 팽창하게 되는바, 상기 빗물 저수층(130)이 팽창가능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빗물 저수층(130)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토양층(170)을 지지하는 지지판(15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15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층(170)에 흡수된 빗물이 상기 빗물 저수층(130)으로 흘러내리도록 복수의 관통홀(16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150)은 토양층(170) 및 이 토양층(170)에 심어지는 식물(200)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블록틀(100)과의 결합구조가 일체화되거나, 고정력 높은 결합부품에 의해 상기 블록틀(100)과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심지(14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50)을 관통한채 상기 빗물 저수층(130)의 상부에 수직으로 삽입 장착되어, 빗물 저수층(130)과 토양층(170)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빗물 저수층(130)에 흡수된 빗물을 흡수하여 토양층(17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심지(140)는 상기 빗물 저수층(130)의 빗물이 토양층(170)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틀(100) 저면에 적층된 빗물 저수층(130)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심지는 수분 흡수력이 뛰어난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 하고, 심지의 개수, 높이 및 두께는 토양층의 면적 및 배양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블록틀(100) 내부 공간인 지지판(150) 상부에 토양층(170)이 적층되고, 토양층(170)이 적층되는 높이는 블록틀(100)의 최상단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지지판(150)에 적층된 토양층(170)의 면적에 따라 복수의 식물(200)이 심어진다. 또한, 빗물의 재활용 공급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옥상녹화 시스템(300)에서는 건조에 대한 우려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식재식물(200)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따라서, 다양한 형태 및 색상의 식물(200)을 도입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빗물의 흐름을 보여준다.
우선, 도 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녹화 시스템(300)의 지지판(150)에 적층된 토양층(170)에 빗물이 내리는 경우, 토양층(170)에 흡수된 빗물은 토양층(170)에 심어진 식물뿌리에 의해 정화된다.
또한, 빗물의 양이 토양층의 수분 저장능력을 넘어서면, 상기 정화된 빗물은 상기 지지판(150)에 형성된 관통홀(160)을 통해 빗물 저수층(130)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빗물 저수층(130)으로 떨어지는 빗물(250)은 식물(200)뿌리의 자연정화 능력에 의해 정화된 상태이므로, 이후 빗물 저수층(130)에 흡수된후 나머지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강이나 호수의 수질오염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150)으로부터 빗물이 빗물 저수층(130)으로 떨어지는 경우 빗물 저수층(130)의 고흡수성 수지층(131)은 상기 빗물을 흡수 저장하여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부피가 팽창된다.
여기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131)이 흡수할 수 있는 빗물의 양은 한정되어 있는바,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131)의 빗물 흡수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는 경우 고흡수성 수지층(131)에 흡수되지 않은 빗물은 상기 블록틀(100)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판(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빗물 저수층(130)의 고흡수성 수지층(131)에 흡수된 빗물은 심지(140)를 따라 토양층(170)에 지속적으로 재공급됨에 따라, 식물고사의 주원인이 되는 토양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빗물이 빠져나가면 빗물을 공급한 빗물 저수층(130)의 고흡수성 수지층(131)은 수축된다.
결국, 강우가 집중되는 시기의 빗물을 빗물 저수층(130)에 흡수 저장하고, 식물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토양층(170)에 공급함으로써, 별도로 물을 공급하지 않고도 옥상녹화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 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옥상녹화 시스템의 구조 개시도,
도 2는 종래 보급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개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사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저면도,
도 7a는 도 4의 블록화 개시도,
도 7b는 도 4의 경사면 블록화 개시도,
도 7c는 도 7b의 측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록틀 110 : 배수판
120 : 배수홀 130 : 빗물 저수층
131 : 고흡수성 수지층 132 : 코코넛 섬유층
140 : 심지 150 : 지지판
160 : 관통홀 170 : 토양층

Claims (5)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식물식재를 위한 토양층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판 및 복수의 배수홀을 갖는 하부 배수판이 형성되는 블록형상의 블록틀과;
    상기 블록틀의 배수판 상부에 적층되어 빗물을 흡수 유지하는 빗물 저수층과;
    상기 빗물 저수층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 장착되면서 토양층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 저수층에 흡수된 빗물을 토양층에 공급하는 복수의 심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층은 고흡수성 수지층 및 상기 고흡수성 수지층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코코넛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층은 상기 배수판과 지지판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코코넛 섬유층 및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코코넛 섬유층 상부에 적층되는 고흡수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 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여 지지판이 지지하는 토양층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토양층에 흡수된 빗물이 상기 빗물 저수층으로 떨어지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20070106435A 2007-10-23 2007-10-23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096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35A KR100965403B1 (ko) 2007-10-23 2007-10-23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435A KR100965403B1 (ko) 2007-10-23 2007-10-23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980A true KR20090040980A (ko) 2009-04-28
KR100965403B1 KR100965403B1 (ko) 2010-06-24

Family

ID=4076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435A KR100965403B1 (ko) 2007-10-23 2007-10-23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4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6774A (zh) * 2017-07-27 2019-02-05 天津禹神节能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能种植植物的屋面保温防水层
CN110005019A (zh) * 2018-12-08 2019-07-12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生态雨水收集系统及其搭建方法
CN110056041A (zh) * 2019-05-04 2019-07-26 杭州珑亚珀伟科技有限公司 雨水分类收集装置及方法
KR102048147B1 (ko) * 2018-06-21 2019-11-22 김영문 화분 모듈
CN112449911A (zh) * 2020-10-30 2021-03-09 北京都润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屋顶绿化的雨水收集利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256B1 (ko) * 2003-04-11 2005-08-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식생블럭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754835B1 (ko) * 2007-05-23 2007-09-04 (주) 일신네이쳐 건축물의 옥상 녹화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6774A (zh) * 2017-07-27 2019-02-05 天津禹神节能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能种植植物的屋面保温防水层
KR102048147B1 (ko) * 2018-06-21 2019-11-22 김영문 화분 모듈
CN110005019A (zh) * 2018-12-08 2019-07-12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生态雨水收集系统及其搭建方法
CN110005019B (zh) * 2018-12-08 2020-11-03 深圳市升源园林生态有限公司 一种生态雨水收集系统及其搭建方法
CN110056041A (zh) * 2019-05-04 2019-07-26 杭州珑亚珀伟科技有限公司 雨水分类收集装置及方法
CN112449911A (zh) * 2020-10-30 2021-03-09 北京都润生态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屋顶绿化的雨水收集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403B1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429B2 (ja) 緑化装置
US20070094927A1 (en) Rooftop vegetation pod
KR100965403B1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0520420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JP2531542B2 (ja) 植栽装置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US20050044791A1 (en) Plant carriers for sealed flat roofs
CN216787349U (zh) 光电型透水铺面地下储水自动化系统
JP2004041196A (ja) 緑化装置
JP2004089209A (ja) 緑化装置
KR101996068B1 (ko) 잔디를 이용한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옥상녹화 시스템
CZ22468U1 (cs) Lehká střešní krytina s vegetačním porostem, s využitím hydrogelu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JP2003082825A (ja) 建築物の屋根構造体
JP6748326B1 (ja) 太陽光発電機能を有する植栽構造体
KR100349557B1 (ko) 옥상녹화시스템의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48313Y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KR100579758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JP5106799B2 (ja) 緑陰緑化構造及び緑陰緑化工法
JP3836781B2 (ja) 屋上緑化構造
KR101691459B1 (ko) 옥상 식생용 저배수단열판
JP4830208B2 (ja) 屋上またはベランダを湿潤するシステム
WO2011159147A1 (en) Tree container for placement on a rooftop and assembly of multiple tree containers
KR200346692Y1 (ko) 담수기능을 갖는 배수판
KR20060091838A (ko) 옥상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