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00B1 - 식생옹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생옹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00B1
KR100966800B1 KR1020090093542A KR20090093542A KR100966800B1 KR 100966800 B1 KR100966800 B1 KR 100966800B1 KR 1020090093542 A KR1020090093542 A KR 1020090093542A KR 20090093542 A KR20090093542 A KR 20090093542A KR 100966800 B1 KR100966800 B1 KR 10096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getation
space
wat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윤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테크
Priority to KR102009009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물공급유닛이 구비되어 녹생식물에 물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는 식생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녹생식물이 자랄수 있는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돌출부와 골재가 채워지도록 관통 형성된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와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2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옹벽블록,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며 물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분유지팩과 상기 수분유지팩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갖는 물공급유닛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식생공간과 상기 물공급유닛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녹생식물은 잔디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공간에는 상기 잔디와 상기 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토양층을 갖는 잔디블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어, 복수개의 식생옹벽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식생옹벽 어셈블리중에 최상측에 위치하는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옹벽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공급유닛, 수분유지팩, 물 배출부, 연결유로

Description

식생옹벽 시스템{Retaining Wall system for Planting}
본 발명은 식생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공급유닛이 구비되어 녹생식물에 물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는 식생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지표면의 경사를 가파르게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붕괴를 막기 위해 주로 콘크리트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옹벽은 대개 단순한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로만 형성되어 주변 미관을 크게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블록을 축조하여 이루어진 구조물이 주변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게 하기 위해 블록의 상부면에 녹생식물이 자라도록 식생 공간이 형성된 블록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블록의 적층시 상부의 블록이 하부에 위치하는 블록의 식생 공간을 덮는 문제가 발생되어 상부 블록은 하부 블록의 식생 공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 블록이 하부 블록의 후방으로 적층되는 계단식 축조 방법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부면에 식생 공간이 형성된 블록의 경우에는 수직형태의 블록 축조가 불가능하다.
이에,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수직형태의 축조가 가능하도록 블록의 전면부에 식생 공간을 형성하여 녹생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블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전면부에 식생 공간이 형성된 블록은 녹생식물이 성장함에 있어 녹생식물로 원활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블록의 전면부에 식생된 녹생식물이 오래도록 성장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에 따라, 자연친화적이며 수직 적층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옹벽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옹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의 전면부에 식생 공간이 형성되어 녹생식물이 성장하도록 이루어지며 식생 공간으로는 원활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는 식생옹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생식물이 자랄수 있는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돌출부와 골재가 채워지도록 관통 형성된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와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2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옹벽블록,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며 물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분유지팩과 상기 수분유지팩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갖는 물공급유닛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식생공간과 상기 물공급유닛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녹생식물은 잔디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공간에는 상기 잔디와 상기 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토양층을 갖는 잔디블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어, 복수개의 식생옹벽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식생옹벽 어셈블리중에 최상측에 위치하는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옹벽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물 배출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옹벽블록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는 마름모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출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날개의 끝단에는 상기 녹생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유지팩은 외측에 구비되어 물의 흡수가 이루어지는 제1흡수패드, 상기 제1흡수패드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을 흡수하며 보전되도록 하는 제1보습층, 상기 제1보습층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을 흡수하며 보전되도록 하는 제2보습층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돌출날개의 하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날개의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 상에 위치하는 녹생식물을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몸체부에는 식생 공간과 물공급유닛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식생 공간으로 원활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물공급유닛에는 수분유지팩이 구비되어 식생 공간에서 성장하는 녹생식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기에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옹벽블록에는 결합돌기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옹벽블록의 적층시 별도의 볼트 조립에 의해 상부 옹벽블록과 하부 옹벽블록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결합돌기와 수용홈의 결합에 의해 상부 옹벽블록과 하부 옹벽블록의 결합이 이루어지기에 적층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옹벽블록에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옹벽블록을 제작함에 있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1공간부에는 골재를 수용하여 옹벽블록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A-A 단면으로 물공급유닛으로부터 식생 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부재가 구비된 식생옹벽 어셈 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생옹벽 어셈블리(100)는 옹벽블록(10), 물공급유닛(20) 및 잔디블록(36)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옹벽블록(10)은 전면 돌출부(30), 몸체부(4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0)에는 제1공간부(41)와 제2공간부(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옹벽블록(10)은 견고한 옹벽이 설치되도록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공간부(41)는 상기 몸체부(40)에 관통 형성되며 골재(46)가 채워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옹벽블록(10)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제1공간부(41)에 골재(46)를 채움으로써 상기 옹벽블록(10)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옹벽블록(10)이 적층됨에 있어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옹벽블록(10)으로부터 흐르는 물이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옹벽블록(10)으로 원활히 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공간부(42)는 상기 몸체부(40)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41)와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공간부(42)에는 상기 물공급유닛(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유닛(20)은 수분유지팩(50)과 케이스(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분유지팩(50)은 제1흡수패드(51), 제1보습층(52) 그리고 제2 보습층(53)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분유지팩(50)은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보습력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흡수패드(51)는 상기 제1보습층(5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부 옹벽블록(12, 도 5참조)으로부터 흐르는 물의 흡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흡수패드(51)는 수분 흡수성이 뛰어난 섬유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흡수패드(51)는 돌출패드(54)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패드(54)는 물 배출부(61)에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패드(54)가 상기 물 배출부(61)에 삽입되어 상기 수분유지팩(5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식생 공간(3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흡수패드(51)의 내측에는 물을 흡수하며 보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1보습층(5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보습층(52)은 톱밥이나 목재 천연재료로 이루어져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상기 식생 공간(32)으로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보습층(52)은 물을 용이하게 함유하여 상기 식생 공간(32)으로 물을 공급하고, 영양분도 함께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보습층(52)의 내측에는 물을 흡수하며 보전되도록 하는 상기 제2보습층(5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보습층(53)은 일반 스펀지나 우레탄보다 흡수력이 뛰어난 플로랄 폼(floral foam)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흡수패드(51)의 내측에 상기 제1보습층(52)과 제2보습층(53)이 구비되어 상기 수분유지팩(50)은 수분을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분유지팩(50)은 건조한 날씨에도 상기 수분유지팩(50)이 저장하고 있는 수분을 상기 식생 공간(3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수분유지팩(50)은 상기 케이스(60)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60)는 상기 수분유지팩(50)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분유지팩(50)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공간부(42)에 상기 케이스(60)가 설치됨에 있어 상기 수분유지팩(50)에 저장된 수분이 상기 제2공간부(42)의 내측면으로 흡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공간부(42)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분유지팩(50)의 수분이 상기 제2공간부(42)의 내측면으로 흡수되지 않도록 방수시트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0)에는 상기 물 배출부(61)가 형성되어 상기 수분유지팩(5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몸체부(40)에 형성된 연결유로(43)를 경유하여 상기 식생 공간(32)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60)가 상기 제2공간부(42)에 설치됨에 있어 상기 물 배출부(61)의 방향은 상기 연결유로(43)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유지팩(50)은 상기 케이스(60)에 수직형태로 구비되며 흡수된 수분의 무게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눌러지므로써 상기 수분유지팩(50)은 상기 케이스(60)의 물 배출부(61)로 물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분유지팩(50)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상기 몸체부(40)에 형성된 상기 연결유로(43)를 경유하여 상기 식생 공간(3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43)는 상기 몸체부(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60)에 형성된 상기 물 배출부(61)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에는 상기 수분유지팩(50)이 구비되어 상기 식생 공간(32)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는 상기 식생 공간(32)이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녹생식물(34)로 물 공급이 어려워 상기 녹생식물(34)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식생 공간(32)에 구비되는 상기 녹생식물(34)이 상기 식생 공간(32)에서 오래도록 안정되게 자리를 잡게되면 상기 녹생식물(34)의 뿌리는 상기 물공급유닛(20)까지 뻗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분유지팩(50)은 건조한 날씨에도 수분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녹생식물(34)은 상기 수분유지팩(5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생 공간(32)에 구비되는 상기 녹생식물(34)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는 잔디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생공간(32)에는 상기 녹생식물(34)과 상기 녹생식물(3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녹생식물(34)이 자랄 수 있는 토양층(35)으로 이루어진 상기 잔디블럭(3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토양층(35)은 상기 녹생식물(34)에게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부양토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 돌출부(30)는 돌출날개(31)와 상기 식생 공간(3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돌출날개(31)는 상기 몸체부(40)로부터 마주보도록 한쌍을 이루며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날개(31)의 일단부에는 상기 녹생식물(34)이 상기 옹벽블록(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3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식생 공간(32)에 구비되는 상기 녹생식물(34)이 상기 옹벽블록(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호부재(7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70)는 상기 걸림턱(33)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녹생식물(34)이 상기 옹벽블록(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70)는 철망, 나이론 그물, 대나무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대나무와 같이 식물성 소재로 이루어져 시공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환경친화적인 소재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44)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44)와 결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수용홈(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44)는 상기 몸체부(40)에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5)은 상기 몸체부(4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40)에 상기 결합돌기(44)와 수용홈(45)이 형성되어 상기 옹벽블록(10)은 적층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옹벽블록(10)은 별도의 볼트 결합없이 상기 결합돌기(44)와 수용홈(45)의 결합으로 적층이 이루어지기에 조립 및 시공성이 용이하여 작업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생옹벽 어셈블리(100)는 수직형태로 적층된다.
여기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옹벽블록(10, 도 1참조)을 하부 옹벽블록(11)이라 하고,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옹벽블록(10, 도 1참조)을 상부 옹벽블록(12)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의 적층방법을 살펴보면 설치 바닥면에 대해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의 제1공간부(41)에는 골재(46)가 채워지고 제2공간부(42)에는 물공급유닛(20, 도 1참조)이 설치되며 식생 공간(33, 도 1참조)에는 녹생식물(34)과 상기 녹생식물(34)의 하부에 배치되는 토양층(35)이 구비 된다.
다음으로,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의 결합돌기(44)와 적층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의 수용홈(45)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에 대해 제1공간부(41)에는 골재(46)가 채워지고 상기 제2공간부(42)에는 상기 물공급유닛(20, 도 1참조)이 설치되며 상기 식생 공간(33, 도 1참조)에는 상기 녹생식물(34)과 토양층(35)이 구비되어 전술한 적층 방식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의 적층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가 적층됨에 있어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은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에 대해 지그재그로 적층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에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이 적층되어 결합됨에 있어 두개의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의 결합돌기(44)가 하나의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의 수용홈(45)에 결합되어 적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옹벽블록(11)의 상측에 적층된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옹벽블록(10, 도 1참조)들도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적층이 이루어진다.
이는,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하부 옹벽블록(11)과 적층되는 상기 상부 옹벽블록(12)이 결합됨에 있어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게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에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출날개(31)의 하단부에는 결합홀(4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48)은 이탈방지부재(71)와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71)와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71)는 상기 결합홀(48)과 결합됨에 있어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같이, 상기 결합홀(48)과 이탈방지부재(71)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재(71)는 옹벽블록(13)의 적층시 하부에 구비되는 옹벽블록(13)의 녹생식물(34)이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부(4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7)는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10)가 지그재그로 적층됨에 있어 수용홈(45)에 상기 결합돌기(47)가 결합될 시 연결유로(43)에 상기 결합돌기(47)가 위치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43)에는 상기 결합돌기(47)가 위치되지 않기에 케이스(62)의 바닥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케이스(62)의 바닥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므로써 수분유지팩(50) 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식생 공간(32, 도 1참조)으로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최상측에 옹벽 상부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도 9의 식생옹벽 어셈블리와 상측에 결합된 옹벽 상부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9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층된 식생옹벽 어셈블리(100)의 최상측에는 옹벽 상부커버(8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옹벽 상부커버(80)는 우천시에 넓은 면적으로 내리는 빗물이 제2공간부(42)로 집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옹벽 상부커버(80)에는 제1경사부(81)와 제2경사부(82)가 형성되어 우천시 내리는 빗물이 상기 제1경사부(81)와 제2경사부(82)를 따라 배출홀(83)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81), 제2경사부(82) 및 배출홀(83)에는 내리는 빗물이 흡수되지 않도록 코팅처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홀(83)로 이동된 빗물은 상기 제2공간부(42)에 구비된 수분유지팩(5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우천시 내리는 빗물은 상기 옹벽 상부커버(80)에 의해 집수가 이루어지고 집수된 빗물은 상기 수분유지팩(50)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옹벽 상부커버(80)는 상기 수분유지팩(50)으로 빗물이 공급됨에 있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 상부커버(80)의 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00)에는 결합돌기(44, 도 1 참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옹벽 상부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층된 식생옹벽 어셈블리(100, 도 2참조)의 최상측에는 옹벽 상부커버(9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옹벽 상부커버(90)는 우천시에 넓은 면적으로 내리는 빗물이 제2공간부(42, 도 1참조)로 집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옹벽 상부커버(90)에는 제3경사부(91), 제4경사부(92), 제5경사부(93), 제6경사부(94)가 형성되어 우천시 내리는 빗물이 배출홀(95)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경사부(91), 제4경사부(92), 제5경사부(93), 제6경사부(94) 및 배출홀(95)에는 내리는 빗물이 흡수되지 않도록 코팅처리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출홀(95)로 이동된 빗물은 상기 제2공간부(42, 도 1참조)에 구비된 수분유지팩(50, 도 1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우천시 내리는 빗물은 상기 옹벽 상부커버(90)에 의해 집수가 이루어지고 집수된 빗물은 상기 수분유지팩(50, 도 1참조)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는 사시도이며, 도 1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밖으로 굽은 도로에 적용되는 옹벽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으로 굽은 도로에 적용되는 옹벽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는 앞서 설명한 식생옹벽 어셈블리와 달리, 마름모형 결합돌기(49)와 몸체부에서 테이퍼지게 연장형성되는 돌출날개(31')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옹벽블록들이 적층됨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럭에 형성되는 마름모형 결합돌기(49)는 상측에 구비되는 옹벽블록의 수용홈(45')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마름모형 결합돌기(49)는 상기 옹벽블록의 상면에 한쌍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물론,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마름모형 결합돌기의 형상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20)가 적층될때 상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수용홈(45')은 하부에 위치하는 이웃하는 두 개의 옹벽블럭에 구비된 마름모형 결합돌기(49)에 각각 결합된다.
특히,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20)의 전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마름모형 결합돌기(49)는 마름모 경사면(96)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옹벽블록의 수용홈(45')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4a와 도 1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으로 굽은 도로 또는 밖으로 굽은 도로의 상태에 따라 적층되는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20)는 전면이 곡면을 이루면서 적층된다.
한편,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20)에 구비되는 돌출날개(31')는 전면을 향해 직선으로 돌출된 것이 아니라 전면에 대해 한쌍을 이루는 상기 돌출날개(31')가 벌려지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이는, 굽은 도로에서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20)가 곡면을 형성하며 적층됨에 있어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120)의 상기 돌출 날개(31')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A-A 단면으로 물공급유닛으로부터 식생 공간으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호부재가 구비된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에 이탈방지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의 B-B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된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최상측에 옹벽 상부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도 9의 식생옹벽 어셈블리와 상측에 결합된 옹벽 상부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옹벽 상부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밖으로 굽은 도로에 적용되는 옹벽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으로 굽은 도로에 적용되는 옹벽 블록의 적층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옹벽블록 20: 물공급유닛
30: 전면돌출부 33: 걸림턱
40: 몸체부 43: 연결유로
44: 결합돌기 45: 수용홈
50: 수분유지팩 80: 옹벽 상부커버
100: 식생옹벽 어셈블리

Claims (9)

  1. 녹생식물이 자랄수 있는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 돌출부와 골재가 채워지도록 관통 형성된 제1공간부 및 상기 제1공간부와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수분을 보유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제2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옹벽블록;
    상기 제2공간부에 설치되며 물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수분유지팩과 상기 수분유지팩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갖는 물공급유닛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식생공간과 상기 물공급유닛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녹생식물은 잔디로 구성되며 상기 식생공간에는 상기 잔디와 상기 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토양층을 갖는 잔디블럭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식생옹벽 어셈블리가 적층되어, 복수개의 식생옹벽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개의 식생옹벽 어셈블리중에 최상측에 위치하는 식생옹벽 어셈블리의 상부에 설치되는 옹벽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식생옹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물 배출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옹벽블록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마름모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돌출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날개의 끝단에는 상기 녹생식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지팩은
    외측에 구비되어 물의 흡수가 이루어지는 제1흡수패드;
    상기 제1흡수패드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을 흡수하며 보전되도록 하는 제1보습층;
    상기 제1보습층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을 흡수하며 보전되도록 하는 제2보습층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식생옹벽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날개의 하단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날개의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 상에 위치하는 녹생식물을 잡아주기 위하여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생옹벽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93542A 2009-09-30 2009-09-30 식생옹벽 시스템 KR10096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542A KR100966800B1 (ko) 2009-09-30 2009-09-30 식생옹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542A KR100966800B1 (ko) 2009-09-30 2009-09-30 식생옹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800B1 true KR100966800B1 (ko) 2010-06-29

Family

ID=4237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542A KR100966800B1 (ko) 2009-09-30 2009-09-30 식생옹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566B1 (ko) * 2011-03-07 2011-08-08 장기웅 친환경 식생옹벽
KR102214088B1 (ko) * 2020-09-02 2021-02-09 주식회사 에프에스건설 가변형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옹벽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821A (ja) * 1993-04-28 1994-11-08 Harada Kk 緑化ブロック壁に於ける給水保水構造
KR100568120B1 (ko) * 2005-10-21 2006-04-05 씨엠엔지니어링(주)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892421B1 (ko) * 2007-06-28 2009-04-10 박희자 식생용 옹벽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821A (ja) * 1993-04-28 1994-11-08 Harada Kk 緑化ブロック壁に於ける給水保水構造
KR100568120B1 (ko) * 2005-10-21 2006-04-05 씨엠엔지니어링(주) 식재박스를 이용한 옹벽 구조
KR100892421B1 (ko) * 2007-06-28 2009-04-10 박희자 식생용 옹벽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566B1 (ko) * 2011-03-07 2011-08-08 장기웅 친환경 식생옹벽
KR102214088B1 (ko) * 2020-09-02 2021-02-09 주식회사 에프에스건설 가변형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옹벽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203B1 (ko) 식물 트레이
EP2885460B1 (en) Plantsurface structur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module for such a structure
KR101427380B1 (ko) 가로수 보호 및 생장촉진 구조를 갖는 식생매트
WO2007063815A1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容器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CN104285719B (zh) 一种沙漠、荒山植树用容器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KR100966800B1 (ko) 식생옹벽 시스템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0902663B1 (ko) 트레이형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85800B1 (ko) 식생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364723B1 (ko) 식생용 매트 및 시공방법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JP4303460B2 (ja) 屋上緑化プランター
JP2007037408A (ja) 苔の栽培方法及び苔の栽培装置
KR20040104297A (ko) 식생 옹벽
CN213267926U (zh) 一种园林设计生态护坡
KR101187405B1 (ko)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와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JP2005198529A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
KR100960460B1 (ko) 식생용 담수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