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134B1 -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134B1
KR101723134B1 KR1020150106139A KR20150106139A KR101723134B1 KR 101723134 B1 KR101723134 B1 KR 101723134B1 KR 1020150106139 A KR1020150106139 A KR 1020150106139A KR 20150106139 A KR20150106139 A KR 20150106139A KR 101723134 B1 KR101723134 B1 KR 10172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moisture
so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121A (ko
Inventor
이창래
Original Assignee
미호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호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미호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150106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1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나 물을 집수하고 여과한 후 수목이 있는 지반 내로 수분을 공급하는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수목에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따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할 필요가 없이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여과된 빗물을 공급하므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 Water supply equipment for tree using collecting well }
본 발명은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나 물을 집수하고 여과한 후 수목이 있는 지반 내로 수분을 공급하는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계절, 지형, 기상조건에 따라 강우량의 변화가 다양하여 수목의 적절한 수분공급에 어려움이 따른다. 자주 비가 내리는 시기에는 자연적으로 충분한 수분을 함유할 수 있지만, 건조기에는 토양도 마르게 되어 적정량의 수분을 흡수할 수 없어서 생장에 어려움을 발생하기도 한다.
더구나 도심에는 아스팔트나 보도블럭 등 도로가 포장된 곳이 많아서, 강우 등 자연적인 수분 공급이 땅속까지 스며드는 것이 어렵다. 이로 인해 도심 속의 수목들은 자연적인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는 지면이 수목이 식재된 지면 주변에 한정되어 있어, 적절한 시기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받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수목의 필수적인 수분공급을 위해서 관리자가 살수차를 이용하여 직접 물을 주는 방법이나, 식재된 수목의 주변에 별도의 저장장치를 두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865호에는 수목용 자동물공급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저장된 수분을 수목이 식재된 지면에 공급할 수는 있지만, 관리자가 물 주머니의 급수부에 주기적으로 저장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살수되어 공급된 물은 단시간 내에 없어지므로 수목의 생장에 필요한 만큼의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또한 수목에 살수되는 대부분의 물이 가로수의 지표면 부근에만 공급되고 가로수의 뿌리부분에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갈수기(渴水期)에는 가로수가 쉽게 고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5865호 : 수목용 자동물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빗물이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집수정을 수목 주변에 설치하여, 집수정에 저장된 물이나 빗물을 수목의 뿌리부분에 지속적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져 물이 저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로 들어온 물을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와 연결되어 물의 배수를 지연시키는 수분임시저장부를 구비하는 집수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관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정에 저장되어 여과된 물을 수목에게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서, 토양 내 매설되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외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물이 배출되는 복수 개의 제1관통공이 있는 유공관을 구비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집수정과 상기 유공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의 수용공간과 상기 유공관 내부를 연결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직경은 상기 유공관 방향으로 좁아지는 수분배출지연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이 매설된 토양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공관의 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재흡수하는 수분재흡수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수분재흡수부는 상기 토양 내에 상기 유공관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유공관에서 배출되어 상기 유공관 아래로 흘러내리는 토양 내의 물을 흡수하는 토양수분흡수부재와, 상기 유공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토양의 흙이나 이물로 인해 상기 유공관의 제1관통공의 막힘을 방지하며 상기 유공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임시적으로 흡수하면서 상기 토양수분흡수부재 또는 토양으로 공급하는 유공관필터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공관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분기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수평보조관과, 상기 수평보조관에서 수목의 줄기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보조관;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보조관은 상부가 수목이 심어진 지면 위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보조관의 돌출된 상단까지 상기 유공관필터부재가 연장 형성되어 수목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보조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유공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공관의 중공보다 작은 직경의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유공관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본체로 역류되는 것을 지연 또는 방지하는 수분역류지연부를 구비한다.
상기 집수정은 상기 본체 하부에 상기 여과부와 상기 수분임시저장부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며 상기 수분공급부와 연결되는 저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 상부에는 상기 여과부 또는 상기 수분임시저장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저장부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여과부 또는 상기 수분임시저장부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저장부로 통과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분배걸침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수목에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따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할 필요가 없이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여과된 빗물을 공급하므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가로수가 있는 지면 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공관과 빗물재흡수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공관과 유공관필터부재에 대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적용된 유공관 내부에 보조흡수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수분보조공급부에 대한 도면이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가로수가 있는 지면 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집수정은 일 예로서 가로수 주변에 설치되어 가로수에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빗물이나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가로수(3)는 도로 주변에 심어진 수목을 나타낸 것인데, 통상적으로 인도를 따라 가로수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집수정(100)과 수분공급부(200), 수분재흡수부(300)를 구비한다.
집수정(100)은 빗물이나 관리자에게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100)은 가로수(3)를 사이에 두고 소정거리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된다.
집수정(100)은 본체(150)와 그레이팅(110)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여과부, 수분임시저장부(130)가 설치된다.
여과부는 제1여과부(120), 제2여과부(140)로 구분된다.
본체(150)는 직사각기둥 형태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빗물이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져 빗물이나 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본체(150)는 개방된 부분이 상방을 향하게 지면 내부 토양에 일부 매립된다.
본체(150)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그레이팅(1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 계단형태의 그레이팅안착부(151)가 구비된다.
본체(150)의 수용공간 하부 일측에는 후술되는 수분배출지연부(250)가 장착되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본체(150) 외부로 하향 경사진 관통구를 가진다.
그레이팅(110)은 복수 개의 제1관통부(111)가 있는 격자 모양의 철물로서, 집수정(100) 본체(15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된다.
그레이팅(110)은 여성보행시 신발 굽이 빠지지 않는 크기의 직경을 가진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타공철판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빗물이나 물은 그레이팅(110)의 제1관통부(111)를 지나 본체(150)의 수용공간에 저장된다.
본체의 수용공간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제2여과부(140), 수분임시저장부(130), 제1여과부(120) 순으로 적층된다.
제1 여과부(120)는 본체(150)의 수용공간에 그레이팅(110)과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1여과부(120)는 빗물이나 물에 포함된 이물을 1차 여과하는 부분으로서, 수분에 부식되지 않는 스텐레스 강 소재가 사용되거나 폴리에스테르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 여과부(120)의 소재는 물을 통과시키면서 이물 혹은 부유물질 등을 여과할 수 있는 구조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수분임시저장부(130)는 제1여과부(120)의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이며, 집수정(100) 내로 유입되는 물이나 빗물이 하부로 단시간에 배수되지 않고 임시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수분임시저장부(130)는 스펀지나 해면체와 같은 작은 구멍이 많은 다공질물질로서, 본체(150) 내로 유입된 빗물이나 물이 수분임시저장부(130)에 형성된 구멍에 채워지면서 배수가 지연된다.
제2여과부(140)는 수분임시저장부(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여과부(120)와 수분임시저장부(130)를 통과한 빗물이나 물을 2차 여과하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자갈이 적층 되어 있다
수분공급부(200)는 집수정(100)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주면에서 집수정 외주면으로 관통되게 연결되고, 집수정(100)에 저장된 물이나 빗물을 근접 위치하는 수목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공급부(200)는 유공관(210), 수분배출지연부(250)를 구비한다.
수분배출지연부(250)는 본체(15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본체(150)가 관통된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수분배출지연부(250)의 중공은 본체(150)의 수용공간이 인접한 일측에서 후술되는 유공관(210) 단부가 구비되는 방향인 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내경을 가진다.
수분배출지연부(250)의 타측 단부는 본체(15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며, 후술되는 유공관(210)과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돌출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분배출지연부(250)는 본체(150)와 후술되는 유공관(210) 사이에 구비되어 본체(150)에 저장된 빗물이나 물을 유공관(210)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좁아지는 내경으로 배출되는 빗물이나 물의 양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공관(210)은 토양에 매설되고 수분배출지연부(250)에 결합되어 본체(15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이다.
유공관의 중공에는 수분배출지연부(250)에서 배출된 빗물이나 물이 채워진다.
유공관(210)은 수분배출지연부(250)에 나사결합하도록 양측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유공관(210)은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중공이 연통되고 상호 소정간격을 이루는 복수 개의 제1관통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유공관(210)의 제1관통공(215)은 유공관(210)의 중공에 채워진 물이나 빗물이 가로수나 수목이 인접한 토양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공관(210)에 형성된 제1관통공이 너무 많으면 배수가 빨라지므로 이름 감안하여 제1관통공(215)은 복수 개 형성되되 소정간격을 이루며 간헐적으로 유공관(210)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유공관(210)에 구비된 제1관통공(215)의 직경은 빗물이나 물이 점접 방식으로 토양에 배출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수분재흡수부(300)는 토양 내에 유공관(210)의 하방에 설치되어 층을 형성하여 유공관(210)에서 배출되어 유공관(210) 아래로 흘러내리는 토양 내의 물을 흡수하는 토양수분흡수부재(310)를 구비한다.
토양수분흡수부재(310)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수분이 토양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지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토양수분흡수부재(310)는 유공관(210)의 제1관통공(215)을 통해 배수된 수분을 재흡수하여 토양이 배수된 수분을 오랬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가로수나 수목에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따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할 필요가 없이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고, 토양이 수분을 오랬동안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제1,2여과부를 통해 여과된 빗물을 공급하므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가로수 양측에 복수 개의 본체(100)가 설치되고, 본체(100) 사이에 수분공급부(200) 및 수분재흡수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하지만, 가로수 주변에 하나의 본체에 수분공급부와 수분재흡수부가 구비된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단, 이 때 수분공급부의 유공관은 본체와 연결되지 않는 단부는 닫힌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는 수분배출지연부(250)와 유공관(210)이 나사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수분배출지연부(250)가 유공관 내에 삽입되는 억지끼움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 적층된 제1여과부(120), 수분임시저장부(130), 제2여과부(140) 순서 외에도, 제1여과부(120), 제2여과부(140), 수분임시저장부(130) 순으로 적층된 구조도 적용가능할 것이며, 또는 제2여과부(140), 수분임시저장부(130), 제1여과부(120) 순으로 적층된 구조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유공관과 수분재흡수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구성과 같으나, 유공관(210) 일측이 분기되어 수목의 줄기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갖는 보조관(220)을 구비한다.
보조관(220)은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파이프형태로서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보조관(220) 빈공간에 연통되는 제1관통공(215)이 형성된다.
보조관(220)은 수평보조관(221)과 수직보조관(223)으로 구비된다.
수평보조관(221)은 유공관(210)에서 수평방향으로 분기돤 관으로서 제1관통공(215)이 형성되며 다양한 방향으로 뻗은 가로수의 뿌리에 수분을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수직보조관(223)은 수평보조관(221)의 단부에서 수직상방인 가로수 줄기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으로서 상단부는 막혀있다.
수직보조관(223)은 제1관통공(215)이 형성되어 수목의 뿌리 상부에까지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재흡수부(300)는 유공관(210) 및 수평보조관(221) 수직보조관(223)의 하방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보조관을 두어 토양 내에 다양한 각도로 뻗어있는 뿌리에 고르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공관(210)과 유공관필터부(320)에 대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제 2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구성과 같으나, 수분재흡수부(300)는 토양수분흡수부재(310) 외에 유공관(2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유공관필터부재(320)를 더 구비한다.
유공관필터부재(320)는 유공관(2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유공관(210)을 삽입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유공관필터부재(320)는 부직포와 같이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유공관(210)에서 배출되는 물을 흡수하면서 토양수분흡수부재(310) 또는 토양으로 천천히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유공관필터부재(320)는 유공관(210)의 외주면을 감싸 토양과 유공관 사이에서 필터 역할을 하므로, 토양의 흙이나 이물로 인해 유공관(210)의 제1관통공(215)의 막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관(210) 내부에 수분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보조흡수부재(330)가 충진되어 유공관필터부재(320)로 배출되는 물을 추가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는 구조도 가질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수분보조공급부에 대한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수직보조공급부(50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구성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분보조공급부(500)는 수평보조관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보조관(223)이 지면 위까지 연장되어 돌출되고, 수직보조관(223)을 감싸고 있는 유공관필터부재(320)가 지면위로 돌출된 상단까지 연장된다.
수분보조공급부(500)는 관리자가 공급하는 물이나 빗물을 지면위로 올라온 유공관필터부재(320)를 통해 흡수하여 지면 내인 토양수분흡수부재(310)까지 수분을 전달한다.
수분보조공급부(500)를 통해 공급된 수분은 지면 위에서부터 토양 내인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수목의 뿌리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고르게 전달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100)은 가로수(3)를 사이에 두고 소정거리 이격 되게 복수 개 설치된다.
집수정(100)은 본체(150) 내부의 수용공간에 하부에서 상부로 수분저장부(190), 분배걸침판(180), 제1여과부(120), 수분임시저장부(130) 순으로 적층된다.
수분임시저장부(130)는 본체(150)의 수용공간에 그레이팅(110)과 소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되며 제1여과부(120)의 상부와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수분임시저장부(130)는 집수정(100) 내로 유입되는 물이나 빗물이 하부로 단시간에 배수되지 않고 임시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제1여과부(120)는 수분임시저장부(130)의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분배걸침판(180)은 본체(150)의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제1여과부(120)의 하부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분배걸침판(180)은 제1여과부(120)와 수분임시저장부(130)를 지지하여 본체의 수용공간 하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수분저장부(350)가 형성되도록 한다.
분배걸침판(180)에는 수분임시저장부(130)에서 수분저장부(190)로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제2관통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수분저장부(190)은 본체의 수용공간 중 분배걸침판(180) 하부에 형성되는 부분이며, 수분공급부(200)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수분저장부(190)에는 수분임시저장부(130)를 지나 제1여과부(120)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수분공급부(200)는 유공관(210), 수분역류지연부(360), 수분재흡수부(300)를 구비한다.
유공관(210)은 본체(150)의 하부에 관통하여 본체(150)의 수분저장부(350)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수분역류지연부(360)는 수분저장부(190)로 관통된 유공관(210)의 단부에 나사결합하는 부분이며, 유공관(210)이 관통된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2관통공(361)이 형성되어 있다.
제2관통공(361)은 유공관(210)의 중공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수분저장부(19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의해 수분저장부(350)가 유공관 보다 높은 압력이 형성되어 물이 수분저장부(190)에서 유공관(210)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수분저장부(190)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낮거나, 유공관(210) 내부의 수분저장부의 압력보다 높을 때는 유공관(210)의 중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관통공이 구비된 수분역류지연부(360)에 의해 본체(150)로 물이 역류되는 것이 지연되거나 방지된다.
따라서, 수분역류지연부(360)는 제2관통공(361)에 의해 본체(150)에 저장된 빗물이나 물을 유공관(210)으로 소량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유공관(210)으로 유입된 물이 본체 방향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와 같은 수분역류지연부(360)와 유공관(210)의 결합구조 외에도 수분역류지연부(360)가 본체(150)와 유공관(210) 사이에 설치되되 수분역류지연부(360)의 제2관통공(361)이 유공관(210)의 중공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조이면 적용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가로수나 수목에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따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할 필요가 없이 지속적이면서 토양 내 고르게 수분을 공급하며, 여과부를 통해 여과된 빗물을 공급하므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집수정
110 : 그레이팅 120 : 제1여과부
130 : 수분임시저장부 140 : 제2여과부
150 : 본체 151 : 그레이팅안착부
200 : 수분공급부 210 : 유공관
215 : 관통구멍 250 : 수분배출지연부
300 : 수분재흡수부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져 물이 저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로 들어온 물을 여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와 연결되어 물의 배수를 지연시키는 수분임시저장부를 구비하는 집수정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 외부로 연결되어 상기 집수정에 저장되어 여과된 물을 수목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 형태로서, 토양 내 매설되어 외주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물이 배출되는 복수 개의 제1관통공이 있는 유공관과, 상기 집수정과 상기 유공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정의 수용공간과 상기 유공관 내부를 연결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직경은 상기 유공관 방향으로 좁아지는 수분배출지연부를 갖는 수분공급부와;
    상기 유공관과 상기 유공관이 매설된 토양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공관의 관통공을 통해 배출된 물을 재흡수하는 수분재흡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집수정은
    상기 본체 하부에 상기 여과부와 상기 수분임시저장부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며 상기 수분공급부와 연결되는 수분저장부와;
    상기 수분저장부 상부에는 상기 여과부 또는 상기 수분임시저장부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저장부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여과부 또는 상기 수분임시저장부에서 흘러내린 물이 상기 수분저장부로 통과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된 분배걸침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분재흡수부는
    상기 토양 내에 상기 유공관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유공관에서 배출되어 상기 유공관 아래로 흘러내리는 토양 내의 물을 흡수하는 토양수분흡수부재와;
    상기 유공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토양의 흙이나 이물로 인해 상기 유공관의 제1관통공의 막힘을 방지하며, 상기 유공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임시적으로 흡수하면서 상기 토양수분흡수부재 또는 토양으로 공급하는 유공관필터부재와;
    성가 유공관 내부에 충진되어 수분을 임시적으로 저장하여 물의 배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보조흡수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부는
    상기 수분임시저장부의 상방과 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여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분기되어 소정길이 연장된 수평보조관과;
    상기 수평보조관에서 수목의 줄기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보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조관은 상부가 수목이 심어진 지면 위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보조관의 돌출된 상단까지 상기 유공관필터부재가 연장 형성되어 수목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보조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50106139A 2015-07-27 2015-07-27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172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39A KR101723134B1 (ko) 2015-07-27 2015-07-27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139A KR101723134B1 (ko) 2015-07-27 2015-07-27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21A KR20170013121A (ko) 2017-02-06
KR101723134B1 true KR101723134B1 (ko) 2017-04-04

Family

ID=5810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139A KR101723134B1 (ko) 2015-07-27 2015-07-27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650B1 (ko) * 2018-08-08 2019-02-15 한솔조경(주) 수목용 관수장치
KR101957453B1 (ko) * 2018-10-25 2019-03-12 김영만 나무여과상자
KR102379742B1 (ko) * 2020-12-11 2022-03-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스펀지층을 이용한 소규모 침수 저감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443B1 (ko) * 2019-03-15 2020-08-13 권혁중 다용도 침투통
KR102166539B1 (ko) * 2020-06-09 2020-10-15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빗물활용 일체형 수목생장 및 보호시스템
KR102576525B1 (ko) * 2021-12-27 2023-09-11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저류 기능을 구비하는 지중 수목 지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778B2 (ja) * 1995-05-12 2000-05-29 シェーリ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C型肝炎ウイルスプロテアーゼの不溶性凝集物をリフォールデ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
JP2004033171A (ja) * 2002-07-08 2004-02-05 Earth Work:Kk 根系通気灌水システム
JP2012090525A (ja) * 2010-10-22 2012-05-17 Tottori Univ 灌漑装置、灌漑システムおよび灌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778U (ja) * 1997-07-30 1998-02-13 ソーラーシステム株式会社 地中灌水装置
KR101159419B1 (ko) 2009-11-20 2012-06-28 송홍식 수목용 자동 물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778B2 (ja) * 1995-05-12 2000-05-29 シェーリ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C型肝炎ウイルスプロテアーゼの不溶性凝集物をリフォールデ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
JP2004033171A (ja) * 2002-07-08 2004-02-05 Earth Work:Kk 根系通気灌水システム
JP2012090525A (ja) * 2010-10-22 2012-05-17 Tottori Univ 灌漑装置、灌漑システムおよび灌漑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650B1 (ko) * 2018-08-08 2019-02-15 한솔조경(주) 수목용 관수장치
KR101957453B1 (ko) * 2018-10-25 2019-03-12 김영만 나무여과상자
KR102379742B1 (ko) * 2020-12-11 2022-03-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스펀지층을 이용한 소규모 침수 저감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121A (ko) 201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CN205511293U (zh) 尤其适用于不渗透性土壤的灌溉系统
CN206486968U (zh) 用于海绵城市的植草沟
KR101724155B1 (ko)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20170088782A (ko) 분리용 식수대에 심은 조경수의 급수구조
CN208777413U (zh) 一种生态式景观沟
KR101363436B1 (ko)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KR102133369B1 (ko)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CN106499033B (zh) 一种排涝与保水的道路绿化带系统
KR102345755B1 (ko)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CN111305345A (zh) 高效渗水吸水自循环下沉式绿地及其施工方法
KR101019776B1 (ko) 식생블록의 수분공급 시스템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ES2924082T3 (es) Dispositivo de depósito de agua para un sistema de riego de superficies útiles y dispositivo de riego para superficies útiles
KR101990798B1 (ko)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2037462B1 (ko) 집수 블록
JP5108225B2 (ja) 緑化容器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101062434B1 (ko) 수목용 수공제어관
WO2008035964A1 (en) Growing location, method and holder
CN211558160U (zh) 一种市政树池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KR100966800B1 (ko) 식생옹벽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