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98B1 - 지중 수분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수분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98B1
KR101990798B1 KR1020170145087A KR20170145087A KR101990798B1 KR 101990798 B1 KR101990798 B1 KR 101990798B1 KR 1020170145087 A KR1020170145087 A KR 1020170145087A KR 20170145087 A KR20170145087 A KR 20170145087A KR 101990798 B1 KR101990798 B1 KR 10199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ground
storage groove
hole
excell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017A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주)마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즈텍 filed Critical (주)마이즈텍
Priority to KR102017014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798B1/ko
Priority to PCT/KR2018/013241 priority patent/WO2019088750A1/ko
Publication of KR2019005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지중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몸체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 수분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장기간 동안 수분을 서서히 지중에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후 변화에 따른 각종 기상이변으로 수많은 인력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런 기후 변화가 초래한 매우 중요한 문제의 한 가지 예로서 사막화를 들 수 있다.
사막화란 오랫동안의 가뭄과 인간의 과도한 개발로 숲이 사라지고, 토지가 사막으로 변해가는 현상을 의미하며, 강우량보다 증발량이 많은 지역인 사막과는 의미가 다르다. 한 보고서에 의하면, 1950년대의 경우 매년 1,560㎢의 면적이 사막화되었으나, 현재에는 매년 6만㎢의 면적이 사막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천만명 정도의 인구가 경작지를 잃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다.
국제연합(UN)은 이러한 추세로 이상기후가 발생한다면 향후 몇 십년 내에 대규모 홍수나 가뭄, 사막화 등으로 인해 20억의 인구가 희생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사막화 방지의 대책으로서 사막에 녹지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나, 녹지를 형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관과 펌핑 시스템이 필요하고, 물 공급원과 멀리 떨어진 지역의 경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에 엄청난 시공과 관리 비용이 발생하므로 실효를 거두기는 힘든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계절별로 상이하며 특히 여름철에만 집중되고 이외의 계절에는 강수량이 현저히 부족한 갈수기에 속한다. 그에 따라 산악지형의 높은 지역에 위치한 나무에 공급되는 수분의 양이 현저하게 부족해질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동안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다 보니 많은 나무들이 죽어가고 있으며, 그 결과 산사태 등 재해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산악 지형의 나무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막, 특히 열대사막은 강우량보다 증발량이 많은 고온, 건조지역이기 때문에 수분이 부족하여 식물이 살 수 없는 지역이다. 그러나 사막에 식물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대체로 비가 올 때 물을 잘 저장해두었다가, 그렇게 저장한 물을 조금씩 쓰면서 건기를 버티면서 생장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의 뿌리가 위치하는 지중에 장기간 동안 계속해서 물을 조금씩 공급할 수 있다면 사막에서 일반적인 식물의 생장도 불가능한 것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지중에서 장기간 동안 수분을 서서히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을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물 공급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도 저장된 우수를 이용하여 지중에 물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을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제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저장홈과,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와,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상기 우수저장홈의 깊이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의 하단이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호스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우수저장홈과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공간부를 상하 2층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줄어드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에 의하면, 우기에 충분한 물을 확보한 후 건기에 물을 지중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물 공급을 위한 배관이나 펌핑 수단 등 복잡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에 의하면, 우수저장홈과 다공성부재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므로, 우수 유입홀 또는 우수 배출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에 의하면, 저장된 우수의 상부에 다공성부재가 설치되어 열을 차단하게 되므로, 보온 기능에 따른 우수의 증발 방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에 의하면, 저장된 우수가 우수공급부재에 의해 지중으로 점적 공급되므로,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지중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에 의하면, 몸체의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지중에 매립 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에 의하면, 몸체의 외측면에 표면적 증대를 위한 복수 개의 주름부가 형성되므로, 사막 지역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설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이하, '수분공급장치')(10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200)를 가지며, 몸체(200)의 상단부에는 우수 유입홀(210)이 관통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우수 배출홀(220)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재, 목재,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 여러 재질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사막지역에서는 온도차에 의해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0)는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한, 특별히 외관의 형상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뾰족한 육면체 형상으로 몸체(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육면체 외의 또 다른 다면체 형상이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200)의 폭이나 높이, 길이 등의 규격 역시, 우수 저장량, 저장된 우수의 배출량, 지중으로 우수가 공급되는 기간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200) 내부를 청소하거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몸체(200)의 상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몸체(200)의 상측면에는 우수 유입홀(210)이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되며, 이 우수 유입홀(210)은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한다. 즉, 우수 유입홀(210)을 통해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로 우수가 유입된다.
몸체(200)는 상측면이 지표면 상에 노출될 정도로 지중에 매설되는데, 이때 지중(예컨대, 부엽토층)으로 흡수된 우수가 몸체(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200) 상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도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2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0)의 하단부는 매설 작업이 용이하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일 예로서, 몸체(200)의 하단부에는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더 줄어드는 테이퍼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00)를 지면에 안착시킨 후 망치나 해머로 몸체(200)의 상단을 타격하여 간단하게 지중에 매설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200)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220)이 관통 형성된다. 몸체(200)의 하단에 테이퍼부(23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테이퍼부(230)의 외측면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2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0) 내부에 저장된 우수는 우수 배출홀(220)을 통해 지중으로 공급되며, 우수 배출홀(220)의 직경 등 규격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지중으로 공급되는 우수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지중으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몸체(200)의 일측에 우수 공급홀(240, 도 2 참조)을 관통 형성하고 이 우수 공급홀(240)에 우수공급부재(300, 도 2 참조)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우수공급부재(300)는 물을 흡수하는 재질, 예컨대 섬유나 실, 천, 종이 또는 기타의 수분 흡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틈새를 통한 누수 방지를 위해 우수 공급홀(240)을 채우도록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 공급홀(240)로 삽입된 우수공급부재(300)의 일단은 저장된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며, 저장된 우수는 우수공급부재(300)를 통해 지중으로 공급된다. 우수 공급홀(240)은 우수 배출홀(220)과 함께 형성되거나, 우수 배출홀(220)없이 우수 공급홀(240)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우수 공급홀(240)없이 우수 배출홀(220)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관 형상의 우수공급부재(300)가 우수 공급홀(240)에 삽입되고, 관 내부에 섬유나 실, 천, 종이 또는 기타의 수분 흡수재를 충진하여 점적관수가 이루어지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별도의 우수 배출홀(220)이나 우수 공급홀(240) 없이, 몸체(200) 상단부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우수 유입홀(210)에 우수공급부재(300)를 삽입한 후, 저장된 우수에 우수공급부재(300)의 일단이 담기도록 하고 타단이 지중으로 연장되게끔 할 수도 있다.
한편,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를 상하 2층으로 구획하도록, 공간부의 일측에 보온부재(400)가 설치된다. 이 보온부재(400)는 열 차단 효과를 갖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스펀지나 우레탄 폼 등 복수 개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온부재(400)는 우수와 함께 공간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걸러내서 우수 배출홀(220) 또는 우수 공급홀(24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몸체(200) 상단부의 열이 하단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간부 하층에 저장된 우수의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술한 우수 공급홀(240)은 보온부재(400)의 설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우수 공급홀(240)이 보온부재(400)의 설치 위치보다 높게 형성되거나 우수공급부재(300)가 우수 유입홀(210)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우수공급부재(300)가 보온부재(400)를 관통하여 몸체(200)의 하부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설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수분공급장치(100)와 그 구성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몸체(200)의 상단에 우수저장홈(500)이 낮게 단차 형성되고,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에는 통공(511)을 갖는 복수 개의 돌출부(51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00)의 형상과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는 몸체(200)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200)의 매립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몸체(200) 하단부가 뾰족하게 또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00)의 상단에 우수저장홈(500)이 낮게 단차 형성되며,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돌출부(510)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510)는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별도로 제작된 돌출부(510)를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돌출부(510)의 외측면 상부에는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11)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가 내리면 우수가 몸체(200) 상단의 우수저장홈(500)에 고이게 되며, 우수저장홈(500)에 고인 우수의 수위가 통공(511)의 높이에 도달하면 통공(511)을 통해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로 우수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몸체(200)의 상단에 우수저장홈(500)과 돌출부(510)를 형성한 이유는 우수에 섞인 미세분진 등의 이물질이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우수에 섞인 미세분진 등의 이물질은 우수저장홈(500)의 바닥에 가라앉고, 우수만이 돌출부(510)의 통공을 통해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게끔 한 것이다. 따라서, 통공(511)은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하여 돌출부(51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예로서 돌출부(510)의 상측면에 통공(511)이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돌출부(510)의 하단은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공간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부(510)의 하단에는 예컨대 비닐 등 두께가 얇은 유연성 재질의 호스(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공(511)으로 유입된 우수는 돌출부(510)와 호스(600)를 지나서 공간부로 유입되며(이점 쇄선으로 도시), 호스(600)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줄어들면서 표면장력에 의해 호스(600)가 납작하게 압착되므로(실선으로 도시), 통수 후에는 공간부에서 증발된 우수가 호스(600)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중으로 흡수된 우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상단부에는 외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2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기 위해 몸체(200)의 하단부에는 외측면 또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220, 도 1 참조) 또는 우수 공급홀(24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점적관수를 위해 전술한 우수공급부재(300)가 우수 공급홀(240)에 삽입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외측면 둘레에 형성된 우수 유입홀(210) 중의 어느 하나에 우수공급부재(300)를 삽입하거나, 우수 유입홀(210)의 일측에 별도의 우수 공급홀(240)을 관통 형성하고 우수공급부재(300)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우수공급부재(300)는 몸체(200) 하단부의 우수 공급홀(240)에만 삽입되거나, 몸체(200) 상단부의 우수 공급홀(240)에만 삽입될 수도 있으며, 하단부의 우수 공급홀(240)과 상단부의 우수 공급홀(240)에 각각 우수공급부재(300)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몸체(200) 내부에는 이물질 유입과 우수의 증발 방지를 위해, 전술한 보온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임시저장홈(410)이 낮게 단차 형성된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임시저장홈(410)의 바닥면에서 가이드부(420)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420)는 보온부재(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제작된 가이드부(420)를 임시저장홈(410)의 바닥면에 관통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420)에는 보온부재(400) 하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가이드홀(430)이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홀(430)은 가이드부(420)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몸체(200) 상단의 돌출부(510)와 보온부재(400)의 가이드부(420)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510)의 통공(511)을 통해 낙하한 우수가 가이드부(420)의 가이드홀(430)로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돌출부(510)와 가이드부(420)는 서로 다른 축선상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돌출부(510)의 통공(511)처럼 가이드부(420)의 외측면 상부에 가이드홀(43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가이드부(420)의 하단은 보온부재(400)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420)의 하단에는 전술한 유연성 재질의 호스(6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온부재(400)에 의하면, 돌출부(510)를 통과한 우수가 임시저장홈(410)에 고이게 되며, 이때 우수에 혼입된 이물질은 임시저장홈(410)의 바닥면에 가라앉는다. 임시저장홈(410)에 고인 우수는 그 수위가 가이드홀(430)에 도달하였을 때,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가이드홀(430)을 통해 보온부재(400) 하부의 공간부로 유입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200)는 상단이 개방된 함체형의 케이스(201)와, 이 케이스(201)의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201) 내부의 공간부를 개폐하는 커버(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커버(202)의 상측면에 전술한 우수저장홈(500)과 돌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케이스(201)로부터 커버(202)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커버(202)와 케이스(201) 내부를 청소한 후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몸체(200) 또는 커버(202)의 상측에 별도의 그레이팅(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돌출부(510)의 상측면에 통공(51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레이팅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몸체(200) 상단 또는 커버(202)에 형성되는 통공(511)과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레이팅의 관통홀과 통공(511)이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게끔 하여, 우수가 우수저장홈(500)에 고이지 않고 곧바로 돌출부(510)의 통공(51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레이팅은 전술한 제1,제2 실시예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제3,제4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저장홈(500)의 바닥면에서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을 갖는 돌출부(510)가 형성되고, 돌출부(510)의 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511)이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우수저장홈(500)에 고인 우수의 수위가 일정 정도에 이르러야 우수가 통공(511)을 통해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511)은 돌출부(5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정도의 높이만큼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돌출부(510)의 구조는 보온부재(4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보온부재(400)의 가이드부(420) 역시 임시저장홈(410)의 바닥면에서 완만하게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곡면의 상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홀(43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b)는 전술한 제1,제2 실시예의 수분공급장치(100,100a)와 그 구성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 몸체(200)의 외측면에 복수 개의 주름부(25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00)의 외측면에 산과 골을 갖는 주름부(250)가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된다. 이는, 몸체(200)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주름부(250)가 형성된 몸체(200) 부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몸체(200) 상부의 지상과 몸체(200) 하부 지중의 온도차 및 일교차에 따른 결로 현상으로 몸체(200)의 외측면에 발생되는 수분의 양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때, 몸체(200)의 상단부로부터 주름부(25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200) 내부의 공간부에는 주름부(250)가 형성되는 지점의 상부에 보온부재(400)가 설치되어, 주름부(250) 형성 부위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한편, 공간부의 우수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중 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c)는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수분공급장치(100b)와 그 구성이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결로 현상에 의해 몸체(200)의 외측면에 집수되는 수분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 몸체(200)의 하부에 폭이 확장된 확장부(260)가 형성되고, 확장부(260)의 상측면에 복수 개의 주름부(25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c)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하부에 폭이 확장된 확장부(260)가 형성되며, 확장부(260)의 상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주름부(250)가 상호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때, 확장부(260)의 하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외측면을 향해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확장부(260)의 하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100~100c)에 의하면, 우기에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우수를 몸체(200)에 저장한 후, 건기에 우수공급부재(300)를 통해 지중으로 점적관수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건기에도 산악지역에서 나무가 생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의 사막화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우수 배출홀(220) 또는 우수 공급홀(240)이 이물질로 막혀서 지중으로의 우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기와 지중에 매설된 몸체(200)의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에 의해 몸체(200)의 외측면에 맺히는 수분을 모아서 지중에 공급할 수도 있으며, 사막에서 지속적인 수분 공급을 가능하게 하므로, 결국 사막에서 식물의 생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100b,100c : 수분공급장치
200 : 몸체 201 : 케이스
202 : 커버 210 : 우수 유입홀
220 : 우수 배출홀 240 : 우수 공급홀
250 : 주름부 260 : 확장부
300 : 우수공급부재 400 : 보온부재
500 : 우수저장홈 510 : 돌출부
511 : 통공 600 : 호스

Claims (9)

  1.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저장홈;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상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하단이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호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2.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저장홈;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상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하단이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단에 유연성을 갖는 재질의 호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3.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저장홈;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상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을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4.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저장홈;
    상기 우수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
    상기 몸체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5.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름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을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6.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름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7.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름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배출홀을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8.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폭이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름부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및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9.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우수 저장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우수 공급홀; 및
    상기 우수 공급홀에 삽입되되, 일단은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지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20170145087A 2017-11-02 2017-11-02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199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087A KR101990798B1 (ko) 2017-11-02 2017-11-02 지중 수분공급장치
PCT/KR2018/013241 WO2019088750A1 (ko) 2017-11-02 2018-11-02 지중 수분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087A KR101990798B1 (ko) 2017-11-02 2017-11-02 지중 수분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17A KR20190050017A (ko) 2019-05-10
KR101990798B1 true KR101990798B1 (ko) 2019-06-19

Family

ID=6633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087A KR101990798B1 (ko) 2017-11-02 2017-11-02 지중 수분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0798B1 (ko)
WO (1) WO2019088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163B1 (ko) 2020-09-10 2021-07-05 주식회사 파이안바이오테크놀로지 혈소판 유래 미토콘드리아의 수득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290596B1 (ko) 2020-09-10 2021-08-19 주식회사 파이안바이오테크놀로지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주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813A (ja) * 2008-04-01 2009-10-29 Ishihata Katawaku:Kk 雨水桝
KR101234662B1 (ko) * 2012-09-28 2013-02-19 주식회사 현진기업 빗물의 지중유입 및 토사 내부 물의 지상유출 안내를 위한 스트레이너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192B1 (ko) * 2010-01-07 2010-04-09 임철웅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20120047400A (ko) * 2010-11-04 2012-05-14 신해 배수블록
KR101577378B1 (ko) * 2015-01-29 2015-12-14 한국토지주택공사 빗물이 순환되는 식생플랜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9813A (ja) * 2008-04-01 2009-10-29 Ishihata Katawaku:Kk 雨水桝
KR101234662B1 (ko) * 2012-09-28 2013-02-19 주식회사 현진기업 빗물의 지중유입 및 토사 내부 물의 지상유출 안내를 위한 스트레이너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750A1 (ko) 2019-05-09
KR20190050017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993B2 (en) Cultivation floor system for providing supply and discharge irrigation
US8449219B2 (en) Water-storage and water-purification system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1990798B1 (ko) 지중 수분공급장치
JP2009077665A (ja) 土壌構造
US8256989B2 (en) Water-storage and water-purification system
KR102133369B1 (ko)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EP2385183A1 (en) Assembly for the provision of a water retention system
KR102037462B1 (ko) 집수 블록
JP3121174B2 (ja) 雨水貯留型植栽地盤
KR101170815B1 (ko) 우수의 식생 저류장치
KR101062434B1 (ko) 수목용 수공제어관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KR102633068B1 (ko) 가로수 물공급 가능한 비상저류조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JP4826975B1 (ja) 雨水の浸透循環貯留槽。
KR101309133B1 (ko)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JP2020180457A (ja) 地盤の液状化抑制構造
KR20190122193A (ko) 집수 블록
KR101344073B1 (ko) 토양 내 염분·오염물질 차단, 수분·양분공급 및 과습·유해가스배출의 다목적 시스템
JP2008240388A (ja) 潅水システム及びこの潅水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貯水ユニット
KR200338296Y1 (ko) 절토지 배수구조
KR200227379Y1 (ko) 우수관거 시스템에 적합한 투수관
JP2020180456A (ja) 地盤の液状化抑制構造
KR20020028002A (ko) 우수관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