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296Y1 - 절토지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절토지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296Y1
KR200338296Y1 KR20-2003-0031379U KR20030031379U KR200338296Y1 KR 200338296 Y1 KR200338296 Y1 KR 200338296Y1 KR 20030031379 U KR20030031379 U KR 20030031379U KR 200338296 Y1 KR200338296 Y1 KR 200338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drainage
water
cut land
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용
Original Assignee
박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용 filed Critical 박호용
Priority to KR20-2003-0031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토지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토사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절토지의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고 우천으로 인한 지반에 함유된 물 또는 지하수 수위를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절토지 배수구조는, 절토지(CS)의 높이에 따라 다단으로 절토지의 경사면(S)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토지에 매립되고 상부에 투수부(12)가 형성된 다수의 배수유도관(10)과; 상기 절토지의 경사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적어도 2개의 배수유도관이 연결되는 집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유도관(10)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수부(12)에 의하여 배수유도관(10) 내부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절토지(CS)의 배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수유도관(10) 내부로의 토사유입이 차단되고, 물이 집수관(30)으로 집수되어 절토지(CS) 아래쪽으로 배수됨에 따라 절토지(CS)의 경사면(S) 쪽으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절토지 배수구조{DRAINING STRUCTURE OF THE CUT SITE}
본 고안은 절토지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토사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절토지의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하고 우천으로 인한 지반에 함유된 물 또는 지하수 수위를 낮추는 절토지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로변 비탈면, 하안, 단지 조경벽면 등의 각종 경사면이나 법면을 가진 절토지는 침하되거나 수평토압에 의하여 붕괴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하며, 이러한 구조의 일환으로 절토지에서 흘러나오는 지하수나 우천시 함침된 우수를 토사의 유실없이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조가 요구된다.
도 5에는 종래 일반적인 절토지 배수구조가 되시되어 있다. 즉, 종래 절토지 배수구조는 절토지(CS)를 브렉카를 이용하여 낙엽 줄기모양으로 홈을 낸 다음 이부분에 다발관을 삽입후 콘크리트 마감 하여 표면수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시공하여 절토지(CS)에 매립시킴으로써 절토지(CS)에서 흐르는 물을 배수관(P, 다발관)을 통하여 절토지(CS)의 경사면(S)을 따라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절토지 배수구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절토지(CS)에 매립되어 있는 배수관(P)의 입구를 통해서만 물이 유입되어 배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관(P)의 상부쪽에서 물이 배수관(P)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배수관(P)의 외주면을 타고 경사면(S)쪽으로 흘러내림으로써 토사의 유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또한, 배수관(P)의 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절토면(물을 위도하기위해 파낸 홈) 으로 물이 흐르기 때문에 절토면의 으로 유출수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절토면에 유출수가 발생되면 지반의 침하현상으로 이어지고, 또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평토압에 의해 절토지(CS)가 붕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둘째, 브렉카를 이용 홈을 낸 후 마감하는 부분에서 장기간 세월이 지나면 절개면과 콘크리트가 분리되는 현상이 일어나므로 이에대한 보강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토사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절개지에 대해 최대한 빨리 지하수위 및 우천으로 인한 절토지의 배수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를 구성하는 배수유도관의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를 구성하는 배수유도관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3c 내지 도 3e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를 구성하는 배수유도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를 구성하는 배수유도관과 집수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 절토지 배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유도관, 12 : 투수부,
30 : 집수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는, 절토지의 높이에 따라 다단으로 절토지의 경사면쪽으로 하향경사지게 절토지에 매립되고 상부에 투수부가 형성된 다수의 배수유도관과; 상기 절토지의 경사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적어도 2개의 배수유도관이 연결되는 집수관을 포함하여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유도관은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절토지 배수구조가 시공된 절토지의 경우 절토지 내부를 흐르는 물은 투수부를 통하여 각 배수유도관 내부로 유입되어 각 배수유도관의 출구를 통해 집수관으로 집수되어 절토지 아래쪽으로 배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는, 절토지(CS)의 높이에 따라 다단으로 절토지(CS)에 매립되는 다수의 배수유도관(10)과, 상기 절토지(CS)의 경사면(S, 법면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수유도관(10)들과 연결되는 집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유도관(10)은 부식방지를 고려하여 FRP, PVC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유도관(10)은 수평으로 매립될 수 있으나 효율적인 배수유도를 고려한다면 절토지(CS)의 경사면(S)쪽으로 하향경사지게 매립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유도관(10)의 상부에는 절토지(CS)를 흐르는 물이 배수유도관(10)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수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투수부(12)는 예컨대 도 3a, 도 3b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투수공(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수부(12)의 대안으로서 도 3c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16)나 부직포(18) 등과 같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투수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유도관(1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하측으로 오목한 단면을 지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수부(12)를 오목하게 형성한 것은 지하수나 땅속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상기 투수부(12)에서 흡수되고, 투수부에 포화상태로 흡수되면 물방울형태로 그 내부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수유도관(10)의 입구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막힐 수 있다.
한편, 집수관(30) 역시 부식방지를 고려할 때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집수관(3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별로 적어도 2개의 배수유도관(10)이 연결된다. 예컨대, 각 단별로 2개의 배수유도관(10)이 위에서 보아 V자형으로 배치되어 집수관(3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집수관(30)과의 효과적인 연결을 위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지(CS)의 경사면(S) 밖으로 돌출되는 배수유도관(10)의 출구(20)의 경우 수평으로 절곡되고, 집수관(30)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가 절토지(CS)에 시공되면, 절토지(CS)의 내부를 흐르는 지하수나 우천시 절토지(CS)에 함침된 우수는 각 배수유도관(10)의 투수부(12)를 통하여 각 배수유도관(10)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투수부(12)에 의해 배수유도관(10) 내부로의 토사유입이 차단하고 수분은 투과하여 배수 우도관을 통해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유도관(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각 배수유도관(10)을 따라 흘러 배수유도관(10)의 출구(20)를 통해 집수관(30)으로 집수되어 절토지(CS) 아래쪽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배수유도관(10)으로부터 절토지(CS) 경사면(S) 쪽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토지 배수구조에 있어서는, 투수부(12)에 의하여 배수유도관(10) 내부로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절토지(CS)의 배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절토지(CS)를 흐르는 물에 의한 수평토압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절토지(CS)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수부(12)에 의하여 배수유도관(10) 내부로의 토사유입이 차단되므로 절토지(CS) 침하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배수유도관(10)이 토사로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수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절토지(CS)의 물이 집수관(30)으로 집수되어 절토지(CS) 아래쪽으로 배수됨에 따라 절토지(CS)의 경사면(S) 쪽으로 물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절토지 경사면의 토사유실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절토지(CS)의 높이에 따라 다단으로 절토지의 경사면(S)쪽으로 하향경사지게 절토지에 매립되고 상부에 투수부(12)가 형성된 다수의 배수유도관(10)과;
    상기 절토지의 경사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각 단별로 적어도 2개의 배수유도관이 연결되는 집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지 배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관(10)은 하측으로 오목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지 배수구조.
KR20-2003-0031379U 2003-10-06 2003-10-06 절토지 배수구조 KR200338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379U KR200338296Y1 (ko) 2003-10-06 2003-10-06 절토지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379U KR200338296Y1 (ko) 2003-10-06 2003-10-06 절토지 배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362A Division KR20050033363A (ko) 2003-10-06 2003-10-06 절토지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296Y1 true KR200338296Y1 (ko) 2004-01-16

Family

ID=4942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379U KR200338296Y1 (ko) 2003-10-06 2003-10-06 절토지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53B1 (ko) * 2016-09-26 2018-01-25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553B1 (ko) * 2016-09-26 2018-01-25 강원도립대학산학협력단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94556U (zh) 闸站基坑排水系统
CN209941698U (zh) 可循环使用的边坡排水结构
CN213709582U (zh) 一种路基边坡防护结构
KR101656036B1 (ko)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KR102194609B1 (ko) 우수 여과 및 우수 재활용 시설물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0756294B1 (ko) 빗물 재활용 우수 집수시설물
KR200338296Y1 (ko) 절토지 배수구조
JP6371625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
JP3888857B2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KR20050033363A (ko) 절토지 배수구조
JP4608366B2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JPH08260553A (ja) 雨水等の浸透用側溝構造
CN210529417U (zh) 一种道路两侧排水设施
JPS6233805Y2 (ko)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20140122781A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JP2000303546A (ja) 舗装道路用の排水用構造物
KR101218752B1 (ko) 빗물저장침투장치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20150002028U (ko) 다발관을 이용한 경사면 배수구조
CN211581028U (zh) 一种防水土流失绿化带
CN208917621U (zh) 一种改善积水的道路透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