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33B1 -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133B1
KR101309133B1 KR1020110066107A KR20110066107A KR101309133B1 KR 101309133 B1 KR101309133 B1 KR 101309133B1 KR 1020110066107 A KR1020110066107 A KR 1020110066107A KR 20110066107 A KR20110066107 A KR 20110066107A KR 101309133 B1 KR101309133 B1 KR 10130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il
storage housing
buried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817A (ko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녹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녹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6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1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Sewag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묘종의 안정적인 활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설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내부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수분 공급을 일정 주기로 하지 않더라도 우천시 저수조에 저장된 수분이 식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우천시 오염된 우수가 지하로 스며듬으로 인하여 지하수가 오염됨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UNDERGROUNDING RESERVOI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집수된 빗물을 식물로 공급할 수 있는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식재(highway planting)는 자연 경관의 보호, 자연 환경과의 조화, 도로경관의 조성, 교통공해의 완화, 도로 및 휴게 시설 등의 기능 향상, 도시미의 조성, 재해 방지 등을 꾀하기 위하여 도로의 분리대, 도로 옆, 인터체인지, 휴게 시설, 도시 지역 도로의 보도 등에 식수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식수되는 수목은 시선유도, 명암순응, 차광, 출입방지, 완충, 차폐, 조화, 지표, 방재, 식생보호, 수경 등의 유익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가 발달하면서 건축 면적이 증가하고, 도로가 포장되면서, 투수 면적이 감소하는 것에 비례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수량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그에 따라 지하수가 점차 고갈되고, 아울러 수분 공급이 어렵게 됨으로써 식물이 성장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사후 관리를 하고 있지만, 사후 관리에 필요한 수분 공급은 통상적으로 상수도 또는 지하수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물부족 현상이 가중되고 있는 오늘날에는 수자원의 고갈로 인해 원활한 수자원 공급에 크나큰 차질이 자주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뭄기나 건조기에는 상술한 문제가 자주 초래되어 인력을 동원한 철저한 사후 관리를 취한다 하더라도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공급에 차질이 초래되어 효과적인 관리를 취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내부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우천시 저수조에 저장된 수분이 식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우천시 오염된 우수가 지하로 스며듬으로 인하여 지하수가 오염됨을 억제할 수 있는 매설 저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설 저수조는,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은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형성된 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양 및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고 수분은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는 판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된 면에 구비되는 여과케이스와, 상기 여과케이스에 구비되는 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케이스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에 안착되며 상기 여과공이 관통 형성된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주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정화하는 정화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화부재는 숯과 모래 및 자갈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부재의 상측에는 또 다른 여과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수단은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케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토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설저수조 시공방법은, 매설저수조를 매설한 지반의 위치를 선정하고 지반을 굴토하는 단계와; 굴토된 지반에 상기 매설저수조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지반에 매설된 상기 매설저수조의 상부에 토양을 충진하는 단계와; 충진된 토양에 식물을 심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설 저수조는,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내부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우천시 저수조에 저장된 수분이 식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우천시 오염된 우수가 지하로 스며듬으로 인하여 지하수가 오염됨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가 지반에 매설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가 지반에 매설된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설 저수조는,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100)과,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수용 하우징(100)은 토양의 내부에 매설되며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우천시에 토양으로 스며드는 수분이 토양을 통과하여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는 수용공간(110)으로 토양 및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고 수분은 유입되도록 하는 별도의 여과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300)는 판면에 다수의 여과공(301)이 형성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된 면에 구비되는 여과케이스(310)와, 여과케이스(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수분이 여과되면서 통과되도록 하는 여과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과케이스(310)는 다수의 여과공(301)이 구비된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케이스(310)의 상측에 여과부재(320)뿐만 아니라 정화부재(330)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이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여과부재(320)와 정화부재(3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여과케이스(310)는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1)와, 삽입부재(311)와 결합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안착되며 여과공(301)이 관통 형성된 저면플레이트(312)와, 저면플레이트(312)의 주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313)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311)는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여과부재(320)가 안착되는 저면플레이트(312)가 구비되어 있다.
삽입부재(311)는 저수용 하우징(100)에서 여과케이스(3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여과케이스(310)가 유동하지 않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상면에 꽉 끼워질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저면플레이트(312)의 판면에는 다수의 여과공(30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많은 양의 수분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그 폭과 길이가 저수용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분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여과공(301)이 형성된 저면플레이트(312)의 판면 영역은 여과공(301)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경사진 면을 타고 흘러서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저면플레이트(312)의 둘레면 상측에는 저면플레이트(312)의 상면에 안착된 여과부재(320)와 정화부재(330)가 저면플레이트(312)의 상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여과부재(320) 및 정화부재(330)가 저면플레이트(312)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이동함을 구속하는 측면플레이트(3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플레이트(313)와 저면플레이트(312)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여과부재(320)와 정화부재(330)가 구비되는데, 여과부재(320)는 이물질은 걸러주고 수분은 통과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여과부재(320)는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부재(3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분을 정화하는 정화부재(330)는 숯과 모래 및 자갈 등의 재질이 섞여서수분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토양으로 스며든 수분의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정화부재(330)의 상측에는 또 다른 여과부재(3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여과부재(320) 및 정화부재(330)는 다양한 형태로 적층되어 토양으로 스며들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분을 여과하고 정화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로 상호 적층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토양 측으로 삼투압에 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물과 토양을 연결하는 매개 역을 하는 별도의 수분공급수단(200)가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수분공급수단(200)은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여과케이스(310)를 통과하여 상기 토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 및 저수용 하우징(100) 외부의 토양과 각각 접촉되는 수분공급수단(200)의 일단과 타단은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신속하게 수분을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분공급수단(200)의 일단과 타단은 펼쳐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토양에 심어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우천시에 토양으로 스며든 수분의 일부는 식물에 흡수되고, 다른 일부는 토양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여과부재(32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정화부재(330)를 거치면서 수분에 포함된 유해 물질들이 정화된 후에 여과공(301)을 통하여 저장용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랜 기간동안 비가 오지 않아 토양이 건조해지면 삼투압에 의하여 수분공급수단(200)을 따라 저장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이 토양으로 공급되며, 이렇게 토양으로 공급된 수분을 식물이 흡수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지 않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은 식물이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식물이 고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저수조를 지반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매설저수조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선정하고 그 위치의 지반을 일정한 깊이로 굴토한다. 이때, 굴토된 지반의 저부면은 평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반의 굴토가 완료되면 이미 제작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저수조를 굴토된 지반에 배치시키고, 그 상면을 토양으로 덮은 후에 상기 토양에 필요로 하는 다양한 식물을 심게 됨으로써 매설저수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저수용 하우징 200 : 수분공급수단
300 : 여과부 310 : 여과케이스
311 : 삽입부재 312 : 저면플레이트
313 : 측면플레이트 320 : 여과부재
330 : 정화부재

Claims (11)

  1.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은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형성된 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양 및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고 수분은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부는 판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된 면에 구비되는 여과케이스와, 상기 여과케이스에 구비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케이스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에 안착되며 상기 여과공이 관통 형성된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주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정화하는 정화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재는 숯과 모래 및 자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형성된 재질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재의 상측에는 또 다른 여과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수단은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케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토양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저수조.
  11. 청구항 제1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설저수조를 지반에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매설저수조를 매설한 지반의 위치를 선정하고 지반을 굴토하는 단계와;
    굴토된 지반에 상기 매설저수조를 배치시키는 단계와;
    지반에 매설된 상기 매설저수조의 상부에 토양을 충진하는 단계와;
    충진된 토양에 식물을 심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저수조 시공방법.
KR1020110066107A 2011-07-04 2011-07-04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09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07A KR101309133B1 (ko) 2011-07-04 2011-07-04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07A KR101309133B1 (ko) 2011-07-04 2011-07-04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7A KR20130004817A (ko) 2013-01-14
KR101309133B1 true KR101309133B1 (ko) 2013-09-16

Family

ID=4783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107A KR101309133B1 (ko) 2011-07-04 2011-07-04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98B1 (ko) 2019-01-31 2020-11-12 최하정 수자원 활용 구조물
CN113632710B (zh) * 2021-08-17 2022-10-28 襄阳园冶风景园林集团有限公司 绿化节水灌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9940U (ko) * 1988-04-05 1989-10-17
JPH05115226A (ja) * 1991-10-29 1993-05-14 Takenaka Komuten Co Ltd 自動給水ポツト
JP2004092390A (ja) * 2003-12-26 2004-03-25 Kawada Construction Co Ltd 路面排水の浄化装置及び浄化された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200371639Y1 (ko) 2004-10-06 2005-01-03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환경을 위한 가로수 물공급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9940U (ko) * 1988-04-05 1989-10-17
JPH05115226A (ja) * 1991-10-29 1993-05-14 Takenaka Komuten Co Ltd 自動給水ポツト
JP2004092390A (ja) * 2003-12-26 2004-03-25 Kawada Construction Co Ltd 路面排水の浄化装置及び浄化された排水を利用する緑化装置
KR200371639Y1 (ko) 2004-10-06 2005-01-03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환경을 위한 가로수 물공급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7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620B1 (ko)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KR101180310B1 (ko)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KR101343005B1 (ko)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393021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60022140A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CN102550364B (zh) 水存储和水净化系统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1883774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우수 침투형 토양 빗물 공급 장치
KR101363436B1 (ko)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CN103669473A (zh) 一种城市雨水收集灌溉系统
KR100966887B1 (ko) 개량형 레인가든
KR20180060097A (ko)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1309133B1 (ko)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144098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102052679B1 (ko)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140069510A (ko)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KR101805168B1 (ko) 빗물 침투시설 및 설치방법
KR101170815B1 (ko) 우수의 식생 저류장치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102072409B1 (ko) 나무여과상자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