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510A -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 Google Patents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510A
KR20140069510A KR1020120136839A KR20120136839A KR20140069510A KR 20140069510 A KR20140069510 A KR 20140069510A KR 1020120136839 A KR1020120136839 A KR 1020120136839A KR 20120136839 A KR20120136839 A KR 20120136839A KR 20140069510 A KR20140069510 A KR 2014006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
housing
water leve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지원
이용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지원, 이용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지원
Priority to KR102012013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9510A/ko
Publication of KR2014006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묘종의 안정적인 활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매설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위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내부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우천시 저수조에 저장된 수분이 식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수조에 충전된 수분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저수조에 수분이 충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UNDERGROUNDING RESERVOIR HAVING CONFIRMATION MEANS FOR WATER LEVEL}
본 발명은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천시 집수된 빗물을 식물로 공급하고 집수된 수분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식재(highway planting)는 자연 경관의 보호, 자연 환경과의 조화, 도로경관의 조성, 교통공해의 완화, 도로 및 휴게 시설 등의 기능 향상, 도시미의 조성, 재해 방지 등을 꾀하기 위하여 도로의 분리대, 도로 옆, 인터체인지, 휴게 시설, 도시 지역 도로의 보도 등에 식수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식수되는 수목은 시선유도, 명암순응, 차광, 출입방지, 완충, 차폐, 조화, 지표, 방재, 식생보호, 수경 등의 유익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도시가 발달하면서 건축 면적이 증가하고, 도로가 포장되면서, 투수 면적이 감소하는 것에 비례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수량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그에 따라 지하수가 점차 고갈되고, 아울러 수분 공급이 어렵게 됨으로써 식물이 성장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사후 관리를 하고 있지만, 사후 관리에 필요한 수분 공급은 통상적으로 상수도 또는 지하수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물부족 현상이 가중되고 있는 오늘날에는 수자원의 고갈로 인해 원활한 수자원 공급에 크나큰 차질이 자주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뭄기나 건조기에는 상술한 문제가 자주 초래되어 인력을 동원한 철저한 사후 관리를 취한다 하더라도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공급에 차질이 초래되어 효과적인 관리를 취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내부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우천시 저수조에 저장된 수분이 식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수조에 충전된 수분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저수조에 수분이 충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설 저수조는,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위확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위확인수단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고, 일정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상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내부공간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부력체가 구비된 수위확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는 별도의 폐쇄캡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폐쇄캡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수위확인부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가 구비된 일단부의 대향측인 상기 수위확인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수위확인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그 측면이 상기 파이프의 내면과 접촉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양측에는 이웃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호 연통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으로 공급되는 수분이 상호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은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형성된 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토양 및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고 수분은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판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된 면에 구비되는 여과케이스와, 상기 여과케이스에 구비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케이스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 형성된 면에 안착되며 상기 여과공이 관통 형성된 저면플레이트와,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주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여과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정화하는 정화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수단은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케이스를 통과하여 상기 토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는, 식물이 심어진 토양의 내부에 별도의 저수조를 마련하여 인위적으로 수분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우천시 저수조에 저장된 수분이 식물로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저수조에 충전된 수분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저수조에 수분이 충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가 지반에 매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가 지반에 매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과 도 3의 수위확인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설 저수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가 지반에 매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가 지반에 매립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과 도 3의 수위확인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설 저수조는,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100)과,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수용 하우징(100)은 토양의 내부에 매설되며 장방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우천시에 토양으로 스며드는 수분이 토양을 통과하여 수용공간(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은 개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는 수용공간(110)으로 토양 및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고 수분은 유입되도록 하는 별도의 여과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과부(300)는 판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된 면에 구비되는 여과케이스(310)와, 여과케이스(3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수분이 여과되면서 통과되도록 하는 여과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과케이스(310)는 다수의 상기 여과공이 구비된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케이스(310)의 상측에 여과부재(320)뿐만 아니라 정화부재(330)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이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여과부재(320)와 정화부재(33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여과케이스(310)는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1)와, 삽입부재(311)와 결합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안착되며 상기 여과공이 관통 형성된 저면플레이트(312)와, 저면플레이트(312)의 주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313)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311)는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여과부재(320)가 안착되는 저면플레이트(312)가 구비되어 있다.
삽입부재(311)는 저수용 하우징(100)에서 여과케이스(3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는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여과케이스(310)가 유동하지 않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상면에 꽉 끼워질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저면플레이트(312)의 판면에는 다수의 여과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많은 양의 수분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저면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그 폭과 길이가 저수용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분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여과공이 형성된 저면플레이트(312)의 판면 영역은 여과공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경사진 면을 타고 흘러서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저면플레이트(312)의 둘레면 상측에는 저면플레이트(312)의 상면에 안착된 여과부재(320)와 정화부재(330)가 저면플레이트(312)의 상면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여과부재(320) 및 정화부재(330)가 저면플레이트(312)의 판면 방향을 따라 이동함을 구속하는 측면플레이트(31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플레이트(313)와 저면플레이트(312)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여과부재(320)와 정화부재(330)가 구비되는데, 여과부재(320)는 이물질은 걸러주고 수분은 통과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여과부재(320)는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여과부재(3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분을 정화하는 정화부재(330)는 숯과 모래 및 자갈 등의 재질이 섞여서수분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토양으로 스며든 수분의 여과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정화부재(330)의 상측에는 또 다른 여과부재(3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여과부재(320) 및 정화부재(330)는 다양한 형태로 적층되어 토양으로 스며들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될 수분을 여과하고 정화할 수 있도록 어떠한 형태로 상호 적층되더라도 무방하다.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토양 측으로 삼투압에 의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저수용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물과 토양을 연결하는 매개 역을 하는 별도의 수분공급수단(200)이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수분공급수단(200)은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여과케이스(310)를 통과하여 상기 토양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 및 저수용 하우징(100) 외부의 토양과 각각 접촉되는 수분공급수단(200)의 일단과 타단은 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신속하게 수분을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분공급수단(200)의 일단과 타단은 펼쳐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위확인수단(400)은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충전된 수분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분이 고갈됨을 방지하여 식물이 고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위확인수단(400)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고, 일정한 내부공간(411)이 마련된 원통 형상의 파이프(410)와, 파이프(410)의 내부공간(411)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부력체(421)가 구비된 수위확인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위확인수단(400)의 파이프(410)는 토양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항상 인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410)의 단부에 구비된 후술할 폐쇄캡(430)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파이프(410)가 완전히 토양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되어 폐쇄캡(430)을 개방할 경우에 수위확인부재(420)의 돌출 여부에 따라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 후술할 가이드부재(440)는 수위확인부재(420)의 중앙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파이프(410)는 내부공간(411)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과 하면은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내부공간(411)에 배치되는 수위확인부재(420)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파이프(410)의 개구 형성된 단부에는 별도의 폐쇄캡(430)이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폐쇄캡(430)은 선택적으로 파이프(410)의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뭄으로 인하여 식물에 공급될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 임의로 폐쇄캡(430)을 개방하고 파이프(410)를 통하여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파이프(410)는 폐쇄캡(430)을 개방하지 않고서도 내부공간(411)에 배치된 수위확인부재(4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위확인부재(4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그 길이는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분이 완전히 고갈되어 수위확인부재(420)의 일단부가 저수용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접촉되더라도 타단부가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위확인부재(420)의 일단부에는 수위확인부재(420)를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수분의 상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부력체(421)가 구비되어 있다.
부력체(421)는 수위확인부재(420)를 물 위에 부상시킬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며, 그 형상도 본 실시예에서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수위확인부재(420)를 물 위에 부상시킬 수 있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과의 접촉면을 갖는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부력체(421)가 구비된 일단부의 대향측인 수위확인부재(420)의 타단부에는 수위확인부재(42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그 측면이 파이프(410)의 내면과 접촉되는 가이드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0)는 측면이 파이프(4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원반 형상의 부재로서, 그 재질은 수위확인부재(420)가 물에 부상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경량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저수용 하우징(100)의 양측에는 이웃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호 연통되어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공급되는 수분이 상호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45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관(450)에 의하여 파이프(410)를 통하여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수분이 이웃하는 저수용 하우징(100)으로도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파이프(410)를 통하여 토양에 매립된 복수의 저수용 하우징(100)에 전체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토양에 심어진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우천시에 토양으로 스며든 수분의 일부는 식물에 흡수되고, 다른 일부는 토양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여과부재(320)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정화부재(330)를 거치면서 수분에 포함된 유해 물질들이 정화된 후에 여과공을 통하여 저장용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랜 기간동안 비가 오지 않아 토양이 건조해지면 삼투압에 의하여 수분공급수단(200)을 따라 저장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이 토양으로 공급되며, 이렇게 토양으로 공급된 수분을 식물이 흡수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해 주지 않더라도 일정 기간 동안은 식물이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식물이 고사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위확인수단(400)에 의하여 저장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가뭄 등으로 인하여 식물에 공급될 수분이 모자랄 경우에는 파이프(410)를 통하여 인위적으로 저장용 하우징(1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450)에 의하여 복수의 저장용 하우징(100)이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저장용 하우징(100)에 물을 공급하여 넘치게 되면 여분의 물은 이웃하는 다른 저장용 하우징(100)으로 공급되므로 어느 하나의 저장용 하우징(100)에 구비된 파이프(410)를 이용하여 복수의 저장용 하우징(100) 전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저수용 하우징 200 : 수분공급수단
300 : 여과부 310 : 여과케이스
311 : 삽입부재 312 : 저면플레이트
313 : 측면플레이트 320 : 여과부재
330 : 정화부재 400 : 수위확인수단
410 : 파이프 420 : 수위확인부재
421 : 부력체 430 : 폐쇄캠
440 : 가이드부재 450 : 연결관

Claims (11)

  1. 수분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110)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구 형성되어 토양 내부에 매설되는 저수용 하우징(100)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에 저장된 수분을 상기 토양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저부면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토양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수분공급수단(200)과;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위확인수단(4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확인수단(400)은 상면과 하면이 개구 형성되고, 일정한 내부공간(411)이 마련된 원통 형상의 파이프(410)와, 상기 파이프(410)의 내부공간(411)에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부력체(421)가 구비된 수위확인부재(4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파이프(410)의 단부에는 별도의 폐쇄캡(4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410)는 상기 폐쇄캡(430)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상기 내부공간(411)에 배치된 수위확인부재(4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421)가 구비된 일단부의 대향측인 상기 수위확인부재(4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수위확인부재(42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그 측면이 상기 파이프(410)의 내면과 접촉되는 가이드부재(4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양측에는 이웃하는 저수용 하우징과 상호 연통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공급되는 수분이 상호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4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은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 형성된 면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토양 및 이물질의 유입은 방지하고 수분은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부(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300)는 판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의 개구된 면에 구비되는 여과케이스(310)와, 상기 여과케이스(310)에 구비되는 여과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케이스(310)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1)와, 상기 삽입부재(311)와 결합되어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의 개구 형성된 면에 안착되며 상기 여과공이 관통 형성된 저면플레이트(312)와, 상기 저면플레이트(312)의 주연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3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10. 제9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320)는 상기 저면플레이트(312)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여과부재(320)의 상측에는 상기 저수용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수분을 정화하는 정화부재(3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수단(200)은 극세사 부직포, 천, 실, 섬유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케이스(310)를 통과하여 상기 토양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KR1020120136839A 2012-11-29 2012-11-29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KR20140069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39A KR20140069510A (ko) 2012-11-29 2012-11-29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39A KR20140069510A (ko) 2012-11-29 2012-11-29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10A true KR20140069510A (ko) 2014-06-10

Family

ID=5112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839A KR20140069510A (ko) 2012-11-29 2012-11-29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95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9042A (zh) * 2016-11-24 2017-03-15 西安工程大学 一种雨水收集回用处理装置
KR20190063359A (ko) * 2017-11-29 2019-06-07 (주)마이즈텍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CN112112223A (zh) * 2020-09-16 2020-12-22 马鞍山万森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蓄水池及其浇灌方式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9042A (zh) * 2016-11-24 2017-03-15 西安工程大学 一种雨水收集回用处理装置
KR20190063359A (ko) * 2017-11-29 2019-06-07 (주)마이즈텍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CN112112223A (zh) * 2020-09-16 2020-12-22 马鞍山万森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蓄水池及其浇灌方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20140124555A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40069510A (ko)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20170013121A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CN104221755A (zh) 一种蓄水种植箱
BRPI1107100A2 (pt) sistema de armazenamento de Água e depuraÇço de Água
KR101440988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을 이용한 침투형 빗물저류 시스템
KR101309133B1 (ko) 매설 저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ES2924082T3 (es) Dispositivo de depósito de agua para un sistema de riego de superficies útiles y dispositivo de riego para superficies útiles
KR101286227B1 (ko) 녹화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282720B1 (ko) 지중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의 조경구조
KR101878289B1 (ko)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CN108385469B (zh) 一种基于水源地保护的道路雨水处理及利用一体化系统
CN204031929U (zh) 一种蓄水种植箱
KR101497967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KR102072409B1 (ko) 나무여과상자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1480037B1 (ko) 기후변화 적응형 다목적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2226600B1 (ko)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101583357B1 (ko) 개량형 레인가든 구조
KR100775533B1 (ko) 지표수의 지하수 환원을 겸한 수변조경장치
KR20150068885A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CN214784619U (zh) 一种雨水花园模型
CN216239407U (zh) 一种采用飘带引流屋面排水的景观式雨水花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