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289B1 -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8289B1 KR101878289B1 KR1020160137319A KR20160137319A KR101878289B1 KR 101878289 B1 KR101878289 B1 KR 101878289B1 KR 1020160137319 A KR1020160137319 A KR 1020160137319A KR 20160137319 A KR20160137319 A KR 20160137319A KR 101878289 B1 KR101878289 B1 KR 1018782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rainwater storage
- trench
- block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블록을 한 쌍으로 조립하여 빗물 저류조를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유입 빗물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 집수시킨 후 식수된 조경수의 둘레로 침투시켜 침수 피해를 저감 및 방지하고, 집중강우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로 제작된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과;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의 접합면에 상호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블록 결합돌기 및 블록 돌기결합홈과; 상기 트렌치 PC 블록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블록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일정한 반경을 갖고 입설된 반원형의 코어벽, 상기 코어벽에서 연장되어 바닥판에 입설되어 있는 좌,우측 접합벽, 상기 접합벽에서 각기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에 입설되어 있는 대향된 좌,우측 측벽, 상기 좌,우 측벽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에 입설되어 있는 후벽, 상기 코어벽과 좌,우측 접합벽 및 좌,우측 측벽 그리고 후벽에 의해 에워싸져 바닥판의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빗물저류실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저류실에 일정 높이의 빗물이 채워지면 코어벽의 반경 중심쪽으로 오버플로워가 이루어지도록 코어벽의 상부에 일정 깊이의 오버플로워 개구부가 형성되고; 빗물저류실에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빗물 유입챔버와 비점오염 여과챔버를 갖되, 빗물 유입챔버에 상부로 배수로 빗물유입공을 갖고, 비점오염 여과챔버의 하부에 빗물저류실과 연통되어 있는 여과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비점오염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점오염여조에는 비점오염 여과챔버에 거치 및 취출가능한 여과필터함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함에는 비점오염을 여과시키는 교체가능한 여과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점오염여조에는 비점오염 여과챔버에 거치 및 취출가능한 여과필터함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함에는 비점오염을 여과시키는 교체가능한 여과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경수가 설치된 공원이나 인도의 지반으로 빗물을 저류시킬 수 있는 빗물 저류조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 블록을 한 쌍으로 조립하여 빗물 저류조를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유입 빗물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집수시킨 후 식수된 조경수의 둘레로 침투시켜 침수 피해를 저감 및 방지하고, 집중강우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돌발성 집중강우시 빗물을 일시 저류하여 강우시 첨두 유출량을 저감시켜 하도의 과도한 부담을 경감함으로서 저지대 침수 예방과 홍수 피해 예방을 위해 빗물 저류조가 활용된다. 이는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층 및 돌발성 집중강우의 발생률이 증가되고, 우수배제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침수방지대책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다.
한편, 공원이나 인도에 식수되어 있는 가로수(또는 조경수)는 밑둥의 주변 일부를 제외하고 지반이 블록으로 포장이 되어 있다. 따라서 우천시 빗물은 포장 블록에 저류되지 못하고 배수로를 찾아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가로수는 블록 포장이 되어 있지 않는 부분을 통해서 빗물을 잠시 침투시킬 뿐이다. 따라서 공원이나 인도는 빗물을 일시 저장하는 저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집중 강우에 침수의 한 원인이 된다.
이의 대안으로 우천시 빗물을 가로수에 공급함과 동시에 빗물을 일시적으로 집수·저류시킨 후 지반으로 자연 투수가 일어나도록 하여 침수 피해를 예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11989호로서, 조립식 빗물 저류조용 단위모듈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복수 방향의 유로가 교차 형성되는 관부, 상기 관부를 감싸는 몸체부로 구성되는 단위블럭; 단위블럭간의 접합부에서 연접하는 관부를 연결하되, 링형상으로 일단과 타단에 유격이 형성된 가압링과, 상기 가압링의 일단과 타단에 구성되어 일단과 타단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구로 구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위모듈을 제공한다.
따라서 직육면체형상의 규격화된 단위블럭을 적층, 조립함으로써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범용성이 뛰어나 현장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우천시 조경수나 가로수에 급수가 일어나고 일시적으로 저류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공원이나 인도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10615호로서, 침투식 빗물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전후좌우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벽, 후벽, 좌벽, 및 우벽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는 빗물저류부; 상기 빗물저류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를 분할하는 격벽; 상기 빗물저류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빗물저류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전벽, 상후벽, 상좌벽, 및 상우벽으로 구성되며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는 빗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빗물유입부에서 상기 빗물저류부로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유입된 빗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유입된 빗물이 지하로 침투할 수 있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강우시 불투수면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유입, 저류시킨 뒤 시간 경과와 함께 땅 속으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도심지 침수 예방 등의 방재와 지하수 고갈에 따른 도심 물순환체계 개선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침투식 빗물 저류조가 배수로 형태로서 가로수나 조경수의 주변을 빗물 저류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PC 블록을 한 쌍으로 조립하여 빗물 저류조를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유입 빗물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 집수시킨 후 식수된 조경수의 둘레로 침투시켜 침수 피해를 저감 및 방지하고, 집중강우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는, 프리캐스팅 콘크리트로 제작된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과;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의 접합면에 상호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블록 결합돌기 및 블록 돌기결합홈과; 상기 트렌치 PC 블록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블록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은,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일정한 반경을 갖고 입설된 반원형의 코어벽, 상기 코어벽에서 연장되어 바닥판에 입설되어 있는 좌,우측 접합벽, 상기 접합벽에서 각기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에 입설되어 있는 대향된 좌,우측 측벽, 상기 좌,우 측벽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에 입설되어 있는 후벽, 상기 코어벽과 좌,우측 접합벽 및 좌,우측 측벽 그리고 후벽에 의해 에워싸져 바닥판의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빗물저류실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저류실에 일정 높이의 빗물이 채워지면 코어벽의 반경 중심쪽으로 오버플로워가 이루어지도록 코어벽의 상부에 일정 깊이의 오버플로워 개구부가 형성되고; 빗물저류실에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빗물 유입챔버와 비점오염 여과챔버를 갖되, 빗물 유입챔버에 상부로 배수로 빗물유입공을 갖고, 비점오염 여과챔버의 하부에 빗물저류실과 연통되어 있는 여과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비점오염여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점오염여조에는 비점오염 여과챔버에 거치 및 취출가능한 여과필터함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함에는 비점오염을 여과시키는 교체가능한 여과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측벽 및 후벽에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을 각기 접속시키기 위한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접속공을 갖는다.
또한, 상기 좌,우측 측벽 및 후벽에는 노면빗물배수로의 단부를 거치하기 위한 노면빗물배수로 거치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블록결속수단은 좌,우측 접합벽에 관통된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면빗물배수로는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U자형 단면의 배수로를 갖고, 배수로에 설정된 위치마다 스톱퍼 회전홈과 스톱퍼 회전걸림턱을 갖는 배수로 몸체와; 상기 배수로의 상면에 안착되는 배수로 덮개와; 상기 배수로 덮개에 조립되어 있는 잠금볼트와; 상기 잠금볼트에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 회전홈에서 회전되어 스톱퍼 회전걸림턱에 멈춤되어 배수로 덮개를 배수로 몸체측에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은, 일정 영역의 공원 또는 인도에 식수된 가로수마다 그의 둘레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어져 설치된 빗물 저류조와; 상기 빗물 저류조의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 설치된 빗물 저류조 덮개와; 상기 빗물 저류조의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 설치된 가로수 보호판과; 이웃한 빗물 저류조의 사이에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접속공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과; 노면에 시공되어 양단을 이웃한 빗물 저류조측 노면빗물배수로 거치턱에 지지시켜 빗물유입공에 연결시켜 놓은 노면빗물배수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은 지반으로 빗물을 투수시키기 위해 하부에 빗물 투수공이 분포된다.
본 발명의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에 따르면, 단위형 PC 블록을 한 쌍으로 조립하여 빗물 저류조를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비점오염여과조가 설치되어 초기 우수시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여 저류시킬 수 있다.
또한, 빗물 저류조간에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이 접속되어 있어 고른 저류량을 확보할 수 있고, 노면빗물배수로가 설치되어 공원지역이나 인도측 우수를 식수된 조경수의 둘레로 빗물을 일시적으로 집수·저류시킨 후 지반으로 자연 투수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침수 피해의 저감 및 방지가 가능하고, 집중강우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렌치 PC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의 조립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빗물 저류조의 일부 분해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을 공원에 구성한 예시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일부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면빗물배수로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B-B선 단면도.
도 6c는 도 6b의 C-C선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렌치 PC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의 조립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빗물 저류조의 일부 분해된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을 공원에 구성한 예시도.
도 5b는 도 5a의 일부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일부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면빗물배수로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의 B-B선 단면도.
도 6c는 도 6b의 C-C선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빗물 저류조(1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과,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의 접합면에 상호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돌출된 블록 결합돌기(12a) 및 함몰된 블록 돌기결합홈(12b)과, 트렌치 PC 블록(10a,10b)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블록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은 동일한 크기와 구조를 갖으며 프리캐스팅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어느 하나의 트렌치 PC 블록(10a 또는 10b)은 바닥판(101), 바닥판(101)에서 접합면이 있는 가장자리에 일정한 반경(R)을 갖고 입설된 반원형의 코어벽(102), 코어벽(102)에서 연장되어 바닥판(101)에 입설되어 있는 좌,우측 접합벽(103,104), 좌,우측 접합벽(103,104)에서 각기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101)에 입설되어 있는 대향된 좌,우측 측벽(105,106), 좌,우 측벽(105,106)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101)에 입설되어 있는 후벽(107), 코어벽(102)과 좌,우측 접합벽(103,104) 및 좌,우측 측벽(105,106) 그리고 후벽(107)에 의해 에워싸져 바닥판(101)의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빗물저류실(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어벽(102)은 반원형을 이루어 도 5c에 도시된 가로수(5)의 밑둥 둘레의 반을 에워싼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이 결속되면 코어벽(102와 102)은 가로수 또는 조경수의 밑둥 둘레의 전체를 원형으로 에워싸게 된다.
블록 결합돌기(12a)는 일측 접합벽(103)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블록 돌기결합홈(12b)은 타측 접합벽(104)의 외면에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블록 결합돌기(12a)와 돌기결합홈(12b)은 바닥판(101)에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동시에 코어벽(102)의 중심(O)에서 동일한 길이만큼 떨어져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블록 결합돌기(12a)와 돌기결합홈(12b)은 테이퍼를 가지고 사각 형태로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갖으나 이러한 설치 개수나 결합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결속수단은 좌,우측 접합벽(103,104)에 관통된 체결공(103b,104b)에 삽입되는 체결볼트(14)와 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은 블록 결합돌기(12a)와 블록 돌기결합홈(12b)이 서로 결합되어 결합 위치가 결정되고 동시에 좌,우측 접합벽(103,104)을 통해 상호 밀착된다. 이후 체결공(103b,104b)에 체결볼트(14)를 삽입한 후 너트(15)를 체결하여 트렌치 PC 블록(10a,10b)이 상호 결속되어 빗물 저류조(10)를 이루게 된다.
한편, 빗물 저류조(10)는 빗물저류실(108)에 일정 높이의 빗물이 채워지면 코어벽(102)의 반경 중심쪽으로 오버플로워가 이루어지도록 코어벽(102)의 상부에 일정 깊이의 오버플로워 개구부(10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빗물저류실(108)에 유입되는 빗물은 코어벽(102)의 오버플로워 개구부(102a)를 통해 지반으로의 배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빗물 저류조(10)는 좌,우측 측벽(105,106) 및 후벽(107)에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을 각기 접속시키기 위한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접속공(105a,106a,107a)을 갖는다. 따라서 빗물 저류조(10)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 타측 빗물 저류조(10)와의 사이에 상호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빗물 저류조(10)의 좌,우측 측벽(105,106) 및 후벽(107)에는 노면빗물배수로(30)의 단부를 거치하기 위한 노면빗물배수로 거치턱(105c,106c,107c)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노면빗물배수로(30)는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U자형 단면의 배수로(301a)를 갖고, 배수로(301a)에 설정된 위치마다 스톱퍼 회전홈(301b)과 스톱퍼 회전걸림턱(301c)을 갖는 배수로 몸체(301)와, 배수로(301a)의 상면에 안착되는 배수로 덮개(302)와, 배수로 덮개(302)에 조립되어 있는 잠금볼트(303)와, 상기 잠금볼트(303)에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 회전홈(301b)에서 회전되어 스톱퍼 회전걸림턱(301c)에 멈춤되어 배수로 덮개(302)를 배수로 몸체(301)측에 고정시키는 스톱퍼(304)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따라서 잠금볼트(303)를 조작하여 스톱퍼(304)를 회전시켜 길이 방향으로 놓이게 하면, 스톱퍼 회전홈(301b)에서 스톱퍼(304)가 빠져나와 배수로 덮개(302)의 개방을 쉽게 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빗물저류실(108)에 비점오염여조(200)가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비점오염여조(200)가 2개소에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설치 개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점오염여조(200)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201)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빗물 유입챔버(202)와 비점오염 여과챔버(203)를 갖되, 빗물 유입챔버(202)에 상부로 배수로 빗물유입공(202a)을 갖고, 비점오염 여과챔버(203)의 하부에 빗물저류실(108)과 연통되어 있는 여과배수구(203a)가 형성되어 있다.
빗물유입공(202a)측에는 노면빗물배수로(30)의 단부가 위치되어 노면 빗물이 노면빗물배수로(30)를 경유한 후 비점오염여조(200)의 빗물 유입챔버(202)로 유입된다.
비점오염여조(200)에는 비점오염 여과챔버(203)에 거치 및 취출가능한 여과필터함(210)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함(210)에는 비점오염을 여과시키는 교체가능한 여과재(220)가 설치된다.
여과필터함(210)은 여과재(220)를 수납시킬 수 있는 필터 함체부(211)와 필터 함체부(211)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취출손잡이(212)를 갖는다. 이때 필터 함체부(211)의 일면에는 빗물 유입챔버(202)로 유입된 빗물이 격벽(201)을 넘어가도록 투수홀(211a)이 분포되어 있다. 여과재(220)는 비점오염물질인 BOD, COD, SS, T-N, T-P, 중금속 등을 흡착시킬 수 있는 예로, 제올라이트 유흡착제, 여과포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서 우천시 노면빗물배수로(30)를 통해 흐르는 빗물은 도 2와 같이 배수로 빗물유입공(202a)을 통해 빗물 저류조(10)의 비점오염여조(200)내 빗물 유입챔버(202)로 로 유입된다.
이후, 빗물은 격벽(201)을 넘어 비점오염 여과챔버(203)에 배치된 여과필터함(210)을 거치게 된 후, 여과필터함(210)내의 여과재(220)에 의해 비점오염물질이 흡착 제거된다.
그 다음,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이 여과배수구(203a)를 통해 빗물저류실(108)로 모아진 후, 오버플로워 개구부(102a)를 통과하여 코어벽(102)을 넘어 식재된 가로수(5)로 공급된다.
따라서 인도나 보도에 식재된 가로수는 노면빗물배수로(3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물론 식재된 가로수의 지반도 비점오염물질의 침입이 차단되어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빗물 저류조(10)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일정 영역의 공원(또는 인도)에 식수된 가로수(조경수)(5)마다 그의 둘레에 상술한 빗물 저류조(10)가 설치된다.
또한 빗물 저류조(10)의 상단에 도 4와 같이 빗물 저류조 덮개(18)를 거치시켜 고정하고, 빗물 저류조 덮개(18)의 중앙에 가로수 보호판(19)이 고정 설치되고, 비점오염여과조(200)의 상면에 여과조 덮개(17)가 설치된다.
또한, 이웃한 빗물 저류조(10과 10)의 사이에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접속공(105a,106a,107a)을 통해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이 접속되어 설치된다. 이때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은 도 5c와 같이 지반으로 빗물을 투수시키기 위해 하부에 빗물 투수공(201)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이웃한 빗물 저류조(10과 10)의 사이에 노면빗물배수로(30)가 시공된다. 노면빗물배수로(30)는 노면에 시공되어 양단이 이웃한 빗물 저류조(10과 10)측 노면빗물배수로 거치턱(105c,106c,107c)에 지지시켜 빗물유입공(202a)에 연결시켜 놓는다.
여기서, 빗물 저류조(10)가 시공되는 지반은 입경의 차를 갖도록 개량을 하여 투수가 잘 일어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시공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은, 우천시 노변에서 노변빗물 배수로(30)로 흘러들어가고, 노변빗물 배수로(30)로 모여든 빗물은 그 배수로를 경유하여 비점오염여조(200)를 거친 후 빗물 저류조(10)의 빗물 저류실(108)로 유입된다.
여기서 빗물은 격벽(201)을 넘어 비점오염 여과챔버(203)에 배치된 여과필터함(210)을 거치게 되면서, 여과필터함(210)내의 여과재(220)가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한다. 따라서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이 여과배수구(203a)를 통해 빗물저류실(108)로 모아진 후, 오버플로워 개구부(102a)를 통과하여 코어벽(102)을 넘어 코어벽(102)으로 에워싸진 원형의 공간(가로수 식재 장소)에 빗물이 공급되어져 지반으로 흡수된다.
한편, 빗물 저류실(108)에 모인 빗물을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을 통하여 이웃한 빗물 저류조(10)에도 동일하게 전달되고, 이때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에 형성된 빗물 투수공(201)을 통해 지반으로 투수가 일어나 본 시스템이 시공된 공원이나 인도의 지반에는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저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홍수의 피해를 줄이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a,10b: 트렌치 PC 블록
101: 바닥판
101a: 투수공
102: 코어벽
102a: 오버플로워 개구부
103,104: 좌,우측 접합벽
105,016: 좌,우측 측벽
107: 후벽
108: 빗물저류실
12a: 블록 결합돌기
12b: 블록 돌기결합홈
20: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30: 노면빗물배수로
200: 비점오염여과조
202: 빗물유입챔버
203: 비점오염여과챔버
210: 여과필터함
220: 여과재
101: 바닥판
101a: 투수공
102: 코어벽
102a: 오버플로워 개구부
103,104: 좌,우측 접합벽
105,016: 좌,우측 측벽
107: 후벽
108: 빗물저류실
12a: 블록 결합돌기
12b: 블록 돌기결합홈
20: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30: 노면빗물배수로
200: 비점오염여과조
202: 빗물유입챔버
203: 비점오염여과챔버
210: 여과필터함
220: 여과재
Claims (7)
- 프리캐스팅 콘크리트로 제작된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과;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의 접합면에 상호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블록 결합돌기(12a) 및 블록 돌기결합홈(12b)과;
상기 트렌치 PC 블록(10a,10b)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블록 결속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트렌치 PC 블록(10a,10b)은,
바닥판(101), 상기 바닥판(101)에서 일정한 반경을 갖고 입설된 반원형의 코어벽(102), 상기 코어벽(102)에서 연장되어 바닥판(101)에 입설되어 있는 좌,우측 접합벽(103,104), 상기 접합벽(103,104)에서 각기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101)에 입설되어 있는 대향된 좌,우측 측벽(105,106), 상기 좌,우 측벽(105,106)에서 직각으로 연결되어 바닥판(101)에 입설되어 있는 후벽(107), 상기 코어벽(102)과 좌,우측 접합벽(103,104) 및 좌,우측 측벽(105,106) 그리고 후벽(107)에 의해 에워싸져 바닥판(101)의 상부로 개구되어 있는 빗물저류실(108)이 구비되고;
상기 빗물저류실(108)에 일정 높이의 빗물이 채워지면 코어벽(102)의 반경 중심쪽으로 오버플로워가 이루어지도록 코어벽(102)의 상부에 일정 깊이의 오버플로워 개구부(102a)가 형성되고;
빗물저류실(108)에는 내부에 형성된 격벽(201)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빗물 유입챔버(202)와 비점오염 여과챔버(203)를 갖되, 빗물 유입챔버(202)에 상부로 배수로 빗물유입공(202a)을 갖고, 비점오염 여과챔버(203)의 하부에 빗물저류실(108)과 연통되어 있는 여과배수구(203a)가 형성되어 있는 비점오염여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점오염여조(200)에는 비점오염 여과챔버(203)에 거치 및 취출가능한 여과필터함(210)이 설치되고; 상기 여과필터함(210)에는 비점오염을 여과시키는 교체가능한 여과재(2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측벽(105,106) 및 후벽(107)에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을 각기 접속시키기 위한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접속공(105a,106a,107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측벽(105,106) 및 후벽(107)에는 노면빗물배수로(30)의 단부를 거치하기 위한 노면빗물배수로 거치턱(105c,106c,107c)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결속수단은 좌,우측 접합벽(103,104)에 관통된 체결공(103b,104b)에 삽입되는 체결볼트(14)와 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빗물배수로(30)는,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U자형 단면의 배수로(301a)를 갖고, 배수로(301a)에 설정된 위치마다 스톱퍼 회전홈(301b)과 스톱퍼 회전걸림턱(301c)을 갖는 배수로 몸체(301)와;
상기 배수로(301a)의 상면에 안착되는 배수로 덮개(302)와;
상기 배수로 덮개(302)에 조립되어 있는 잠금볼트(303)와;
상기 잠금볼트(303)에 삽입되어 상기 스톱퍼 회전홈(301b)에서 회전되어 스톱퍼 회전걸림턱(301c)에 멈춤되어 배수로 덮개(302)를 배수로 몸체(301)측에 고정시키는 스톱퍼(304)를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 일정 영역의 공원 또는 인도에 식수된 가로수마다 그의 둘레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어져 설치된 빗물 저류조(10)와;
상기 빗물 저류조(10)의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 설치된 빗물 저류조 덮개(18)와;
상기 빗물 저류조(10)의 상단에 거치되어 고정 설치된 가로수 보호판(19)과;
이웃한 빗물 저류조(10과 10)의 사이에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 접속공(105a,106a,107a)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과;
노면에 시공되어 양단을 이웃한 빗물 저류조(10과 10)측 노면빗물배수로 거치턱(105c,106c,107c)에 지지시켜 빗물유입공(202a)에 연결시켜 놓은 노면빗물배수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류조 연결배관(20)은 지반으로 빗물을 투수시키기 위해 하부에 빗물 투수공(201)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7319A KR101878289B1 (ko) | 2016-10-21 | 2016-10-21 |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7319A KR101878289B1 (ko) | 2016-10-21 | 2016-10-21 |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3917A KR20180043917A (ko) | 2018-05-02 |
KR101878289B1 true KR101878289B1 (ko) | 2018-07-13 |
Family
ID=6218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7319A KR101878289B1 (ko) | 2016-10-21 | 2016-10-21 |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82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4196B1 (ko) * | 2022-10-04 | 2023-09-08 | 주식회사 뉴보텍 |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
KR102539266B1 (ko) * | 2022-10-04 | 2023-06-02 | 주식회사 뉴보텍 | 저류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021B1 (ko) * | 2012-03-30 | 2014-05-08 | 주식회사현우그린 |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
KR101564767B1 (ko) * | 2015-05-01 | 2015-10-30 | 주식회사 그린개발 | 비점오염원 저감형 조립식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능을 갖는 저류조 시공 방법 |
KR20150142228A (ko) * | 2014-06-11 | 2015-12-22 | 씨에스이(주) | 저류 및 투수기능을 갖춘 비점오염저감시설 |
KR20160039722A (ko) * | 2014-10-01 | 2016-04-12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식생블록을 이용한 원기둥형 교각 비점오염 저감시설 |
-
2016
- 2016-10-21 KR KR1020160137319A patent/KR1018782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3021B1 (ko) * | 2012-03-30 | 2014-05-08 | 주식회사현우그린 |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
KR20150142228A (ko) * | 2014-06-11 | 2015-12-22 | 씨에스이(주) | 저류 및 투수기능을 갖춘 비점오염저감시설 |
KR20160039722A (ko) * | 2014-10-01 | 2016-04-12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콘크리트 식생블록을 이용한 원기둥형 교각 비점오염 저감시설 |
KR101564767B1 (ko) * | 2015-05-01 | 2015-10-30 | 주식회사 그린개발 | 비점오염원 저감형 조립식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능을 갖는 저류조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3917A (ko) | 2018-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52348C (en) | Integrated tree root and storm water system | |
KR101701387B1 (ko) | 빗물 침투 시설 | |
JPWO2006001139A1 (ja) | 地下貯水槽 | |
KR101547900B1 (ko) |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 |
JP4268922B2 (ja) | 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 |
KR101205223B1 (ko) | 침투수 처리시스템 | |
KR102638595B1 (ko) | 수목보호가 가능한 트리박스 필터시스템 | |
JP4772662B2 (ja) | 浸透システ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20140124555A (ko) |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 |
US20220356691A1 (en) |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 |
KR101878289B1 (ko) |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
JP2008267023A (ja) | 雨水貯留システム | |
KR101906075B1 (ko) |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 |
KR101878286B1 (ko) |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
JPH10102569A (ja) |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積上げ部材 | |
JP3477001B2 (ja) | 地下貯水槽 | |
JP3556784B2 (ja) |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積上げ部材 | |
KR101480037B1 (ko) | 기후변화 적응형 다목적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 |
KR102704424B1 (ko) | 자연형 침투도랑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 및 홍수유출 저감용 저영향개발기법 시설 | |
KR102074736B1 (ko) | 분산식 빗물 관리구조 | |
KR20130025470A (ko) | 빗물 침투·저류용 모듈체, 식생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빗물 침투·저류 시설구조 | |
KR20220138502A (ko) | 식생 및 토양여과를 이용한 우수관리시스템 | |
KR20160059940A (ko) |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저영향 개발 기법 시설 | |
JPH0434142A (ja) | ハニカム形状板による地中の貯溜・浸透工法 | |
JP2001123407A (ja) | 水受基板及び雨水利用装置並びに舗装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