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359A -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359A
KR20190063359A KR1020180054842A KR20180054842A KR20190063359A KR 20190063359 A KR20190063359 A KR 20190063359A KR 1020180054842 A KR1020180054842 A KR 1020180054842A KR 20180054842 A KR20180054842 A KR 20180054842A KR 20190063359 A KR20190063359 A KR 2019006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rainwater
cover
aqui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369B1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주)마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즈텍 filed Critical (주)마이즈텍
Publication of KR2019006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E03B3/3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of underground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6Aquifer re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여 토양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한편,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은 대수층에 주입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빗물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 저수조와, 제1 저수조의 상단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집수커버와, 제1 저수조의 일측에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aquifer}
본 발명은 빗물을 저장하여 토양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한편,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은 대수층에 주입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수층이란 물을 보유하고 있는 층으로, 지하수로 포화된 투수성이 좋은 지층 혹은 지층군을 말하며, 샘이나 우물에 대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대수층은 일정 정도 이상의 투수성을 갖는 지층으로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다량의 물을 저유해서 양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지표 아래의 지층이다. 즉, 대수층은 투수층이 지하수로 포화된 것으로, 지하수 통로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저수지로서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
한국은 증발량 대비 연강수량이 커서 관개용수 확보능력이 좋은 반면, 건조한 6개월간(이하 '건조기'라 함)의 강수량이 연강수량의 15%로 계절적 편차가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홍수기에 물을 저수지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고 있지만, 저수조의 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은 저장하지 못하고 범람하여 인근 지역에 홍수가 발생하곤 했다.
또한, 건조기에 관개를 위해 저수지에 저장해둔 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저수지의 물의 양이 부족할 경우 발생하는 가뭄으로 인해 농사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홍수기에 넘치는 빗물을 대수층에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건조기에 관개할 수 있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요한 시기에 대수층에 저장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홍수기의 넘치는 빗물을 지하 대수층에 저장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물 공급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도,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지중에 물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 유입에 따른 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의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지중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의 상단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집수커버; 및 상기 제1 저수조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저수조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저수조와 대수층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제1 저수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모아서 저장하는 제2 저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대수층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저수조의 일측으로부터 대수층까지 연장되는 우수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저수조의 하단부에 복수 개의 미세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미세 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점적 관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저수조와 상기 대수층 사이에, 연결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통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저수조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집수커버는, 상기 제1 저수조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집수커버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상기 커버부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외측면에 복수 개의 우수홀이 관통 형성되는 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장부의 상측면이 상기 커버부를 향해 낮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집수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저수조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흡수부재를 따라 지중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상기 집수커버의 상측에 형성되는 골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골재층의 상측을 덮어서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복수 개의 미세홀이 관통 형성되는 골재층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의 증발 방지를 위해, 상기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증발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증발방지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임시저장홈과, 상기 임시저장홈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몸체 하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호우시 지표면의 빗물이 대수층으로 빠르게 유입되게 함으로써 호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호우시 대수층에 저장된 빗물을 갈수시 필요한 곳에 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우기에 저수조에 물을 저장한 후 건기에 지중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물 공급을 위해 복잡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이물질의 저수조 유입이 방지되므로 배출구 막힘 현상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의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장기간 저장 및 물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에 의하면, 저수조에 저장된 우수가 지중으로 점적 관수되므로,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지중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설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수커버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방지부재의 상세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설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설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는 산지나 평지 등의 필요한 곳에 대수층(10, 도 5 참조)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호우시에는 지표면의 빗물을 전처리 없이 대수층(10)으로 빠르게 주입하여 호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대수층(10)으로 주입된 빗물은 갈수시 양수하여 필요한 곳에 용수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는, 빗물이 저장되는 제1 저수조(200)와, 제1 저수조(20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집수커버(300)와, 제1 저수조(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오버플로우관(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저수조(200)는 지중에 매설되며, 내부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서, 원통 또는 다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저수조(200)는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저수조(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저수조(200)와 후술하는 집수커버(300)는 목재, 콘크리트, 합성수지 등 금속재 이외의 여러 재질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제1 저수조(200)에서 지중으로 점적관수가 이루어지도록, 제1 저수조(200)의 외주면 일측에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이 관통홀(210)에 흡수부재(500)가 삽입된다. 이때, 관통홀(210)로 삽입된 흡수부재(500)의 일단이 제1 저수조(200)에 저장된 빗물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는데, 이에 따라 제1 저수조(200)에 저장된 빗물이 흡수부재(500)를 따라 지중으로 점적관수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재(500)는 물을 흡수하는 재질, 예컨대 섬유나 실, 천, 종이 또는 기타의 수분 흡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수부재(500)와 관통홀(210) 사이의 틈새를 통한 누수 방지를 위해, 복수 가닥의 흡수부재(500)가 관통홀(210)을 채우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예로서 관통홀(210)보다 큰 규격(예컨대, 직경이나 두께)을 갖는 흡수부재(500)가 관통홀(2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는 제1 저수조(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흡수부재(500)가 삽입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관통홀(210)의 개수와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 상부와 연통하도록 제1 저수조(200)의 측벽 상부에만 관통홀(210)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 하부와 연통하도록 제1 저수조(200)의 측벽 하부에만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흡수부재(500)를 통해 물이 상승할 수 있는 최대 높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관통홀(210)의 형성시에는 제1 저수조(200)의 높이와 빗물의 수위, 그리고 흡수부재(500)의 재질과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에 관통홀(210)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집수커버(300)는 제1 저수조(200)의 상단에 안착되며, 제1 저수조(200)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집수커버(300)의 일측에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집수커버(300)는 제1 저수조(20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커버부(310)와, 커버부(3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320)를 포함한다.
커버부(310)에는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되며, 확장부(320)에 떨어진 빗물이 커버부(310)를 향해 유동하여 모일 수 있도록, 확장부(320)의 상측면은 커버부(310)의 중앙을 향해 낮게 경사진 경사면 또는 오목한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커버부(310)의 상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커버부(310)의 상측면이 아래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집수커버(300)는 중앙이 오목한 깔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수커버의 부분 단면도이다.
집수커버(300)의 중앙부 즉, 제1 저수조(20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커버부(310)의 상측에 복수 개의 돌출부(311)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311)의 내부에는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돌출부(311)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집수커버(300)의 상측에 고인 빗물이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311)의 일측에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우수 유입홀(3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된다.
예컨대, 돌출부(311)의 상측면 또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되어,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돌출부(311)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중공을 따라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로 낙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돌출부(311)의 상측면 및 외측면 모두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출부(311)와 돌출부(311) 사이의 바닥면에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돌출부(311)의 상측면에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되는 경우, 커버부(310)에 고인 빗물이 돌출부(311) 상측면의 우수 유입홀(3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311)의 돌출 높이는 후술하는 걸림턱(33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집수커버(300)가 제1 저수조(200)의 상측에 안착 결합되도록, 커버부(310)의 둘레를 따라 '∩'자 단면 형태의 걸림턱(330)이 상향 돌출 형성된다. 집수커버(300)와 제1 저수조(200)의 결합시, 제1 저수조(200)의 상단 테두리가 집수커버(300)의 걸림턱(330) 내측에 형성된 요홈(331)에 삽입되는데, 이 걸림턱(330)과 제1 저수조(200)의 상단을 관통하여 통공(22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확장부(320)에 떨어진 빗물은 경사면을 타고 걸림턱(330) 방향으로 흘러서 통공(220)을 통해 커버부(310)로 유입되며,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처럼 돌출부(311)의 상측면 또는 외측면에 우수 유입홀(312)을 형성하는 경우, 빗물에 섞인 미세분진 등의 이물질이 제1 저수조(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부(310)에 고이는 빗물은 그 수위가 우수 유입홀(312)의 높이에 도달해야만 제1 저수조(200)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때 빗물에 섞인 미세분진 등의 이물질은 아래로 가라앉고,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이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제1 저수조(200)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수 유입홀(312)은 커버부(310)의 상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하여 돌출부(311)의 상측면 또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집수커버(300)의 상측은 골재층으로 덮여질 수 있다. 복수 개의 골재(700)가 쌓여서 이루어진 골재층에는 골재(700)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며, 이 공극을 통해 빗물이 집수커버(300)로 스며들게 된다.
골재층은 낙엽 등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우수 유입홀(312)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골재층을 이루는 골재(700)들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골재층의 상부는 복수 개의 미세홀이 형성된 골재층 커버(800)로 덮여질 수 있다.
골재층을 통과하여 집수커버(300)의 상측에 고인 빗물은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제1 저수조(2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한 번 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한편, 제1 저수조(200)에 저장된 빗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저수조(200)의 공간부에 증발방지부재(600)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발방지부재의 상세 단면도이다. 증발방지부재(600)는 예컨대 열 차단 효과를 갖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스펀지나 우레탄 등 복수 개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발포폼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증발방지부재(600)는 빗물과 함께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공간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걸러내서 관통홀(210)이나 오버플로우관(40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저장된 빗물의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증발방지부재(600)는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610)와, 몸체(610)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620)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610)의 상측면에는 임시저장홈(630)이 낮게 단차 형성되며, 임시저장홈(630)의 바닥면에서 가이드부(620)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620)의 상측에는 몸체(610) 하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가이드홀(621)이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부(620)는 몸체(6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별도로 제작된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부(620)를 몸체(610)에 수직으로 관통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홀(621)은 돌출부(311)와 엇갈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311)의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낙하한 빗물이 가이드부(620)의 가이드홀(621)로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돌출부(311)와 가이드홀(621)이 서로 다른 축선상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돌출부(311)의 우수 유입홀(312)처럼 가이드부(620)의 외측면에 가이드홀(6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증발방지부재(600)에 의하면, 집수커버(300)의 돌출부(311)를 통과한 빗물이 임시저장홈(630)에 고이게 되며, 이때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은 임시저장홈(630)의 바닥면에 가라앉는다. 임시저장홈(630)에 고인 빗물은 그 수위가 가이드홀(621)에 도달하였을 때,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가이드홀(621)을 통해 증발방지부재(600) 하부의 공간부로 유입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저수조(200)의 일측에는 공간부의 상단부와 연통하도록 오버플로우관(400)의 일단이 결합되며, 오버플로우관(400)의 타단은 제1 저수조(200) 하부의 대수층(10)까지 연장된다. 즉,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제1 저수조(200)로 유입된 빗물은 제1 저수조(200)에 저장되며, 제1 저수조(200)의 수위가 오버플로우관(400)의 높이에 도달하면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제1 저수조(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제1 저수조(200)와 대수층(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저수조(9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 저수조(900)의 용량은 제1 저수조(200)의 용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제1 저수조(200)로부터 각각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제2 저수조(900)로 빗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제2 저수조(900)는 복수의 제1 저수조(200)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모아서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저수조(900)의 일측에는 대수층(10)으로 연장되는 우수 배출관(910)의 일단이 제2 저수조(9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결합된다. 다른 예로서, 제2 저수조(900)의 하단부에 복수 개의 미세 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제2 저수조(900)에 저장된 빗물이 미세 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점적 관수된 후 대수층(10)으로 유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저수조(200)가 직렬 또는 병렬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저수조(900)는 복수 개의 제1 저수조(200)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5는 복수 개의 제1 저수조(200)가 연결파이프(23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제2 저수조(900)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복수 개의 제1 저수조(200)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되, 각각의 오버플로우관(400)이 동일한 제2 저수조(900)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복수 개의 제2 저수조(900)가 서로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복수 개의 제2 저수조(900)가 동일한 깊이에서 연결파이프에 의해 직렬로 설치되고 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우수 배출관(910)이 대수층(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매설 깊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제2 저수조(900)가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고 가장 깊게 설치된 제2 저수조(900)의 우수 배출관(910)이 대수층(10)까지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에 의하면, 호우시 지표면의 빗물이 제1 저수조(200)를 거쳐 제2 저수조(900) 또는 대수층(10)으로 빠르게 유입되므로, 호우에 의한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갈수시에는 호우시 제1 저수조(200)와 제2 저수조(900), 또는 대수층(10)에 풍부하게 저장된 빗물을 양수하여 필요한 곳에 용수로 즉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빗물이 저장된 제1 저수조(200), 제2 저수조(900) 또는 대수층(10)을 마을의 상수원 등 취수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a)는, 제1 저수조(200)와 집수커버(300a) 및 오버플로우관(400)을 포함하고, 제1 저수조(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흡수부재(500)가 삽입되며, 공간부에는 증발방지부재(60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와 구성이 유사하다.
다만, 집수커버(300a)의 상세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차이점이 있는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100a)의 집수커버(300a)는, 제1 저수조(200)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커버부(310a)와, 커버부(310a)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320a)를 포함한다.
커버부(310a)에는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312)이 관통 형성되며, 확장부(320a)의 상측면은 커버부(310a)를 향해 오목하게 경사진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커버부(310a)의 상측에는 우수 유입홀(312)을 덮는 돔부(340)가 형성되는데, 돔부(34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우수홀(341)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우수홀(341)을 통한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우수홀(341)은 우수 유입홀(312)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돔부(340)는 커버부(310)의 상측에 용접 결합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외측면 하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우수홀(341)이 관통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수홀(341)은 필요에 따라 돔부(340)의 상측면 또는 외주면에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집수커버(300a)의 확장부(320a)에 떨어진 빗물은 확장부(320a)의 상측면을 따라 커버부(310a)를 향해 유동하며, 커버부(310a)의 둘레를 따라 확장부(320a)의 하단에 고이게 된다. 이렇게 고인 빗물의 수위가 돔부(340)의 우수홀(341) 형성 높이에 이르러면, 우수홀(341)을 통해 커버부(310a)의 내부로 유입되며, 커버부(310a)의 우수 유입홀(312)을 통해 제1 저수조(200)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은 확장부(320a)의 바닥에 가라앉아서 빗물로부터 분리되며, 제1 저수조(200)로 유입된 빗물은 증발방지부재(6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다시 한 번 더 걸러진다.
한편, 제1 저수조(200)에 저장된 빗물이 흡수부재(500)를 통해 지중으로 점적 관수되고, 저장 수위가 일정 높이에 이르러면 오버플로우관(400)을 통해 제1 저수조(200)의 외부로 배출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집수커버(300a)의 상측에 골재층과 골재층 커버(800)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대수층 100,100a :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200 : 제1 저수조 300,300a : 집수커버
310,310a : 커버부 311 : 돌출부
312 : 우수 유입 320,320a : 확장부
340 : 돔부 400 : 오버플로우관
500 : 흡수부재 600 : 증발방지 부재
700 : 골재 800 : 골재층 커버
900 : 제2 저수조

Claims (15)

  1. 빗물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제1 저수조;
    상기 제1 저수조의 상단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집수커버; 및
    상기 제1 저수조의 일측에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조에 저장되는 빗물의 수위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조와 대수층 사이에 설치되며, 복수 개의 제1 저수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모아서 저장하는 제2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대수층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저수조의 일측으로부터 대수층까지 연장되는 우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수조의 하단부에 복수 개의 미세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미세 통공을 통해 지중으로 점적 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조와 상기 대수층 사이에, 연결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통하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저수조가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커버는, 상기 제1 저수조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집수커버는,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상기 커버부의 상측을 덮도록 형성되며 외측면에 복수 개의 우수홀이 관통 형성되는 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상측면이 상기 커버부를 향해 낮게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집수커버는,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조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는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흡수부재를 따라 지중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상기 집수커버의 상측에 형성되는 골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골재층의 상측을 덮어서 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복수 개의 미세홀이 관통 형성되는 골재층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의 증발 방지를 위해, 상기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증발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증발방지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임시저장홈과, 상기 임시저장홈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몸체 하부의 공간부와 연통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KR1020180054842A 2017-11-29 2018-05-14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KR102133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1287 2017-11-29
KR1020170161287 2017-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359A true KR20190063359A (ko) 2019-06-07
KR102133369B1 KR102133369B1 (ko) 2020-07-14

Family

ID=6684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42A KR102133369B1 (ko) 2017-11-29 2018-05-14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3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9164A (zh) * 2019-06-11 2019-09-20 中建五局土木工程有限公司 混凝土滴灌节水养护系统
CN115059142A (zh) * 2022-06-30 2022-09-16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海绵城市雨水处理用消毒剂添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2609A (zh) * 2020-08-27 2020-11-20 王旭 一种基于生态恢复的移动式地下水填充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277A (ja) * 1997-03-25 1998-10-06 Morimoto:Kk 雨水の集水装置
JP2003184159A (ja) * 2001-12-19 2003-07-03 Ozawa Concrete Industries Co Ltd 貯留浸透槽
JP2012193559A (ja) * 2011-03-17 2012-10-11 Nakada Sangyo Kk 浮式雨水貯水タンク
KR20130080634A (ko) * 2012-01-05 2013-07-15 주식회사 모던탑 막 구조물
KR101340799B1 (ko)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빗물 집수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를 이용한 집수활용시설
KR20140069510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녹지원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277A (ja) * 1997-03-25 1998-10-06 Morimoto:Kk 雨水の集水装置
JP2003184159A (ja) * 2001-12-19 2003-07-03 Ozawa Concrete Industries Co Ltd 貯留浸透槽
JP2012193559A (ja) * 2011-03-17 2012-10-11 Nakada Sangyo Kk 浮式雨水貯水タンク
KR20130080634A (ko) * 2012-01-05 2013-07-15 주식회사 모던탑 막 구조물
KR20140069510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녹지원 수위확인수단을 구비한 매설 저수조
KR101340799B1 (ko) * 2013-08-06 2013-12-11 수원시 빗물 집수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를 이용한 집수활용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9164A (zh) * 2019-06-11 2019-09-20 中建五局土木工程有限公司 混凝土滴灌节水养护系统
CN110259164B (zh) * 2019-06-11 2024-04-09 中建五局土木工程有限公司 混凝土滴灌节水养护系统
CN115059142A (zh) * 2022-06-30 2022-09-16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海绵城市雨水处理用消毒剂添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369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20190063359A (ko)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JP3890354B2 (ja) 地下貯水槽
JP5117793B2 (ja) 地下水槽
KR101754769B1 (ko) 보행로용 매트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363436B1 (ko) 지중 침투형 빗물 공급장치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2148692B1 (ko) 투수 블록
KR20110052400A (ko) 빗물받이에 연결되는 비점오염원 빗물처리장치
KR100589661B1 (ko) 도로용 블록식 보강토옹벽 구조
KR101990798B1 (ko)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2037462B1 (ko) 집수 블록
JP5108225B2 (ja) 緑化容器
KR101062434B1 (ko) 수목용 수공제어관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101773329B1 (ko) 운동장용 타격식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CN211172014U (zh) 一种环保型市政工程边坡加固装置
KR101195242B1 (ko) 옥상 배수구 캡 및 이를 이용한 일시저류 가능한 옥상 구조물
KR102633068B1 (ko) 가로수 물공급 가능한 비상저류조
JP4686422B2 (ja) 流下水の一時貯水システム
KR102141832B1 (ko) 우수 정화형 지중 침투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01910B1 (ko)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KR101183867B1 (ko) 우수 배수관로의 오염유출량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