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462B1 - 집수 블록 - Google Patents

집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462B1
KR102037462B1 KR1020170155454A KR20170155454A KR102037462B1 KR 102037462 B1 KR102037462 B1 KR 102037462B1 KR 1020170155454 A KR1020170155454 A KR 1020170155454A KR 20170155454 A KR20170155454 A KR 20170155454A KR 102037462 B1 KR102037462 B1 KR 102037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ver
grating
discharge ho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44A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주)마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즈텍 filed Critical (주)마이즈텍
Priority to KR102017015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4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인 빗물 관리와 지표면의 공기를 토양의 근원부에 전달할 수 있는 집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와,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과, 배출홀로 삽입된 일단이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며 공간부의 우수를 토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수 블록{Boundary block draining rainwater}
본 발명은 집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빗물 관리와 지표면의 공기를 토양의 근원부에 전달할 수 있는 집수 블록에 관한 것이다.
빗물의 신속한 배수를 위해 설치되는 빗물 집수 시스템은 집수정과 배수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빗물 집수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의 측구에 마련되는 집수정은 하측은 하수 본관과 연결되고 상측면에는 배수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은 배수로를 따라 흐르다가 집수정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 하수 본관으로 유입된다.
빗물 집수 시스템의 집수정 및 배수로의 상부는 일반적으로 빗물을 통과시키면서도 사람이 안전하게 지나다닐 수 있도록 그레이팅으로 마감되는데, 이때 그레이팅의 설치를 위해 집수정의 상측 및 배수로에는 노면 상부의 수직압축하중에 대응하기 위한 프레임이 설치되고, 프레임의 지지부에 그레이팅이 안착되는 방법으로 마감된다.
그런데, 그레이팅 및 프레임은 도시의 미관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의 주변에 조성되는 수목의 보호용으로도 설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수목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매설되고, 프레임에 그레이팅이 안착되는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때, 수목의 뿌리는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 뿌리도 함께 성장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수목이 자라면서 뿌리가 보도블록 또는 도로를 침투하여 가로수의 뿌리 및 보도블록 또는 도로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수목의 관리에 많은 예산이 들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뿐더러, 도시 인프라의 파괴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으며, 한편으로는 빗물 집수 시스템의 신속한 배수로 인하여 빗물이 지중에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여 토양이 고결화되고 수목이 갈수기에 수분 부족으로 고사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 붕괴와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계곡 부지에 사방댐을 건설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사방댐은 그 건설비용도 상당할 뿐만 아니라, 쓸려내려온 흙이나 돌, 나무가 사방댐의 배수구를 막거나, 강수량이 사방댐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저사·저수 효과를 보장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수 효율이 우수하며 도심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목 뿌리의 확장을 방지하고, 수목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의 저수 및 토양으로의 점적관수가 가능한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질에 의한 우수 배출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기슭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함으로써, 토사 붕괴나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로 삽입된 일단이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토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덮개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덮개는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덮개는,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 저장홈과, 상기 우수 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우수 유입홀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상기 덮개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연 재질의 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그레이팅의 상측면이 지면을 향해 일 방향으로 낮게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그레이팅은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물주입구와, 상기 물주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주입구를 폐쇄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플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지표면의 공기를 지중으로 안내하는 공기유통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 저장홈과, 상기 우수 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1개 내지 4개가 선택적으로 수목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그레이팅은 상측면이 수목 방향으로 낮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수목 보호용 그레이팅의 지지를 위해 상기 몸체의 일면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수 블록에 의하면, 몸체의 공간부에 저장된 우수가 지중으로 점적관수되기 때문에 도심 사막화와 수목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 블록에 의하면, 혼입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 우수를 저장하기 때문에, 우수 배출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 블록에 의하면, 몸체 내부의 공간부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열을 차단하게 되므로, 저장된 우수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수 블록에 의하면, 공기유통구를 통해 외기가 수목 뿌리 인근의 지중으로 공급되므로 수목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1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200)와,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덮개(300)를 포함하며, 몸체(200)의 일측에 배출홀(210)이 관통 형성되고 배출홀(210)에는 우수를 토양으로 공급하기 위한 우수공급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200)는 녹이 잘 슬지 않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목 뿌리가 보도블록 쪽으로 뻗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수목 인근의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예컨대 도로변에 심어진 수목의 일측에 매설될 수 있다.
이때, 몸체(2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는데, 일 예로서, 사각형의 판재를 롤 포밍(roll forming) 또는 절곡하여 전면과 후면 및 바닥면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 별도의 판재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몸체(200)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폭보다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2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고, 몸체(200)의 규격과 형상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토양으로 흡수된 우수가 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측면 상단부에 복수 개의 관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후술하는 그레이팅(600)의 측면에도 관통홀(220)과 연통하도록 복수 개의 관통공(64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덮개(300)가 설치된다. 이 덮개(300)는 공간부에 삽입되어 공간부를 상하 2층으로 구획하게 되며, 덮개(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유입홀(330)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300) 상부의 공간부로 유입된 빗물은 덮개(300)의 우수 유입홀(330)을 통해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로 낙하하게 되며, 하부 공간부에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우수는 후술하는 배출홀(210)을 통해 인근의 토양으로 공급되며, 공간부에 저장된 우수의 증발 방지를 위해 덮개(300)는 스티로폼 등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 재질의 덮개(300)는 몸체(200)의 상측으로부터 공간부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공간부에 저장된 우수의 온도 상승과 이로 인한 증발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다른 예로서, 덮개(300)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덮개(300)는 몸체(20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간격 아래쪽으로 이격하여 공간부에 설치되며, 이때, 몸체(200)의 내측벽에는 덮개(30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돌기(230)가 복수 개 형성된다. 즉, 공간부로 삽입된 덮개(300)는 몸체(200)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받침돌기(230) 상에 안착된다.
덮개(300)는 공간부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덮개(300)의 상측면에는 우수 저장홈(310)이 낮게 단차 형성되며, 우수 저장홈(31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20)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유입홀(33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20)의 상측면에 중공 형태의 우수 유입홀(33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원통 형상의 돌출부(3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부(320)의 외관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돌출부(320)의 외주면 또는 상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 유입홀(330)이 관통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우수 유입홀(330)을 통해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우수 유입홀(330)의 하단은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와 연통하게끔 형성된다.
이와 같이 덮개(300)의 상측면에 우수 저장홈(310)과 돌출부(320)를 형성한 이유는, 우수에 섞인 미세먼지나 기름먼지 등의 이물질이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홀(210)을 막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우천시 몸체(200)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 저장홈(310)에 먼저 고이게 되며, 우수 저장홈(310)에 고인 우수의 수위가 우수 유입홀(330)의 높이에 도달하면 우수 유입홀(330)을 통해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로 우수가 유입되는데, 이때 우수에 혼입된 이물질은 우수 저장홈(310)의 바닥에 가라앉고, 이물질이 제거된 우수가 우수 유입홀(330)을 통해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수 유입홀(330)은 우수 저장홈(3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00)의 저면에는 우수 유입홀(330)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유연 재질의 관부재(500)가 결합되며, 이 관부재(500)는 예컨대 비닐 등 두께가 얇은 재질의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유입홀(330)의 하단 둘레를 따라 덮개(300)의 저면에 결합부(340)가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부(340)에 관부재(500)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 유입홀(330)로 유입된 우수는 돌출부(320)와 관부재(500)를 지나서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로 유입되며, 관부재(500)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줄어들면서 표면장력에 의해 관부재(500)가 납작하게 압착되므로, 통수 후에는 공간부에서 증발된 우수가 관부재(500)를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덮개(300)와 돌출부(320) 및 결합부(3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덮개(300)의 우수 저장홈(310) 바닥면에 별도의 파이프를 복수 개 관통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덮개(300)의 상부로 돌출되는 파이프의 상단부는 전술한 돌출부(320)를 형성하고, 덮개(300)의 하부로 돌출되는 파이프의 하단부는 전술한 결합부(340)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는 필요시 덮개(300)를 분리하여 몸체(200)의 공간부를 청소한 후 다시 덮개(300)를 재조립할 수 있다. 이때, 덮개(300)를 쉽게 파지하여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덮개(300)의 길이 방향 양단 내측면에는 각각 파지홈(35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0)의 일 측면 하단부에는 우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홀(210)이 관통 형성되며, 몸체(200)의 공간부에 저장된 우수는 이 배출홀(210)을 통해 인근 토양으로 공급된다. 이때, 배출홀(210)에는 별도의 배수파이프(21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배수파이프(211)의 내부에는 점적관수를 위해 솜이나 스펀지 등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흡습부재(212)가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는 먼저 흡습부재(212)에 흡수된 후 배수파이프(211)를 통해 장시간 동안 일정량씩 인근 토양으로 점적관수된다. 별도의 배수파이프(211) 없이 배출홀(210)에 직접 흡습부재(212)를 충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서, 몸체(200)의 일 측면 상단부에 배출홀(210)이 관통 형성되고, 배출홀(2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배출홀(210)은 덮개(300)보다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홀(210)로 삽입된 우수공급부재(400)의 일단이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된다. 우수공급부재(400)는 물을 흡수하는 재질, 예컨대 섬유나 실, 천, 종이 또는 기타의 흡습부재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공간부의 우수는 우수공급부재(400)에 흡수된 후, 우수공급부재(400)를 따라 인근의 토양으로 조금씩 점적관수된다. 이때, 배출홀(210)과 우수공급부재(4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누수 방지를 위해,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우수공급부재(400)가 배출홀(210)을 채우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몸체(200)의 일 측면 하단부에는 배수파이프(211)의 결합이 가능한 배출홀(210)이 관통 형성되고, 몸체(200)의 일 측면 상단부에는 우수공급부재(400)가 삽입되는 배출홀(2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배출홀(210)을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관통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낙엽 등 이물질의 유입 방지를 위해 몸체(200)의 상부에 그레이팅(6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그레이팅(600)의 상측면에는 복수 개의 유입구(610)가 관통 형성되는데, 이 유입구(610)로 유입된 우수가 돌출부(320)의 우수 유입홀(330)을 통해 곧바로 덮개(300) 하부의 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그레이팅(600)의 유입구(610)와 돌출부(320)의 우수 유입홀(330)은 서로 다른 축선상에 형성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그레이팅(600)의 유입구(610)와 돌출부(320)의 우수 유입홀(330)이 서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레이팅(60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640)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640)은 그레이팅(600) 장착시 몸체(200)의 관통홀(220)과 연통하여 지중으로 스며든 우수가 몸체(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200)의 외측면에는 그레이팅(60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안착돌기(24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이 안착돌기(240)는 상측에 원호형의 절개홈(241)이 형성되고 볼록한 외측면이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돌기(240)는 덮개(30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절개홈(241)을 통해 지중의 우수가 몸체(20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그레이팅(600)의 상측면은 일 방향으로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집수 면적을 확장하는 한편, 그레이팅(600) 표면의 우수가 일 방향으로 흐르게끔 하여 우수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100)을 수목의 인근에 설치하는 경우, 그레이팅(600)의 상측면이 수목을 향해 낮게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우수가 수목 방향으로 흐르게끔 유도할 수 있으며, 집수 블록(100)을 인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레이팅(600)의 상측면이 도로를 향해 낮게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우수가 도로 옆에 설치된 배수구 방향으로 흐르게끔 유도할 수도 있다.
그레이팅(600)의 상측면 일측에는 물주입구(620)가 관통 형성되며, 사용자는 예컨대 가뭄 등 갈수기에 이 물주입구(620)를 통해 몸체(200)의 공간부로 물을 공급하여 저장함으로써 배출홀(210)을 통해 지속적으로 토양에 물이 공급되게끔 할 수 있다. 이때, 물주입구(620)의 일측에는 물주입구(620)를 개폐하는 플랩(630)이 설치되는데, 이 플랩(630)은 물주입구(620)를 폐쇄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예컨대, 플레이트 형태의 플랩(630)을 물주입구(620)의 일측에 설치하되, 플랩(630)의 일단을 그레이팅(600)의 저면 일측에 힌지 결합하고, 플랩(630)과 그레이팅(600)의 힌지 결합부에 토션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를 개재한 후, 탄성부재의 일단은 그레이팅(600)의 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플랩(630)의 저면을 탄성 지지하게끔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소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플랩(630)이 물주입구(620)를 폐쇄하며, 사용시 플랩(630)을 밀면 탄성부재가 탄성 변형되면서 플랩(630)이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공급 호스를 물주입구(620)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플랩(630)을 쉽게 개방하여 몸체(20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몸체(200)의 일면에는 공기유통구(700)가 형성된다. 이 공기유통구(700)는 지표면의 공기를 지중으로 유도함으로써 수목뿌리의 생장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유통구(700)의 내부에는 모래나 자갈 등 공극을 갖는 충진재(800)가 충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공기유통구(7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의 통공부(710)와, 통공부(710)의 양단에 각각 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720)는 볼트 등의 체결구 또는 용접에 의해 몸체(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며, 통공부(710)에는 복수 개의 통공(7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공기유통구(700)는 상하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바닥면으로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로서, 공기유통구(700)의 상단을 통해 지표면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배치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단면도이다.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10)와 도로변의 화단(30) 사이에 복수 개의 집수 블록(100)이 경계를 이루도록 연속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도(10)에서 도로(20) 방향으로 흐르는 우수가 집수 블록(100)의 설치 지점을 지나가게 되는데, 유속 때문에 우수가 그레이팅(600)의 유입구(610)로 유입되지 못하고 그레이팅(600)의 표면을 스치면서 지나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600)의 상측면을 서로 대향하여 낮게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601a,601b)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속을 늦추는 한편 우수의 수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경사면(601a,601b)의 경사 각도와 폭은 필요에 따라 각각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경사면(601a,601b)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도면상 좌측 경사면)(601a)이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도면상 우측 경사면)(601b)보다 폭이 더 크고 경사 각도는 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낮게 경사지는 한 쌍의 경사면(601a,601b) 사이에 소정의 폭을 갖는 평면(601c)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집수 블록(100)에서 우수를 수집한 후, 수집된 우수를 지중에 매설된 별도의 저수조로 보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집수 블록(100)의 몸체(200)와 저수조는 별도의 배출관(미도시)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집수 블록(10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인접하는 한 쌍의 집수 블록(100)은 볼트(B)와 너트(N) 등의 체결구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길이 방향 측면 하부에 체결홀(250)을 관통 형성하고, 이 체결홀(250)에 체결구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집수 블록(10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주변을 감싸도록 4개의 집수 블록(100)을 사각형으로 배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몸체(20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측면 하부에 체결홀(250)이 형성되고, 체결홀(250)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체결홀(250)의 형성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몸체(20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측면에 우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홀(210)을 관통 형성하고, 필요시 이 배출홀(210)을 전술한 체결홀(250)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접하는 집수 블록(100) 내부의 우수가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집수 블록(100)의 몸체(200)에 서로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100a)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집수 블록(10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며, 다만, 몸체(200)의 폭 방향 일면(수목 대향면이며, 도면상 우측면) 상측에 지지 브라켓(260)이 결합되고, 폭 방향 양면의 양측에 결합 브라켓(270)이 각각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100a)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폭 방향 일면 상측에 지지 브라켓(260)이 결합된다. 이 지지 브라켓(260)은 수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수목 보호용 그레이팅(G, 도 11 참조)의 안착을 위한 것으로, 'ㄴ'자 단면 형태의 앵글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200)의 폭 방향 양면에는 양측 하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 브라켓(270)이 결합된다. 이 결합 브라켓(270)은 복수 개의 집수 블록(100a)을 몸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브라켓(270)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271)이 관통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집수 블록(100a)을 연속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결합 브라켓(270)의 체결홀(271)을 관통하여 체결구를 체결함으로써 인접하는 한 쌍의 집수 블록(100a)을 견고히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접하는 집수 블록(100a) 내부의 우수가 서로 연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집수 블록(100a)의 몸체(200)에 서로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100a)을 수목의 일측에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수목 보호용 그레이팅(G)이 지지 브라켓(260)의 상측에 안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12는 수목의 일측에 집수 블록(100a)을 설치하는 한편, 타측에는 이와 대향하여 수목뿌리 성장 방지대(900)를 설치함으로써, 집수 블록(100a)과 수목뿌리 성장 방지대(900)가 수목의 뿌리 부분을 둘러싸게끔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수목뿌리 성장 방지대(900)는 전체적으로 3면을 갖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서, 내측에는 수목 보호용 그레이팅(G)의 안착을 위해 지지 브라켓(910)이 결합된다. 이때, 지지 브라켓(910)은 'ㄴ'자 단면 형태의 앵글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수 블록(100a)의 하부에 저수조(soil box, 1000)가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좌측의 집수 블록(100a)처럼 몸체(200) 하부의 배수파이프(211)에 결합된 배출관(1100)이 저수조(1000)와 연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집중호우시 몸체(200) 내부로 과하게 유입되는 빗물을 저수조(1000)로 유도하기 위해, 우측의 집수 블록(100a)처럼 몸체(200)와 저수조(1000)를 연통하도록 오버플로우관(120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저수조(1000)의 배치와 배출관(1100) 및 오버플로우관(1200)의 설치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집수 블록(100)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의 집수 블록(100,100a)은 토사 붕괴와 산사태 방지를 위해 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당수의 집수 블록(100,100a)을 매설하는 경우, 우천시 산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우수의 상당량을 집수 블록(100,100a)에 가두어 저장할 수 있으며, 지표면으로 흘러내리는 우수의 양을 줄임으로써 토사 붕괴와 산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a : 집수 블록 200 : 몸체
210 : 배출홀 211 : 배수파이프
212 : 흡습부재 300 : 덮개
310 : 우수 저장홈 320 : 돌출부
330 : 우수 유입홀 340 : 결합부
350 : 파지홈 400 : 우수공급부재
500 : 관부재 600 : 그레이팅
610 : 유입구 620 : 물주입구
630 : 플랩 700 : 공기유통구
800 : 충진재 900 : 수목뿌리 성장 방지대
1000 : 저수조

Claims (11)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로 삽입된 일단이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토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 저장홈과, 상기 우수 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 유입홀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상기 덮개의 저면에 결합되는 유연 재질의 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그레이팅을 더 포함하되, 상기 그레이팅의 상측면이 지면을 향해 일 방향으로 낮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물주입구와, 상기 물주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물주입구를 폐쇄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플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며 지표면의 공기를 지중으로 안내하는 공기유통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8.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되,
    상기 덮개는, 상측면에 낮게 단차 형성되는 우수 저장홈과, 상기 우수 저장홈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수목 보호용 그레이팅의 지지를 위해 상기 몸체의 일면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10.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복수 개의 우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덮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며 우수가 배출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로 삽입된 일단이 상기 공간부의 우수에 담겨지고 타단은 지중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간부의 우수를 토양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공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우수공급부재는 물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부의 우수가 상기 우수공급부재에 흡수된 후, 상기 우수공급부재를 따라 인근의 토양으로 점적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 블록.
  11. 삭제
KR1020170155454A 2017-11-21 2017-11-21 집수 블록 KR102037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54A KR102037462B1 (ko) 2017-11-21 2017-11-21 집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54A KR102037462B1 (ko) 2017-11-21 2017-11-21 집수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65A Division KR20190122193A (ko) 2019-10-22 2019-10-22 집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4A KR20190057944A (ko) 2019-05-29
KR102037462B1 true KR102037462B1 (ko) 2019-10-29

Family

ID=6667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54A KR102037462B1 (ko) 2017-11-21 2017-11-21 집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501B1 (ko) * 2019-12-30 2021-12-21 (주)마이즈텍 수목생육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태 모니터링 시스템
CN112854422A (zh) * 2021-01-13 2021-05-28 孙钦明 一种用于防护林根基的蓄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908B2 (ja) * 1991-02-20 2000-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冷却装置
KR100425141B1 (ko) * 2001-02-21 2004-04-06 극동엔지니어링(주)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
KR101230730B1 (ko) * 2012-06-21 2013-02-07 김형태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38905B1 (ko) * 2016-08-29 2017-05-23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908U (ja) * 1996-03-21 1997-01-17 惣七 田中 下水道用マンホールの凍結防止の断熱中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908B2 (ja) * 1991-02-20 2000-04-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冷却装置
KR100425141B1 (ko) * 2001-02-21 2004-04-06 극동엔지니어링(주) 가로수 수분공급용 맨홀
KR101230730B1 (ko) * 2012-06-21 2013-02-07 김형태 식생기반 중수도 생태블럭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38905B1 (ko) * 2016-08-29 2017-05-23 (주)마이즈텍 집수 경계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44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2062B2 (ja) 集水境界ブロック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KR102037462B1 (ko) 집수 블록
CN209260733U (zh) 一种公路土质边坡绿化排水挡墙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2148692B1 (ko) 투수 블록
KR102133369B1 (ko)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0592659B1 (ko) 도로와 인접한 비탈면 보호시설물
KR101990798B1 (ko) 지중 수분공급장치
KR101286227B1 (ko) 녹화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22193A (ko) 집수 블록
KR20200100403A (ko) 보행로용 매트
JP5142065B2 (ja) グラウンドの排水装置
KR102226600B1 (ko)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101171208B1 (ko) 도로용 아케이드 구조물
CN211172014U (zh) 一种环保型市政工程边坡加固装置
KR102301159B1 (ko) 빗물 집수, 통수, 배수 경계장치
KR102633068B1 (ko) 가로수 물공급 가능한 비상저류조
KR101668420B1 (ko) 우수 저류침투형 잔디조성구조
KR20100118094A (ko) 도로 및 임도를 이용한 산불진화용 빗물 저수시스템
KR100880204B1 (ko) 인공지반녹화구조물
KR100577846B1 (ko) 친환경적인 도로 옹벽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