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910B1 -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1910B1 KR102501910B1 KR1020210135009A KR20210135009A KR102501910B1 KR 102501910 B1 KR102501910 B1 KR 102501910B1 KR 1020210135009 A KR1020210135009 A KR 1020210135009A KR 20210135009 A KR20210135009 A KR 20210135009A KR 102501910 B1 KR102501910 B1 KR 1025019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layer
- ground
- permeable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은 지면에서 용수가 스며들어 감에 의해 상기 용수를 함수할 수 있게 상기 지면 아래에 형성되는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을 갖는 함수층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는 것으로써,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으로 상기 용수가 스며들어갈 수 있게 상기 지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층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층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까지 형성되는 홀 구조를 갖는 투수 통로 및 상기 투수 통로에 채워지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을 갖는 함수층으로 용수가 스며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지면 아래로 용수가 스며드는 성질인 투수성 또는/및 용수를 함수하는 성질인 함수성이 낮은 건조 지역 또는 건조층이 있는 지역에서는 강우 등으로 생성되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 중 일부만이 지면 아래로 스며들어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을 갖는 함수층을 형성할 뿐 그 대부분은 지면 아래로 스며들지 못하고 증발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현재는 저수 시설을 마련하여 강우 등으로 생성되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를 저수하고 아울러 관개 시설을 마련하여 저수 시설에서 필요한 곳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언급한 저수 시설 및 관개 시설은 건설을 위한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를 위한 비용 또한 막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지하수를 퍼올려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으나 이는 지하수가 풍부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함수층의 수량 및 면적을 확대하여 식물 재배에 활용하기 위해 지표의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이 낮은 건조 지역 또는 건조층이 있는 지역에서 강우 등으로 생성되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를 지면 아래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을 갖는 함수층에 스며들게 하여 보다 큰 범위를 갖는 함수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투수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은 지면에서 용수가 스며들어 감에 의해 상기 용수를 함수할 수 있게 상기 지면 아래에 형성되는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을 갖는 함수층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는 것으로써,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으로 상기 용수가 스며들어갈 수 있게 상기 지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층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층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까지 형성되는 홀 구조를 갖는 투수 통로 및 상기 투수 통로에 채워지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는 상기 용수를 저수하는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함수층은 상기 저수조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저수조 바닥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의 입구는 상기 저수조 바닥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상부에는 상기 저수조에 저수되는 상기 용수가 증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증발 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증발 차단부는 상기 용수로부터의 부력에 의해 가라앉거나 또는 떠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의 입구에는 상기 연결층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은 지면과 함수층 사이를 연결층으로 연결함으로써 지표면의 투수성이 낮은 건조 지역 등에서도 강우 등으로 생성되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를 함수층으로 스며들게 하여 함수층을 확대하여 식물 재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은 간단한 구조의 연결층, 저수조 등을 마련하여 용수를 함수층에 흡수 및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대비 비용이 거의 소요되지 않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은 함수층의 형성 및 함수층의 함수량과 함수층의 면적 확대를 통하여 식물 재배가 가능한 지역을 보다 더 확대할 수 있는 이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로써 저수조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로써 증발 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로써 저수조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로써 증발 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100)(이하, '투수 구조물'이라 함)은 지면(13)에서의 용수가 스며들어 감에 의해 용수를 함수할 수 있게 지면(13) 아래에 형성되는 함수층(15)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에서의 함수층(15)은 용수를 함수할 수 있을 함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용수를 투수할 수 있는 투수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지면(13)에서 용수가 스며들어감에 의해 지면 아래의 투수층이 용수를 함수하는 함수층(15)으로 변환될 수도 있고, 이미 형성되어 있는 함수층(15)의 함수량이 증가하여 그 면적이 확대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함수층(15)이 투수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함수층(15)은 지면(13) 아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써, 지면(13)에서의 용수가 스며들어 감에 의해 용수를 함수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함수층(15) 상부에는 용수가 거의 스며들지 않는 불투수층인 건조층(11) 지대가 지면(13)까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이 적용되는 지대는 지면(13)으로부터 일정 깊이 아래까지는 건조층(11)이 형성될 수 있고, 건조층(11) 아래에 함수층(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에서의 연결층(16)은 지면(13)과 함수층(15)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써, 지면(13)으로부터 건조층(11)을 경유하여 함수층(15)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층(16)은 지면(13)으로부터 함수층(15)으로 용수가 스며들어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써,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가 지면(13)으로부터 함수층(15)으로 스며들어갈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에서의 연결층(16)은 투수 통로(17) 및 투수성 물질(19)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수 통로(17)는 지면(13)으로부터 함수층(15)까지 형성되는 홀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지면(13)으로부터 건조층(11)을 관통하여 함수층(15)까지 형성되는 홀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투수 통로(17)의 입구는 지면(13)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는 투수 통로(17)의 입구가 지면(13)보다 높을 경우 투수층(16)으로 용수가 용이하게 스며들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투수 통로(17)는 지면(13)과 함수층(15) 사이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이는 투수 통로가 수직이 아닌 꺾어지는 홀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경우 용수가 함수층(15)까지 스며드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일 것이다.
투수 통로(17)는 투수 통로(17)의 측벽을 보호하는 보호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언급한 보호대는 불투수성 재질 또는 투수성 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언급한 보호대가 불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홀을 만들어서 투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투수성 물질(19)은 투수 통로(17) 내부에 채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모래, 자갈, 분쇄한 암석 등 투수성 양호한 재료는 어느 것이나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가 투수 통로(17) 쪽으로 흘러들어가게 함과 아울러 투수성 물질(19)을 통하여 함수층(15)까지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간단한 구조를 갖는 연결층(16)만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만으로도 수분이 없거나 적은 투수층을 함수층(15)으로 변환시킬 수 있을 것이고, 아울러 함수층(15)을 기존 대비 보다 큰 범위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도 1에서와 같이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가 연결층(16)을 통하여 함수층(15)으로 스며들어감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함수층(15)의 기존 대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1 및 도 2에서는 함수층(15)이 건조층(11) 쪽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함수층(15)은 아래쪽으로도 확장될 수도 있을 것이고, 건조층(11) 및 아래쪽인 양쪽으로 확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층(16)으로 용수가 스며들어갈 때 연결층(16)으로 이물질이 함께 흘러들어갈 경우 함수층(15)까지 용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연결층(16)으로 용수가 스며들어갈 때 연결층(16) 내부로 이물질이 함께 흘러들어가는 것을 필터링할 수 있게 연결층(16)의 입구, 즉 투수 통로(17)의 입구에 필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언급한 필터부(21)는 교체가 용이한 필터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저수조가 형성되는 투수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다만 언급한 도 1 및 도 2에서의 투수 구조물과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로써 저수조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지면(13)에 용수(33)를 저수하는 저수조(3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저수조(31)는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33)를 저수할 수 있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언급한 저수조(31)가 형성되는 지대에 적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이 저수조(3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경우 저수조(31) 아래에 함수층(15)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에서의 저수조(31)는 용수(33)가 거의 스며들지 않는 불투수층인 건조층(11) 지대에 형성될 수 있고, 저수조(31)를 포함하는 건조층(11) 지대 아래에 함수층(15)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결층(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저수조(31)에 저수된 용수(33)가 함수층(15)으로 스며들어갈 수 있게 저수조(31) 바닥과 함수층(15)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층(16)은 저수조(31) 바닥으로부터 함수층(15)까지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 구조를 갖는 투수 통로 및 투수 통로에 채워지는 투수성 물질(19)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투수 통로(17)의 입구가 저수조(31) 바닥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어도 용수(33)가 저수조(31)에 저수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투수 통로(17)로 용수(33)가 스며드는데 지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다만, 투수 통로(17)의 입구가 저수조(31) 바닥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연결층(16)으로 용수(33)가 스며들어갈 때 연결층(16)으로 이물질이 함께 흘러들어갈 수 있고, 그 결과 함수층(15)까지 용수(33)가 스며드는 것을 방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수조(31)가 형성되는 투수 구조물(100)의 경우에는 투수 통로(17)의 입구가 저수조(31) 바닥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층(16)으로 용수(33)가 스며들어갈 때 연결층(16)으로 이물질이 함께 흘러들어가는 것을 필터링할 수 있게 연결층(16)의 입구, 즉 투수 통로(17)의 입구에 필터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저수조(31)가 형성되는 투수 구조물(100)은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33)를 저수조(31)에 충분하게 저수하여 저수된 용수가 연결층(16)의 투수 통로(17) 쪽으로 흘러 들게 하여 투수성 물질(19)을 통해 함수층(15)까지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저수조(31) 및 간단한 구조를 갖는 연결층(16)만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강우 등으로 인하여 생성되어 지면(13)에 잔류할 수 있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33)만으로도 투수층을 함수층으로 변환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함수층(15)을 기존 대비 보다 큰 범위를 갖도록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3 및 도 4에서는 함수층(15)이 저수조(31) 아래의 건조층(11) 쪽으로 확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함수층(15)은 아래쪽으로도 확장될 수도 있을 것이고, 건조층(11) 및 아래쪽인 양쪽으로 확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증발 차단부가 형성되는 투수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는데, 투수층 및 함수층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로써 증발 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증발 차단부(51)가 형성될 수 있는데, 특히 저수조(31)에 저수되는 용수(33)가 증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저수조(31)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증발 차단부(51)는 저수조(31)의 입구 영역 전체 또는 입구 영역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증발 차단부(51)는 강우 등으로 인하여 저수조(31)에 용수(33)를 저수할 수 있는 상황일 때에는 저수조(31) 입구를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강우 등이 중단되거나 또는 저수조(31)에 저수되는 용수(33)가 증발되는 상황일 때에는 개방된 저수조(31)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저수조(31)의 규모가 다소 클 경우에는 저수조(31)의 입구 전체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 다소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수조(31)의 규모가 다소 클 경우에는 증발 차단부(51)를 다수개로 마련함과 아울러 와이어 등과 같은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증발 차단부(51)를 서로 연결함에 의해 저수조(31) 입구 영역을 군데군데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증발 차단부(51)는 용수(33)로부터의 부력에 의해 가라앉거나 또는 떠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증발 차단부(51)는 에어 등과 같은 기체가 채워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거나 또는 부표 등과 같은 구조물이 군데군데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수조(31)에 용수(33)가 충분하게 저수되어 있을 경우에는 증발 차단부(51)는 도 5에서와 같이 저수조(31)의 입구 쪽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고, 용수(33)가 함수층으로 계속해서 스며들어감에 의해 저수조(31)에 용수(33)가 거의 비어진 상태일 경우에는 증발 차단부(51)는 도 6에서와 같이 저수조(31) 바닥 쪽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투수 구조물(100)은 증발 차단부(51)를 형성함으로써 저수조(31)에 저수된 용수(33)가 증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저수조(31)에 저수된 용수(33)가 함수층으로 충분하게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은 지면 아래로 용수가 스며드는 성질인 투수성이 낮은 지역인 건조 지역 또는 건조층이 있는 지역 등에의 식물 재배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건조층 13 : 지면
15 : 함수층 16 : 연결층
17 : 투수 통로 19 : 투수성 물질
21 : 필터부 31 : 저수조
33 : 용수 51 : 증발 차단부
100 : 투수 구조물
15 : 함수층 16 : 연결층
17 : 투수 통로 19 : 투수성 물질
21 : 필터부 31 : 저수조
33 : 용수 51 : 증발 차단부
100 : 투수 구조물
Claims (3)
- 지면에서 용수가 스며들어 감에 의해 상기 용수를 함수할 수 있게 상기 지면 아래에 형성되는 투수성 또는/및 함수성을 갖는 함수층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는 것으로써,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으로 상기 용수가 스며들어갈 수 있게 상기 지면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층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층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함수층까지 형성되는 홀 구조를 갖는 투수 통로 및 상기 투수 통로에 채워지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함수층 상부로부터 상기 지면까지 건조층이 형성될 때, 상기 연결층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기 건조층을 경유하여 상기 함수층을 연결하는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투수 통로의 측벽을 보호하는 보호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호대는 불투수성 재질 또는 투수성 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대가 불투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보호대에 투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에는 상기 용수를 저수하는 저수조가 형성되되, 상기 저수조는 상기 건조층 지대에 형성되고, 상기 함수층은 상기 저수조를 포함하는 건조층 지대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저수조 바닥과 상기 함수층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 상부에는 상기 저수조에 저수되는 상기 용수가 증발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증발 차단부가 형성되되, 상기 증발 차단부는 상기 저수조에 용수를 저수할 수 있는 상황일 때에는 상기 저수조 입구를 개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에 저수되는 용수가 증발될 수 있는 상황일 때에는 상기 저수조 입구를 폐쇄시키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다수개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용수로부터의 부력에 의해 가라앉거나 또는 떠오를 수 있는 구조물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의 입구는 상기 저수조 바닥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의 입구에는 상기 연결층으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009A KR102501910B1 (ko) | 2020-09-04 | 2021-10-12 |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230 | 2020-09-04 | ||
KR1020210135009A KR102501910B1 (ko) | 2020-09-04 | 2021-10-12 |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3230 Division | 2020-09-04 | 2020-09-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1537A KR20220031537A (ko) | 2022-03-11 |
KR102501910B1 true KR102501910B1 (ko) | 2023-02-21 |
Family
ID=8049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009A KR102501910B1 (ko) | 2020-09-04 | 2021-10-12 |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1910B1 (ko) |
WO (1) | WO2022050574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1153B2 (ja) * | 1997-07-01 | 2001-07-23 |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二重壁管の二重壁空所を充填する方法及び二重壁空所を充填される二重壁管 |
KR101825306B1 (ko) * | 2016-09-19 | 2018-02-02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우수 재활용을 위한 도로 구조물용 기둥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9367A (ja) * | 1993-05-11 | 1994-11-22 | Sato Kogyo Co Ltd | 乾燥地での植生方法 |
JP2006304760A (ja) * | 2005-05-02 | 2006-11-09 | Myodanien Zoen Doboku Kk |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
KR101012749B1 (ko) * | 2008-05-30 | 2011-02-10 | (주)비포엔지니어링 |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
JP3191153U (ja) * | 2014-02-10 | 2014-06-12 | 株式会社こっこ− | 緑化用植栽基盤 |
KR101934416B1 (ko) * | 2017-12-29 | 2019-01-03 | 이계현 | 열대야 방지 식재매트 |
-
2021
- 2021-07-29 WO PCT/KR2021/009873 patent/WO202205057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0-12 KR KR1020210135009A patent/KR1025019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91153B2 (ja) * | 1997-07-01 | 2001-07-23 | ダイムラークライスラー・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 二重壁管の二重壁空所を充填する方法及び二重壁空所を充填される二重壁管 |
KR101825306B1 (ko) * | 2016-09-19 | 2018-02-02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우수 재활용을 위한 도로 구조물용 기둥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1537A (ko) | 2022-03-11 |
WO2022050574A1 (ko) | 2022-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8328B1 (ko) | 지하 저수조 | |
US20220356691A1 (en) |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 |
KR102501910B1 (ko) |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
KR20190052221A (ko) | 투수 블록 | |
KR100701568B1 (ko) | 식목용 호안블록 | |
KR101441369B1 (ko) |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 |
KR102133369B1 (ko) | 대수층 수분 공급장치 | |
KR101256043B1 (ko) | 우수집수조 내장 케이슨 | |
KR101614720B1 (ko) | 빗물저류형 저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시스템 | |
JP4472501B2 (ja) |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 |
KR100682302B1 (ko) | 수분 공급이 양호한 호안블럭 상면의 식생구조 | |
JP4994002B2 (ja) | 緑化構造 | |
CN106613428A (zh) | 一种防止水土流失的种植系统 | |
JP5058028B2 (ja) | 傾斜地盤構造及び土木用構成体 | |
KR101062434B1 (ko) | 수목용 수공제어관 | |
KR101947257B1 (ko) | Lid 구조물 | |
KR101878289B1 (ko) |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 |
JP7082920B2 (ja) | 雨水貯留施設 | |
KR101771073B1 (ko) |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 | |
KR100379624B1 (ko) | 부력방지와 안정적 담수위를 유지하는 수자원 지하비축시설의 시공방법 | |
US3380252A (en) | Installation for preserving fresh-water supply | |
JP3103300B2 (ja) | 貯水設備 | |
KR102503219B1 (ko) | 산불 방재용 인공 습지 구조물 | |
KR20220031378A (ko)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
JP6765623B2 (ja) | 壁材で遮水シートを保護した貯留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