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378A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1378A KR20220031378A KR1020200113231A KR20200113231A KR20220031378A KR 20220031378 A KR20220031378 A KR 20220031378A KR 1020200113231 A KR1020200113231 A KR 1020200113231A KR 20200113231 A KR20200113231 A KR 20200113231A KR 20220031378 A KR20220031378 A KR 202200313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layer
- ground
- dry
- dry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습윤층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은 지면 아래에 형성되는 건조층과, 상기 건조층 아래에 식물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용수를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건조층 중에서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함수층과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수 상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수 상승부에 의해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를 상승시킴에 의해 상기 용수 상승부와 접하는 상기 건조층을 상기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으로 변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함수층에 함수되어 있는 용수를 활용하여 건조층을 습윤층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조 지역에서는 지면 아래의 건조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초목 등과 같은 식물의 뿌리가 건조층 아래의 용수를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고사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건조 지역에서의 식물 재배에서는 식물의 뿌리가 함수층까지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용수를 공급해야 한다.
이와 같이, 건조 지역에서의 식물 재배에서는 지속적으로 용수를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언급한 용수의 공급, 관리 등을 위한 관개 시설을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건조층에서도 식물이 고사하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면 아래의 건조층의 일부를 습윤층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은 지면 아래에 형성되는 건조층과, 상기 건조층 아래에 식물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용수를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건조층 중에서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함수층과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수 상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수 상승부에 의해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를 상승시킴에 의해 상기 용수 상승부와 접하는 상기 건조층을 상기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으로 변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수 상승부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함수층과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 사이를 관통하는 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연결 통로, 및 상기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 통로에 충전되는 모세관 충전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충전물은 판 구조, 롤 구조 또는 봉 구조를 갖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중공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규조토, 세라믹,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창질석, 톱밥, 펄프 및 분쇄된 식물 줄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수 상승부는 상기 모세관 충전물의 외곽을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용수가 상기 건조층으로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필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용수 상승부는 상기 모세관 충전물의 외곽을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용수가 상기 건조층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불투수성 필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함수층과 접하는 단부 및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과 접하는 단부 각각에는 상기 용수가 상기 건조층으로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과 접하는 단부에서의 상기 용수 상승부에는 상기 용수 상승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과 접촉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는 상기 습윤층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은 지면 아래의 건조층을 식물의 뿌리가 고사하지 않고 자리 잡을 수 있는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은 용수의 공급, 관리 등을 위한 별도의 관개 시설을 마련하지 않고도 건조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은 간단한 구조만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건조 지역에서도 용이하게 식물을 재배할 수 있기 때문에 식물 재배를 위한 관개 시설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삭감할 수 있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서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서의 확장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서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서의 확장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를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100)(이하, '구조물'이라 함)은 지면(11) 아래에 형성되는 건조층(13), 및 건조층(13) 아래에 식물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용수를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17)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함수층(17)은 지면(11)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깊은 곳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써, 건조 지대의 경우 강우 등으로 생성되는 빗물 등과 같은 용수 중 아주 일부만이 스며들어 증발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함수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함수층(17)은 언급한 바와 같이 식물 재배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용수를 함수하고 있는 지대일 것이다.
건조층(13)은 함수층(17) 상부에 용수를 거의 함수하고 있지 않은 지대로써 함수층(17) 상부로부터 지면(11)까지 형성될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11) 바로 아래에 지면 일부층(15)이 구분되게 도시하고 있지만 지면 일부층(15) 또한 건조층(13)에 포함하는 지대일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이 적용되는 지대는 지면(11)으로부터 일정 깊이 아래까지는 용수를 거의 함수하고 있지 못하는 건조층(13)이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건조층(13) 아래에는 용수를 어느 정도로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지면(11) 아래쪽, 특히 지면 일부층(15) 아래쪽의 건조층(13)을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25)으로 형성하기 위한 용수 상승부(19)를 구비할 수 있다.
용수 상승부(19)가 지면(11) 바로 아래 지면 일부층(15)까지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지면(11) 바로 아래의 지면 일부층(15)이 습윤층(25)으로 변환되어도 그 상태를 오래 유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용수 상승부(19)가 지면(11) 바로 아래가 아닌 지면 일부층(15) 바로 아래의 건조층(13)까지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의 용수 상승부(19)는 지면 일부층(15)을 포함하는 지면(11) 까지 습윤층(25)으로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지면(11)에 형성되는 습윤층(25)은 증발에 의해 습윤 상태를 오래 유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습윤층(25)로 변환될 수 있는 용수 상승부(19) 주변을 토사로 덮거나 용수 상승부(19) 상부를 지면(11)보다 낮게 형성한 후 그 상부를 토사로 덮어 불필요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용수 상승부(19)는 함수층(17)과 건조층(13) 중에서 지면(11) 바로 아래쪽인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 용수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함수층(17)과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거나, 이와 달리 지면(11)까지 용수를 상승시킬 수 있게 건조층(13)과 함께 지면 일부층(15) 및 지면(1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언급한 용수 상승부(19)를 구비하여 함수층(17)으로부터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 또는 지면(11)까지 용수를 상승시킴에 의해 용수 상승부(19)와 접하는 건조층(13)을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25)으로 변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함수층(17)으로부터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 용수를 상승시키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언급한 구조를 지면(11)까지 용수를 상승시키는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용수 상승부(19)는 모세관 현상과 더불어 확산 현상에 의해 함수층(17)으로부터 지면(11) 아래쪽의 건조층(13), 특히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 용수가 상승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써, 연결 통로(21) 및 충전물(23)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용수 상승부(19)를 이루기 위한 연결 통로(21)는 함수층(17)과 지면(11)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13), 즉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 사이를 관통하는 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용수 상승부(19)를 이루기 위한 충전물(23)은 모세관 현상과 함께 확산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게 홀 구조를 갖는 연결 통로(21)에 충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모세관 충전물(23)은 미세한 관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기에 속이 비어있는 섬유인 중공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물(23)이 중공사로 이루어질 경우 내경이 약 0.01mm 이하의 중공사를 다발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용수가 더 효율적으로 스며들 수 있게 용수를 흡수하는 부분에서는 그 길이를 서로 달리하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충전물(23)이 중공사와 같이 미세한 관 구조를 가질 경우 관의 내경이 작을수록, 중공사 소재가 친수성이 있어 용수와의 접촉각이 작을수록 높은 높이까지로 모세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용수의 상승 높이, 용수의 상승 수량 등을 고려하여 충전물(23)로 이루어지는 중공사의 내경, 중공사의 개수 등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고, 더불어 중공사의 소재는 용수와의 접촉각이 작은 친수성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예로, 충전물(23)은 용수를 투수시킬 수 있는 성질인 투수성, 또는/및 용수를 흡습할 수 있는 흡습성을 갖는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언급한 미세한 입자들은 주로 약 0.1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들로써 실트,규조토, 세라믹,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창질석, 분쇄된 식물 줄기 등과 같은 천연 또는 인공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은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세관 충전물(23)이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질 경우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공극비가 작을수록 모세관 및 확산 현상에 의한 용수의 상승 높이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용수의 상승 높이, 용수의 상승 수량 등을 고려하여 충전물(23)로 이루어지는 미세 입자들의 크기, 공극비, 재질 등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확산 작용에 따른 특성을 참고해서도 입자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충전물(23)은 젖음 및 젖음에 따른 확산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언급한 다공성 물질들은 약 0.05mm 이하의 기공 크기를 가짐과 아울러 친수성 표면을 갖는 것으로써 섬유, 스펀지, 펄프, 세라믹 등과 같은 다공성을 갖는 천연 또는 인공물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충전물(23)이 다공성 물질들로 이루어질 경우 판 구조, 롤 구조, 봉 구조 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물질의 경우 기공 크기가 작을수록, 그리고 용수와의 접촉각이 작을수록 높은 높이까지로 모세관 및 확산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다공성 물질의 가공 크기, 용수와의 접촉각 등을 고려하여 용수의 상승 높이, 용수의 상승 수량 등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용수 상승부(19)를 구비하여 함수층(17)에 함수되어 있는 용수를 지면(11) 아래쪽인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지면(11) 아래쪽인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을 식물의 뿌리가 고사하지 않고 자리 잡을 수 있는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25)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의 용수 상승부(19)에서의 모세관 충전물(23)은 식물이 뿌리 내리는 시간 정도만 습윤층(25)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환경에 유해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에서의 용수 상승부(19)는 충전물(23)이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용수가 용이하게 흘려 건조층(13)으로 스며들게 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필름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수성 필름부(27)를 사용하여 충전물(23)의 외곽을 둘러쌈에 의해 함수층(17)으로부터 상승되는 용수가 지면(11) 아래쪽인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 스며들어갈 것이고, 그 결과 용수 상승부(19)와 접하는 건조층(13)은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25)으로 변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투수성 필름부(27)를 사용하여 모세관 충전물(23)의 외곽을 둘러쌈에 의해 연결 통로(21) 내에 충전되는 모세관 충전물(23)을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모세관 충전물(23)이 다공성 물질 또는 미세 입자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경우에는 언급한 투수성 필름부(27)로 둘러싸면 모세관 충전물(23)이 유실되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다만, 도 2에서의 구조물은 도 1에서의 구조물 중 투수성 필름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에서의 용수 상승부(19)는 모세관 충전물(23)이 외곽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불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불투수성 필름부(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투수성 필름부(27)를 사용할 경우 용수 상승부(19)와 접하는 건조층(13) 모두가 습윤층(25)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용수가 많이 소모될 수 있는 단점 또한 공존하기 때문에 도 2에서는 불투수성 필름부(29)를 사용함으로써 용수 상승부(19)와 접하는 건조층(13) 모두가 아닌 일부만을 습윤층(25)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수의 소모를 줄임과 아울러 습윤층(25)을 보다 집중적으로 한정된 영역에만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서의 구조물(100)의 경우에는 용수 상승부(19)와 지면(11)이 접하는 영역, 특히 지면 일부층(15)과 접하는 영역에 집중적으로 한정되게 습윤층(25)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도 2의 구조물(100)에서와 같이 용수 상승부(19)가 불투수성 필름부(29)를 사용하여 모세관 충전물(23)을 둘러싸도록 이루어질 경우 함수층(17)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용수가 스며들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건조층(13)으로 변환되는 습윤층(25)을 지면 일부층(15) 아래에서 보다 확장되는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 및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과 접하는 단부 각각에는 용수가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필름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 및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과 접하는 단부 각각에는 투수성 필름부(31)를 사용하여 모세관 충전물(23)을 둘러싸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그 외에는 불투수성 필름부(29)를 사용하여 모세관 충전물(23)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투수성 필름부(31)를 사용하여 모세관 충전물(23)을 둘러싸는 구조를 갖지만,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 및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과 접하는 단부 각각의 군데군데에 투수성 필름부(31)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 및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과 접하는 단부 각각에 홀 구조를 형성하여 홀 구조 내에 투수성 필름부(31)를 채워 넣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의 투수성 필름부(31) 및 도 1에서의 투수성 필름부(27) 모두가 서로 동일한 재질을 갖기에 동일 명칭으로 표기하지만, 도 2에서의 투수성 필름부(31)는 모세관 충전물(23)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도 1에서의 투수성 필름부(27)는 모세관 충전물(31)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기에 서로 다른 부호로 표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서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을 사용하여 함수층(17)으로부터 용수 상승부(19)로 용수가 스며들 때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에서의 용수 상승부(19)에는 이물질이 침투할 수 있을 것이고, 그 결과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에서의 용수 상승부(19)가 막히는 상황이 발생하여 용수가 원활하게 상승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의 경우 함수층(17)과 접하는 단부에서의 용수 상승부(19)에는 용수 상승부(19)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필터링하는 필터부(33)가 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언급한 필터부(33)의 경우에는 용수는 원활하게 통과하면서 이물질의 침투만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투수성 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고, 단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 전체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은 언급한 필터부(33)를 형성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용수를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까지로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에서의 확장층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의 경우 상승되는 용수의 수량 등으로 인하여 습윤층(25)이 다소 협소하게 형성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100)의 경우 지면 일부층(15) 아래의 건조층(13)과 접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 습윤층(25)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층(4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언급한 확장층(41)의 경우 용수의 충분한 습윤이 가능한 흡습성 수지, 실트,규조토, 펄라이트, 식물 줄기 등과 같은 재질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은 확장층(41)을 형성함으로써 건조층(13)으로부터 변환되는 습윤층(25)을 보다 넓은 영역을 갖도록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물은 식물의 뿌리가 자리 잡기 힘든 건조 지역에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지면 13 : 건조층
15 : 지면 일부층 17 : 함수층
19 : 용수 상승부 21 : 연결 통로
23 : 모세관 충전물 25 : 습윤층
27, 31 : 투수성 필름막 29 : 불투수성 필름막
33 : 필터부 41 : 확장층
100 : 구조물
15 : 지면 일부층 17 : 함수층
19 : 용수 상승부 21 : 연결 통로
23 : 모세관 충전물 25 : 습윤층
27, 31 : 투수성 필름막 29 : 불투수성 필름막
33 : 필터부 41 : 확장층
100 : 구조물
Claims (7)
- 지면 아래에 형성되는 건조층과, 상기 건조층 아래에 식물 재배에 사용할 수 있는 용수를 함수하고 있는 함수층을 포함하는 지대에 적용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건조층 중에서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를 상승시킬 수 있게 상기 함수층과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용수 상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수 상승부에 의해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를 상승시킴에 의해 상기 용수 상승부와 접하는 상기 건조층을 상기 용수가 스며드는 습윤층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상승부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함수층으로부터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까지 상기 용수가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함수층과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 사이를 관통하는 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연결 통로, 및 상기 모세관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연결 통로에 충전되는 모세관 충전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충전물은 판 구조, 롤 구조 또는 봉 구조를 갖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중공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규조토, 세라믹,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팽창질석, 톱밥, 펄프 및 분쇄된 식물 줄기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상승부는 상기 모세관 충전물의 외곽을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용수가 상기 건조층으로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상승부는 상기 모세관 충전물의 외곽을 둘러쌈과 아울러 상기 용수가 상기 건조층으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불투수성 필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함수층과 접하는 단부 및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과 접하는 단부 각각에는 상기 용수가 상기 건조층으로 스며들어가게 할 수 있는 투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수성 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과 접하는 단부에서의 상기 용수 상승부에는 상기 용수 상승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바로 아래쪽의 건조층과 접촉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주변 영역에는 상기 습윤층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231A KR20220031378A (ko) | 2020-09-04 | 2020-09-04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PCT/KR2021/009929 WO2022050575A1 (ko) | 2020-09-04 | 2021-07-29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231A KR20220031378A (ko) | 2020-09-04 | 2020-09-04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1378A true KR20220031378A (ko) | 2022-03-11 |
Family
ID=8049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3231A KR20220031378A (ko) | 2020-09-04 | 2020-09-04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1378A (ko) |
WO (1) | WO202205057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09652A1 (en) | 2022-04-30 | 2023-11-02 | Corephotonics Ltd. | Pop-out mobile cameras and compact actuator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21174B2 (ja) * | 1993-05-18 | 2000-12-25 | 株式会社クレアテラ | 雨水貯留型植栽地盤 |
JP2008072931A (ja) * | 2006-09-20 | 2008-04-03 | Mebiol Kk | 植物栽培方法 |
JP3191153U (ja) * | 2014-02-10 | 2014-06-12 | 株式会社こっこ− | 緑化用植栽基盤 |
KR101669621B1 (ko) * | 2015-04-07 | 2016-10-26 | 이기환 | 화분용 급수장치 |
KR101934416B1 (ko) * | 2017-12-29 | 2019-01-03 | 이계현 | 열대야 방지 식재매트 |
-
2020
- 2020-09-04 KR KR1020200113231A patent/KR20220031378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1
- 2021-07-29 WO PCT/KR2021/009929 patent/WO202205057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50575A1 (ko) | 2022-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3538162C2 (de) | Selbsttätige Bewässerungsvorrichtung für bepflanzte Erde | |
WO1999003325B1 (en) | Houseplant maintenance device and method | |
KR20220031378A (ko) |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 |
KR101191318B1 (ko) | 난초용 화분 | |
AU2010202359A1 (en) | Soil beds | |
US4257191A (en) | Moisture reservoir for fertile soils for plants | |
US7040055B2 (en) | Capilar controlled watering of plants | |
JP4969534B2 (ja) | 植栽基盤 | |
KR20100105079A (ko) | 수목용 수공제어관 | |
US20090307972A1 (en) | Substrate for plants in an aquarium, terrarium and the like | |
KR102501910B1 (ko) | 함수를 위한 투수 구조물 | |
US20020046492A1 (en) | Potting arrangement and method using pumice | |
AT398021B (de) | Selbsttätige bewässerungsvorrichtung für bepflanzte erde | |
JPH0523065A (ja) | 無灌水式プランター | |
DE60134876D1 (de) | Elemente und wasserspeicherungskissen, ihre herstellungsverfahren und anwendungen | |
US20240268284A1 (en) | Terrain structure and method of growing plants using the same | |
KR101413797B1 (ko) | 인공가산축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2545384B1 (ko) | 복합 인공 토양 구조 시스템 | |
CN109137823A (zh) | 生态沟渠护坡结构 | |
KR102669712B1 (ko) | 기능성 플랜터 | |
KR102253805B1 (ko) |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 |
JP2005229882A (ja) | コケ植生ポット | |
CN214785598U (zh) | 一种基于自密实混凝土层结构的室内种植室地面结构 | |
JPH09262031A (ja) | 土壌環境調節装置 | |
CN208965780U (zh) | 一种真石漆墙体防潮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