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805B1 -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805B1
KR102253805B1 KR1020200182227A KR20200182227A KR102253805B1 KR 102253805 B1 KR102253805 B1 KR 102253805B1 KR 1020200182227 A KR1020200182227 A KR 1020200182227A KR 20200182227 A KR20200182227 A KR 20200182227A KR 102253805 B1 KR102253805 B1 KR 10225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revetment
block
concret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태진
Original Assignee
우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태진 filed Critical 우태진
Priority to KR102020018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의 안정화를 위한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 중간유공부, 하부유공부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공부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까지 형성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Revetment perforated concrete bloc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천의 호안유공블록의 지표면이 건조하더라도 수분을 공급하여 보다 용이하게 싹을 발아시키고 식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활착할 수 있는 호안의 안정화를 위한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에는 강한 홍수 시에도 제방의 안정화를 위해 시멘트 등으로 제작된 호안블록을 설치 시공한다. 이때 콘크리트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호안유공블록을 사용하여 유공 부분에 식물이 식생이 되도록 하여 하천 사면의 녹화를 이루려고 하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 그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등록특허 제10-2122967호)을 보면, 유공블록 개방부 내측 공간 지표면을 덮는 부직포를 천공한 후 식생용 포트를 매립하여 유공블록 내부에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식생용 포트 및 절개부차단용 부직포 등 녹화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유공상부에 씨앗두께의 5배 이상의 토사에 덮여버리거나 빗물에 씨앗이 유실되기도 하며, 유공부분의 토사는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씨앗이 발아하기 어렵고, 씨앗이 발아하더라도 지표면이 빨리 건조해짐으로서 싹이 쉽게 말라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등록특허 제10-0449585호)을 보면, 식생호안 블록 내부에 토양이 채워진 식생 주머니를 삽입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부직포 등 녹화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본체의 상부 표면에 깬돌 또는 조약돌이 더 삽입되어 구성되고, 식생호안블록 구조의 복잡성, 식생 주머니의 크기로 인한 호안의 안정 및 시공이 어렵고, 또한 유공부분의 토사는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씨앗이 발아하기 어려우며, 씨앗이 발아하더라도 호안유공블록의 상부 지표면이 빨리 건조해짐으로서 싹이 쉽게 말라버리거나, 설령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유공에서 발아가 되었다 하여도 발아된 식물이 호안유공블록 바닥의 두꺼운 부직포를 뚫고 땅속에 활착 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호안류공블록은 유공의 하부 단면적이 상부 단면적 보다 같거나 좁아서 식물의 뿌리가 활착 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낮은 호안유공블록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호안유공블록의 유공부분에 채워진 토사는 블록이 태양 볕에 쉽게 달궈져 상부측 토사의 수분이 잘 증발 하므로 유공부분 토사는 보습이 매우 어렵게 되어 쉽게 말라버린다.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는 호안유공블록의 유공에서 발한 식물은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고사하는 문제점 즉 호안유공블록의 재질 및 구조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호안유공블록은 유공부분의 토사가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씨앗이 발아하기 어렵고, 씨앗이 발아하더라도 지표면이 빨리 건조해짐으로서 싹이 쉽게 말라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122967 B1 (등록일 2020.06.09.) KR 10-0449585 B1 (등록일 2004.09.10.) KR 10-1520366 B1 (등록일 2015.05.08.)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의 유공부분의 하부 단면적을 확장하여 식물의 뿌리가 호안유공블럭 하부에 포설된 두꺼운 부직포를 충분히 뚫고 활착이 용이하고 식물의 조기 활착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이 태양볕에 쉽게 달구워져 수분이 증발하더라도 수분공급부를 통해 호안유공블럭의 지표면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보습을 유지하고 식생식물 씨앗이 잘 발아할 수 있도록 촉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을 이용하여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유공 내부의 하부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식물뿌리가 보다 넓게 활착하도록 함으로써 식생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사에 섞인 씨앗이 빗물에 유실되지 않는 씨앗 포설 방법을 제공하여 호안유공블록의 풍성한 녹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 중간유공부, 하부유공부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공부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의 측벽까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분공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 중간유공부, 하부유공부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공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유공부의 직경의 1,5배 내지 3배 직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유공부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단차부 상부까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분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수분공급부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심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상부유공부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까지 상기 본체부를 관통한 공간에 삽입되는 유로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유로관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심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지재의 재질은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하나의 유공부(200)에 1개 이상 4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공급부는 호안유공블록의 양 유공의 가장 좁은 단면 가장자리에서 5~50mm 사이에 위치하고, 약 5~30mm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안유공블록의 유공에 원기둥 앵커 형태의 식생주머니를 매설하여 경사면에 설치된 식생씨앗이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식생주머니에서 발아한 식물이 토양에 단단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탱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 심지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합성수지 재질의 유로관에 심지재를 압축시켜 내장하는 단계,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유로관을 설치하는 단계, 유로관이 설치된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서 상기 유로관의 끝단을 일부 절단하여 압축된 상기 심지재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타설된 소재에 유로관을 삽입하는 단계,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유로관 내부에 심지재를 삽입시켜 수분공급부를 형성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단으로 인한 본 발명의 효과로, 유공부분의 하부 단면적을 확장하여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식물의 뿌리가 호안유공블럭 하부에 포설된 두꺼운 부직포를 충분히 뚫고 활착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의 유공 내부를 확장하여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하고 식물의 조기 활착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럭의 지표면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생식물 씨앗이 잘 발아할 수 있도록 촉진을 도모하고 발아한 싹이 지표면의 건조함으로 인한 고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호안유공블록을 이용하여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유공 내부의 하부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식물뿌리가 보다 넓게 활착하도록 함으로써 식생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유로관 내부에 심지재를 삽입시켜 수분공급부가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을 통해 빠르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인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는 종래의 상용화된 호안유공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수분공급부가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4a의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유공부의 하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5a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수분공급부가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b, 도 6c는 도 6a의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유공부에 식생주머니가 삽입된 호안유공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공부의 식생주머니에 수분공급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복수 개의 수분공급부가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9a의 D-D'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호안유공블록 9개 유닛의 어셈블리를 나타낸 조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지지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면이다.
도 12는 심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호안의 안정화를 위한 호안유공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하부유공부(230)에 형성되고 직경이 중간유공부(220)의 직경보다 1.5~3배 큰 구조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하천의 호안유공블록에서 식생하는 식물이 보다 용이하게 뿌리 활착할 수 있는 호안의 안정화를 위한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음을 일러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호안유공블럭은 도 4와 같이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210), 중간유공부(220), 하부유공부(230)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21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2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면까지 형성되는 수분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의 호안유공블록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어 햇볕에 쉽게 달궈져서 수분이 부족하여, 빗물 외에는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유공부분의 씨앗에서 싹틔운 식물이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상적인 변형 방안으로써 도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유공부 상부 형태를 변형하여, 우수(雨水)등이 유공블록 상부면에 머무른 상태로 마르지 않고, 유공부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깔때기 구조를 형성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만한 곡선 형태뿐 아니라 각진 형태로 유도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는 태양 볕에 콘크리트 재질의 호안유공블록은 쉽게 달궈져 수분이 쉽게 증발해 버리고, 특히 빗물을 유도하는 나팔 부분의 토사는 보습에 매우 취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바닥에 있는 토사유실방지용 부직포(10)에서 흡수되는 수분을 유공 상부의 식물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심지재(420)를 이용한 수분공급부(400)를 구비하여 콘크리트로 인한 빠른 수분 증발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지재로(420)는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공부상부에는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수분공급부의 유공부상부로 관통된 공간이다. 상기 심지재(420)는 유체가 가느다란 관이나 다공성 물질 등의 좁은 공간을 타고 올라가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하부에 있는 수분을 상부로 이동시키며 호안유공블록의 지표면의 보습을 유지해 주게 된다. 수분공급부(400)는 호안유공블록의 양 유공의 가장 좁은 단면 가장자리에서 약 5~50mm 사이에 위치하고, 직경은 약 5~30mm 내외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상부에서 하부의 바닥면까지 관통한다.
상기 본체부(10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로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시멘트를 재질로 한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0.5㎡ 내지 1.0㎡의 상부면 면적과 150mm 내지 250mm의 높이로 형성된다. 간혹 통상적인 수치를 벗어나 특별한 크기 또는 모양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공부(200)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유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평균적으로 4개 내지 9개의 유공으로 형성된다. 또는 그 이상의 유공의 수는 유속이나 유공의 크기 및 공사현장의 여건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육기반 조성물을 활용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생육기반 조성물은 제올라이트(Zeolite)와 적토, 부엽토, 피트모스, 테라코템, 볏짚,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비료 및 오옥신계 생육촉진제를 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생육기반 조성물의 조성 비율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제올라이트와 적토의 비율을 각각 반으로 하여 조제된 토양 40 내지 60중량%, 부엽토 5 내지 10중량%, 피트모스 5 내지 10중량%, 볏집 5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3 내지 8중량%, 비료 5중량%, 오옥신계 생육촉진제 0.02 내지 0.2중량%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최신 소재인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등의 폴리머 콘크리트류 소재로 사출성형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 혼합물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5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7.5~25중량%, 플라이 애쉬 20~50중량%, 고로 슬래그 25~50중량%을 혼합하고, 첨가제로써 산화제 2 철, 카본블랙, B. H. T. Ionol 및 과산화벤조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각기 0.1~0.3중량%로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비의 변화와 조성물의 대체를 통해 개량된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또한 본 발명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호안유공블럭은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210), 중간유공부(220), 하부유공부(230)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21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공부(230)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부유공부(220)의 직경의 1.5배 내지 3배 직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호안유공블록은 도 3과 같이 유공부분(200)의 하부 직경이 중간유공부의 직경보다 좁거나 같아 씨앗의 식물뿌리가 활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하부유공부를 변형하여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 활착하는 과정에 있어 더 용이한 구조를 형성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공부하부는 유공부중간보다 넓은 구조인 단차부를 형성하며, 단차부는 상부유공부 직경의 1.5배 내지 3배의 직경으로 하부유공부에 유공 단차부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단차부의 높이는 식물의 뿌리가 마르지 않고 또한 식물의 뿌리가 활착하는 과정에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유공부 하부의 하부면에서 5mm 내지 15mm 높이로 형성하는데 10mm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단차부(300) 상부까지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분공급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수분공급부(400)는 호안유공블록의 양 유공의 가장 좁은 단면 가장자리에서 약 5~50mm 사이에 위치하고, 직경은 약 5~30mm 내외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다. 수분공급부의 설치 위치, 구멍의 크기, 개수 등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유공부의 측벽에 위치한 수분공급부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유로관이 삽입되는데, 상기 유로관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인 관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나, 관 형상이 아닌 얇은 비닐로 감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관은 거푸집에 설치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되면 형성되는 방법으로 설치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에 박아 넣는 방법으로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본체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수분공급부(400)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심지재(420) 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심지재(420)는 호안유공블록 제조시 거푸집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심지재를 박아 삽입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상기 상부유공부(210)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230)까지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한 공간에 삽입되는 유로관(410);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유로관(410)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심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관(410)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저면에서 올라오는 수분이 본체의 콘크리트로 흡수되지 않고 손실 없이 상부의 지표면에 수분을 공급해 주어 보습을 유지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호안유공블록의 유공에 식생 시키는 잔디나 수크렁과 같은 식물의 씨앗은 매우 작다. 통상 씨앗 위에 덮는 흙의 두께는 씨앗 지름의 2~3배 정도가 적당하나, 이러한 씨앗을 호안유공블록의 유공 안에 파종시 호안유공블록은 태양 볕에 달구어져 지표면이 쉽게 건조해져 발아가 어렵고, 설령 빗물 등으로 발아가 되더라도 연약한 싹은 햇볕에 쉽게 고사하는 환경이다. 또한 발아된 식물의 뿌리가 지면으로 내릴 때 도 3과 같은 종래의 호안유공블록의 구조에서는 뿌리가 좁게 뻗다가 부직포에 막히게 되므로 충분한 식생 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튼튼하게 자라지 못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호안유공블록의 수분공급부를 통해 호안유공블럭의 지표면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생식물 씨앗이 잘 발아할 수 있도록 촉진을 도모하고 발아한 싹이 지표면의 건조함으로 인한 고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유공 내부의 하부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식물뿌리가 보다 넓게 활착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식생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식생에 필요한 씨앗의 손실과 유지가 용이하여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6b와 같이 심지재(420)는 호안블럭의 저면부 바닥면을 거쳐서 입접한 유공부의 심지재(420)가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바닥면에서부터 수분을 빨아올릴 수 있으므로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로관의 내부에는 부직포, 솜, 한지, 스폰지 또는 실과 같이 모세관현상을 통해 수분, 습기 및 물기를 유도할 수 있는 심지재가 삽입된다. 상기 심지재(420)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상기 수분공급부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의 관통구멍으로 일정 돌출된다.
상기 심지재의 직경은 상기 유로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심지재는 본체에 유로관을 형성한 후 삽입될 수 있으며, 유로관에 심지재를 삽입하여 거푸집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심지재(400)는 도 12의 a와 같이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실을 꼬아 만든 심지재(420)를 복수개 또는 하나로 제작하여 유로관(410)의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도 12의 b와 같이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실을 꼬아 만든 복수개 또는 하나로 이루어진 심지재(420)의 외부를 얄은 비닐테이프를 감아서 밀폐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심지제(400)는 유로관(410)에 심지재(420)을 삽입하거나, 심지재(420)의 외부에 합성수지재를 씌우는 공정으로 제작하여 호안블럭을 제조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도 9와 같이 하나의 유공부(200)에 1개 이상 4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세관 물질에 따라 약간의 구경을 달리 할 수 있으며, 이 모세관 물질은 호안유공블록의 바닥을 통과하여 호안유공블록의 모세관 2개소를 호안유공블록의 유공 상부단면의 중앙까지 연결된다, 이때 모세관물질이 연결되는 모세관 2개는 호안유공블록내에서 대칭이거나 좌우로 2개씩 모세관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공부의 내부에는 외피가 부직포, 한지 등으로 형성되는 식생주머니가 배치되며, 상기 식생주머니를 상기 유공부의 토양에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생주머니의 내부에는 씨앗·토양·*?*비 등의 식물 생장 촉진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T형,
Figure 112020140440414-pat00001
형 및
Figure 112020140440414-pat00002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지지부재 없이 식생주머니를 유공부분에 삽입할 수는 있으나 유실을 예방하고 활착하기 용이한 정확한 위치에 파종하기 위하여 지지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형은 식생주머니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토사유실방지용 부직포의 지표면을 통과하여 고정하는 간단한 형태이며,
Figure 112020140440414-pat00003
형과
Figure 112020140440414-pat00004
형은 상부 가로선 위에는 식생주머니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며, 상부 가로선은 높이변경이 가능하며, 하부 가로선은 토사유실방지용 부직포의 지표면에 고정하는 형태로서 티자형보다는 유공부분의 깊이에 따른 식생주머니의 적절한 위치 선정이 가능한 형태로서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에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는 토양 내부에 항시 위치하여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환경에 있으므로 금속 중에서도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상기 상부유공부(210)에 돌출된 상기 심지재를 통해 수분을 상부의 흙에 보습하여, 식물이 발아할 수 있는 적절한 습도를 상기 식생주머니와 상기 식생주머니 주변의 토양에 공급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수분공급부를 호안유공블록에 형성하여 식생주머니에 공급되는 수분과 습도의 양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으로 호안유공블록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경우 호안유공블록 간 접하는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조를 형성하여 우천 시의 물이 호안유공블록 하부면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의 실시예로써 원기둥 앵커 형태로 제작하여 식생주머니가 경사면에 설치된 호안유공블럭이 유공에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에 식생주머니를 매설하여, 식생주머니에서 발아한 식물이 토양에 단단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탱하는 역할 또한 가능하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를 깔때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고, 하부의 기둥에 복수 개의 구멍을 관통하고 b, c와 같이 심지재를 삽입하여 수분공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깔대기 부분에 식생주머니를 식생하면 씨앗발아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고 발아된 식물의 뿌리가 상기 지지부재의 기둥을 타고 내려가거나 기둥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토양에 뿌리내리게 되어 발아와 활착이 매우 좋아지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10);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120);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 수분공급부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13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14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호안유공블록을 제조한다.
상기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10)에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육기반 조성물을 활용하여 상기 소재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생육기반 조성물은 제올라이트(Zeolite)와 적토, 부엽토, 피트모스, 테라코템, 볏짚,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비료 및 오옥신계 생육촉진제를 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생육기반 조성물의 조성비율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제올라이트와 적토의 비율을 각각 반으로 하여 조제된 토양 40 내지 60중량%, 부엽토 5 내지 10중량%, 피트모스 5 내지 10중량%, 볏집 5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3 내지 8중량%, 비료 5중량%, 오옥신계 생육촉진제 0.02 내지 0.2중량%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재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최신 소재인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등의 폴리머 콘크리트류 소재로 사출성형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 혼합물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5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7.5~25중량%, 플라이 애쉬 20~50중량%, 고로 슬래그 25~50중량%을 혼합하고, 첨가제로써 산화제 2 철, 카본블랙, B. H. T. Ionol 및 과산화벤조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각기 0.1~0.3중량%로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비의 변화와 조성물의 대체를 통해 개량된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또한 상기 소재로 사용함이 가능하다.
상기한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120)에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유공부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유공의 숫자를 결정하여 상기 본체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유공의 측벽에 10mm 내지 30mm 직경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을 형성한다.
상기한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130) 및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140)는 통상의 방법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기한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 심지재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기 심지재를 호안유공블록의 하부면에 배치하고, 상기 심지재의 양 끝단을 상기한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120)에서 형성된 상기 유공의 측벽에 10mm 내지 30mm 직경의 통로에 삽입한 후 에폭시 접착제 등으로 접착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통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00),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유로관에 심지재를 압축하여 내장하는 단계(S200),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심지재가 내장된 유로관을 설치하는 단계(S300), 유로관이 설치된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40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50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600),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서 상기 유로관의 끝단을 일부 절단하여 압축된 상기 심지재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호안유공블록을 제조한다.
상기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생육기반 조성물 및 폴리머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유로관에 심지재를 압축 삽입하는 단계(S200)에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상기 유로관에 상기 심지재를 삽입하고,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통해 상기 심지재를 압축한다. 상기 심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로관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체적을 갖는다. 상기 심지재가 상기 유로관 내에서 압축된 후 상기 유로관의 개방된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유로관을 밀봉할 수 있는 밀봉캡을 씌우거나 상기 유로관과 같은 소재로 융착하여 밀봉한다.
상기한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유로관을 설치하는 단계(S300)에서는 호안유공블록의 유공 측벽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기 유로관을 배치한다.
상기한 유로관이 설치된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40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50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600)는 통상의 방법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기한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서 상기 유로관의 끝단을 일부 절단하여 압축된 상기 심지재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S700)에서는, 밀봉된 상기 유로관을 개봉 또는 절단하여 내부의 압축된 상기 심지재를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00);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200); 상기 타설된 소재에 유로관을 삽입하는 단계(S30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40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500); 상기 유로관 내부에 심지재를 삽입시켜 수분공급부를 형성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앞에서 설명한 수분공급부(400)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유로관을 형성한 호안블록을 제작공장이나 공사현장 등에서 필요에 따라 심지재(420)를 유로관(410)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재의 재질은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 부직포
100: 본체부
120: 호안블록 포설후 유공이 되는 부분
200: 유공부
210: 상부유공부
220: 중간유공부
230: 하부유공부
300: 단차부
400: 수분공급부
410: 유로관
410a: 유로테이프
420: 심지재
500: 식생주머니
600: 지지부재

Claims (13)

  1.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210), 중간유공부(220), 하부유공부(230)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21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230)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면까지 형성되는 수분공급부(400);를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
  2.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부유공부(210), 중간유공부(220), 하부유공부(230)로 구별되고,
    상기 상부유공부(21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유공부(230)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유공부(220)의 직경의 1.5배 내지 3배 직경으로 형성되는 단차부(300);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단차부(300)의 상부까지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분공급부(400);를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수분공급부(400)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심지재(420);를 더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상기 상부유공부(210)로부터 상기 하부유공부(230)까지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한 공간에 삽입되는 유로관(410);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유로관(410)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유공부(210)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심지재(420);를 더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재(420)의 재질은 부직포, 솜,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400)는 하나의 유공부(200)에 1개 이상 4개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유공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호안유공블록의 양 유공의 가장 좁은 단면 가장자리에서 5~50mm 사이에 위치하고, 5~30mm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유공블록.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안유공블록의 유공에 원기둥 앵커 형태의 식생주머니를 매설하여 경사면에 설치된 식생씨앗이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식생주머니에서 발아한 식물이 토양에 단단히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탱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유공블록.
  10.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10);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120);
    타설된 호안유공블록에 수분공급부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13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14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
  11.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00);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유로관에 심지재를 압축시켜 내장하는 단계(S200);
    압축된 심지재가 유로관을 호안유공블록 형상의 거푸집에 설치하는 단계(S300);
    유로관이 설치된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40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50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600);
    분리된 호안유공블록에서 상기 유로관의 끝단을 일부 절단하여 압축된 상기 심지재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
  12.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호안유공블록의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S100);
    거푸집에 상기 소재를 타설하는 단계(S200);
    상기 타설된 소재에 유로관을 삽입하는 단계(S300);
    타설된 상기 소재를 거푸집에서 양생하는 단계(S400);
    양생된 호안유공블록과 거푸집을 분리하는 단계(S500);
    상기 유로관의 내부에 심지재를 삽입시켜 수분공급부를 형성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재의 재질은 부직포, 솜,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
KR1020200182227A 2020-12-23 2020-12-23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KR10225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227A KR102253805B1 (ko) 2020-12-23 2020-12-23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227A KR102253805B1 (ko) 2020-12-23 2020-12-23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805B1 true KR102253805B1 (ko) 2021-05-18

Family

ID=7615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227A KR102253805B1 (ko) 2020-12-23 2020-12-23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8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85B1 (ko) 2002-03-25 2004-09-18 한남수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20050011948A (ko) * 2003-07-24 2005-01-31 이근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65858B1 (ko) * 2006-10-19 2007-01-10 이근희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5-05-18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럭
KR102122967B1 (ko) 2019-09-10 2020-06-15 (주)푸른공간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85B1 (ko) 2002-03-25 2004-09-18 한남수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20050011948A (ko) * 2003-07-24 2005-01-31 이근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65858B1 (ko) * 2006-10-19 2007-01-10 이근희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5-05-18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럭
KR102122967B1 (ko) 2019-09-10 2020-06-15 (주)푸른공간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5068A1 (zh) 一种用于边坡防护的生态土工格栅
CN209185138U (zh) 一种树木移植结构
CN208395838U (zh) 一种现浇生态混凝土护坡结构
WO2020244177A1 (zh) 一种行道树种植穴结构及其施工方法
CN206808178U (zh) 一种蓄水保湿绿化槽以及系统
CN105409725B (zh) 渗水管、植被恢复区节水灌溉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821553B1 (ko)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CN109258184A (zh) 一种高陡岩石绿化装置及方法
CN208379724U (zh) 湿陷性黄土地区的雨水花园
AT507306A1 (de) Einbaustoffe (erddochte) und deren mischung mit bodenmaterialien
CN108738870A (zh) 一种用于种植在结构间隙土中的树池
KR102253805B1 (ko)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JP2003339231A (ja) 植栽基盤構造
CN208472740U (zh) 一种轻质现浇生态混凝土
CN216108913U (zh) 一种缓释雨水的生态多孔纤维棉、花箱及雨水花园
JP2003102278A (ja) 底面灌水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中央分離帯及び底面灌水プランター
JP5187752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重管ユニット
KR102343776B1 (ko)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CN107135711A (zh) 一种植物种植器及其制造方法
KR101280027B1 (ko) 식생기반포대를 사용한 옹벽 녹화공법
CN206791122U (zh) 一种植物种植器
KR200185833Y1 (ko) 법면용 식생블럭
CN109137823A (zh) 生态沟渠护坡结构
KR20010046694A (ko) 녹화 마대를 이용한 숏크리트 시공지의 녹화 공법
CN105191776B (zh) 一种用于沙漠覆植的植生棒及其制作工艺、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