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776B1 -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776B1
KR102343776B1 KR1020210032022A KR20210032022A KR102343776B1 KR 102343776 B1 KR102343776 B1 KR 102343776B1 KR 1020210032022 A KR1020210032022 A KR 1020210032022A KR 20210032022 A KR20210032022 A KR 20210032022A KR 102343776 B1 KR102343776 B1 KR 10234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hole
support member
block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태진
Original Assignee
우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태진 filed Critical 우태진
Priority to KR102021003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는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부, 중단유공부, 하단유공부로 구별되고, 상기 상단유공부의 측벽에 탈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단유공부로부터 상기 상단유공부로 수분을 전달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선형 또는 비선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단유공부의 측벽에 탈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지면까지 이어지며,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Revelation perforated concrete block with water supply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천에 설치되는 호안유공블록의 내부에 수분공급구조를 갖춤으로써 식생하는 식물을 생장시킬 수분을 공급하여 호안의 녹화를 위한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에는 강한 홍수 시에도 제방의 안정화를 위해 시멘트 등으로 제작된 호안유공블록을 설치 시공한다. 이때 콘크리트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호안유공블록을 사용하여 유공 부분에 식물이 식생이 되도록 하여 하천 사면의 녹화를 이루려고 하는 다양한 방법을 찾아 그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종래 기술(등록특허 제10-2122967호)을 보면, 유공블록 개방부 내측 공간 지표면을 덮는 부직포를 천공한 후 식생용 포트를 매립하여 유공블록 내부에 식물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공블록 녹화구조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식생용 포트 및 절개부차단용 부직포 등 녹화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유공상부에 씨앗두께의 5배 이상의 토사에 덮여버리거나 빗물에 씨앗이 유실되기도 하며, 유공부분의 토사는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씨앗이 발아하기 어렵고, 씨앗이 발아하더라도 지표면이 빨리 건조해짐으로서 싹이 쉽게 말라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등록특허 제10-0449585호)을 보면, 식생호안 블록 내부에 토양이 채워진 식생 주머니를 삽입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부직포 등 녹화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본체의 상부 표면에 깬돌 또는 조약돌이 더 삽입되어 구성되고, 식생호안유공블록 구조의 복잡성, 식생 주머니의 크기로 인한 호안의 안정 및 시공이 어렵고, 또한 유공부분의 토사는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씨앗이 발아하기 어려우며, 씨앗이 발아하더라도 호안유공블록의 상부 지표면이 빨리 건조해짐으로서 싹이 쉽게 말라버리거나, 설령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유공에서 발아가 되었다 하여도 발아된 식물이 호안유공블록 바닥의 두꺼운 부직포를 뚫고 땅속에 활착 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공의 하부 단면적이 중부 단면적 보다 같거나 좁은 호안유공블록은 식물의 뿌리가 활착 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낮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호안유공블록의 유공부분에 채워진 토사는 블록이 태양 볕에 쉽게 달궈져 상부측 토사의 수분이 잘 증발 하므로 유공부분 토사는 보습이 매우 어렵게 되어 쉽게 말라버린다.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는 호안유공블록의 유공에서 발한 식물은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고사하는 문제점 즉 호안유공블록의 재질 및 구조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호안유공블록은 유공부분의 토사가 빗물 외에는 수분이 공급되지 않아 씨앗이 발아하기 어렵고, 씨앗이 발아하더라도 지표면이 빨리 건조해짐으로서 싹이 쉽게 말라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씨앗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0449585 B1 (등록일 2004.09.10.) KR 10-1520366 B1 (등록일 2015.05.08.) KR 10-2122967 B1 (등록일 2020.06.0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이 태양볕에 쉽게 달구워져 수분이 증발하더라도 호안유공블록에 탈착 가능한 수분공급구조를 더 포함하여 호안유공블록이 유공하부에서부터 수분을 지속적으로 보충하여 유공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보습을 유지하고 식생식물 씨앗이 잘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호안유공블록의 유공부분의 하부 단면적을 확장하여 식물의 뿌리가 호안유공블록의 하단에 용이하게 활착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호안유공블록의 수분공급구조를 지표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을 이용하여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유공 내부의 하부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식물뿌리가 보다 넓게 활착하도록 함으로써 식생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호안유공블록의 수분공급구조를 지표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는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 중단유공, 하단유공으로 구별되고, 상기 상단유공의 측벽 또는 상부면에 탈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단유공으로부터 상기 상단유공으로 수분을 전달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는, 선형 또는 비선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단유공의 측벽에 탈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지면까지 이어지며,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유공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유공은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의 직경이 일정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유공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최하단은 상기 중단유공의 단면적의 1.5배 내지 3배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식생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상단유공의 측벽 일단 또는 일측으로부터 타단 또는 타측으로 연결되는 선형, 매듭형, U자 고리형, V자 고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유공은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의 너비보다 1배 내지 2배 너비로 함몰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본체부 하부면으로 이어져 상기 본체부의 또 다른 상기 유공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 또는 양 끝단이 첨예한 막대기이며, 첨예한 일단 또는 양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갈라진 일단 또는 양 끝단으로 상기 심지를 부직포에 고정한 뒤 고정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인 유공을 갖는 호안유공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공은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 중단유공, 하단유공으로 구별되는 것을 포함하고, 호안유공블록의 설치장소의 토양을 지표면으로부터 2cm 내지 10cm 제거하거나 또는 뒤엎는 단계, 상부면이 제거되거나 갈아엎어진 토양을 균등하게 다지는 단계, 상기 상단유공의 상부면에 유공의 직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는 선형 또는 비선형인 막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한 심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심지는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심지가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호안유공블록을 균등하게 다져진 토양 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심지가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호안유공블록을 균등하게 다져진 토양 위에 배치하는 단계에 이어서, 고정부재와 상기 심지를 연결하여 상기 심지를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 또는 양 끝단이 첨예한 막대이며, 첨예한 일단 또는 양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단으로 인한 본 발명의 효과로, 호안유공블록이 태양볕에 쉽게 달구워져 수분이 증발하더라도 호안유공블록에 탈착 가능한 수분공급구조를 더 포함하여 지표면에서부터 수분을 지속적으로 보충하여 유공부분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보습을 유지하고 식생식물 씨앗이 잘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안유공블록의 유공부분의 하부 단면적을 확장하여 식물의 뿌리가 호안유공블록의 하단에 용이하게 활착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안유공블록의 수분공급구조를 지표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안유공블록을 이용하여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유공 내부의 하부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식물뿌리가 보다 넓게 활착하도록 함으로써 식생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호안유공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안유공블록의 수분공급구조를 지표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a은 본 발명인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b는 본 발명인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a는 확장된 하단유공인 식생공간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b는 확장된 하단유공인 식생공간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c는 본체부의 하단을 통해 서로 다른 유공부의 심지가 연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a는 매듭형 지지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b는 매듭형 지지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a는 고리형 지지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b는 고리형 지지부재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5a, b, c는 각각 선형, 매듭형, U자 고리형 지지부재를 갖는 본 발명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6a, b, c는 고정부재를 활용하여 심지를 지면에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은 또 다른 본 발명인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설치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210), 중단유공(220), 하단유공(230)으로 구별되고,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에 탈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단유공(230)으로부터 상기 상단유공(210)으로 수분을 전달하는 수분공급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300)는 선형 또는 비선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에 탈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재(310), 상기 지지부재(310)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310)로부터 지면까지 이어지며,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심지(320)를 특징으로 하여 하천의 호안유공블록에서 식생하는 식물이 보다 용이하게 뿌리를 활착하고 생장할 수 있는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음을 일러둔다.
본 발명의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210), 중단유공(220), 하단유공(230)으로 구별되고,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 또는 상부면에 탈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단유공(230)으로부터 상기 상단유공(210)으로 수분을 전달하는 수분공급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300)는 선형 또는 비선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에 탈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재(310), 상기 지지부재(310)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310)로부터 지면까지 이어지며,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심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의 호안유공블록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어 햇볕에 쉽게 달궈져서 수분이 부족하고, 빗물 외에는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유공부분의 씨앗에서 싹틔운 식물이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상적인 변형 방안으로써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상단유공(210)을 변형하여, 우수(雨水)등이 유공블록 상부면에 머무른 상태로 마르지 않고, 유공부(200)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깔때기 구조를 형성한다. 더하여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만한 곡선 형태뿐 아니라 각진 형태로 유도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콘크리트 재질의 호안유공블록은 태양 볕에 쉽게 달궈져 수분이 쉽게 증발해 버리고, 특히 빗물을 유도하는 나팔 부분의 토사는 보습에 매우 취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유공(210)의 상기 지지부재(310)로부터 상기 하단유공(230)까지 연결된 상기 심지(320)에서 흡수되는 수분을 상기 상단유공(210), 상기 중단유공(220), 상기 하단유공(230)에 확산되어있는 식생의 뿌리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하였다. 상기 심지(320)는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심지(320)는 유체가 가느다란 관이나 다공성 물질 등의 좁은 공간을 타고 올라가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하부에 있는 수분을 상부로 이동시키며 호안유공블록의 유공 내부 토양의 보습을 유지해 주게 된다.
상기 본체부(10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 혼합 콘크리트로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시멘트를 재질로 한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0.5㎡ 내지 1.0㎡의 상부면 면적과 150mm 내지 250mm의 높이로 형성된다. 간혹 통상적인 수치를 벗어나 특별한 크기 또는 모양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공부(200)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유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평균적으로 4개 내지 9개의 유공으로 형성된다. 또는 그 이상의 유공의 수는 유속이나 유공의 크기 및 공사현장의 여건에 따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육기반 조성물을 활용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제조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생육기반 조성물은 제올라이트(Zeolite)와 적토, 부엽토, 피트모스, 테라코템, 볏짚,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비료 및 오옥신계 생육촉진제를 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생육기반 조성물의 조성 비율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는 제올라이트와 적토의 비율을 각각 반으로 하여 조제된 토양 40 내지 60중량%, 부엽토 5 내지 10중량%, 피트모스 5 내지 10중량%, 볏집 5중량%, 비닐-아크릴계 접착제 3 내지 8중량%, 비료 5중량%, 오옥신계 생육촉진제 0.02 내지 0.2중량%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 지속적으로 개발되는 최신 소재인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지오폴리머 콘크리트,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등의 폴리머 콘크리트류 소재로 사출성형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머 애쉬 슬래그 콘크리트 혼합물을 고밀도 폴리에틸렌 10~25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7.5~25중량%, 플라이 애쉬 20~50중량%, 고로 슬래그 25~50중량%을 혼합하고, 첨가제로써 산화제 2 철, 카본블랙, B. H. T. Ionol 및 과산화벤조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각기 0.1~0.3중량%로 첨가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비의 변화와 조성물의 대체를 통해 개량된 폴리머-콘크리트 혼합물 또한 본 발명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빗물을 저장하는 부직포층(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층(1)은 3mm 내지 15mm의 두께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을 형성하는 부직포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습성 및 흡수성의 특징을 부각시킨 고흡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흡수성 부직포는 제1주성분으로 폴리 아크릴산 가교물, 제2주성분으로 폴리에스터, 제3중성분으로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주성분 20 내지 30중량%, 상기 제2주성분 20 내지 30중량%, 상기 제3주성분 40 내지 50중량%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호안유공블록은 상기 하단유공(230)의 직경이 상기 중단유공(220)의 직경보다 좁거나 같아 씨앗의 식물뿌리가 활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유공블록의 하단유공(230)을 변형하여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 활착하는 과정에 있어 더 용이한 구조를 형성한다. 도 2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유공(230)은 중단유공(220)보다 넓은 구조인 식생공간(240)을 형성하며, 상기 식생공간(240)은 중단유공(220) 단면적의 1.5배 내지 3배의 단면적으로 하단유공(230)에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식생공간(240)의 높이는 식물의 뿌리가 마르지 않고 또한 식물의 뿌리가 활착하는 과정에 최적의 환경이 되도록 상기 하단유공(230)의 하부면에서 5mm 내지 15mm 높이로 형성하는데 10mm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식생공간(240)의 상부까지 상기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수분공급구를 구성할 수 있다. 수분공급구는 호안유공블록의 상기 유공부(200)의 측벽의 가장 좁은 단면 가장자리에서 약 5~50mm 사이에 위치하고, 직경은 약 5~30mm 내외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다. 수분공급구의 설치 위치, 구멍의 크기, 개수 등은 필요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유공부(200)의 측벽에 위치한 수분공급구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유로관이 삽입되는데, 상기 유로관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인 관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나, 관 형상이 아닌 얇은 비닐로 감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로관은 거푸집에 설치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되면 형성되는 방법으로 설치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에 박아 넣는 방법으로 삽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관은 본체부(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수분공급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으로 돌출되는 수분공급부재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재는 호안유공블록 제조시 거푸집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유로관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재는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0)의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재(310)의 형태를 선형(311) 이외에도 매듭형(312), U자 고리형(313), V자 고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a와 b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310)를 매듭형(312)으로 형성한 호안유공블록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4의 a와 b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310)를 U자 고리형(313)으로 형성한 호안유공블록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 b, c는 각각 상기 지지부재(310)를 선형(311), 매듭형(312), U자 고리형(313)으로 형성한 호안유공블록을 9개 이어붙인 평면도이며, 도 5의 a는 상기 지지부재(310)가 선형(311)인 형태, 도 5의 b는 상기 지지부재(310)가 매듭형(312)인 형태, 도 5의 c는 상기 지지부재(310)가 U자 고리형(313)인 형태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둘레를 함몰 또는 절삭하여,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호안유공블록을 이어붙일 경우 형성되는 공간인 수분유입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유입부(400)는 다각형, 원형을 포함한 2차원 기하학 도형의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빗물 또는 강물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써의 효용이 있다.
또한, 상기 상단유공에 상기 지지부재(310)의 너비보다 1배 내지 2배 넓은 너비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홈(211)을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11)은 상기 지지부재(310)의 형태에 따라 상기 상단유공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10)의 너비보다 1배를 초과한 너비로 형성될 경우 상기 지지부재(31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내부면에 형성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탄성력과 마찰력이 강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또는 양 끝단이 첨예한 막대기이며, 첨예한 일단 또는 양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라진 일단 또는 양 끝단에 상기 심지(320)를 연결하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지(320)와 연결되어 부직포를 뚫고 토양에 고정된 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지(320)와 분리되거나 또는 지속적으로 상기 심지(320)를 토양에 고정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30)의 재질로 금속,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30)가 지속적으로 상기 심지(320)를 고정하는 경우 자연친화소재를 사용하여 시간이 일정 이상 경과한 경우 썩어 없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으로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설치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인 유공을 갖는 호안유공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안유공블록의 설치장소의 토양을 지표면으로부터 2cm 내지 10cm 제거하거나 또는 갈아엎는 단계(S110), 상부면이 제거되거나 갈아엎어진 토양을 균등하게 다지는 단계(S120), 상기 상단유공의 상부면에 유공의 직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130),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한 심지를 연결하는 단계(S140),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심지가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호안유공블록을 균등하게 다져진 토양 위에 배치하는 단계(S1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공은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 중단유공, 하단유공으로 구별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선형 또는 비선형인 막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지는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심지가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호안유공블록을 균등하게 다져진 토양 위에 배치하는 단계(S150)에 이어서, 고정부재와 상기 심지를 연결하여 상기 심지를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 또는 양 끝단이 첨예한 막대이며, 첨예한 일단 또는 양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 부직포층
2: 지표면
100: 본체부
200: 유공부
210: 상단유공
211: 고정홈
220: 중단유공
230: 하단유공
240: 식생공간
300: 수분공급부
310: 지지부재
311: 선형 지지부재
312: 매듭형 지지부재
313: U자 고리형 지지부재
320: 심지
330: 고정부재
400: 수분유입부

Claims (8)

  1.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空洞)인 유공부(200)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에 있어서,
    상기 유공부(200)는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210), 중단유공(220), 하단유공(230)으로 구별되고,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 또는 상부면에 탈부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단유공(230)으로부터 상기 상단유공(210)으로 수분을 전달하는 수분공급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수분공급부(300)는,
    선형 또는 비선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에 탈부착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지지부재(310);
    상기 지지부재(310)에 벨크로와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재(310)로부터 지면까지 이어지며,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심지(3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310)는,
    상기 상단유공(210)의 측벽 일단 또는 일측으로부터 타단 또는 타측으로 연결되는 선형(311), 매듭형(312), U자 고리형(313), V자 고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유공(210)은 상부에 상기 지지부재(310)의 너비보다 1배 내지 2배 너비로 함몰된 1개 내지 복수 개의 고정홈(211);을 포함하며,
    일단 또는 양 끝단이 첨예한 막대기이며, 첨예한 일단 또는 양 끝단이 복수 개로 갈라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330);
    상기 고정부재(330)는 갈라진 일단의 사이에 상기 심지(320)를 끼워 부직포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유공(21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단유공(22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의 직경이 일정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유공(23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증가하여 최하단은 상기 중단유공(220)의 단면적의 1.5배 내지 3배의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식생공간(240);을 더 포함하는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320)는,
    상기 지지부재(310)로부터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으로 이어져 상기 본체부(100)의 또 다른 상기 유공부(200)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재(310)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
  6. 삭제
  7. 납작한 블록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공동인 유공부를 갖는 청구항 1항의 호안유공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공은 높이에 따라 상단유공, 중단유공, 하단유공으로 구별되는 것을 포함하고,
    호안유공블록의 설치장소의 토양을 지표면으로부터 2cm 내지 10cm 제거하거나 또는 뒤엎는 단계(S110);
    상부면이 제거되거나 갈아엎어진 토양을 균등하게 다지는 단계(S120);
    상기 상단유공의 상부면에 유공의 직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130);
    상기 지지부재는 선형 또는 비선형인 막대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 벨크로, 매듭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한 심지를 연결하는 단계(S140);
    상기 심지는 부직포, 한지, 스폰지, 헝겊, 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심지가 연결된 복수 개의 상기 호안유공블록을 균등하게 다져진 토양 위에 배치하는 단계(S150);
    고정부재와 상기 심지를 연결하여 상기 심지를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S160);
    를 포함하는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의 설치방법.
  8. 삭제
KR1020210032022A 2021-03-11 2021-03-11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KR10234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22A KR102343776B1 (ko) 2021-03-11 2021-03-11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022A KR102343776B1 (ko) 2021-03-11 2021-03-11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776B1 true KR102343776B1 (ko) 2021-12-24

Family

ID=7917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022A KR102343776B1 (ko) 2021-03-11 2021-03-11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77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20A (ja) * 1996-09-20 1998-04-14 Maruei Concrete Kogyo Kk 護岸用鋼製矢板に対する植栽ブロックの取付工法
KR20040067336A (ko) * 2003-01-22 2004-07-30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재배블럭
KR100449585B1 (ko) 2002-03-25 2004-09-18 한남수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20050011948A (ko) * 2003-07-24 2005-01-31 이근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026862A (ko) * 2009-09-09 2011-03-16 효창건설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록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5-05-18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럭
KR101713964B1 (ko) * 2015-11-17 2017-03-09 (주)강산이앤씨 사면 녹화용 식생매트 체결 장치
KR102122967B1 (ko) 2019-09-10 2020-06-15 (주)푸른공간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220A (ja) * 1996-09-20 1998-04-14 Maruei Concrete Kogyo Kk 護岸用鋼製矢板に対する植栽ブロックの取付工法
KR100449585B1 (ko) 2002-03-25 2004-09-18 한남수 식생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 공법
KR20040067336A (ko) * 2003-01-22 2004-07-30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재배블럭
KR20050011948A (ko) * 2003-07-24 2005-01-31 이근희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복합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026862A (ko) * 2009-09-09 2011-03-16 효창건설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록
KR101520366B1 (ko) 2013-04-02 2015-05-18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식생 호안블럭
KR101713964B1 (ko) * 2015-11-17 2017-03-09 (주)강산이앤씨 사면 녹화용 식생매트 체결 장치
KR102122967B1 (ko) 2019-09-10 2020-06-15 (주)푸른공간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32B2 (en) Vegetation and support lay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CN208395838U (zh) 一种现浇生态混凝土护坡结构
EA029578B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дерн смешанного типа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21553B1 (ko)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JP2000032840A (ja) 砂地等の緑地化方法と該方法に用いる構造体
CN204539762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麻椰土工格室植生网毯
CN109121845A (zh) 一种利于边坡植物生长的植生毯结构
KR20020002181A (ko) 호안식생매트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2343776B1 (ko) 수분공급구조를 갖는 호안유공블록과 그 설치방법
KR100671719B1 (ko) 녹화 방법 및 녹화를 위한 식재용 포트
JP2003102278A (ja) 底面灌水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中央分離帯及び底面灌水プランター
JP2007002427A (ja) 法面の緑化構造とその施工方法
CN209403114U (zh) 一种利于边坡植物生长的植生毯结构
KR102253805B1 (ko) 호안유공블록과 그 제조방법
JPH11256547A (ja) 湛水池等水位変動域の法面緑化基盤材
JP3321276B2 (ja) 保水パイプ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JPH06197626A (ja) 砂地における緑化基礎工法
JPH0740830B2 (ja) 植栽用保水材
CN109566225A (zh) 一种边坡防护中的树木深植方法
JPH10292379A (ja) 仕切材付き緑化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