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21B1 - 화분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21B1
KR101669621B1 KR1020150049229A KR20150049229A KR101669621B1 KR 101669621 B1 KR101669621 B1 KR 101669621B1 KR 1020150049229 A KR1020150049229 A KR 1020150049229A KR 20150049229 A KR20150049229 A KR 20150049229A KR 101669621 B1 KR101669621 B1 KR 10166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support
water supply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123A (ko
Inventor
이기환
이승아
Original Assignee
이기환
이승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환, 이승아 filed Critical 이기환
Priority to KR102015004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6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Abstract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으로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가 수용되고, 하부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광하협 형상으로,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통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본체 하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상기 식물의 뿌리가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수성 재질의 급수부재와, 상부면으로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지지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 및 급수부재에 간섭되지 않는 크기의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부재의 말단이 잠입되도록 형성되는 물저장부를 포함하여, 화분의 하부에 수용된 물을 이용해 식물의 뿌리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고, 화분 내에 수용된 배양토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하부에 수용된 물을 이용해 식물의 뿌리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고, 화분 내에 수용된 배양토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이 지속적으로 생장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어 가꾸는 그릇을 일컫는 것으로서 실내공간에서 공기청정효과와 인테리어효과를 높일 수 있고, 거주자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이나 학교 등의 공공시설이나 일반 건물의 사무공간에는 관상용으로 꽃이나 작은 크기의 관목류를 키우는 화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분은 재배하고자 하는 화초나 나무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공되는데, 주로 윗부분의 개구된 원형이나 사각형 형상의 화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화분은 내부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분 내부에는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양토가 채워지도록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통상적인 화분에 식물을 심어 키우는 경우 배양토에 함유된 수분이 지속적으로 증발되기 때문에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꽃이나 나무가 식재된 화분에 너무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하는 경우 식물의 뿌리가 썩어 죽게 되고, 제때 물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거나 생육상태가 불량해져 말라 죽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6913호에는 도 1과 같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화분(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화분바닥면부(10)에 형성된 배수공(11)으로 지지체통기공(12)을 갖는 심지지지체(13)가 결합되고, 심지지지체(13)에 지지되어 화분(1) 하부에 결합되어 수분을 저장하는 저수통(14)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화분바닥면부(10)의 상부로 공급하는 심지(15)로 구성된 화분용 급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분용 급수장치는 심지(15)를 통해 흡수된 수분의 대부분을 화분(1) 내의 배양토가 흡수하게 되어 식물의 뿌리로 수분이 공급되기 어렵고, 심지(15)가 식물의 뿌리 부근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수분의 양이 부족하게 되므로, 화분(1) 내로 수분이 공급되기는 하지만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0-1103585호에는 도 2와 같이, 화분바닥면부(20)에 형성된 배수공(21)을 통해 화분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단에 지지체통기공(22)이 형성된 고깔 형태의 심지지지체(23)와, 심지지지체(23) 외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흡수성 재질의 심지(24)와, 심지지지체(23)의 개구된 고깔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25)이 형성된 저수통바닥면부(26)와, 저수통바닥면부(26)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저수통바닥면부(26)의 저면에 돌출되는 유격돌기(27)로 구성되는 화분용 급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심지지지체(23) 및 심지(24)가 식물의 뿌리 하부에 설치되어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에 수분과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 것이나, 이 역시도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수분보다는 화분 내의 수용된 배양토로 흡수되는 양이 많게 되었고, 저수통바닥면부(26)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심지(24)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 및 화분 내의 배양토가 조기에 건조하게 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해 수시로 저수통(28)에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52118호 (2013.05.22.,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공개특허공보 제2013-0106913호 (2013.10.01., 화분용 급수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103585호 (2012.01.09., 화분용 급수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량의 물을 이용해 식물이 흡수하는 물의 양이 증가되도록, 화분에 수용된 식물의 뿌리에 직접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화분 내로 소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그 공급된 수분을 배양토가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배양토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수공에 삽입된 고정부를 통해 화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지지부를 거쳐 배양토에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배양토가 쉽게 건조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화분 내로 지속적으로 공급된 수분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정화 및 가습되도록할 수 있는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으로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가 수용되고, 하부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광하협 형상으로,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부를 통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본체 하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상기 식물의 뿌리가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흡수성 재질의 급수부재와, 상부면으로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지지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 및 급수부재에 간섭되지 않는 크기의 관통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부재의 말단이 잠입되도록 형성되는 물저장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외면과 상기 배양토 사이에는 함수율 높은 구(球) 형상의 투수부재가 다수개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외면에는 상기 투수부재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이 형성된 메쉬부재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하부에는 상호 이격하여 다수 개 결합되며, 상기 본체가 받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본체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다수 개의 배수공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서 서랍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본체 하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보조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식물의 뿌리가 화분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 및 급수부재를 통해 지지되어 직접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량의 물을 이용해 식물이 물을 흡수하여 성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와 물을 흡수하는 급수부재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지부의 내면에 습기가 형성되고, 생성된 습기를 지지부 외면의 배양토가 지속적으로 흡수하여,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안정적인 생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공에 삽입된 고정부를 통해 화분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지지부를 거쳐 배양토에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배양토가 쉽게 건조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을 흡수하는 급수부재 및 지지부 내면에 생성된 습기를 통해 화분 내에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고, 고정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지부를 거쳐 배양토 내에 공급 및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정화되고 적정 습도가 유지되도록 가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외부 공기가 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외부 공기가 지지부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크게 본체(100), 지지부(200), 급수부재(300), 받침부(400) 및 물저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으로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R)가 수용되는 것으로, 하부면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110)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면에는 삽입공(110) 주변으로 상호 이격하여 다수 개가 상·하 관통 형성되는 배수공(120)을 마련하여, 본체(100)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고, 본체(1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 및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광하협 형상인 것으로, 하단부에는 다수의 배수공(120)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하도록 고정부(210)가 형성되고, 고정부(210)의 말단부는 배수공(120) 내에 위치하거나 화분 하부면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10)는 화분 하부면으로 돌출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지지부(200)의 측면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타공홀(220)이 형성되고, 지지부(200)의 외면과 상기 배양토(R) 사이에는 흡수성 및 투수율(透水率)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투수부재(600)가 다수개 개재된다.
여기서, 투수부재(600)는 후술할 지지부 내면에 생성되어 타공홀(220)을 통해 배출되는 습기가 배양토(R)로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배양토(R)보다 큰 공극(孔隙)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투수부재(600)로는 황토볼 또는 하이드로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의 외면에는 배양토(R) 또는 투수부재(600)가 지지부(200)의 외면에 밀착되어 타공홀(220)이 막히지 않도록 미세홀(710)이 형성된 메쉬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미세홀(710)의 크기는 투수부재(600) 보다는 작고 타공홀(710)보다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고정부(210)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 하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보조부재(230)를 마련하여, 지지부(200)가 삽입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보조부재(230)는 고무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급수부재(300)는 부직포 또는 펠트와 같이 흡수성 재질로 마련되어 지지부(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측은 본체(100) 하부로 돌출되어 말단부가 후술할 물저장부(500)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측은 자중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부(20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식물의 뿌리가 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급수부재(30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테이프와 같이 감겨지거나, 내부가 중공된 원통이거나, 다수개의 가닥이 꼬아진 로프와 같이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급수부재(300)가 지지부(2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위치에서 급수부재(300)의 외면에는 식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급수부재(300)가 지지부(200)의 내면측으로 임의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클립(31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급수부재(300)는 상기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측이 지지부(2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급수부재(300)를 후술할 물저장부(500)에서 지지부(200) 내부까지 물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부위와, 지지부(200)의 개구된 상측을 마감하는 하는 부위로 각각 구분하여, 식물의 뿌리가 안착되는 위치에서 상기한 고정클립(310)을 통해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받침부(400)는 본체(100)가 지면에 이격됨에 따라,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급수부재(300)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부분으로는 상기 고정부(210) 및 급수부재(300)에 간섭되지 않는 크기의 관통공(4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테두리 부분의 상부면으로는 본체(100)의 하부면이 지지되며, 테두리 부분의 하부면으로는 말단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받침대(420)가 형성된다.
물저장부(500)는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급수부재(300)의 말단이 잠입되도록 형성되어, 받침부(400)의 하부 또는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받침부(400)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체(100) 하부에는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외부공기가 고정부(210)를 통해 지지부(20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본체(100)가 받침부(400)로부터 이격되고 본체(100)의 하중이 탄성 지지되도록 형성된 완충부재(800)가 상호 이격되어 다수 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발명의 명칭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저장부(500)에 물이 수용되면 급수부재(300)의 하측 말단부가 물을 흡수하여 화분 내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200)는 고정부(210)가 삽입공(110)에 밀착 지지되도록 삽입되고, 고정부(210)의 상·하측 외주면에 각각 삽입되는 결합보조부재(230)를 통해 본체(100)와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 상태이며, 이러한 지지부(200)의 상단면을 급수부재(300)의 상측이 덮고 있고, 그 위로는 식물의 뿌리가 안착된다.
이처럼, 식물의 뿌리는 지지부(200) 및 급수부재(300)를 통해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급수부재(300)를 통해 공급된 수분을 직접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화분 내부에서 급수부재(300)는 외면이 배양토(R) 및 투수부재(600)에 직접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지지부(200)에 의해 이격되어 배양토(R) 및 투수부재(600)에 의해 수분을 빼앗기지 않으므로, 물저장부(500)에서 흡수한 물이 지지부(200)를 덮고 있는 상면까지 전달되어 식물의 뿌리까지 효율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급수부재(300)가 흡수하는 소량의 물만으로도, 충분히 식물이 흡수하여 성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화분 내에는 급수부재(300)가 흡수한 물을 통해 직접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 외에도, 급수부재(300)와 지지부(200)의 이격된 공간에서 지지부(200)의 내면에 생성된 수분을 통한 방법도 있다.
통상 화분 내부의 온도는 외부의 온도보다 높고, 외부의 온도 변화에 비해 변화되는 폭이 적다. 이처럼 외부 온도보다 높은 지지부(200) 내부에 급수부재(300)를 통해 수분이 유입되고, 이와 함께 화분 내부보다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급수부재(300)가 삽입된 고정부(210)의 개구된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지지부(200) 내부에는 응결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지지부(200)의 내면에 습기(濕氣)가 생성된다.
이처럼, 지지부(200) 내면에 생성된 습기 즉, 수분은 다수의 타공홀(220)을 통해 지지부(200) 외면으로 배출되고, 지지부(200) 외면으로 배출된 수분은 흡수성 및 투수율이 우수한 투수부재(600)에 의해 일정량의 수분이 흡수되고 나머지는 배양토(R)로 용이하게 공급되므로, 화분 내부의 배양토(R)가 전체적으로 건조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식물의 안정적인 생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200)의 외면에 메쉬부재(700)가 결합되는 경우, 지지부(200)와 투수부재(600) 사이가 메쉬부재(700)에 의해 이격되고 투수부재(600)에 의해 타공홀(200)이 막히지 않게 되므로, 지지부(200) 내면에서 생성된 습기가 타공홀(220)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며, 유입된 공기가 고정부(210)를 통해 타공홀(220) 및 미세홀(710)을 통해 본체(100)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받침부(400)를 통해 지면에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이격 공간을 통해 급수부재(300)가 본체(100) 하부로 돌출되어 물을 흡수하고, 외부 공기가 지지부(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기가 용이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체(100)와 받침부(400) 사이에 완충부재(800)가 설치되는 경우, 받침부(400) 하부 및 본체(100)와 받침부(400) 사이를 통해 지지부(2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200) 내부로의 공기 유입 및 순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본체(100)와 받침부(40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에 의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물을 흡수하는 급수부재(300) 및 지지부(200) 내면에 생성된 습기를 통해 화분 내에 지속적으로 수분이 공급되고, 고정부(2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지지부(200)를 거쳐 배양토(R) 내에 공급 및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정화되고 적정 습도가 유지되도록 가습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고정부(210)의 하단 직경은 급수부재(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일시에 지지부(200) 내부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만약, 지지부(200) 내부로 다량의 공기가 일시에 유입되는 경우, 지지부(200) 내부가 건조한 상태로 변하게 되어 습기 생성이 어렵게 되고, 이는 투수부재(600) 및 배양토가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의 감소로 이어지고, 결국 배양토(R)가 건조한 상태로 변하게 되어 식물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10)의 직경이 다량의 공기가 일시에 유입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지지부(200) 내면의 직경이 너무 큰 경우에는 지지부(200) 내면에 생성되는 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지지부(200)의 크기는 급수부재(300)가 물을 흡수하는 양과 화분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 및 설치해야만 배양토(R)가 쉽게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PET병으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PET병은 가공이 용이하여 보다 편리하게 화분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만, PET병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지지부(200)의 고정부(210)에 대응되는 PET병의 주둥이 부분의 직경은 급수부재(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나, 일시에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크기의 PET 병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물저장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방법 외에도, 본체(100)의 상측에서 직접 물을 뿌려 본체(100) 내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R)에 일부 흡수되고 나머지는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때 삽입공(110) 주변으로 다수의 배수공(120)이 형성된 경우라면 본체(100) 내부의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본체(100) 하부에 물이 고여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에 이로운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공(120)에서 배출된 물은 관통공(410)을 지나 물저장부(500)에 모이게 되며 이 물을 다시 급수부재(300)가 흡수하여 화분 내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물을 낭비하지 않고서도 식물의 효과적으로 성장하도록 할 수 있고, 물저장부(500)에 수시로 물을 채워주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체(100)에서 배수된 물에 배양토(R)와 같은 이물질이 섞여 혼탁해지더라도 물저장부(500)가 서랍식으로 삽입 또는 인출되므로, 세척 및 관리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체 110 : 삽입공
120 : 배수공 200 : 지지부
210 : 고정부 220 : 타공홀
230 : 결합보조부재 300 : 급수부재
310 : 고정클립 400 : 받침부
410 : 관통공 420 : 받침대
500 : 물저장부 600 : 투수부재
700 : 메쉬부재 710 : 미세홀
800 : 완충부재 R : 배양토

Claims (8)

  1. 상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으로 식물의 뿌리 및 배양토(R)가 수용되고, 하부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삽입공(110)이 형성되는 본체(100);
    내부가 중공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 하부면의 상측 및 하측에서 결합보조부재(230)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고정부(210)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내·외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타공홀(220)이 형성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본체(100) 하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200)의 개구된 상면을 덮어 상기 식물의 뿌리가 안착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00)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위치에서 지지부(200)의 내면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클립(310)이 결합된 흡수성 재질의 급수부재(300);
    상부면으로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이 지지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210) 및 급수부재(300)에 간섭되지 않는 크기의 관통공(4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받침부(400); 및,
    상기 받침부(400)의 하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급수부재(300)의 말단이 잠입되도록 형성되는 물저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외면과 상기 배양토(R) 사이에는 투수율이 높은 투수부재(600)가 다수개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화분용 급수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하부에는 상호 이격하여 다수 개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가 받침부(400)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중이 지지되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의 완충부재(80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외면에는 상기 투수부재(600)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홀(710)이 형성된 메쉬부재(700)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다수 개의 배수공(120)이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KR1020150049229A 2015-04-07 2015-04-07 화분용 급수장치 KR10166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29A KR101669621B1 (ko) 2015-04-07 2015-04-07 화분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229A KR101669621B1 (ko) 2015-04-07 2015-04-07 화분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23A KR20160120123A (ko) 2016-10-17
KR101669621B1 true KR101669621B1 (ko) 2016-10-26

Family

ID=5725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229A KR101669621B1 (ko) 2015-04-07 2015-04-07 화분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KR20220031378A (ko) * 2020-09-04 2022-03-11 이기원 습윤층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18B1 (ko) * 2009-07-13 2012-10-16 이창현 난초용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85B1 (ko)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JP2014508538A (ja) 2011-03-21 2014-04-10 ハ キン、イン 植木鉢用給水装置
KR20130052118A (ko) 2011-11-11 2013-05-22 최원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140143585A (ko) * 2013-06-07 2014-12-17 김인하 난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18B1 (ko) * 2009-07-13 2012-10-16 이창현 난초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123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US4173098A (en) Planter
KR201301069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US4236351A (en) Planter with tubular air hole member
US8347552B1 (en) Potted plant pot and saucer construction
CN108064597B (zh) 植物生长优化的种植系统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KR20180078992A (ko) 식물재배용 화분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20100129974A (ko)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KR101851158B1 (ko)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JP2008206509A (ja) 植物観賞セット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200434750Y1 (ko) 화분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46644Y1 (ko) 화분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KR102222532B1 (ko) 심지를 이용한 관상용 수경식물 재배 키트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