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235B1 - 화분유닛 - Google Patents

화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235B1
KR102153235B1 KR1020190120016A KR20190120016A KR102153235B1 KR 102153235 B1 KR102153235 B1 KR 102153235B1 KR 1020190120016 A KR1020190120016 A KR 1020190120016A KR 20190120016 A KR20190120016 A KR 20190120016A KR 102153235 B1 KR102153235 B1 KR 10215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core
bottom plate
water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옥 filed Critical 배문옥
Priority to KR102019012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35B1/ko
Priority to PCT/KR2020/012748 priority patent/WO20210607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이 생육하는 화분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되,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의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바닥판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화분유닛은 식물 뿌리에 해를 가하지 않고 손쉽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하며, 판형심지관을 사용하여 토양 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유닛{Flowerpot unit}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던함과 더불어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실내에는 크고 작은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배치하고 있다. 단순한 건물의 느낌을 벗어나 다양한 식물이 실내에 공존함으로써, 인간은 안락함과 자연의 심미감을 모두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훼농장에서 재배된 식물은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화분에 식재되어 판매된다. 소비자는 통상 플라스틱 화분에 담긴 식물을 외관이 수려한 세라믹 화분에 분갈이하여 건물 내에 배치한다. 다만 이러한 분갈이는 일반 수요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고, 분갈이 과정에서 모종삽을 사용하여 식물의 뿌리 등에 해를 가할 수 있다.
분갈이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이 수려한 세라믹 화분(Z) 내부에 화훼농장에서 구매한 플라스틱 화분(T)을 그대로 넣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라스틱 화분(T)은 세라믹 화분(Z)과 크기가 비슷하지 않아 외부에서 화분을 바라보았을 때,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 화분(T)이 눈에 띄어 조잡할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 자체가 불가능하다.
여기서, 저면관수라 함은 화분의 하부에 물의 공급원이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화분 내의 토양에 물이 공급되는 방식을 가리킨다. 통상 물을 화분의 토양 상부에 뿌리는 표면관수 방법이 일반적인데, 표면관수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어 최근 저면관수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저면관수는 토양속에 물이 부족할 경우 하부에 배치된 저수부의 물이 심지를 타고 토양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생태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 물이 자연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반면에 표면관수는 토양의 표면에 일정한 기준 없이 물을 붓기 때문에 물을 과하게 공급하면 토양 영양분의 유실이나 뿌리가 과도하게 자라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관수는 주기적으로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과도한 물의 공급 시에는 토양 표면이 습하여 곰팡이나 벌레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를 제시한 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는 분갈이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예컨대, 화훼농장에서 제조된 플라스틱 화분을 내장화분으로 하고, 내장화분을 수납하는 외장화분을 두며, 외부에서 내장화분이 보이지 않도록 외장화분의 상단 테두리가 내측으로 연장된 가림판을 둔다. 아울러,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내장화분과 외장화분의 사이에 저수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가림판을 두어 내장화분이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기 위해서는 내장화분과 외장화분의 사이즈가 어느 정도 비슷해야만 한다. 아쉽게도 화훼농장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크기는 다양하므로 언제나 화훼농장에서 공급하는 내장화분의 크기가 외장화분의 크기와 비슷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는 저면관수를 위해 심지가 내장된 환형 심지관을 사용하나, 토양 전체에 물이 고르게 공급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환형 심지관을 매설해야 한다. 그러나 화분에 환형 심지관이 많이 매설될수록, 식물의 뿌리 생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화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식물의 뿌리에 해를 가하지 않으면서 손쉽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한 화분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면관수가 가능하되 화분의 토양 전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은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되,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의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바닥판의 테두리가 걸림턱에 안착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화분유닛은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바닥판의 하부에는 물이 채워진 저수부 및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을 통과하여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저수부의 물을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판형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형심지는 줄자 형태를 가지고, 일단부는 저수부에 채워진 물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토양과 접촉할 수 있다.
화분유닛은 판형심지의 외면을 덮어 바닥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심지가 세워지도록 가이드하는 판형심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형심지관의 일 말단에는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후, 바닥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판형심지관은 복수이고, 상기 몸체 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작은 일면이 중심선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판형심지관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화분유닛은 몸체를 수납하는 외장화분 및 외장화분의 바닥면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저수부를 형성하고, 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내측과 외측으로 물이 흐를 수 있는 제1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분유닛은 상기 몸체의 걸림턱과 마주하여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몸체의 일 단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는 받침대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수부를 형성하고,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복수의 블록이고, 복수의 블록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2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식물 뿌리에 해를 가하지 않고 손쉽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판형심지관을 사용하여 토양 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화분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분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3a)이고, 3a의 A-A'를 절단한 단면도(3b)이며, 3b의 단면 하부를 확대한 확대도(3c)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사용하여 분갈이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분유닛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를 표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판형심지(7b), 판형심지관(7a)를 확대한 확대도 및 판형심지가 판형심지관 내부에 결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c)이다.
도 8은 판형심지관이 바닥판과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몸체, 거치대 및 외장화분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외장화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거치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거치대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쌓아지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배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분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3a)이고, 3a의 A-A'를 절단한 단면도(3b)이며, 3b의 단면 하부를 확대한 확대도(3c)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몸체(110) 및 바닥판(120)을 포함한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되고, 화분유닛(100)의 골격을 이룬다. 이하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몸체(110)를 속이 빈 원통형으로 예시하였으나, 속이 빈 형태의 육면체, 사각뿔대,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0)는 세라믹, 합성수지, 금속 및 이들의 적어도 1 이상의 혼합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110)는 속이 빈 형태를 가져 상부 개구부(111)와 하부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바닥판(120)의 테두리와 마주하여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113)을 포함한다. 즉, 하부 개구부(112)의 말단에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3)은 몸체의 일 단부로부터 몸체의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판(120)은 몸체의 상부 개구부(111)를 통과하여 몸체의 내부를 지나 걸림턱(113)에 안착됨으로써, 하부 개구부(112)를 폐쇄한다. 몸체가 원통형일 경우, 예컨대 바닥판(120)이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바닥판의 지름은 상부 개구부 및 몸체 내부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바닥판의 지름은 하부 개구부(112)의 지름보다 커야 한다. 즉, 바닥판(120)은 몸체의 걸림턱(113)에 안착된 이상, 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더 이상 후퇴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닥판(120)의 상부에 토양이 채워지더라도 바닥판(120)은 걸림턱(113)에 걸려 몸체(110)의 하부로 후퇴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닥판(120)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바닥판(12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바닥판(120)은 걸림턱(113)에 안착된 위치로부터 상부 개구부(11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사용하여 분갈이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유닛은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을 수납하고 있다. 화분유닛(100)을 지면에 고정된 원기둥(L)의 상면에 놓는다. 원기둥은 받침목 등 단단한 물체를 가리킨다. 이때 원기둥의 지름은 바닥판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여 원기둥의 상면이 걸림턱에 걸리지 않고 바다판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화분유닛(100)의 몸체(110)를 사용자가 잡고 지면방향으로 힘을 주어 내리면, 몸체(110)와 바닥판(120)이 분리되면서 바닥판(120)의 상면에는 토양과 식물만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분유닛은 별도의 모종삽을 식물의 뿌리에 손대지 않고도 간편하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분유닛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갈이가 용이하기 위해서는 하구 개구부의 직경과 바닥판의 직경의 비가 1:1.1~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구 개구부(112)의 직경이 바닥판(120)의 직경보다 작아야 하는데, 바닥판(120)의 직경이 하부 개구부(112)의 직경보다 1.4배를 초과하는 경우 토양과 식물의 토출을 위해 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분갈이가 용이하지 않고, 토양과 식물이 토출된다 하더라도 토양과 식물이 원기둥(L) 위에서 중심을 잃고 쓰러지기 쉽다. 한편, 바닥판(120)의 직경이 하부 개구부(112)의 직경보다 1.1배 미만인 경우 바닥판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토양과 식물의 무게를 견디어 이를 지지하기 어렵다.
바닥판(120)이 걸림턱(113)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120)과 걸림턱(113)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3)은 상부 개구부(11)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4)를 포함하고, 바닥판(120)의 하면에는 돌출부(114)를 수납할 수 있는 홈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분유닛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를 표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몸체(110), 바닥판(120), 저수부(130), 판형심지(140), 판형심지관(150), 외장화분(160) 및 거치대(170)를 포함한다.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몸체(110) 및 바닥판(12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분유닛(100)은 몸체(110)의 바닥판(120) 하부에 물이 저장된 저수부(130)가 형성되고, 판형심지(140)를 통해 식물의 생태에 맞게 토양에 물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저면관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저수부(130)는 외장화분(160)의 바닥면과 몸체(110) 사이에 거치대(170)가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빈 공간을 가리키며, 저수부(130)에는 물이 채워진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판형심지(7b), 판형심지관(7a)를 확대한 확대도 및 판형심지가 판형심지관 내부에 결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c)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형심지(140)는 바닥판(120)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통과하여 바닥판(1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저수부(130)의 물을 몸체(110)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판형심지(140)는 줄자 형태로 길고, 모세관 현상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면사, 부직포와 같은 합성섬유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면사 또는 합성섬유들은 토양에 인입될 때 경도가 낮아 쉽게 휘어져 토양 상부 또는 토양 내부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도가 높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소재한 판형심지관(150)을 포함하고, 판형심지관(150)은 판형심지(140)의 외면을 덮어 바닥판(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판형심지(140)가 세워지도록 가이드 한다. 판형심지관(150)을 통해 판형심지(140)에 흡수된 물은 토양의 상면까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판형심지는 원형 형태의 환형 심지보다 물 또는 토양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환형 심지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판형심지는 환형 심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를 사용하더라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물을 토양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판형심지(140)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토양 전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판형심지관(150)이 토양 내에 배치되는 위치가 중요하다. 도 8은 도 판형심지관이 바닥판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형심지관은 토양과의 접촉하는 상대적인 면적의 크기에 따라, 표면적이 큰 면(151)과 표면적이 작은 면(152)을 포함하고, 판형심지에 흡수된 물이 토양에 흐를 수 있도록 물이 이동하는 복수의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판형심지관이 배치될 경우 도 8과 같이 몸체 내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작은 일면(152)이 중심선(C)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인 큰 면(151)이 중심선(C)과 마주하는 경우, 방사상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오히려 방해하여 균일하게 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없다. 동일 개수의 판형심지관들을 배치한다는 전제하에,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인 작은 일면(152)이 중심선(C)과 마주한 경우,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큰 면(151)이 중심선(C)을 마주하는 경우보다 1.2~1.5배 더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고, 더욱이 대형 화분의 경우 판형심지관의 개수를 늘려야 하는데 상기 설명한 판형심지관의 배치 관계가 토양 내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판형심지관은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복수의 판형심지관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야 토양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판형심지관(150)은 바닥판(120)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판형심지관의 일단부에는 바닥판(120)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통과한 후 바닥판의 하면에 걸리는 고정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 참고). 몸체(110) 내에 토양이 점차 채워질 경우 판형심지관(150)은 토양에 밀려 배치가 틀어질 수 있는데, 고정부재(154)는 판형심지관(150)과 바닥판(12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판형심지관(150)은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몸체(110)의 길이가 식물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판형심지관(150)의 길이도 가변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하나의 판형심지관 일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형심지관의 타단부는 상기 단차에 끼워지도록 하여, 복수의 판형심지관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몸체(110), 거치대(170) 및 외장화분(160)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외장화분(160)의 바닥면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거치대(170)가 수납되고, 거치대(170)의 상단부는 몸체(110)의 걸림턱(113) 하면에 형성된 홈(115)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화분(160)과 몸체(110)의 사이에 거치대(170)가 배치됨으로써, 저수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화분(160)은 저수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161) 및 저수부에 물을 빼내기 위한 배수구(16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62)는 별도의 마개(163)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유입구(161)를 통해 공급된 물은 외장화분(160)의 내부로 흐르고, 저수부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거치대(170)에 유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70)는 아치형의 제1 유로(1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171)는 거치대(170)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치대(170)는 복수개로 외장화분(160)의 내부에 배치되어 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화분유닛이 배치되는 장소에 특성에 따라 몸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각적으로 식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 더욱 안정감과 자연스러움을 줄 수 있다. 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거치대의 결합을 설명하면, 예컨대 도 12와 같이 거치대(170)의 상단에 또 다른 거치대를 쌓아 올릴 수 있다. 쌓아 올린 거치대의 위치 고정을 위해, 거치대의 하단부에 홈(Y)이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홈에는 또 다른 거치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은 제2 실시예와 다르게 외장화분을 사용하지 않고, 저수부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저면관수가 가능한 다른 실시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은 몸체, 바닥판, 판형심지, 판형심지관 및 받침대을 포함한다. 앞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몸체(110), 바닥판(120), 판형심지(140) 및 판형심지관(150)은 제3 실시예에 다른 화분유닛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받침대(180)는 몸체의 일 단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80)의 개구부에는 몸체의 바닥면, 즉 걸림턱과 접촉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182)을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8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함으로써,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130)와 제2 유로(18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사용자가 받침대(180)와 몸체 사이의 공간(X)을 통해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물이 부족할 경우, 사용자는 공간(X)에 물을 주입하여 저수부(130)에 물을 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분유닛
110: 몸체 111: 상부 개구부
112: 하부 개구부 113: 걸림턱
114: 돌출부
120: 바닥판 121: 홈부
130: 저수부
140: 판형심지
150: 판형심지관 151: 표면적이 큰 면
152: 표면적이 작은 면 153: 홀
154: 고정부재
160: 외장화분 161: 유입구
162: 배수구 163: 마개
170: 거치대
180: 받침대 181: 제2 유로
182: 지지부
C: 중심선

Claims (12)

  1. 상부 개구부, 하부 개구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상기 몸체에 수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한 테두리가 하부 개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
    상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일 단부를 수납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몸체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블록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저수부의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판형심지; 및
    상기 판형심지의 외면을 덮는 판형심지관을 포함하는 화분 유닛이되,
    상기 바닥판은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판형심지관은 관통홀을 통과하여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되,
    상기 몸체의 걸림턱에는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판형심지관은 토양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큰 면과 표면적이 작은 면을 가진 줄자(Tape line) 형태를 가지고,
    토양 내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고 식물의 뿌리 생장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상기 판형심지관은 상기 몸체 내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작은 일면이 중심선(C)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판형심지관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이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홀은 판형심지관 중 표면적이 큰 면에 형성되고,
    상기 판형심지관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후, 바닥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판형심지관의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복수의 판형심지관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판형심지의 일단부는 저수부의 물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토양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속이 빈 원통형이고, 상기 바닥판은 원형이며,
    상기 하부 개구부의 직경과 바닥판의 직경의 비가 1:1.1~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상기 몸체는 이격되어 마주하는 공간(X)이 존재하여, 받침대에 저장된 수위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20016A 2019-09-27 2019-09-27 화분유닛 KR102153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16A KR102153235B1 (ko) 2019-09-27 2019-09-27 화분유닛
PCT/KR2020/012748 WO2021060793A1 (ko) 2019-09-27 2020-09-22 화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16A KR102153235B1 (ko) 2019-09-27 2019-09-27 화분유닛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35A Division KR102252397B1 (ko) 2020-08-31 2020-08-31 화분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235B1 true KR102153235B1 (ko) 2020-09-07

Family

ID=7247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016A KR102153235B1 (ko) 2019-09-27 2019-09-27 화분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3235B1 (ko)
WO (1) WO20210607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793A1 (ko) * 2019-09-27 2021-04-01 배문옥 화분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2470B (zh) * 2023-01-06 2023-04-18 彭州市天彭牡丹保育发展中心 一种利于疏水透气的牡丹花培育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76U (ko) * 1994-04-15 1995-11-17 이승웅 화분
KR200203358Y1 (ko) * 2000-06-05 2000-11-15 조규연 화분
KR101103585B1 (ko) *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041851A (ko) * 2017-10-13 2019-04-23 배문옥 화분 받침대
KR20190087242A (ko) 2018-01-16 2019-07-24 배문옥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209B1 (ko) * 2014-11-21 2016-11-30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KR101669621B1 (ko) * 2015-04-07 2016-10-26 이기환 화분용 급수장치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76U (ko) * 1994-04-15 1995-11-17 이승웅 화분
KR200203358Y1 (ko) * 2000-06-05 2000-11-15 조규연 화분
KR101103585B1 (ko) *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041851A (ko) * 2017-10-13 2019-04-23 배문옥 화분 받침대
KR20190087242A (ko) 2018-01-16 2019-07-24 배문옥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793A1 (ko) * 2019-09-27 2021-04-01 배문옥 화분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793A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US7426802B2 (en) Seed germination and paint supporting utility
KR102153235B1 (ko) 화분유닛
KR20140006434U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CN208159425U (zh) 能够对内置花盆进行表面灌溉及地下灌溉的花盆
KR102252397B1 (ko) 화분유닛
CN208640227U (zh) 花盆支撑台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US20060016126A1 (en) Peripheral planting system
KR100788273B1 (ko)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KR100931889B1 (ko) 물주는 시기를 알 수 있게 하는 화분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1195578B1 (ko)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101851158B1 (ko)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KR200454293Y1 (ko) 화분 물공급구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TWI572276B (zh) Planting pots
KR102645809B1 (ko)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KR200411877Y1 (ko) 다목적 분리식 화분
KR200493686Y1 (ko) 화분 키트
JP2001161165A (ja) 組み立て式の立体花壇
JP2003102264A (ja) 植物栽培方法および植物栽培具
KR20220001282U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