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0793A1 - 화분유닛 - Google Patents

화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0793A1
WO2021060793A1 PCT/KR2020/012748 KR2020012748W WO2021060793A1 WO 2021060793 A1 WO2021060793 A1 WO 2021060793A1 KR 2020012748 W KR2020012748 W KR 2020012748W WO 2021060793 A1 WO2021060793 A1 WO 20210607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plate
water
soil
shap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27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옥 filed Critical 배문옥
Publication of WO20210607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07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unit for growing plants.
  • plants cultivated in flower farms are planted and sold in plastic pots at an inexpensive price. Consumers usually place plants in plastic pots into ceramic pots with beautiful exteriors and place them in buildings. However, such replanting is very cumbersome for general consumers, and in the replanting process, a seedling shovel can be used to harm the roots of plants.
  • a plastic flower pot (T) purchased from a flower farm is often used as it is inside the ceramic flower pot (Z) having a beautiful appearance as shown in FIG. 1.
  • the plastic flower pot (T) is not similar in size to the ceramic flower pot (Z), so when looking at the flower pot from the outside, the plastic flower pot (T) placed inside is conspicuous and crude, and it is impossible to water the bottom surface itself. .
  • bottom irrigation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water supply source is disposed under the flower pot,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in the flower pot by a capillary phenomenon.
  • a surface irrigation method in which water is sprinkled on the top of the soil of a pot is common, but the surface irrig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and the bottom irrigation method is in the spotlight recently.
  •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9-0087242 uses plastic flower pots manufactured in flower farms as interior flower pots, and external flower pots for storing interior flower pots, so that interior flower pots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 a blanking plate with the upper edge of the external flower pot extending inward is placed.
  • a water reservoir is included between the interior flower pot and the exterior flower pot to enable bottom irrigation.
  • the size of the internal flower pot and the external flower pot must be somewhat similar.
  • the sizes of plants grown in flower farms vary, so the size of the internal flower pots supplied by the flower farm cannot always be similar to the size of the external flower pots.
  •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87242 uses an annular core tube with a built-in wick for bottom irrigation, but numerous annular core pipes must be buried in order to evenly supply water to the entire soil.
  • the more the annular core is buried in the flower pot the more disturbing the root growth of the plant may occur.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concept of potted plant capable of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87242, a potted plan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interior po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en unit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nted without harming the roots of plant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er unit capable of uniformly supplying water to the entire soil of the planter, although bottom surface irrigation is possible.
  • the potted plan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and a bottom plate pass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and closing the lower opening so that the soil in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are extended can be accommodated;
  • a potted plant unit comprising a, a locking jaw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in which the lower opening is formed, and an edge of the bottom plate is seated on the locking jaw.
  • the planter unit includes a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 lower opening, and a locking protrusion, and an edge pass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so that the soil extending from the root of the plant is accommodated in the body.
  • a bottom plate seated on the locking jaw to close the lower opening, an external flower pot for accommodating the body, a holder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and the body to form a water reservoir for storing water and supporting the body, the And a plate-shaped wick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to the soil stored in the body, and a plate-shaped wick pipe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wick.
  • the planter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upper opening, a lower opening, and a locking protrusion, and an edge passing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so that the soil extending from the root of the plant is accommodated in the body.
  •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cking protrus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opening is formed, and a groove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and the plate-shaped wick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water from the reservoir may be supplied to the soil contained in the body.
  • the plate-shaped wick has a tape line shape, and one end may contact water filled in the reservoir, and the other end may contact soil.
  • the plate-shaped core tube may include a fixing member for fixing a position by contacting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ttom plate.
  • the plate-shaped core tube is plural, and is disposed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line (C) in the body, and one surface of the plate-shaped core tube having a small surface are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enter line (C).
  • the plate-shaped core tube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water mov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 the cradle may have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can mutually flow inside and out.
  • the polle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replanted without harming the plant roots.
  • the plan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water uniformly into the soil using a plate-shaped core tube, and a plate-shaped core tube with a built-in plate-shaped core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but by adjusting the number of plate-shaped core pipes, Water supply and ventil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vegetation.
  • the bottom plate is separated from the body, even after planting the plants, the bottom plat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number of combined plate-shaped core pipes can be adjusted.
  • FIG. 1 is a view showing a flower pot unit of the prior ar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3a as viewed from the top of the flowerpot unit shown in FIG. 2, a cross-sectional view 3b taken along line A-A′ of 3a, and an enlarged view 3c in which the lower cross-section of 3b is enlarged.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exemplarily a pulverization process using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when the potted plant unit shown in FIG. 5 is coupled.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late-shaped wick 7b and the plate-shaped wick tube 7a shown in FIG. 5, and a diagram 7c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he plate-shaped wick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late-shaped wick tube.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plate-shaped core tube is connected to a bottom plate.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arrangement of the body, the holder, and the external flower pot shown in FIG. 5.
  •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ior flower pot shown in FIG. 5.
  •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shown in FIG. 5.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radles shown in FIG. 5 are configured and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13.
  • FIG. 1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13.
  • plate-shaped core tube 151 surface with a large surface area
  • the term “at least one”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is 2 of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and the third item, as well as the first item, the second item, or the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formed, combined, or arranged" in another component
  • a component and another component are separately prepared, formed, combined, or installed, as well as a component and I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ne in which other components are one body.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3a) viewed from the top of the flower pot unit shown in FIG. 2,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3a (3b) ), and is an enlarged view (3c)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of 3b is enlarged.
  • the flower pot unit 100 includes a body 110 and a bottom plate 120.
  • the soil in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extends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10 and forms the skeleton of the potted plant unit 100.
  • the body 110 is illustrated as a hollow cylinder, bu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hollow cube, a square truncated cone, and a triangular pillar.
  • the body 110 may be made of ceramic, synthetic resin, metal, and at least one or more mixed materials thereof.
  • the body 110 has a hollow shape and an upper opening 111 and a lower opening 112 are formed.
  • One end of the body 110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13 that can be seated facing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20. 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lower opening 112, and as shown in FIG. 3C, the locking protrusion 11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body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
  • the bottom plate 120 passes through the upper opening 111 of the body,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body, and is seated on the locking projection 113, thereby closing the lower opening 112.
  • the bottom plate 120 may have a disk shape, and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should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opening and the inside of the body.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should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opening 112. That is, the bottom plate 120 does not retreat any mor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dy 110 as long as it is seated on the locking protrusion 113 of the body.
  • the bottom plate 120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113 and does not retrea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 the bottom plate 12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opening 111 from a position seated on the locking protrusion 113. .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exemplarily a pulverization process using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tted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soil to which the roots of the plant is extended.
  • the planter unit 1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L fixed to the ground.
  • the cylinder refers to a hard object such as a support neck.
  •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does not get caught in the locking jaw and can only be in contact with the sea plate.
  • the potted pla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nd quickly cultivated without touching a separate seedling shovel to the root of the plant.
  • the potted pla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1:1.1 to 1.4 in the ratio of the diameter of the mouth opening and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in order to facilitate pulverization. That is, the diameter of the estuary opening 112 should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120, but when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120 exceeds 1.4 times the diameter of the lower opening 112, for the discharge of soil and plants It is not easy to cultivate because the force is not transmitted well, and even if the soil and plants are discharged, the soil and plants are liable to lose their center on the cylinder (L) and f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meter of the bottom plate 120 is less than 1.1 times the diameter of the lower opening 112, there may b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bottom plate, but it is difficult to withstand the weight of soil and plants to support it.
  • the bottom plate 120 and the locking projection 113 may be coupled.
  • the locking protrusion 113 includes a protrusion 114 protru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opening 11 is formed, and a protrusion 11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0.
  • a groove portion 121 that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ior when the flower pot unit shown in FIG. 5 is coupled.
  • the planter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bottom plate 120, a water reservoir 130, a plate type core 140, a plate type core tube 150, and an external flower pot 160. And a cradle 170. Since the body 110 and the bottom plate 120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planter unit 100 has a water storage unit 130 in which water is stored under the bottom plate 120 of the body 110, and supplies water to the soil according to the ecology of the plant through the plate-shaped wick 140. That is, the flowerpot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rrigation of the bottom.
  • the water storage unit 130 refers to an empty space formed by arranging the cradle 170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160 and the body 1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130 is filled with water. .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late-shaped wick (FIG. 7b), a plate-shaped wick tube (FIG. 7a) shown in FIG. 5, and a diagram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he plate-shaped wick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late-shaped wick (FIG. 7C). 5 and 7, the plate-shaped wick 140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122 formed in the bottom plate 120 and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20, so that the water storage unit 130 ) Of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stored in the body 110.
  • the plate-shaped wick 140 is long in the form of a tape measure, and may be selected from synthetic fibers such as cotton yarn and non-woven fabric, and a mixture thereof so as to efficiently induce a capillary phenomenon.
  • synthetic fibers such as cotton yarn and non-woven fabric
  • a mixture thereof so as to efficiently induce a capillary phenomenon.
  • these cotton yarns or synthetic fibers are introduced into the soil, their hardness is low and they are easily bent and cannot be uniformly disposed on the top of the soil or inside the soil.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shaped core pipe 150 made of a metal or plastic synthetic resin having high hardness, and the plate-shaped core pipe 150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shaped core 140 and the bottom plate 120
  • the plate-shaped wick 140 is guided so that it is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ter absorbed into the plate-shaped core 140 through the plate-shaped core tube 150 can be evenly transfer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il by a capillary phenomenon. Since the flat wick has a larger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water or soil than the circular wick, it can supply water to the soil more efficiently than the case of using the circular wick. Therefore, even i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plate-shaped wicks are used than annular wicks, equal or more water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soil.
  • the plate-shaped core 140 has a large surface area, the position where the plate-shaped core tube 150 is disposed in the soil is important in order to uniformly supply water to the entire soil.
  •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he plate-shaped core tube is disposed by being coupled to the bottom plate.
  • the plate-shaped core pipe includes a surface having a large surface area 151 and a surface having a small surface area 152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lative area in contact with the soil, and absorbed by the plate-shaped core.
  • a plurality of holes 153 through which water moves may be formed so that water can flow into the soil.
  •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re pipes When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re pipes are arranged, it is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in the body as shown in FIG. 8, but it is preferable that one surface 152 of the plate-shaped core pipe with a small surface area faces the center line (C). Do. When the large surface area 151 of the plate-shaped core tube faces the center line C, it rather interferes with the flow of water flowing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water cannot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soil. Under the premise of arranging the same number of plate-shaped core tubes, when a small surface area 152 of the plate-shaped core tube faces the center line (C), the side surface 151 with a large surface area of the plate-shaped core tube faces the center line (C).
  • the plate-shaped core pipes are arrang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but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re pipes must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uniformly supply water to the soil.
  • the plate-shaped core tube 150 is a fixing member that is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22 formed in the bottom plate 120 at one end of the plate-shaped core tube in order to reinforce the coupling of the bottom plate 120 It may further include (154) (see Fig. 7).
  • the plate-shaped core pipe 150 may be pushed against the soil and displaced, and the fixing member 154 makes the combination of the plate-shaped core pipe 150 and the bottom plate 120 more solid. This can be prevented.
  • the bottom plate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nd by separating or additionally combining the plate-shaped core tube coupled to the separated bottom plat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nd the air permeability can be adjusted.
  • the bottom plate may be separated and the plate-shaped core tube may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as described in FIG. 4.
  • the through-hole of the bottom plate is exposed, and the through-hole supplies external air to the soil to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oil, thereby improving water dryness.
  • the bottom plate is separated, and a plate-shaped core tube with a plate-shaped core embedd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bottom plate is installed. In addition, it can be combined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 the plurality of plate-shaped core tubes 150 may be coupled by fit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the length of the body 11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the length of the plate-shaped core tube 150 should also be variable. To this end, for example, a step is formed at one end of one plate-shaped core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other plate-shaped core pipe is fitted into the step, so that a plurality of plate-shaped core pipe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arrangement of the body 110, the cradle 170, and the external flower pot 160 shown in FIG. 5.
  • a hollow cylindrical cradle 170 is accommod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flower pot 160, and the upper end of the cradle 170 is a groove 115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cking protrusion 113 of the body 110. ). Accordingly, by arranging the cradle 170 between the external flower pot 160 and the body 110, the water reservoir 130 may be formed.
  • the external flower pot 160 may have an inlet 161 for supplying water to the reservoir and a drain 162 for draining water to the reservoir.
  • the drain hole 162 may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separate stopper 163.
  • the inlet 161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external flower pot 160. 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external flower pot passes through the reservoir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of the bottom plate, thereby improving the water dryness of the soil.
  •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inlet 161 flows into the external flower pot 160, and a flow path is required in the cradle 170 to move to the reservoir.
  • the cradle 170 may have an arcuate first flow path 171.
  • a plurality of first flow paths 171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radle 170.
  • a plurality of holders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flower pot 16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dy 110.
  • another cradle may be stacked on the top of the cradle 170 as shown in FIG. 12.
  • a groove (Y)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radle, and the upper end of another cradle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o be fitted.
  • FIG. 13 is a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13
  • FIG. 1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n external flower pot, and includes a pedestal having a water reservoir, and is another embodiment capable of irrigation of the bottom.
  • the flower po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bottom plate, a plate-shaped core, a plate-shaped core tube, and a pedestal.
  • the body 110, the bottom plate 120, the plate-shaped core 140, and the plate-shaped core tube 150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as other flower pot units in the third embodiment, so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is will be omitted. .
  • the pedestal 180 may have an opening formed to accommodate one end of the body.
  • the opening of the pedestal 180 includes a support portion 182 for supporting the body b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that is, the locking jaw.
  • the support part 182 is formed of a plurality of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water storage part 130 and a second flow path 181 for storing water.
  • the user can check the water level through the space X between the pedestal 180 and the body.
  • the user may fill the reservoir 130 with water by injecting water into the space X.

Abstract

식물이 생육하는 화분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되,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의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바닥판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화분유닛은 식물 뿌리에 해를 가하지 않고 손쉽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하며, 판형심지관을 사용하여 토양 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유닛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던함과 더불어 자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실내에는 크고 작은 다양한 종류의 화분을 배치하고 있다. 단순한 건물의 느낌을 벗어나 다양한 식물이 실내에 공존함으로써, 인간은 안락함과 자연의 심미감을 모두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훼농장에서 재배된 식물은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화분에 식재되어 판매된다. 소비자는 통상 플라스틱 화분에 담긴 식물을 외관이 수려한 세라믹 화분에 분갈이하여 건물 내에 배치한다. 다만 이러한 분갈이는 일반 수요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일이고, 분갈이 과정에서 모종삽을 사용하여 식물의 뿌리 등에 해를 가할 수 있다.
분갈이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이 수려한 세라믹 화분(Z) 내부에 화훼농장에서 구매한 플라스틱 화분(T)을 그대로 넣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라스틱 화분(T)은 세라믹 화분(Z)과 크기가 비슷하지 않아 외부에서 화분을 바라보았을 때,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 화분(T)이 눈에 띄어 조잡할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 자체가 불가능하다.
여기서, 저면관수라 함은 화분의 하부에 물의 공급원이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화분 내의 토양에 물이 공급되는 방식을 가리킨다. 통상 물을 화분의 토양 상부에 뿌리는 표면관수 방법이 일반적인데, 표면관수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어 최근 저면관수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저면관수는 토양속에 물이 부족할 경우 하부에 배치된 저수부의 물이 심지를 타고 토양에 공급되므로, 식물의 생태에 따라 필요한 양만큼 물이 자연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반면에 표면관수는 토양의 표면에 일정한 기준 없이 물을 붓기 때문에 물을 과하게 공급하면 토양 영양분의 유실이나 뿌리가 과도하게 자라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면관수는 주기적으로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과도한 물의 공급 시에는 토양 표면이 습하여 곰팡이나 벌레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를 제시한 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는 분갈이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해 예컨대, 화훼농장에서 제조된 플라스틱 화분을 내장화분으로 하고, 내장화분을 수납하는 외장화분을 두며, 외부에서 내장화분이 보이지 않도록 외장화분의 상단 테두리가 내측으로 연장된 가림판을 둔다. 아울러,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내장화분과 외장화분의 사이에 저수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가림판을 두어 내장화분이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기 위해서는 내장화분과 외장화분의 사이즈가 어느 정도 비슷해야만 한다. 아쉽게도 화훼농장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크기는 다양하므로 언제나 화훼농장에서 공급하는 내장화분의 크기가 외장화분의 크기와 비슷할 수는 없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는 저면관수를 위해 심지가 내장된 환형 심지관을 사용하나, 토양 전체에 물이 고르게 공급되기 위해서는 수많은 환형 심지관을 매설해야 한다. 그러나 화분에 환형 심지관이 많이 매설될수록, 식물의 뿌리 생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화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242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식물의 뿌리에 해를 가하지 않으면서 손쉽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한 화분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면관수가 가능하되 화분의 토양 전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은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화분 유닛이되, 상기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분 유닛은 상부 개구부, 하부 개구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상기 몸체에 수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한 테두리가 하부 개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 상기 몸체를 수납하는 외장화분, 상기 외장화분의 바닥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판형심지 및 상기 판형심지의 외면을 덮는 판형심지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은 상부 개구부, 하부 개구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상기 몸체에 수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한 테두리가 하부 개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 상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일 단부를 수납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몸체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블록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저수부의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판형심지 및 상기 판형심지의 외면을 덮는 판형심지관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에는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심지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저수부의 물을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판형심지는 줄자(Tape line) 형태를 가지고, 일단부는 저수부에 채워진 물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토양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판형심지관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후, 바닥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형심지관은 복수이고, 상기 몸체 내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작은 일면이 중심선(C)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판형심지관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내측과 외측으로 상호 물이 흐를 수 있는 제1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식물 뿌리에 해를 가하지 않고 손쉽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판형심지관을 사용하여 토양 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고, 판형심지가 내장된 판형심지관을 바닥판에 결합하되, 판형심지관의 개수를 조절하여 식물의 식생에 맞게 물 공급량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이 몸체와 분리되므로, 식물을 식재한 이후에도 손쉽게 바닥판을 분리하여 결합된 판형심지관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화분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분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3a)이고, 3a의 A-A'를 절단한 단면도(3b)이며, 3b의 단면 하부를 확대한 확대도(3c)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사용하여 분갈이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분유닛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를 표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판형심지(7b), 판형심지관(7a)를 확대한 확대도 및 판형심지가 판형심지관 내부에 결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c)이다.
도 8은 판형심지관이 바닥판과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몸체, 거치대 및 외장화분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외장화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거치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거치대가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쌓아지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화분유닛
110: 몸체 111: 상부 개구부
112: 하부 개구부 113: 걸림턱
114: 돌출부
120: 바닥판 121: 홈부
130: 저수부
140: 판형심지
150: 판형심지관 151: 표면적이 큰 면
152: 표면적이 작은 면 153: 홀
154: 고정부재
160: 외장화분 161: 유입구
162: 배수구 163: 마개
170: 거치대
180: 받침대 181: 제2 유로
182: 지지부
C: 중심선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된다, 결합된다, 배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형성되거나, 결합되거나, 설치된 것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인 일체로 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분유닛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3a)이고, 3a의 A-A'를 절단한 단면도(3b)이며, 3b의 단면 하부를 확대한 확대도(3c)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몸체(110) 및 바닥판(120)을 포함한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되고, 화분유닛(100)의 골격을 이룬다. 이하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몸체(110)를 속이 빈 원통형으로 예시하였으나, 속이 빈 형태의 육면체, 사각뿔대, 삼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0)는 세라믹, 합성수지, 금속 및 이들의 적어도 1 이상의 혼합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110)는 속이 빈 형태를 가져 상부 개구부(111)와 하부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바닥판(120)의 테두리와 마주하여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113)을 포함한다. 즉, 하부 개구부(112)의 말단에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3)은 몸체의 일 단부로부터 몸체의 바닥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바닥판(120)은 몸체의 상부 개구부(111)를 통과하여 몸체의 내부를 지나 걸림턱(113)에 안착됨으로써, 하부 개구부(112)를 폐쇄한다. 몸체가 원통형일 경우, 예컨대 바닥판(120)이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바닥판의 지름은 상부 개구부 및 몸체 내부의 지름보다 작게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바닥판의 지름은 하부 개구부(112)의 지름보다 커야 한다. 즉, 바닥판(120)은 몸체의 걸림턱(113)에 안착된 이상, 몸체(110)의 하부 방향으로 더 이상 후퇴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닥판(120)의 상부에 토양이 채워지더라도 바닥판(120)은 걸림턱(113)에 걸려 몸체(110)의 하부로 후퇴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닥판(120)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바닥판(12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바닥판(120)은 걸림턱(113)에 안착된 위치로부터 상부 개구부(11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을 사용하여 분갈이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유닛은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을 수납하고 있다. 화분유닛(100)을 지면에 고정된 원기둥(L)의 상면에 놓는다. 원기둥은 받침목 등 단단한 물체를 가리킨다. 이때 원기둥의 지름은 바닥판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여 원기둥의 상면이 걸림턱에 걸리지 않고 바다판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화분유닛(100)의 몸체(110)를 사용자가 잡고 지면방향으로 힘을 주어 내리면, 몸체(110)와 바닥판(120)이 분리되면서 바닥판(120)의 상면에는 토양과 식물만 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분유닛은 별도의 모종삽을 식물의 뿌리에 손대지 않고도 간편하고 빠르게 분갈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분유닛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갈이가 용이하기 위해서는 하구 개구부의 직경과 바닥판의 직경의 비가 1:1.1~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구 개구부(112)의 직경이 바닥판(120)의 직경보다 작아야 하는데, 바닥판(120)의 직경이 하부 개구부(112)의 직경보다 1.4배를 초과하는 경우 토양과 식물의 토출을 위해 힘 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분갈이가 용이하지 않고, 토양과 식물이 토출된다 하더라도 토양과 식물이 원기둥(L) 위에서 중심을 잃고 쓰러지기 쉽다. 한편, 바닥판(120)의 직경이 하부 개구부(112)의 직경보다 1.1배 미만인 경우 바닥판의 소재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토양과 식물의 무게를 견디어 이를 지지하기 어렵다.
바닥판(120)이 걸림턱(113)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판(120)과 걸림턱(113)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3)은 상부 개구부(11)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4)를 포함하고, 바닥판(120)의 하면에는 돌출부(114)를 수납할 수 있는 홈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분유닛이 결합되었을 때의 내부를 표현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몸체(110), 바닥판(120), 저수부(130), 판형심지(140), 판형심지관(150), 외장화분(160) 및 거치대(170)를 포함한다.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몸체(110) 및 바닥판(120)은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분유닛(100)은 몸체(110)의 바닥판(120) 하부에 물이 저장된 저수부(130)가 형성되고, 판형심지(140)를 통해 식물의 생태에 맞게 토양에 물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저면관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저수부(130)는 외장화분(160)의 바닥면과 몸체(110) 사이에 거치대(170)가 배치됨으로써 형성되는 빈 공간을 가리키며, 저수부(130)에는 물이 채워진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판형심지(도 7b), 판형심지관(도 7a)를 확대한 확대도 및 판형심지가 판형심지관 내부에 결합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도 7c)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판형심지(140)는 바닥판(120)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통과하여 바닥판(1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저수부(130)의 물을 몸체(110)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판형심지(140)는 줄자 형태로 길고, 모세관 현상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면사, 부직포와 같은 합성섬유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면사 또는 합성섬유들은 토양에 인입될 때 경도가 낮아 쉽게 휘어져 토양 상부 또는 토양 내부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경도가 높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소재한 판형심지관(150)을 포함하고, 판형심지관(150)은 판형심지(140)의 외면을 덮어 바닥판(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판형심지(140)가 세워지도록 가이드 한다. 판형심지관(150)을 통해 판형심지(140)에 흡수된 물은 토양의 상면까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판형심지는 원형 형태의 환형 심지보다 물 또는 토양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환형 심지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판형심지는 환형 심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를 사용하더라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물을 토양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다만, 판형심지(140)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토양 전체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판형심지관(150)이 토양 내에 배치되는 위치가 중요하다. 도 8은 도 판형심지관이 바닥판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형심지관은 토양과의 접촉하는 상대적인 면적의 크기에 따라, 표면적이 큰 면(151)과 표면적이 작은 면(152)을 포함하고, 판형심지에 흡수된 물이 토양에 흐를 수 있도록 물이 이동하는 복수의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판형심지관이 배치될 경우 도 8과 같이 몸체 내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작은 일면(152)이 중심선(C)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인 큰 면(151)이 중심선(C)과 마주하는 경우, 방사상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오히려 방해하여 균일하게 토양에 물을 공급할 수 없다. 동일 개수의 판형심지관들을 배치한다는 전제하에,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인 작은 일면(152)이 중심선(C)과 마주한 경우,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큰 면(151)이 중심선(C)을 마주하는 경우보다 1.2~1.5배 더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고, 더욱이 대형 화분의 경우 판형심지관의 개수를 늘려야 하는데 상기 설명한 판형심지관의 배치 관계가 토양 내에 물을 균일하게 공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울러, 판형심지관은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복수의 판형심지관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야 토양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판형심지관(150)은 바닥판(120)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판형심지관의 일단부에는 바닥판(120)에 형성된 관통홀(122)을 통과한 후 바닥판의 하면에 걸리는 고정부재(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7 참고). 몸체(110) 내에 토양이 점차 채워질 경우 판형심지관(150)은 토양에 밀려 배치가 틀어질 수 있는데, 고정부재(154)는 판형심지관(150)과 바닥판(120)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화분유닛에 식물을 식재한 이후, 식물의 식생의 특성에 따라 토양의 물 마름성을 고려하여 물의 공급량이나 통기성을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유닛은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로부터 바닥판이 쉽게 분리되고, 분리된 바닥판에 결합된 판형심지관을 분리하거나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물의 공급량과 통기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화분유닛에 식물을 식재한 후, 물의 공급량이 많아 토양이 다습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판을 분리 및 바닥판에서 판형심지관을 분리할 수 있다. 판형심지관이 분리되면 바닥판의 관통홀이 노출되는데, 관통홀은 토양에 외부 공기가 공급되어 토양에 통기성을 향상시켜 물 마름성을 좋게 한다. 한편, 화분유닛에 식물을 식재한 후, 물의 공급량이 적어 토양이 건조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판을 분리하고, 바닥판의 관통홀에 판형심지가 내장된 판형심지관을 추가로 결합하여 물의 공급량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판형심지관(150)은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몸체(110)의 길이가 식물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판형심지관(150)의 길이도 가변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하나의 판형심지관 일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판형심지관의 타단부는 상기 단차에 끼워지도록 하여, 복수의 판형심지관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몸체(110), 거치대(170) 및 외장화분(160)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외장화분(160)의 바닥면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거치대(170)가 수납되고, 거치대(170)의 상단부는 몸체(110)의 걸림턱(113) 하면에 형성된 홈(115)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화분(160)과 몸체(110)의 사이에 거치대(170)가 배치됨으로써, 저수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화분(160)은 저수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입구(161) 및 저수부에 물을 빼내기 위한 배수구(16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62)는 별도의 마개(163)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입구(161)는 외부 공기를 외장화분(160)의 내부로 흐르게 한다. 이렇게 외장화분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저수부를 지나 바닥판의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토양의 물마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입구(161)를 통해 공급된 물은 외장화분(160)의 내부로 흐르고, 저수부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거치대(170)에 유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70)는 아치형의 제1 유로(1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171)는 거치대(170)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치대(170)는 복수개로 외장화분(160)의 내부에 배치되어 몸체(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화분유닛이 배치되는 장소에 특성에 따라 몸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시각적으로 식물을 바라보는 사람에게 더욱 안정감과 자연스러움을 줄 수 있다. 몸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거치대의 결합을 설명하면, 예컨대 도 12와 같이 거치대(170)의 상단에 또 다른 거치대를 쌓아 올릴 수 있다. 쌓아 올린 거치대의 위치 고정을 위해, 거치대의 하단부에 홈(Y)이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홈에는 또 다른 거치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받침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은 제2 실시예와 다르게 외장화분을 사용하지 않고, 저수부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저면관수가 가능한 다른 실시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은 몸체, 바닥판, 판형심지, 판형심지관 및 받침대을 포함한다. 앞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몸체(110), 바닥판(120), 판형심지(140) 및 판형심지관(150)은 제3 실시예에 다른 화분유닛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받침대(180)는 몸체의 일 단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80)의 개구부에는 몸체의 바닥면, 즉 걸림턱과 접촉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182)을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8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함으로써,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130)와 제2 유로(18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100)은 사용자가 받침대(180)와 몸체 사이의 공간(X)을 통해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물이 부족할 경우, 사용자는 공간(X)에 물을 주입하여 저수부(130)에 물을 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 개구부와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화분 유닛이되,
    상기 하부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2. 상부 개구부, 하부 개구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상기 몸체에 수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한 테두리가 하부 개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
    상기 몸체를 수납하는 외장화분;
    상기 외장화분의 바닥면과 상기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를 형성하고 몸체를 지지하는 거치대;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판형심지; 및
    상기 판형심지의 외면을 덮는 판형심지관을 포함하는 화분유닛.
  3. 상부 개구부, 하부 개구부 및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
    식물의 뿌리가 뻗은 토양이 상기 몸체에 수납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개구부를 통과한 테두리가 하부 개구부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하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바닥판;
    상기 몸체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일 단부를 수납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몸체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블록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를 포함하는 받침대;
    상기 저수부의 저장된 물을 상기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판형심지; 및
    상기 판형심지의 외면을 덮는 판형심지관을 포함하는 화분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상부 개구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도록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심지는 관통홀을 통과하여 바닥판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저수부의 물을 몸체에 수납된 토양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심지는 줄자(Tape line) 형태를 가지고, 일단부는 저수부에 채워진 물과 접촉하고, 타단부는 토양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심지관은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한 후, 바닥판의 하면과 접촉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심지관은 복수이고, 상기 몸체 내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판형심지관의 표면적이 작은 일면이 중심선(C)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유닛.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심지관은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내측과 외측으로 상호 물이 흐를 수 있는 제1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유닛.
PCT/KR2020/012748 2019-09-27 2020-09-22 화분유닛 WO20210607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16 2019-09-27
KR1020190120016A KR102153235B1 (ko) 2019-09-27 2019-09-27 화분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793A1 true WO2021060793A1 (ko) 2021-04-01

Family

ID=7247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2748 WO2021060793A1 (ko) 2019-09-27 2020-09-22 화분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3235B1 (ko)
WO (1) WO20210607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2470A (zh) * 2023-01-06 2023-03-21 彭州市天彭牡丹保育发展中心 一种利于疏水透气的牡丹花培育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76U (ko) * 1994-04-15 1995-11-17 이승웅 화분
KR200203358Y1 (ko) * 2000-06-05 2000-11-15 조규연 화분
KR20160060964A (ko) * 2014-11-21 2016-05-31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KR20160120123A (ko) * 2015-04-07 2016-10-17 이기환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041851A (ko) * 2017-10-13 2019-04-23 배문옥 화분 받침대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85B1 (ko) *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087242A (ko) 2018-01-16 2019-07-24 배문옥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076U (ko) * 1994-04-15 1995-11-17 이승웅 화분
KR200203358Y1 (ko) * 2000-06-05 2000-11-15 조규연 화분
KR20160060964A (ko) * 2014-11-21 2016-05-31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KR20160120123A (ko) * 2015-04-07 2016-10-17 이기환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041851A (ko) * 2017-10-13 2019-04-23 배문옥 화분 받침대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2470A (zh) * 2023-01-06 2023-03-21 彭州市天彭牡丹保育发展中心 一种利于疏水透气的牡丹花培育盆
CN115812470B (zh) * 2023-01-06 2023-04-18 彭州市天彭牡丹保育发展中心 一种利于疏水透气的牡丹花培育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235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60793A1 (ko) 화분유닛
WO2015174773A1 (ko)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WO2010087543A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및 방법
US6058651A (en) Hanging plant apparatus
CA2652763A1 (en) Capillary hydration system and method
KR900006270B1 (ko) 자동급수 화분의 급수량 조절방법
WO2012148086A2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WO2020022763A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US20080184620A1 (en) Irrigation device
KR20130005651A (ko) 수분 공급용 화분
WO2020071579A1 (ko) 수경 재배 용기
KR102252397B1 (ko) 화분유닛
KR20100034972A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CN101909428A (zh) 用于培养植物的系统
WO2021125707A1 (ko) 분리형 화분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CN205727280U (zh) 芽苗菜培育装置
CN107646408A (zh) 一种可防止盆栽枯死的花盆
WO2014123259A1 (ko) 벽면 조경용 플랜터
WO2012138106A2 (ko)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KR20130113652A (ko) 조립식 식재유니트
WO2019203439A1 (ko)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WO2020130583A1 (ko) 수초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81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681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