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964A - 화초식재장치 - Google Patents

화초식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964A
KR20160060964A KR1020140163228A KR20140163228A KR20160060964A KR 20160060964 A KR20160060964 A KR 20160060964A KR 1020140163228 A KR1020140163228 A KR 1020140163228A KR 20140163228 A KR20140163228 A KR 20140163228A KR 20160060964 A KR20160060964 A KR 2016006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hole
water
polle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209B1 (ko
Inventor
김인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14016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2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초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틀바닥면부와,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급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틀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틀바닥면부에 결합된 틀측면부를 갖는 받침틀과; 방수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저수공간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급수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틀바닥면부에 설치된 요형의 저수공간부와; 배수공과 봉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에 결합된 화분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화분바닥면부가 상기 저수공간부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과; 상기 봉통과공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에 설치되는 심지봉과; 상기 봉통과공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심지봉에 설치되는 급수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간단해 지고, 공급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가능지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초식재장치{Flower Pla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초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화초의 식재영역을 제공하는 화분과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화분을 지면에 대하여 지지해주는 받침틀을 갖는 화초식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초를 심어 키우기 위해 화초식재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화초식재장치는 자연을 느낄 수 있는 분위기 연출 등의 목적으로 도로, 행사장 등에 널리 설치되고 있다.
화초식재장치 중에는 화초의 식재영역을 제공하는 화분과 화분을 지면에 대하여 지지해주는 받침틀을 갖는 것이 있으며, 화분이 석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받침틀이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화초식재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7은 종래 화초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화초식재장치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틀(110)과, 받침틀(110)의 내부에 설치된 화분(120)과, 화분(12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급수장치(151)와, 화분(120)에 설치된 배수블럭(152), 부직포주머니(153) 및 가리개(154)와, 받침틀(110)의 저면에 결합된 집수통(155)과, 배수호스(156)를 통해 집수통(155)에 연결된 배수파이프(157)를 갖고 있다.
받침틀(110)은 직사각형 형태의 틀바닥면부(111)와, 틀바닥면부(11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틀바닥면부(111)에 결합된 틀측면부(112)를 갖고 있다.,
틀바닥면부(111)는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배수장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틀측면부(112)는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화분(120)은 직사각형 형태의 화분바닥면부(121)와, 화분바닥면부(12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화분바닥면부(121)에 결합된 화분측면부(122)를 갖고 있다.
화분바닥면부(121)에는 블럭안착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화분(120)은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배수블럭(152)은 블럭안착공(121a)에 설치된다. 사용시 배수블럭(152)과 부직포주머니(153) 사이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난석이나 마사토가 포설된다.
부직포주머니(153)에는 흙이 채워져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초식재장치에 따라 화분(120)에 심은 화초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분(120)의 저층에는 난석, 마사토가 포설되어 있고 그 위에는 흙이 포설되어 있으며 흙에는 화초가 심어져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급수장치(151)를 통해 화분(120)에 일정시간 동안 물을 공급한다.
화분(120)에 공급된 물 중 일부는 화초에 흡수되고 흡수되지 않은 물은 배수블럭(152)을 통해 받침틀(110)의 내부로 배수된다. 화분에 공급된 물은 부직포주머니(153)에 흡수된 후 화초에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화초에 흡수되는 물의 양과 배수블럭(152)을 통해 배수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한다.
받침틀(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배수장공(111a)을 통해 집수통(155)으로 낙하한다.
집수통(155)에 수집된 물의 수위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소정의 제어부는 급수장치(151)를 다시 가동시켜 화분(120)에 일정시간 동안 물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초식재장치에 따르면, 목재로 제작된 받침틀(110)을 갖는 화초식재장치에 급수하기 위해 급수장치(151)와 집수통(155)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급수장치(151)를 통해 화분(120)에 공급된 물 중 화초에 흡수되지 않고 집수통(155)에 수집된 물은 화초가 다시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급수장치(151)를 통해 공급수의사용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급수장치(151)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가능지역이 전기공급지역으로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8678호(등록일자: 2013년 11월 6일, 발명의 명칭 : 조립식 대형화분과 그 설치방법)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화초식재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해 지고, 공급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가능지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 화초식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틀바닥면부와,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급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틀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틀바닥면부에 결합된 틀측면부를 갖는 받침틀과; 방수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저수공간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급수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틀바닥면부에 설치된 요형의 저수공간부와; 배수공과 봉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에 결합된 화분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화분바닥면부가 상기 저수공간부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과; 상기 봉통과공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에 설치되는 심지봉과; 상기 봉통과공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심지봉에 설치되는 급수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초식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급수봉과 급수심지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급수봉과 급수심지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는 상기 배수공과 상기 봉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대하여 하향계단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이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받침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틀바닥면부 아래에 물건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틀은 상기 틀바닥면부의 저면에 결합된 틀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시 저수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틀측면부에는 게이지관공이 상기 급수공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측면부에는 연락공이 상기 게이지관공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지관공과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로 진입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받침틀의 외부에서 상기 받침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구간으로 나누어지도록 상기 받침틀에 설치된 투명게이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게이지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게이지관은 상기 게이지관공과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로 밀어넣을 수 있는 단면을 갖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종단 외표면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게이지관을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로 밀어넣을 때 상기 게이지관공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게이지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밀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요형의 저수공간부를 틀바닥면부에 설치하고 화분바닥면부가 저수공간부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화분을 받침틀의 내부에 설치한 후 급수공을 통해 저수공간부에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급수심지를 통해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 지고, 공급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가능지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부분절단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절단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관과 밀폐캡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봉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오링 및 너트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0,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절단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결합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결합사시도,
도17은 종래 화초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부분절단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절단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지관과 밀폐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지봉의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관, 오링 및 너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틀(10)과, 받침틀(10)의 내부에 설치된 저수공간부(30) 및 화분(20)과, 화분(20)에 설치된 심지봉(51)과, 심지봉(51)에 설치된 급수심지(52)와, 받침틀(10)에 설치된 투명게이지관(53)과, 투명게이지관(53)에 결합된 밀폐캡(54)을 갖고 있다.
받침틀(10)은 직사각형 형태의 틀바닥면부(11)와, 틀바닥면부(1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틀바닥면부(11)에 결합된 틀측면부(12)를 갖고 있다.
틀바닥면부(11)는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틀측면부(12)는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급수공(12a)과 게이지관공(12b)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공(12a)에는 보호관(56)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지관공(12b)은 급수공(12a)의 하측(틀바닥면부에 근접하도록)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관공(12b)에는 지지관(55)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관(55)은 일단의 외표면에 걸림턱(55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종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55)은 걸림턱(55a)이 화분(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수나사부가 화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관(55)의 설치는 걸림턱(55a)과 화분측면부(22) 사이에 오링(57)이 삽입한 상태로 이루어지고. 수나사부에는 너트(58)가 체결된다.
저수공간부(30)는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저수공간바닥면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저수공간측면부(32)와, 저수공간측면부(32)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저수공간플랜지부(33)를 갖고 있다.
저수공간측면부(32)에는 연락공(32a)이 게이지관공(12b)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락공(32a)은 게이지관공(12b)에 설치된 지지관(55)과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저수공간부(30)는 방수천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저수공간부(3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받침틀(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먼저 창틀형태의 지지프레임(62)을 받침틀(10)의 내부에 설치한다. 지지프레임(62)에는 연락공(32a)에 정렬되도록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저수공간플랜지부(33)가 지지프레임(6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저수공간부(30)를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창틀형태의 고정프레임(61)을 지지프레임(62)의 상단에 결합한다.
고정프레임(61)에는 급수공(12a)과 연결되는 급수안내홈(61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저수공간부(30)의 설치는 저수공간플랜지부(33)가 급수공(12a)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저수공간바닥면부(31)가 틀바닥면부(11)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저수공간부(30)에는 급수공(12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화분(20)은 화분바닥면부(21)와, 화분바닥면부(21)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화분바닥면부(21)에 결합된 화분측면부(22)와, 화분측면부(2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화분플랜지부(23)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화분(20)은 화분바닥면부(21)와, 화분바닥면부(21)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화분바닥면부(21)에 결합된 화분측면부(22)를 갖고 있다.
화분바닥면부(21)는 수평판(21a)과, 수평판(21a)에 대하여 하향계단을 이루도록 수평판(2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판(21b)을 갖고 있다.
수평판(21a)에는 배수공(21d)과 봉통과공(2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화분(20)은 화분플랜지부(23)가 틀측면부(1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화분(20)의 설치는 화분바닥면부(21)가 저수공간부(30)보다 높게 배치되고 지지판(21b)의 저면이 저수공간바닥면부(31)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진다.
투명게이지관(53)은 지지관(55)보다 약간 작은 단면을 갖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투명게이지관(53)은 게이지관공(12b)과 연락공(32a)을 통해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화분바닥면부(21) 사이로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투명게이지관(53)은 종단 외표면에 이탈방지턱(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명게이지관(53)은 게이지관공(12b)에 설치된 지지관(55)을 통과하고, 이탈방지턱(53a)이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화분바닥면부(21) 사이에 배치되도록 받침틀(10)에 설치된다.
투명게이지관(53)이 받침틀(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투명게이지관(53)을 받침틀(10)의 외부로 빼내면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화분바닥면부(21) 사이로 진입하는 수평구간과, 받침틀(10)의 외부에서 받침틀(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구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투명게이지관(53)은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밀폐캡(54)은 대략 티(T)자 단면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투명게이지관(53)과 같은 직경을 갖는 고정홈(54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밀폐캡(54)은 투명게이지관(53)을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화분바닥면부(21) 사이로 밀어넣을 때 게이지관공(12b)을 밀폐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밀폐캡(54)은 고정홈(54a)에 투명게이지관(53)이 억지끼움되도록 투명게이지관(5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밀폐캡(54)은 투명게이지관(5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심지봉(51)은 상단이 밀폐된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통기공(51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심지봉(51)은 봉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봉(51)은 한 쌍의 분할체(51', 51")로 나누어져 있으며, 한 쌍의 분할체(51', 51")는 요철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봉(51)은 봉통과공(31a)을 통과하도록 화분바닥면부(21)에 설치된 봉지지부재(81)의 도움을 받아 화분바닥면부(21)에 설치된다. 봉지지부재(81)는 일단에 지지플랜지(81a)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으로부터 수축홈(81b)이 형성되어 있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심지봉(51)은 봉통과공(31a)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화분바닥면부(21)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급수심지(52)는 부직포, 펠트 등과 같이 관형태로 변형할 수 있고 흡수성 및 통기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급수심지(52)는 봉통과공(21c)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화분바닥면부(2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심지봉(51)에 설치된다.
급수봉(51)과 급수심지(52)의 설치는 지지판(21b)에 의해 받침틀(10)에 설치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고 급수봉(51)과 급수심지(52)의 초기 설치상태는 지지판(21b)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에 따라 화분(20)에 심은 화초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도10,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이지관공(12b)은 밀폐캡(54)에 의해 밀폐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급수공(12a)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다
그리고 화분(20)의 상측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은 배수공(21d)을 통해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다(도10 참조).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 물은 급수심지(52)를 통해 화초에 흡수된다.
다음에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투명게이지관(53)을 외측으로 잡아당긴 후 수직구간이 형성되도록 투명게이지관(53)을 상측으로 절곡시킨다. 수직구간의 물 수위를 보면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알 수 있다(도11 및 도12 참조).
그리고 밀폐캡(54)을 투명게이지관(53)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 물을 투명게이지관(5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분측면부(22)의 상단에 형성된 화분플랜지부(23)를 이용하여 화분바닥면부(21)가 저수공간부(30)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구조예와 같이, 화분바닥면부(21)에 지지다리(24)를 통해 화분바닥면부(21)가 저수공간부(30)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절단사시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초식재장치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틀바닥면부(11)와 틀바닥면부(11)를 갖도록 받침틀(10)을 구성하고 있으나,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바닥면부(11)의 저면에 결합된 틀다리부(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틀다리부(13)에 의해 틀바닥면부(11)의 하측에는 물건(분리수거함 등)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게이지관공(12b)과 연락공(32a)을 통해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화분바닥면부(21) 사이로 투명게이지관(53)을 밀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틀(10)에 설치된 걸고리(63)를 이용하여 초기설치시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으로 나누어지도록 투명게이지관(53')을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요형의 저수공간부(30)를 틀바닥면부(11)에 설치하고 화분바닥면부(21)가 저수공간부(30)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화분(20)을 받침틀(10)의 내부에 설치한 후 급수공(12a)을 통해 저수공간부(30)에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화분바닥면부(2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급수심지(52)를 통해 화분바닥면부(21)의 상측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 지고, 공급수의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가능지역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평판(21a)과 수평판(21a)에 대하여 하향계단을 이루도록 수평판(21a)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판(21b)을 갖도록 화분바닥면부(21)를 형성하고 지지판(21b)의 저면이 저수공간바닥면부(31)로부터 이격되도록 화분(20)을 받침틀(1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급수봉(51)과 급수심지(52)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급수봉(51)과 급수심지(52)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틀바닥면부(11)의 저면에 틀다리부(13)를 결합함으로써, 틀바닥면부(11) 아래에 물건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분(20)에 투명게이지관(53)을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시기에 급수공(12a)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 저수공간부(3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명게이지관(53)을 저수공간바닥면부(31)와 화분바닥면부(21) 사이로 밀어넣을 때 게이지관공(12b)을 밀폐할 수 있도록 투명게이지관(53)에 밀폐캡(54)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투명게이지관(5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장치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받침틀 11, 111 : 틀바닥면부
12, 112 : 틀측면부 13 : 틀다리부
20, 120 : 화분 21, 121 : 화분바닥면부
22, 122 : 화분측면부 30 : 저수공간부
31 : 저수공간바닥면부 32 : 저수공간측면부
51 : 급수봉 52 : 급수심지
53 : 투명게이지관 54 : 밀폐캡
151 : 급수장치 155 : 집수통

Claims (5)

  1.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된 틀바닥면부와, 나무판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급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틀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틀바닥면부에 결합된 틀측면부를 갖는 받침틀과;
    방수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저수공간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급수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틀바닥면부에 설치된 요형의 저수공간부와;
    배수공과 봉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에 결합된 화분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화분바닥면부가 상기 저수공간부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화분과;
    상기 봉통과공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화분바닥면부에 설치되는 심지봉과;
    상기 봉통과공을 통과하고 일부 구간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심지봉에 설치되는 급수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초식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바닥면부는 상기 배수공과 상기 봉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에 대하여 하향계단을 이루도록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이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받침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초식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은 상기 틀바닥면부의 저면에 결합된 틀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초식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틀측면부에는 게이지관공이 상기 급수공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측면부에는 연락공이 상기 게이지관공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지관공과 상기 연락공을 통과하여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로 진입하는 수평구간과 상기 받침틀의 외부에서 상기 받침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구간으로 나누어지도록 상기 받침틀에 설치된 투명게이지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초식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게이지관은 상기 게이지관공과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로 밀어넣을 수 있는 단면을 갖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종단 외표면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게이지관을 상기 저수공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로 밀어넣을 때 상기 게이지관공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게이지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밀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초식재장치.




KR1020140163228A 2014-11-21 2014-11-21 화초식재장치 KR10168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28A KR101681209B1 (ko) 2014-11-21 2014-11-21 화초식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228A KR101681209B1 (ko) 2014-11-21 2014-11-21 화초식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64A true KR20160060964A (ko) 2016-05-31
KR101681209B1 KR101681209B1 (ko) 2016-11-30

Family

ID=5609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228A KR101681209B1 (ko) 2014-11-21 2014-11-21 화초식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2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4022A (zh) * 2017-09-26 2017-12-22 弗莱共创(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花盆
WO2021060793A1 (ko) * 2019-09-27 2021-04-01 배문옥 화분유닛
KR102593118B1 (ko) * 2023-07-12 2023-10-24 우리피앤씨건설주식회사 석분재 구조물
CN117296603A (zh) * 2023-11-30 2023-12-29 西南林业大学 一种景观设计的立体绿植种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481Y1 (ko) 2005-03-24 2005-06-30 백영태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JP3133512U (ja) 2007-05-01 2007-07-12 有限会社アソシエ 植物栽培用プランタ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4022A (zh) * 2017-09-26 2017-12-22 弗莱共创(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花盆
WO2021060793A1 (ko) * 2019-09-27 2021-04-01 배문옥 화분유닛
KR102593118B1 (ko) * 2023-07-12 2023-10-24 우리피앤씨건설주식회사 석분재 구조물
CN117296603A (zh) * 2023-11-30 2023-12-29 西南林业大学 一种景观设计的立体绿植种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209B1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09B1 (ko) 화초식재장치
EP2508063A1 (en) Plant-growing container
CN105792634A (zh) 用于在干旱环境中种植的方法和装置
KR101225181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KR200448401Y1 (ko) 저수 및 배수기능이 구비된 화분
KR101723134B1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CN107114136B (zh) 园林盆栽容器
ES2559239T3 (es) Placa de fachada cubierta de plantas y pared cubierta de plantas asociada
KR20080107742A (ko) 이동식 실내화단
US20090056220A1 (en) Growing containers
KR101643649B1 (ko) 벽면 녹화용 화분
JP2012055218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KR20130096340A (ko) 생태 기둥 조립체
KR20160059848A (ko) 수목의 수분 및 영양제 공급장치
EP1124410B1 (fr) Dispositif pour remplacer les arbres, arbustes, fleurs et les entretenir
WO2011062394A2 (ko) 화분용 수조
KR20160060965A (ko) 화초식재장치
US20190261588A1 (en) Plant growth system with root barrier
KR20110002735A (ko) 배수구멍 없는 화분
CN209030686U (zh) 一种立体绿化装置
JP6168769B2 (ja) 栽培装置および栽培方法
KR20150108280A (ko) 자연 관수 기능을 가지는 저류 시설
JP4733946B2 (ja) プランター
JP4906250B2 (ja) 緑化基盤構造
KR101296196B1 (ko) 화분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된 급수 기능을 갖는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