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340A - 생태 기둥 조립체 - Google Patents

생태 기둥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340A
KR20130096340A KR1020120016977A KR20120016977A KR20130096340A KR 20130096340 A KR20130096340 A KR 20130096340A KR 1020120016977 A KR1020120016977 A KR 1020120016977A KR 20120016977 A KR20120016977 A KR 20120016977A KR 20130096340 A KR20130096340 A KR 2013009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vine
water
presen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110B1 (ko
Inventor
한경수
한선주
Original Assignee
한경수
한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수, 한선주 filed Critical 한경수
Priority to KR102012001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1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에 설치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 기둥 조립체는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구가 타공되고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형태의 화분과, 상기 화분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분으로 유입된 물이 수집되고 양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집수통으로 구성되며, 일정 곡률을 갖는 복수의 식생유닛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 체결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생태 기둥 조립체{ecology column assembly}
본 발명은 생태 기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조립식으로 만들어 전신주, 가로, 도로표지판 등을 비롯한 각종 기둥형태의 시설물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에 설치하여, 외관상 미려하도록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의 주변에는 기초석으로 지지되고,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에는 덮개가 설치된다. 한편, 도로변에는 도로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형 화분을 마련하여 이에 각종 식물을 식재하고 있고, 이와는 별도로 가로등 및 신호등 등을 지지하는 각 지주의 일정한 높이에 화분을 매달아 각종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도시미관을 향상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 중 도로변에 놓이는 화분은 통상적인 화분구조로 된 대형 화분으로서 그 형상은 다양하다. 그리고 신호등 및 가로등과 같은 지주에 매달리는 화분의 구조도 역시 통상의 화분과 같은 구조로 되어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지주에 매달아 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도로변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련된 화분은 각종 식물을 식재하여 도시미관을 향상시킨다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분을 도로변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수 마련한다면 해당 시 또는 구청에 매우 큰 경제적 부담을 안겨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동절기에는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일일이 도로변에 설치된 화분을 수거하여 다음 해 봄까지 별도 보관한 후 다시 도로변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변에는 다양한 형상의 화분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하여 이에 식물을 식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를 썩지 않게 하기 위해 본체 바닥에 배수구를 형성하거나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설치된 다공 판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토양을 충전하여 형성하였으나, 배수구를 형성한 경우 비가 오지 않으면 물을 자주 주어야 함으로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고, 물을 자주 주지 않으면 식물이 쉽게 말라버려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분은 공장에서 제조 시 화분 전체에 대한 금형을 떠서 일체로 제작해 왔다. 그러나, 상기 와 같은 화분 제조 공정은 화분의 크기가 커 지고 무거우므로 화분을 제작,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화분은 관상용 식물을 단지 식재만 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분을 조립식으로 만들어 설치가 용이하고, 도로에 인접한 가로수, 가로등, 전신주 등의 주변에 설치되어 외관상 미려하며,?가로수, 가로등, 전신주 등에 광고물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하여 사람의 접근이 위험한 경우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생태 기둥 조립체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태 기둥 조립체는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구가 타공되고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형태의 화분과, 상기 화분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분으로 유입된 물이 수집되고 양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집수통으로 구성되며, 일정 곡률을 갖는 복수의 식생유닛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 체결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통은 내측상단과 외측상단에 각각 걸림용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은 배수구가 타공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통의 내측 단턱에 안착되는 여과부재와,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단이 상기 집수통의 외측 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여과부재를 감싸는 측면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로 화분의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걸러주는 차단부재 및 상기 집수통의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도록 물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심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통은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도록 상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집수통을 지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매립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은 내부의 흙 또는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 개구부가 좁고, 하단으로 내부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집수통의 일측에 연결된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집수통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과 체결구를 형성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면 또는 상기 화분에 식생하는 덩굴식물의 성장을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화분의 상부에 상기 시설물 또는 수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덩굴 유인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덩굴유인망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덩굴식물이 덩굴유인망의 상단까지 성장할 경우 외측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와이어부재가 구간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측면에 구간별로 클립부가 형성된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덩굴유인망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부재를 상기 클립부에 끼워서 지지하는 가이드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 생태 기둥 조립체에 따르면, 화분을 조립식으로 만들어 설치가 용이하고, 도로에 인접한 가로수, 가로등, 전신주 등의 주변에 설치되어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로수, 가로등, 전신주 등에 광고물 부착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하여 사람의 접근이 위험한 경우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또, 빗물을 수집하고, 저장하였다가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자동 급수가 이루어져 인력으로 화분에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원활한 물 공급으로 인해 식물의 생육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화분의 크기가 변하거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일부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 기둥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단면도,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단면도,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통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덩굴유인망의 사시도,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재의 사시도,
도 10a 내지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링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 기둥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태 기둥 조립체는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10)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111)에 배수구(112)가 타공되고 상측에 개구부(121)를 형성하는 용기형태의 화분(100)과, 상기 화분(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분(100)으로 유입된 물이 수집되고 양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수단(210)이 형성된 집수통(200)으로 구성되며, 일정 곡률을 갖는 복수의 식생유닛(10)이 상기 체결수단(210)에 의해 연속 체결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한다.
식생유닛(10)은 화분(100)과 집수통(200)이 조립 등의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식생유닛(10)에는 초화류를 비롯한 각종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화분(100)은 바닥면(111)에 배수구(112)가 타공되고 상측에 개구부(121)를 형성하는 용기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분(100)에는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심는다. 상기 배수구(112)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져 식물의 뿌리가 썩지 않으며, 상기 개구부(121)를 통해 식물이 자라고, 빗물과 햇볕이 유입되고, 급수가 가능하다.
집수통(200)은 상기 화분(10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분(100)으로 유입된 물이 수집되고 양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수단(210)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통(200)에는 상기 화분(100)의 개구부(121)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 등이 흙을 거쳐 배수구(112)를 통해 유입되고, 저장된다. 상기 집수통(200)은 지면에 설치되며, 하단에 지면에 매립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화분(100)과 집수통(200)은 직선형일 수 있지만, 일정 곡률을 갖는 아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아치형의 식생유닛(10)은 상기 체결수단(210)의 작용으로 복수의 식생유닛(10)과 연속해서 체결되어 내부에 원형 등의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한다. 상기 폐공간의 내부에는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10)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이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식생유닛(10)은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10)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 지면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체결수단(210)은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공지의 다양한 암수 체결수단(210)으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식생유닛(10)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다고 명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식생유닛은 곡률을 갖지 않는 일직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상기 체결수단(210)은 플레스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식생유닛이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100)을 조립식으로 만들어 설치가 용이하고, 도로에 인접한 가로수, 가로등, 전신주 등의 주변에 설치되어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100)의 크기가 변하거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일부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수통의 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통(200)은 내측상단과 외측상단에 각각 걸림용 단턱(221,222)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100)은 배수구(112)가 타공된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113)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통(200)의 내측 단턱(221)에 안착되는 여과부재(110)와,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하단이 상기 집수통(200)의 외측 단턱(222)에 안착되어 상기 여과부재(110)를 감싸는 측면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집수통(200)은 내측상단과 외측상단에 각각 여과부재(110) 및 측면부재(120)가 안착되는 걸림용 단턱(221,222)을 형성한다. 화분(100)은 여과부재(110) 및 측면부재(1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식물 식재 및 화분(100) 내부의 점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분리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분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여과부재(110)는 배수구(112)가 타공된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113)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통(200)의 내측 단턱(221)에 안착된다. 한편, 측면부재(120)는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하단이 상기 집수통(200)의 외측 단턱(222)에 안착되어 상기 여과부재(110)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재(110)의 바닥면(111)은 상기 배수구(112)가 형성된 부분이 스템(stem)의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4)를 관통하도록 배수구(112)가 타공되며, 상기 돌출부(114)들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함몰된 형태의 기저부(115)가 형성되어 화분(100)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112)를 통해 전부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기저부(115)에 물이 고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통(200)의 내측 단턱(221)에 여과부재(110)의 바닥면(111)과 측벽(113)을 연결하는 모서리가 안착되고, 외측 단턱(222)에는 측면부재(120) 하측 개구부의 단부가 안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여과부재(1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측면부재(120) 및 집수통(200)만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식생유닛(10)의 조립과정은 집수통(200)에 여과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를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이 완료된 식생유닛(10)은 체결수단(210)을 통해 연속 체결된다. 또한, 여과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를 조립하기 전, 집수통(200)들 끼리만 연속해서 체결하고, 그 다음 연결이 완료된 집수통(200)에 여과부재(110) 및 측면부재(120)를 안착시킬 수도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유닛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4a 내지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1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112)로 화분(100)의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걸러주는 차단부재(131) 및 상기 집수통(200)의 물을 상기 화분(100)으로 공급하도록 물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심지(132)가 구비된다.
차단부재(131) 및 심지(132)는 물의 흡수 및 통과가 가능한 직물, 실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31)는 화분(100)의 바닥면(111)의 상단에 위치하여 화분(100)으로 유입된 물은 통과시키고, 차단부재(131) 상단의 흙이 배수구(112)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심지(132)는 물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통(200)의 물을 상기 화분(100)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심지(132)는 상기 배수구(112)를 통과하여 일단부가 집수통(200)의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고, 타단부는 화분(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집수통(200)의 물을 지속적으로 화분(100)으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빗물을 수집하고, 저장하였다가 화분(100)에 식재된 식물에 자동 급수가 이루어져 인력으로 화분에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해 줄 필요가 없어 관리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원활한 물공급으로 인해 식물의 생육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여과부재(110)의 바닥면(111)에 배수구(112)가 관통되는 돌출부(114) 및 상기 돌출부(114)들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함몰된 형태의 기저부(115)가 형성될 경우 상기 기저부(115)에는 물이 고이게 되고, 상기 돌출부(114)의 상단에 차단부재(131)가 배치되고, 상기 심지(132)의 일측은 상기 차단부재(131)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구(112)를 통과하여 집수통(200)의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수통(200)은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도록 상부에 복수의 통공(23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집수통(200)을 지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매립돌기(2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집수통(200)에 빗물 또는 화분(100)으로 급수된 물이 유입될 때, 집수통(200)의 내부 체적보다 많은 양의 물이 유입되면, 오버플로우(overflow)된 물이 배수구(112)를 통해 화분(100)내부로 유입되어 식재된 식물의 뿌리를 썩게 하거나, 집수통(200)과 화분(100)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상사를 막기 위해 집수통(200) 내에서 일정수위를 넘어서면 통공(230)을 통해 외부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집수통(20)의 하단에는 상기 집수통(200)을 지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매립돌기(240)가 돌출 형성된다. 매립돌기(240)는 지면에 박히는 형태로 매립되며, 상기 집수통(200), 나아가 식생유닛(10)이 지면에 고정되지 못하고 계속해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면으로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100)은 내부의 흙 또는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 개구부(121)가 좁고, 하단으로 내부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취한다.
상기 화분(100)은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일례로 상부가 좁고, 하부가 상기 상부에 비해 넓어, 내부 공간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측 개구부(121)가 좁게 형성되면, 화분(100)의 내부에 흙 또는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이탈하거나, 외부의 쓰레기 등이 화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210)은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집수통(200)의 일측에 연결된 후크부재(211)와, 상기 후크부재(211)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집수통(2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200)과 체결구(213)를 형성하는 손잡이부재(21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재(211)를 상기 손잡이부재(212)의 상부에서 체결구(213)로 끼우는 방식으로 상기 집수통(200), 나아가 식생유닛(10)이 상호 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덩굴유인망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면 또는 상기 화분(100)에 식생하는 덩굴식물의 성장을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화분(100)의 상부에 상기 시설물 또는 수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덩굴 유인망(300)을 포함한다.
덩굴유인망(300)은 다수의 구멍(310)이 형성되며, 와이어 또는 실등의 소재를 엮어서 만든 망 또는 박판의 소재를 천공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덩굴유인망(300)은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20)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식생유닛(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면 또는 화분(100)에서 식생하는 덩굴식물이 상기 덩굴유인망(300)을 타고 성장하여 결과적으로는 상기 시설물 또는 수목의 측면을 덩굴식물이 감싸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덩굴유인망(300)의 작용으로 가로수, 가로등, 전신주 등에 광고물 부착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하여 사람의 접근이 위험한 경우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덩굴유인망(300)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덩굴식물이 덩굴유인망(300)의 상단까지 성장할 경우 외측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와이어부재(400)가 구간별로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부재(400)는 상부에 외측 또는 외측하단으로 휘어진 절곡부(41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덩굴유인망(300) 또는 와이어부재(400)를 따라 성장한 덩굴식물이 일정높이까지만 자라고, 더 이상 나무 또는 시설물(20) 등을 타고 올라가지 않도록 옆쪽이나 아래쪽으로 성장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덩굴유인망(300)과 와이어부재(400)는 철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서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화분(100)에 고정된 와이어부재(400)에 덩굴유인망(300)이 고정됨으로써 덩굴유인망(300)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와이어부재(400) 또한 덩굴유인망(300)에 고정되어 쓰러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부재(400)의 하단부(420)는 화분(100)의 흙에 심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분(100)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400)의 하단부(420)가 끼워지는 고정용 고리(14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 고리(140)는 상기 와이어부재(400)의 하단부(420)가 끼워지는 끼움공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용 고리(140)에 끼워진 와이어부재(400)는 단순히 화분(100)속 흙에 심어졌을 때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고리(140)는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의 일측에만 일렬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와이어부재(400)는 상기 고정용 고리(140)에 끼워지는 하단부(420)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는 화분(100)의 두께 또는 시설물(20)과 화분(100) 사이 간격 또는 개구부(121)의 폭을 감안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 부재(400)가 고정용 고리(140)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 부재(400)는 상기 절곡된 하단부(420)외에 직선형태의 연장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각각 하단부(420)와 연장부(430)는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에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된 고정용 고리(140)에 각각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마주보도록 형성된 고정용 고리(140)에 끼워진 와이어부재(400)는 일측에 형성된 고정용 고리(140)에만 끼워졌을 때보다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링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구간별로 클립부(510, 520)가 형성된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덩굴유인망(300)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부재(400)를 상기 클립부(510, 520)에 끼워서 지지하는 가이드링(500)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부재(400)의 배치간격과, 가이드링(500)에 형성된 클립부(510, 520)의 배치간격을 서로 대응하며, 탄력지지방식의 클립부(510, 520)에 와이어부재(400)가 끼워짐에 따라, 가이드링(500)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부재(400)가 움직이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클립부(510)가 가이드링(500)의 내측면에 형성될 경우, 와이어부재(400)는 가이드링(500)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클립부(520)가 가이드링(500)의 외측면에 형성될 경우, 와이어부재(400)는 가이드링(500)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식생유닛
100 : 화분
110 : 여과부재
111 : 바닥면
112 : 배수구
113 : 측벽
120 : 측면부재
121 : 개구부
131 : 차단부재
132 : 심지
140 : 고정용 고리
200 : 집수통
210 : 체결수단
211 : 후크부재
212 : 손잡이 부재
213 : 체결구
221,222 : 단턱
230 : 통공
240 : 매립돌기
300 : 덩굴 유인망
400 : 와이어부재
410 : 절곡부
500 : 가이드링
510 : 클립부

Claims (11)

  1. 전신주, 가로등을 비롯한 기둥형태의 시설물 또는 가로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구가 타공되고 상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형태의 화분;
    상기 화분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화분으로 유입된 물이 수집되고 양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집수통;으로 구성되며, 일정 곡률을 갖는 복수의 식생유닛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연속 체결되어 내부에 폐공간(closed typ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내측상단과 외측상단에 각각 걸림용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은 배수구가 타공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통의 내측 단턱에 안착되는 여과부재와, 상부와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단이 상기 집수통의 외측 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여과부재를 감싸는 측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구로 화분의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걸러주는 차단부재 및 상기 집수통의 물을 상기 화분으로 공급하도록 물 흡수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심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은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도록 상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집수통을 지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매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내부의 흙 또는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 개구부가 좁고, 하단으로 내부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집수통의 일측에 연결된 후크부재;
    상기 후크부재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집수통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과 체결구를 형성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지면 또는 상기 화분에 식생하는 덩굴식물의 성장을 상부로 유도하도록 상기 화분의 상부에 상기 시설물 또는 수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덩굴 유인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덩굴유인망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덩굴식물이 덩굴유인망의 상단까지 성장할 경우 외측으로 성장을 유도하는 와이어부재가 구간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부재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고정용 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10. 제 8항에 있어서.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구간별로 클립부가 형성된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덩굴유인망의 외측에 형성된 와이어부재를 상기 클립부에 끼워서 지지하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바닥면에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배수구가 타공되며,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함몰된 형태의 기저부가 형성되어 화분으로 유입된 물이 고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 기둥 조립체.
KR1020120016977A 2012-02-20 2012-02-20 생태 기둥 조립체 KR10139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77A KR101399110B1 (ko) 2012-02-20 2012-02-20 생태 기둥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77A KR101399110B1 (ko) 2012-02-20 2012-02-20 생태 기둥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40A true KR20130096340A (ko) 2013-08-30
KR101399110B1 KR101399110B1 (ko) 2014-06-19

Family

ID=4921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77A KR101399110B1 (ko) 2012-02-20 2012-02-20 생태 기둥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733B1 (ko) * 2019-05-13 2020-02-24 김도현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기둥설치용 보호대
KR102162769B1 (ko) * 2020-02-17 2020-10-07 김도현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기둥설치용 보호대
WO2021160016A1 (zh) * 2020-02-13 2021-08-19 王涤平 智能化立体种植塔
FR3117306A1 (fr) * 2020-12-10 2022-06-17 L'atelier Organique Dispositif végétal urbain autoport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83Y1 (ko) * 2001-02-28 2001-07-03 최진식 저면돌기형 화분
KR100386467B1 (ko) * 2001-03-22 2003-06-1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점적식 조경용 꽃탑
KR20090005993U (ko) * 2007-12-13 2009-06-17 박공영 식생기반체를 이용한 수직 기둥 구조물의 하단 녹화장치
KR101083187B1 (ko) * 2011-05-19 2011-11-11 주식회사 신우엘에스산업 기둥보호용 식생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733B1 (ko) * 2019-05-13 2020-02-24 김도현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기둥설치용 보호대
WO2021160016A1 (zh) * 2020-02-13 2021-08-19 王涤平 智能化立体种植塔
CN113317063A (zh) * 2020-02-13 2021-08-31 王涤平 智能化立体种植塔
KR102162769B1 (ko) * 2020-02-17 2020-10-07 김도현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기둥설치용 보호대
FR3117306A1 (fr) * 2020-12-10 2022-06-17 L'atelier Organique Dispositif végétal urbain autoport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110B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38B1 (ko) 식물 수납 장치
US8978296B2 (en) Watering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KR200420135Y1 (ko) 환경 미화용 분리형 수경화분
JP4912691B2 (ja) 壁面緑化システム
KR101399110B1 (ko) 생태 기둥 조립체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WO2006134938A1 (ja) 建物の壁面緑化システム
JP2014117189A (ja) 樹木栽培方法
KR20170013121A (ko) 집수정을 이용한 수목수분공급장치
JP5633964B2 (ja) 緑化面用材
US9113601B2 (en) Structure for growing plants and a method of creating the structure
KR200387463Y1 (ko)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JP5208079B2 (ja) 緑化ポール
US11096339B2 (en) Drip irrigation system
US7770325B2 (en) Method for planting and transporting pre-grown hedges to provide an instant fence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KR200320196Y1 (ko) 도로미화용 이중화분
KR101480078B1 (ko)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KR200485591Y1 (ko) 가로용 화분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JP6799309B1 (ja) 植栽用容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工法
KR200487841Y1 (ko) 생육이 조절되는 세덤류용 걸이형 화분
KR101336361B1 (ko) 식물 재배용 수분 공급기
CN210275228U (zh) 一种可悬挂组合式水泥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