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438B1 - 식물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438B1
KR101400438B1 KR1020117029940A KR20117029940A KR101400438B1 KR 101400438 B1 KR101400438 B1 KR 101400438B1 KR 1020117029940 A KR1020117029940 A KR 1020117029940A KR 20117029940 A KR20117029940 A KR 20117029940A KR 101400438 B1 KR101400438 B1 KR 10140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asing
plant containment
containment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397A (ko
Inventor
티엠 유 얍
리앙 헹 죠니 웡
호크 셍 알랜 탄
핸 빈센트 림
테바 라이 팰러니새미
푸아이 요크 탄
츈 호크 포
여우 쾅 데렉 찬
Original Assignee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filed Critical 하우징 앤드 디벨로프먼트 보드
Publication of KR2014001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조경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 수납 장치는 복수의 식물 기질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격실을 구비한 기질 컨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기질 컨테이너는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그리드 구성; 및 상기 기질 컨테이너를 수납하도록 중공의 몸체를 형성한 케이싱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복수의 식물 기질에 접근하기 위한 복수의 격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식물 수납 장치{A plant housing device}
본 발명은 조경(landscaping)에 적당한 식물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조경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식물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래 기재된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언급된 임의의 재료가 공공의 일반적인 사실의 일부로 공개되거나 공지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열섬 효과(UHIE : Urban Heat Island Effect)는 도시의 온도가 시외 및 농촌 지역의 온도보다 더 상승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UHIE는 도시화 및 경제 성장의 결과로서 건설된 수많은 빌딩에 의해 주로 발생하고, 도시 지역의 기존 초목과 나무는 수많은 빌딩으로 대체되고 있다. 더욱이, 사람들의 활동은 열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의 발생은 도시 온도 상승의 원인이 된다.
UHIE의 악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초목이 옥상(즉, 녹색 지붕)에서 재배되고 최근에는 빌딩 외관(즉, 그린 월(green wall))에서 재배되어, 대체된 초목과 나무의 부재를 보상하고 있다. 초목은 도시의 이산화탄소 및 여러 독소와 같은 온실 가스를 여과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초목은 빌딩 주위 온도를 떨어뜨리는데 도움이 되어, 팬, 공기-조절기 등과 같은 전기 기구의 사용을 더욱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빌딩 에너지의 소비를 감소시킨다고 연구되어 증명되었다.
종래의 그린 월 시스템에 있어서, (식물의 뿌리가 고정되기 위한 토양, 자갈 등을 포함하는) 식물 기질(substrate)은 편리하게도 큰 지오텍스타일 백(geotextile bag)에 수용된다. 각각의 지오텍스타일 백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박스 형상의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에 채워진다. 이후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가 조립되고 수직식으로 스택되어 수직 벽을 형성한다. 식물 분형근이 식물 기질에 심어져 식물이 성장할 때, 수직 벽은 초목으로 덮어져, 그린 월을 형성한다.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가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지오텍스타일 백 내에 수용된 식물 기질이 내려앉고(settling) 붕괴하게 된다. 식물 기질이 내려앉을 때, 식물의 분형근은 식물 기질과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식물의 최적의 성장에, 특히 식물 수납 장치에서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 식물에 영향을 미친다. 식물 기질을 높게 위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조립체의 총 중량을 부가시킨다. 이 결과, 특히 조립체가 빌딩 외관상에 장착될 때 위험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관개 동안에, 물이 상부 식물 수납 장치로부터 하부 식물 수납 장치로 흐른다. 걸려진 비료가 과도한 물에 의해 이송되어 하부 식물 수납 장치에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비료가 식물 기질에 축적되면 식물에 염부식 효과(salt burn effect)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켜, 식물의 최적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식물 수납 장치의 특정 부분이 교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예를 들면, (식물 수납 장치 하부에 보다 근접해 통상적으로 위치된) 염부식 효과에 의해 영향을 받은 식물이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전체 지오텍스타일 백이 조립체에서 반드시 분리되어 식물 기질이 다시 채워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적어도 경감하는 식물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면, "포함한", "이루어진" 등과 같은 표현은 예시적인 표현으로서,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으로서, 조경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 수납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식물 수납 장치는:
- 복수의 식물 기질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격실을 구비한 기질 컨테이너; 및
- 상기 기질 컨테이너를 수납하도록 중공의 몸체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기질 컨테이너는 실질적인 그리드(grid) 구성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은 복수의 식물 기질에 접근하기 위해 복수의 격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으로서, 식물 수납 장치의 구성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식물 수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1의 식물 수납 장치와 통합된 관개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의 식물 수납 장치의 스냅-온 구성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돌출부와 천공부를 구비한 수직 그리드 부재와 수평 그리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d는 식물 수납 장치의 후방 커버의 후방 벽에서 수평 지지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e는 전방 커버에 삽입된 전방 플레이트를 구비한 식물 수납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f는 수평 지지 부재와 수직 지지 부재의 한 구성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1의 식물 수납 장치와 통합된 관개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물 수납 장치와 통합된 배수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의 조립체의 관개 시스템 및 배수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b는 수직 조경에 사용하기 위한 도 1의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5b의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의 조립체의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5b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해 일 실시예의 상부 연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도 5b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해 일 실시예의 중간 연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1의 식물 수납 장치의 스터드 상호잠금식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1의 식물 수납 장치와 통합된 하부 배수 수단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조경에 적당한 식물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수직 조경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식물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식물 수납 장치(1)의 분해도인 도 1과, 조립된 식물 수납 장치(1)를 도시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식물 수납 장치(1)는 복수의 식물 기질(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격실(3)을 구비한 기질 컨테이너(2)와, 상기 기질 컨테이너(2)를 수납하도록 중공의 몸체를 형성한 케이싱(6)(선택적으로, 6a 및 6b)을 포함한다. 각각의 식물 기질이 개개의 지오텍스타일 백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식물 기질이 복수의 지오텍스타일 백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질 컨테이너(2)는 그리드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3개의 수평 그리드 부재(4)와 3개의 수직 그리드 부재(5)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총 16개의 격실(3)을 형성한다. 비록 16개의 격실 기질 컨테이너(2)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지만, 수평 그리드 부재(4)의 갯수와 수직 그리드 부재(5)의 갯수는 필요한 갯수의 격실을 얻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각각의 격실(3)의 크기는 각각의 수평 그리드 부재(4)와 각각의 수직 그리드 부재(5) 사이의 거리 변경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종의 식물이 동일한 식물 수납 장치에 배치된다면, 그리고 이들 식물 기질 중 일부가 최적의 식물 성장을 위해 나머지 기질 보다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면, 이후 기질 컨테이너(2)의 상이한 크기의 격실(3)이 설계되어 제공될 수 있다.
후방 커버(6a)와 전방 커버(6b)를 포함한 케이싱(6)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후방 커버(6a)는 후방 벽으로 연결된 2개의 마주한 측 벽을 포함하여, 평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방 커버(6b)는 식물 기질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싱(6)의 면이다. 전방 커버(6b)는 격실(3)에 대응하는 개구(7)를 포함하고, 이 개구를 통해 식물 기질에 접근가능하다. 케이싱(6)이 형성되고 후방 커버(6a) 및 전방 커버(6b)가 폐쇄식으로 함께 연결될 때 상기 케이싱은 중공의 몸체를 상기 케이싱(6) 내에서 형성한다. 중공의 몸체는 기질 컨테이너(2)를 상기 중공의 몸체 내에 수납한다. 케이싱(6)의 내부에 의해 형성된 중공의 몸체 내에, 수평 지지 부재(8) 및 수직 지지 부재(9)가 후방 커버(6a)의 내부에 제공되어, 수평 그리드 부재(4) 및 수직 그리드 부재(5)를 각각 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수평 지지 부재(8) 및 수직 지지 부재(9)가 수평 그리드 부재(4) 및 수직 그리드 부재(5) 상에서 각각 파지 작동 또는 클립고정(clipping) 작동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이들을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 부재(9)에 대해 유사하게) 수평 지지 부재(8)의 일 단부가 수평 그리드 부재(4)의 설치부를 가이드하도록 테이퍼진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질 컨테이너(2)가 알맞게 놓여지고 케이싱(6)이 폐쇄될 때 지오텍스타일 백 내의 기질이 중력에 의해 중공의 몸체 내에 알맞게 놓여지도록, 후방 커버(6a)의 후방 벽에 제공된 수평 지지 부재(8)는 기질 컨테이너(2)를 유지하기 위해 기울어져 위치된다. 수평 지지 부재(8)의 이러한 배치는, 기질 컨테이너가 지오텍스타일 백으로 최종적으로 채워질 때, 수평 그리드 부재(4)의 휘어짐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식물 기질이 기질 컨테이너(2)에 수납될 때, 상기 식물 기질이 고정되고 제 위치를 벗어나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지오텍스타일 백을 제 위치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평 그리드 부재(4) 및 수직 그리드 부재(5)에 돌출부(40, 42)가 각각 제공되어 지오텍스타일 백의 파지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그리드 부재(4) 및 수직 그리드 부재(5)가 각각 바람직하게 각각의 천공되어 있어 식물 기질의 분형근이 성장할 수 있고 물이 천공부(44, 46)를 통과할 수 있다. 돌출부(40, 42) 및 천공부(44, 46)를 구비한 수평 그리드 부재(4) 및 수직 그리드 부재(5)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전방 플레이트(50)가 전방 커버(6b)로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어 지오텍스타일 백이 식물 수납 장치(1)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3e는 전방 플레이트(50)가 전방 커버(6b)에 삽입되거나 상기 전방 커버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식물 수납 장치(1)의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용이하게 파지 및 미끄럼 이동하기 위해 플랜지(64)가 전방 플레이트(50)의 일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50)가 식물 수납 장치(1)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서, 홈(66)이 전방 플레이트(50) 상에 제공되고 결합부(도시 생략)가 홈과 결합되도록 전방 커버(6b) 상에 제공되어, 전방 플레이트를 제 위치에 단단하게 유지시킨다. 전방 플레이트(50)의 높이가 충분히 높으므로 지오텍스타일 백이 개구(7) 외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전방 플레이트(50)의 높이는 적어도 지오텍스타일 백의 무게 중심의 높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방 커버(6a)의 폭은 전방 커버(6b)의 폭보다 넓어 수평 지지 부재(8)와 수직 지지 부재(9)를 수용한다. 수평 지지 부재(8) 및 수직 지지 부재(9)가 전방 커버(6b)의 내부에 대신 위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전방 커버(6b)에 제공된 개구(7) 이외에도, 다른 개구(7)가 또한 후방 커버(6a)에 제공되어 식물 수납 장치(1)가 상기 전방 단부 및 상기 후방 단부에 대해 대칭이며, 이는 즉 식물 기질로의 접근이 상기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통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파티션 벽으로 사용가능하다.
식물 수납 장치(1)는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수납 장치(1)의 상부에 위치된 관개 수단(10)을 더 포함한다. 식물 수납 장치(1)의 상부는 관개 수단(10)을 수용하도록 외형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외형(11)은 관개 수단(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관개 수단(10)이 외형(11)에 고정되게 놓여진다. 관개 수단(10)을 수용하기 위한 외형의 확대도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으며, U-자 형상의 채널이 원통형 파이프 구성으로 이루어진 관개 수단(10)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인접한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의 관개 수단이 함께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아래 기재된 바와 같이 중앙 관개 파이프와 연결될 수 있다.
통합된 관개 시스템을 식물 수납 장치(1) 내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또한 유지보수나 또는 교체가 필요한 경우 관개 수단(10)으로의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도록, 식물 수납 장치(1)가 설계된다.
후방 커버(6a) 및 전방 커버(6b)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위치에 연결되고 스냅-온 구성으로 잠겨진다. 돌출부(16a)가 후방 커버(6a)의 측 벽에 제공된다. 리세스(16b)가 전방 커버(6b)의 측 벽에 제공된다. 돌출부(16a) 및 리세스(16b)는, 그 형상 및 그 위치가 서로 대응되고, 케이싱(6)이 폐쇄될 때 돌출부(16a)가 리세스(16b)에 억지 끼워맞춰지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16a) 및 리세스(16b)가 타이트하게 끼워맞춰질 수도 있지만 분리되도록 충분한 힘으로 따로 당겨질 수 있어, 유지보수를 위해 식물 기질로 접근가능하도록 전방 커버(6b)가 개방된다. 다른 상호잠금식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싱(6)이 나사 및 너트 또는 스프링 잠금부 및 소켓 또는 선반 또는 스냅식-잠금 조인트 또는 스터드에 의해 폐쇄 유지될 수 있다. 도 7a -도 7c는 스터드가 잠금 수단으로 사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스터드(52)를 각각의 커머(comer)에서 수용하기 위해 4개의 리세스(54)를 구비한 전방 커버(6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스터드(52)를 대응하는 코너에서 수용하기 위해 4개의 리세스(56)를 구비한 후방 커버(6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전방 커버(6b)와 후방 커버(6a)를 스터드(52)의 회전 작용으로써 상호잠그기 위해, 리세스(54, 56)에 단단하게 고정된 스터드(52)를 구비한 조립된 케이싱(6)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방 커버가 용이하게 개방되어 식물 기질이 용이하게 배치되거나 제거되도록, 전방 커버 및 후방 커버가 간단한 방식으로 상호잠겨지게 케이싱이 설계된다.
유리하게도 케이싱(6) 및 스터드(52)가 폴리프로필렌 및 고 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과 같은 경량의 탄성 재료로 성형되어,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1)가 최소의 맨파워로 용이하게 설치된다. 리세스(34)가 또한 후방 커버(6a) 및/또는 전방 커버(6b)의 엣지 벽에 제공된다. 엣지 벽 리세스(34)가 아래 기재된 바와 같이, 중간 연결기(18)의 플랜지(28)를 수용한다. 하부의 엣지 벽 리세스가 또한 중간 연결기(18)의 플랜지(28)를 수용한다.
식물 수납 장치(1)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수납 장치(1)의 하부에 위치된 배수 수단(12)을 더 포함한다. 식물 수납 장치(1)의 하부의 외형이 형성되어, 과도한 유체(예를 들면, 물 및 비료)가 식물 수납 장치(1)에 수용되지 않지만, 대신 상기 과도한 유체가 배수 수단(12)을 통해 드레인되어 나간다. 편리하게도, 외형(13)이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채널을 형성하여 원통형 파이프 구성을 갖는 배수 수단(12)을 수용한다. 인접한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의 배수 수단은 함께 연결되고 아래 기재된 바와 같이 중앙 배수 하향 파이프와 더욱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 수납 장치(1)의 하부의 외형이 하부 중앙에 편리하게 위치된 오리피스(60) 쪽으로 기울어져, 과도한 물이 중력에 의해 수직 방식으로 배출 파이프(58)를 통해 드레인된다. 오리피스(60)가 중앙을 벗어나 위치되거나 하부의 일 단부쪽으로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배출 파이프(58)가 상기 파이프의 일 단부에서 플랜지를 구비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58)가 오리피스(60)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파이프 일 단부에 위치한 플랜지에 의해 배출 파이프(58)가 식물 수납 장치(1)의 하부에 놓여질 수 있다. 때때로 식물 수납 장치(1)로부터 물이 누출되지 않아야 할 때, 예를 들면 이송이나 유지보수 동안에, 오리피스(60)가 도 8에 도시된 스토퍼(62)로써 실링될 수 있다. 인접한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의 배수 수단이 함께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중앙 배수 파이프와도 연결될 수 있지만 중력에 의한 과도한 물의 드레인을 위해 기울어질 수 있다.
통합된 배수 시스템을 식물 수납 장치(1) 내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또한 보다 높게 위치된 식물 수납 장치로부터 보다 낮게 위치된 식물 수납 장치까지 과도한 유체가 부주의하게 엎질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식물 수납 장치(1)가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충망(14, pest netting)이 식물 수납 장치(1)의 하부 근처 위쪽에 제공되거나, 또는 배수 수단(12)용 외형(13)상에 놓여질 수 있다. 해충망(14)이 모기와 두꺼비와 같은 유해물이 배수 시스템에 들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해충망(14)은 또한 위에서 떨어지는 낙엽이나 물체에 의해 배수 시스템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는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1)의 조립체에서의 관개 시스템 및 배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매트릭스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열에서의 인접한 식물 수납 장치(1)의 관개 수단(10)이 서로 연결된다. 상부 열의 코너에서 식물 수납 장치(1)의 관개 수단(10)의 제 1 단부가 압력 조정식 물 공급부와 연결된다. 제 1 단부로부터 가장 먼 상부 열의 어느 한 코너에서 식물 수납 장치(1)의 관개 수단(10)의 제 2 단부가 하부 열의 코너에서 식물 수납 장치(1)의 관개 수단(10)의 제 3 단부와 연결된다. 작동 동안에, 물이 제 1 단부에 들어가고 각각의 식물 수납 장치(1)를 통해 상부 열로 순차로 유동한다. 물이 제 2 단부에 도달할 때, 하부 열로 하향 유동하고 하부 열의 각각의 식물 수납 장치(1)를 통해 계속 유동한다. 조립체에서의 각각의 식물 수납 장치(1)가 관개되는 하부 열에 물이 도달할 때까지 사행 패턴과 유사하게 물이 계속 흐를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관개 수단(10)에서의 물이 펌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일 방향으로 중력 수단에 의해 유동한다. 과도한 물이 이후 관개 시스템을 빠져나오고 배수 출구 파이프를 통해 배수 시스템과 합류한다. 이와 유사하게, 인접한 식물 수납 장치(1)의 배수 수단(12)이 각각의 열에서 서로 연결된다. 물이 조립체에서의 각각의 식물 수납 장치(1)를 통해 흐르도록 사행 패턴을 형성하는 관개 시스템과 달리, 각각의 열에서 연결된 배수 수단(12)이 배수 출구 파이프를 통해 조립체의 한 면에서 연결된다. 관개 후 과도한 물이 수집되고 배수 수단(12)에 의해 각각의 열에서 드레인되며, 최종적으로 배수 출구 파이프에 의해 조립체 밖으로 드레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된 통합 관개 시스템 및 배수 시스템을 각각 구비한 식물 수납 장치(1)의 조립체는, (i) 신선한 물만이 각각의 식물 수납 장치(1)에 관개되고, (ii) 각각의 식물 수납 장치(1)에서 걸려진 비료가 다른 식물 수납 장치(1)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즉시 드레인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직면하게 되는 염 변색에 의해 야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경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5b에 있어서, 복수의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1)의 조립체(15)가 수직 조경을 위해, 예를 들면, 빌딩의 외관에 장착을 위해 온실(greenery)이 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개개의 모듈식 식물 수납 장치(1)가 상부 연결기(20), 하부 연결기(19), 및/또는 중간 연결기(18)에 의해 2개의 수직 레일부(17)에 부착된다. 후방 커버(6a)가 수직 레일부(17)에 부착되는 한편, 전방 커버(6b) 상의 개구(7)가 수직 레일부(17)와 어긋나도록, 식물 수납 장치(1)가 설치된다. 상부 연결기(20)(하부 연결기(19)와 미러 대칭) 및 중간 연결기(18)가 도 6b 및 도 6c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중간 연결기(18)는 하부 벽(24)과 상부 벽(26)이 측 벽(22)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실질적인 C-형상 구성을 갖는다. 상부 벽(26)과 하부 벽(24)이 단독으로 서있는(free-standing) 측 벽(22)의 양 단부에서, 상향-뻗어있는 플랜지(30)가 상부 벽(26)으로부터 뻗어있는 한편, 하향-뻗어있는 플랜지(28)가 하부 벽(24)으로부터 뻗어있다. 수직 레일부가 설치될 때 체결 수단(32)이 수직 레일부(17)에 고정시키기 위해 측 벽(22) 상에 제공된다. 상부 연결기(20)가 상부 벽(26) 및 상향-뻗어있는 플랜지(30)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중간 연결기(18)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 6a는 사용된 중간 연결기(18)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향-뻗어있는 플랜지(28)가 중간 연결기(18)의 하부 벽(24)으로부터 뻗어있고, 후방 커버(6a) 및 전방 커버(6b)의 엣지 벽에 제공된 리세스(34)에 수용된다. 식물 수납 장치(1)용 여러 선택적인 부착 수단이 또한 가능하며, 예를 들면, 후방 커버(6a)에 제공된 후크가 수직 레일부(17)에 제공된 리세스에 삽입(slot)된다.
상기-기재한 식물 수납 장치가 아래 (a) - (f)로 설명된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a) 식물 기질이 개개의 지오텍스타일 백에 각각 수용될 때, 단일의 큰 지오텍스타일 백 내의 수용에 의한 기질의 붕괴 및 내려앉음과 같은 문제점이 피해진다. 더욱이, 식물 기질이 교체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식물 기질이 개개의 지오텍스타일 백에 현재 수용되기 때문에, 격실화된 기질 컨테이너 설계는 교체가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b) 상기 기질 컨테이너에 형성된 격실의 갯수는 장치의 필요한 외관에 맞춰지도록 조정가능하다. 더욱이, 각각의 격실의 크기가 또한 상이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조정가능하다.
(c) 상기 통합된 관개 시스템 및 식물 수납 장치의 상부에 제공된 관개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외형이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상기 관개 수단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d) 과도한 물 및 비료가 여러 식물 수납 장치를 오염시키지 않고도 배수 출구 파이프를 통해 드레인되어 나가기 때문에, 통합된 배수 시스템이 염부식과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한다.
(e) 전방 커버가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해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설계된다.
(f) 식물 수납 장치가 경량의 재료로 만들어져 최소의 맨파워가 설치 및 유지보수에 요구된다.
비록 본 발명이 명확한 이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시와 일례로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대한 여러 변경이나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개별 백에 각각 수용된 복수의 식물 기질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격실을 구비한 기질 컨테이너;
    상기 기질 컨테이너를 수납하도록 중공의 몸체를 형성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위치된 배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질 컨테이너는 복수의 격실을 형성하기 위해 그리드 구성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복수의 식물 기질에 접근하기 위해 복수의 격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에 사용하기 위한 식물 수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 컨테이너는 그리드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 하나 이상의 수평 그리드 부재와 하나 이상의 수직 그리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전방 커버 및 후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 및 상기 후방 커버가 상호잠금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될 때 상기 케이싱은 중공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식물 기질로 접근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커버가 상기 상호잠금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잠금 수단은 스터드이거나, 나사 및 너트이거나, 스프링 잠금부 및 소켓이거나, 선반이거나, 또는 스냅식-잠금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복수의 개구는 상기 전방 커버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의 상기 내부는, 각각의 수평 그리드 부재와 수직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수평 지지 부재 및 하나 이상의 수직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그리드 부재 및 상기 수직 그리드 부재 각각은 돌출부 및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케이싱의 복수의 개구의 일부를 커버하는 분리가능한 전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된 관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부는 상기 배수 수단을 제공하도록 외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부는 오리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부는 상기 오리피스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외형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13. 제 10 항에 따른 복수의 식물 수납 장치의 조립체로서, 제 1 식물 수납 장치의 상기 관개 수단은 인접한 식물 수납 장치의 관개 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식물 수납 장치의 상기 배수 수단은 인접한 식물 수납 장치의 상기 배수 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수납 장치.
  15. 삭제
KR1020117029940A 2009-07-31 2010-04-26 식물 수납 장치 KR101400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905150-9 2009-07-31
SG200905150-9A SG168442A1 (en) 2009-07-31 2009-07-31 A plant housing device
PCT/SG2010/000165 WO2011014124A1 (en) 2009-07-31 2010-04-26 A plant hou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397A KR20140014397A (ko) 2014-02-06
KR101400438B1 true KR101400438B1 (ko) 2014-05-28

Family

ID=4352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940A KR101400438B1 (ko) 2009-07-31 2010-04-26 식물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1400438B1 (ko)
CN (1) CN102595875B (ko)
HK (1) HK1173333A1 (ko)
MY (1) MY169825A (ko)
SG (1) SG168442A1 (ko)
WO (1) WO20110141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708B1 (ko) * 2019-02-25 2020-07-09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기공용 디스크 블록의 정렬 보관장치
KR20230129673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로컬앤라이프 수경재배식물용 수납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9522A2 (en) 2011-03-24 2012-09-27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Modular walls with incorporated planters
CN102217506B (zh) * 2011-06-08 2013-09-25 赵艳丽 一种植物壁画装置
CN103039285B (zh) * 2011-10-12 2015-04-22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具有活动单元的墙面绿化系统及其安装方法
CN103362251A (zh) * 2012-04-06 2013-10-23 西南科技大学 一种滴灌种植屋面砖
FR3000872B1 (fr) * 2013-01-16 2015-08-07 Jungle Art Panneau modulaire de dispositif de culture vegetale en hydroponie
CN103053404A (zh) * 2013-01-19 2013-04-24 东南大学 一种组合移动式屋顶绿化模块
CN103039345A (zh) * 2013-01-19 2013-04-17 东南大学 一种组合移动式墙面绿化模块
SE537507C2 (sv) * 2013-08-26 2015-05-26 Patric Torle Anordning för odling och sätt för åstadkommande därav
CN104396713B (zh) * 2014-12-10 2017-01-25 南宁市万绿花木场 一种挂式绿萝模板及利用该模板进行绿萝繁殖的方法
CN104871853A (zh) * 2015-05-06 2015-09-02 苏州翔天装饰设计有限公司 多用途组合式植物墙
CH712006B1 (fr) * 2016-01-08 2020-02-28 Green Sentinel Sa Module de culture végétale pour mur végétalisé et structure modulaire de mur végétalisé.
US20180332774A1 (en) * 2017-05-18 2018-11-22 Austin Lott Garden planter
FR3069752A1 (fr) * 2017-08-04 2019-02-08 Antoine Et Nicolas Cartouche pour module de mur vegetal vertical
GB2591501A (en) * 2020-01-30 2021-08-04 Rowlands Richard A plant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50Y1 (ko) 2000-04-20 2000-10-16 김동수 육묘용 포트
JP2001327222A (ja) * 2000-05-22 2001-11-27 Prg:Kk 花壇システム
KR200363002Y1 (ko) 2004-06-17 2004-09-22 이인하 급수 화분
JP2004337054A (ja) 2003-05-15 2004-12-02 Nippon Chiko Co Ltd 壁面緑化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594A (en) * 1991-11-07 1994-11-15 A.C.T. Inc. Vertical gardens
JP2762341B2 (ja) * 1994-04-05 1998-06-04 株式会社淺沼組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JP3549130B2 (ja) * 1995-06-30 2004-08-04 株式会社淺沼組 植栽用壁体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植栽容器
CN1640226A (zh) * 2004-01-09 2005-07-20 娄成城 挂壁式边坡营养袋
DE202004000438U1 (de) * 2004-01-14 2004-06-17 Boymann Begrünungen GmbH & Co. KG Anordnung zur Fassadenbegrünung
KR100976764B1 (ko) * 2005-10-12 2010-08-19 니혼 지코 가부시키가이샤 다목적 식재 기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950Y1 (ko) 2000-04-20 2000-10-16 김동수 육묘용 포트
JP2001327222A (ja) * 2000-05-22 2001-11-27 Prg:Kk 花壇システム
JP2004337054A (ja) 2003-05-15 2004-12-02 Nippon Chiko Co Ltd 壁面緑化ユニット
KR200363002Y1 (ko) 2004-06-17 2004-09-22 이인하 급수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708B1 (ko) * 2019-02-25 2020-07-09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치기공용 디스크 블록의 정렬 보관장치
KR20230129673A (ko) 2022-03-02 2023-09-11 주식회사 로컬앤라이프 수경재배식물용 수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397A (ko) 2014-02-06
CN102595875B (zh) 2015-01-21
SG168442A1 (en) 2011-02-28
WO2011014124A1 (en) 2011-02-03
MY169825A (en) 2019-05-16
CN102595875A (zh) 2012-07-18
HK1173333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438B1 (ko) 식물 수납 장치
US5533302A (en) Modular planting system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CA2785232A1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120100711A (ko) 식물 트레이
KR200432507Y1 (ko) 작물의 공중재배용 포트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AU2015215664A1 (en) A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KR101079974B1 (ko) 액자형 벽걸이 화분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US11678613B2 (en) Railing mountable horticultural container
JP4940089B2 (ja) 緑化ユニット
JP5368041B2 (ja) 緑化用の容器ユニット
JP2009082102A (ja) 緑化ユニットおよび緑化システムならびに植栽ホルダーおよび収納コンテナ
KR101399110B1 (ko) 생태 기둥 조립체
KR102257401B1 (ko)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 및 상기 화분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BE1020770A3 (nl) Bloembak.
KR101903332B1 (ko) 도로 난간 설치용 이중 화분
JP4590408B2 (ja) 植物を育成するための装置
KR20190140127A (ko) 벽면 정원 설비
KR101196121B1 (ko) 식생 상자 조립체
CN208144100U (zh) 改进的水耕装置调整结构
JP6816425B2 (ja) 緑化装置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JP2003134927A (ja) 緑化用植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