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078B1 -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078B1
KR101480078B1 KR1020130110277A KR20130110277A KR101480078B1 KR 101480078 B1 KR101480078 B1 KR 101480078B1 KR 1020130110277 A KR1020130110277 A KR 1020130110277A KR 20130110277 A KR20130110277 A KR 20130110277A KR 101480078 B1 KR101480078 B1 KR 101480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storage tank
plant
plant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씨앤더블 주식회사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더블 주식회사, 김쌍목, 김근효, 최재영 filed Critical 씨앤더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0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히 불을 밝히는 역할을 하는 가로등을 도시미관과 친환경적인 기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하면서 공급된 물과 우수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의 상단에 장착되는 램프를 구비하고, 가로등주에 식물이 자라는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부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부는 가로등주에서 법선 방향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관과, 상기 경사관의 상단과 연결되어 확장되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확장 장착부와, 상기 확장 장착부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형성되고 관통된 3개 이상의 배출홀을 구비하여 담겨진 재배토 또는 다공질의 합성수지에 식물이 자라도록 하는 식물재배 판넬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 장착되는 물 저장탱크와, 상기 물 저장탱크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수 필터를 거쳐 물 저장탱크의 상부를 관통하고 공급펌프에 의하여 경사관과 확장 장착부를 거쳐 상단은 막혀있고 식물재배 판넬의 식물에 물을 주도록 3개 이상의 물 공급홀이 형성되는 물 공급관과, 상기 가로등주의 외부에서 상기 물 저장탱크의 상부로 관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원수 투입관으로 구성되는 물공급부와;
하나 이상의 상기 식물재배 판넬의 배출홀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여 식물재배 판넬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된 후 잉여수 필터를 거쳐 상기 물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관과, 상기 물 저장탱크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배수밸브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관과, 상기 물 저장탱크의 상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배수밸브를 지난 드레인관과 연결되어 일정 수위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수위조절관으로 구성되는 물 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The street lamp that have a bedding out a plants fuction}
본 발명은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순히 불을 밝히는 역할을 하는 가로등을 도시미관과 친환경적인 기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에 물을 공급하고 배수하면서 공급된 물과 우수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처음 가로등이 등장하였을 때에는 환한 불빛과 도로변을 따라 일렬로 늘어선 모습에 아름다움을 느꼈으나 점차 단순히 가로등주의 상부에 달린 램프는 단순하다는 생각에 가로등의 디자인도 다양화되고 각 지자체에서는 해당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것을 형상화하여 가로등을 설치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로등도 도시개발과 함께 금속으로 이루어진 가로등은 도시의 삭막한 분위기에 일조한다는 생각으로 주변을 도로 가로수와 화분 등으로 가꾸는 것에서 가로등 자체에 화분을 장착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특히 가로등에 화분을 달아 각종 꽃이 자라도록 하는 방법은 삭막한 도시 분위기를 개선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으나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관리해야하는 것으로 상당한 인력과 비용의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화분을 거친 물은 미세한 흙을 포함하여 많은 불순물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것이 가로등주를 따라 흘러내릴 경우 가로등이 지저분해지고 가로등주가 아닌 바닥에 떨어질 경우에도 행인이 맞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929794-0000호 (2009년11월26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33843호 (2010년12월22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65704-0000호 (2012년07월09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72866-0000호 (2012년08월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로등에 화분을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을 주는 관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남은 물이 빠져나가는 배수가 가로등주나 주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공급된 후 남아 흘러내리는 물이나 우수를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의 상단에 장착되는 램프를 구비하고, 가로등주에 식물이 자라는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부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부는 가로등주에서 법선 방향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관과, 상기 경사관의 상단과 연결되어 확장되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확장 장착부와, 상기 확장 장착부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형성되고 관통된 3개 이상의 배출홀을 구비하여 담겨진 재배토 또는 다공질의 합성수지에 식물이 자라도록 하는 식물재배 판넬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 장착되는 물 저장탱크와, 상기 물 저장탱크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수 필터를 거쳐 물 저장탱크의 상부를 관통하고 공급펌프에 의하여 경사관과 확장 장착부를 거쳐 상단은 막혀있고 식물재배 판넬의 식물에 물을 주도록 3개 이상의 물 공급홀이 형성되는 물 공급관과, 상기 가로등주의 외부에서 상기 물 저장탱크의 상부로 관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원수 투입관으로 구성되는 물공급부와;
하나 이상의 상기 식물재배 판넬의 배출홀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여 식물재배 판넬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된 후 잉여수 필터를 거쳐 상기 물 저장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관과, 상기 물 저장탱크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배수밸브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관과, 상기 물 저장탱크의 상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배수밸브를 지난 드레인관과 연결되어 일정 수위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수위조절관으로 구성되는 물 배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식물 재배부의 확장 장착부에는 상기 경사관의 연장선상으로 내측을 이등분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양측과 확장 장착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높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물 공급관은 상기 격벽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고 물 공급홀은 양측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물재배 판넬은 상기 격벽으로 나누어진 공간 중 하나에 삽입되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안착돌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에는 상기 물 저장탱크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이 있어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확인관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식물 재배부에는 상기 확장 장착부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식재된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와 물 배출부는 가로등주의 외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가로등주와 램프만으로 이루어진 가로등에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미관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공급 후에 하부로 빠져나오는 잔여 물 및 우수 즉 빗물을 용이하게 재활용하여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재배가 용이하고 잔여 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분장착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재배부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가로등주(1)와 상기 가로등주(1)의 상단에 장착되는 램프(2)를 구비하고, 가로등주(1)에 식물(3)이 자라는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부(4)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부(4)는 가로등주(1)에서 법선 방향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관(41)과, 상기 경사관(41)의 상단과 연결되어 확장되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확장 장착부(42)와, 상기 확장 장착부(42)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형성되고 관통된 3개 이상의 배출홀(43)을 구비하여 담겨진 재배토 또는 다공질의 합성수지(31)에 식물(3)이 자라도록 하는 식물재배 판넬(44)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주(1)의 내부에 장착되는 물 저장탱크(51)와, 상기 물 저장탱크(52)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수 필터(52)를 거쳐 물 저장탱크(51)의 상부를 관통하고 공급펌프(53)에 의하여 경사관(41)과 확장 장착부(42)를 거쳐 상단은 막혀있고 식물재배 판넬(44)의 식물(3)에 물을 주도록 3개 이상의 물 공급홀(54)이 형성되는 물 공급관(55)과, 상기 가로등주(1)의 외부에서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상부로 관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원수 투입관(56)으로 구성되는 물공급부(5)와;
하나 이상의 상기 식물재배 판넬(44)의 배출홀(43)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여 식물재배 판넬(44)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된 후 잉여수 필터(61)를 거쳐 상기 물 저장탱크(51)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관(62)과,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배수밸브(63)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관(64)과,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상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배수밸브(63)를 지난 드레인관(64)과 연결되어 일정 수위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수위조절관(65)으로 구성되는 물 배출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을 나타내었다.
본원은 먼저 자동 또는 간단한 스위치의 작동만으로 식물(3)에 물을 주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과거에는 급수차를 이용하여 물을 주었던 불편함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별도의 수도관을 연결할 필요 없이 내부의 물 저장탱크(51)는 수 회 이상 물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양이 저장되면 물 저장탱크(51)에 물을 채우는 빈도도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물을 준 이후에 잔여 물 즉 잉여수는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다시 물 저장탱크(51)에 저장하도록 하되 잉여수 필터(61)를 구비하여 물 저장탱크(51)로 보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비가 올 경우에는 우수가 모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이때 과거 급수차를 이용하여 물을 주던 형식의 경우 잔여 물은 하부로 떨어지게되지만 본원은 이러한 경우가 없어 가로등주(1)나 인근 바닥을 오염시키거나 행인에게 물이 튈 우려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언급한 재배토 또는 다공질의 합성수지(31)에서 재배토는 흙 모래 기타 다양한 배양을 위한 배양토를 말하는 것이며 합성수지(31)는 흔히 스펀지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식물 재배에 사용되는 다양한 인공 제작물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상기 물 공급부(5)에는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이 있어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확인관(57)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외부에서도 물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필요할 때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분장착구조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식물 재배부(4)의 확장 장착부(42)에는 상기 경사관(41)의 연장선상으로 내측을 이등분하는 격벽(45)과, 상기 격벽(45)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양측과 확장 장착부(42)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높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6)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물 공급관(55)은 상기 격벽(45)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고 물 공급홀(54)은 양측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물재배 판넬(44)은 상기 격벽(45)으로 나누어진 공간 중 하나에 삽입되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46)에 걸리는 안착돌출부(47)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식재할 식물이 계절에 따른 꽃일 경우 철마다 다른 종류의 꽃을 볼 수 있도록 식물(3)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원은 식물재배 판넬(44)을 하나의 화분 형식으로 제작하여 교체작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시한 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식물 재배부(4)에는 상기 확장 장착부(42)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식재된 식물(3)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48)을 추가로 구비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먼저 야간에 식물(3)에 조명을 비춤으로 또 다른 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로 적용 가능하며 또 다른 예로는 식물이 자라기 용이한 추가적인 빛을 제공하여 비교적 햇빛이 들지 않는 위치거나 햇빛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식물이 웃자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물 공급부(5)와 물 배출부(6)는 가로등주(1)의 외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도 9의 경우 기존의 가로등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식물재배부(4)를 고정부재(49)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가로등 인근에 물 공급부(5)와 물 배출부(6)를 설치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 경우 가로등주(1)의 부피가 충분한 양의 물을 저장하기 곤란하므로 물 저장탱크(51)를 지하에 매립하여 하나 이상의 가로등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 9와 도 10은 혼합 적용하여 기존의 가로등에 적용하여 물 저장탱크(51)를 지하에 매립하고 식물 재배부(4)를 고정부재에 장착하는 예나, 전용 가로등을 제공하되 물 공급부(5)와 물 배출부(6)를 외부에 설치하는 실시 예로도 적용가능하다.
1 : 가로등주
2 : 램프
3 : 식물
31 : 합성수지
4 : 식물 재배부
41 : 경사관 42 : 확장 장착부
43 : 배출홀 44 : 식물재배 판넬
45 : 격벽 46 : 걸림턱
47 : 안착돌부 48 : 조명등
49 : 고정부재
5 : 물 공급부
51 : 물 저장탱크 52 : 공급수 필터
53 : 공급펌프 54 : 물 공급홀
55 : 물 공급관 56 : 원수 투입관
57 : 수위 확인관
6 : 물 배출부
61 : 잉여수 필터 62 : 배수관
63 : 배수밸브 64 : 드레인관
65 : 수위조절관

Claims (5)

  1.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가로등주(1)와 상기 가로등주(1)의 상단에 장착되는 램프(2)를 구비하고, 가로등주(1)에 식물(3)이 자라는 하나 이상의 식물 재배부(4)를 구비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부(4)는 가로등주(1)에서 법선 방향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관(41)과, 상기 경사관(41)의 상단과 연결되어 확장되면서 상면이 개방되는 확장 장착부(42)와, 상기 확장 장착부(42)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함몰형성되고 관통된 3개 이상의 배출홀(43)을 구비하여 담겨진 재배토 또는 다공질의 합성수지(31)에 식물(3)이 자라도록 하는 식물재배 판넬(44)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등주(1)의 내부에 장착되는 물 저장탱크(51)와,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는 공급수 필터(52)를 거쳐 물 저장탱크(51)의 상부를 관통하고 공급펌프(53)에 의하여 경사관(41)과 확장 장착부(42)를 거쳐 상단은 막혀있고 식물재배 판넬(44)의 식물(3)에 물을 주도록 3개 이상의 물 공급홀(54)이 형성되는 물 공급관(55)과, 상기 가로등주(1)의 외부에서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상부로 관통되어 물을 공급하는 원수 투입관(56)으로 구성되는 물공급부(5)와;
    하나 이상의 상기 식물재배 판넬(44)의 배출홀(43) 하부에 상단이 위치하여 식물재배 판넬(44)에서 배출되는 물이 유입된 후 잉여수 필터(61)를 거쳐 상기 물 저장탱크(51)로 유입되도록 하는 배수관(62)과,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하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배수밸브(63)를 거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드레인관(64)과,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상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배수밸브(63)를 지난 드레인관(64)과 연결되어 일정 수위이상의 물을 배출하는 수위조절관(65)으로 구성되는 물 배출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부(4)의 확장 장착부(42)에는 상기 경사관(41)의 연장선상으로 내측을 이등분하는 격벽(45)과, 상기 격벽(45) 상단에서 하부로 이격된 양측과 확장 장착부(42)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높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46)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물 공급관(55)은 상기 격벽(45)의 상단을 따라 연장되고 물 공급홀(54)은 양측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식물재배 판넬(44)은 상기 격벽(45)으로 나누어진 공간 중 하나에 삽입되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46)에 걸리는 안착돌출부(47)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5)에는 상기 물 저장탱크(51)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이 있어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확인관(57)이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재배부(4)에는 상기 확장 장착부(42)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식재된 식물(3)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48)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5)와 물 배출부(6)는 가로등주(1)의 외부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KR1020130110277A 2013-09-13 2013-09-13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KR101480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77A KR101480078B1 (ko) 2013-09-13 2013-09-13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277A KR101480078B1 (ko) 2013-09-13 2013-09-13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078B1 true KR101480078B1 (ko) 2015-01-21

Family

ID=5259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277A KR101480078B1 (ko) 2013-09-13 2013-09-13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485A (zh) * 2017-11-24 2018-05-08 江苏明钰新能源有限公司 一种护栏式路灯
WO2024067899A1 (de) * 2022-09-28 2024-04-04 WE-EF LEUCHTEN GmbH Leuchten-mast, leuchte, verfahren zum bewässern von pflanzen sowie verwend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00B1 (ko) * 2004-02-26 2005-10-05 신용오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
KR100929794B1 (ko) * 2009-04-21 2009-12-07 군산시 하늘공원 가로등
KR20100133843A (ko) * 2009-06-12 2010-12-22 옥윤선 분수시스템을 구비한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00B1 (ko) * 2004-02-26 2005-10-05 신용오 자동 수분 공급 기능을 구비한 전주용 화분 장치
KR100929794B1 (ko) * 2009-04-21 2009-12-07 군산시 하늘공원 가로등
KR20100133843A (ko) * 2009-06-12 2010-12-22 옥윤선 분수시스템을 구비한 가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485A (zh) * 2017-11-24 2018-05-08 江苏明钰新能源有限公司 一种护栏式路灯
WO2024067899A1 (de) * 2022-09-28 2024-04-04 WE-EF LEUCHTEN GmbH Leuchten-mast, leuchte, verfahren zum bewässern von pflanzen sowie verwend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16B1 (ko) 저관리형 도시녹화 조경모듈
JP2012514998A (ja) 組み立て式植栽箱及び組み立て式造景システム
KR101128470B1 (ko) 빗물을 이용한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WO2009122210A1 (en) A planting tray
WO2009107929A1 (en) Flowerpot for street
KR101373452B1 (ko) 빗물 재활용 가로등
KR20110029818A (ko) 빗물을 이용한 고속도로용 식생구조
KR101480078B1 (ko) 식물 재배기능을 구비한 가로등
KR100990245B1 (ko) 식물 생육 구조체
KR20130123266A (ko) 화분 난간
KR200387463Y1 (ko) 가로등 및 전신주의 지주걸이용 화분
KR20070094676A (ko) 발광화분
KR101399110B1 (ko) 생태 기둥 조립체
KR102430295B1 (ko) 수목 관리 장치
CN214329413U (zh) 一种特色小镇的建筑景观一体化装置
KR101747926B1 (ko) 개비온을 이용한 조형물
KR20090004025U (ko) 화초재배가 가능한 다리난간 및 그 다리난간의 급수설비시스템
KR100929794B1 (ko) 하늘공원 가로등
KR200475246Y1 (ko) 저면관수형 노변화분
KR20100051493A (ko) 식생용 휀스
KR200353414Y1 (ko) 화분 걸이 장치 및 화분 걸이 장치를 구비한 기둥
CN212306251U (zh) 一种智能庭院照明灯
CN104221774B (zh) 攀缘植物立体园林绿化亭
KR200295053Y1 (ko) 다용도 화분
KR200329641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