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83Y1 - 저면돌기형 화분 - Google Patents

저면돌기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583Y1
KR200230583Y1 KR2020010005375U KR20010005375U KR200230583Y1 KR 200230583 Y1 KR200230583 Y1 KR 200230583Y1 KR 2020010005375 U KR2020010005375 U KR 2020010005375U KR 20010005375 U KR20010005375 U KR 20010005375U KR 200230583 Y1 KR200230583 Y1 KR 200230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plant
water
po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식
Original Assignee
최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식 filed Critical 최진식
Priority to KR2020010005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583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면이 돌기한 구조의 저면돌기형 화분에 관하여, 화분(1)의 밑바닥에 저면돌기부(4)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배수/통기구(7)를 설치하므로서 화분(1)에 공급되는 물이 우선 담수조(8)로 유입되고 과잉의 물은 상기 배수/통기구(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담수조(8)에 유입된 물은 점차 모세관현상으로 식물(2)의 뿌리(5)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수/통기구(7)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어 식물(2)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저면돌기형 화분이다.

Description

저면돌기형 화분{BOTTOM DESIGNED FLOWERPOT}
본 고안은 저면이 돌기한 구조의 저면돌기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화분의 밑바닥에 저면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배수/통기구를 설치하므로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우선 담수조에 유입되고 과잉의 물은 상기 배수/통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담수조에 유입된 물은 점차 모세관현상으로 식물의 뿌리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수/통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저면돌기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경제와 산업이 발달해 가면서 산림이나 녹지는 줄어들고 대신에 인구증가에 따른 주거공간이 늘어나, 제한된 공간내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는 화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실외보다는 주로 실내에서 기능하는 화분은 인간의 시각 혹은 후각을 자극하여 인간에게 활력소를 불어 넣어주는 하나의 수단이지만, 그 모양이나 형태에 있어서는 저면이 막힌 둥근 원통형으로 예나 지금이나 큰 변화가 없다.
도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분(30)은 저면이 막혀 있고, 그 중앙에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바닥에는 대부분 발포스치로폼 등의 다수의 완충재(34)가 깔려 있는데, 이는 화분(30)의 크기에 따른 하중을 줄이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지만, 완충재(34) 사이사이에 물을 고이도록 하여 화분토(32)의 습기를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화분(30)에 물을 주게 되면, 화분토(32)와 완충재(34) 부근에 일부가 머물고 과량의 물은 화분(30) 저면의 배수구(33)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게 되는데, 물의 공급이 너무 잦으면 식물(31)의 뿌리가 썩게 되고, 반대로 물의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 결국은 식물(31)이 말라 죽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화분(30)에 제때 마다 주기적으로 물을 보급해 주어야 하는 작업이, 관리자 입장에서 보면 상당한 주의와 신경을 쓰이게 하는 일로서, 식물(31)의 종류에 따라 물을 어느 정도 주어야 하는지, 또는 어떤 주기로 주어야 하는지를 기억하기란 그리 쉽지 않아 때를 놓치거나 너무 과량의 물을 공급하여 불행한 일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고안으로서, 화분의 밑바닥에 저면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배수/통기구를 설치하므로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우선 담수조에 유입되고 과잉의 물은 상기 배수/통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담수조에 유입된 물은 점차 모세관현상으로 식물의 뿌리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수/통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저면돌기형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저면돌기형 화분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저면돌기형 화분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1예의 단면도
도4는 종래 화분의 사시도
※도면중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9 : 화분 2 : 식물 3 : 화분토
4 : 저면돌기부 5 : 뿌리 6 : 걸음망
7,11 : 배수/통기구 8,12 : 담수조 10 : 배수구
13 : 분리형 돌기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저면돌기형 화분의 사시도, 도2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저면돌기형 화분(1)은 밑바닥 중앙부가 돌출된 형태의 저면돌기부(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배수/통기구(7)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로 인해 화분(1)의 저면돌기부(4)는 지면과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고, 저부 둘레에는 오목한 형상의 담수조(8)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저면돌기형 화분(1)내에서의 식물(2)의 발육상태를 살펴 보면, 화분토(3) 속에서 뿌리(5)를 내리되 주로 저면돌기부(4) 위쪽으로 편중되고 뿌리(5)의 일부는 담수조(8)까지 닿게 된다.
따라서, 화분(1)에 물을 주게 되면 그 물은 우선 담수조(8)에 유입되어 이 부분의 화분토(3)는 매우 습한 상태로 되고, 과잉의 물은 화분토(3) 속에 머물다 차차 걸음망(6)을 거쳐 배수/통기구(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담수조(8) 부분의 화분토(3)에 스며있는 다량의 물은 점차 모세관현상으로 식물(2)의 뿌리(5)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지면과 떨어져 있는 상기 배수/통기구(7)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식물의 생장이 촉진되게 된다.
한편,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1예의 단면도로서, 막혀 있는 저면의 중앙에 물을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10)가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화분(9)을 이용하는 점이 상기 도1,2의 예와 다른 점으로, 돌출한 중앙부위에 배수/통기구(11)를 설치하고외부로 담수조(12)가 형성된 형태의 분리형 돌기부(13)를 상기 화분(9)의 저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기존에 유통되고 있는 종래의 화분(9)에 분리형 돌기부(13)를 손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면돌기형 화분에 따르면, 화분의 밑바닥에 저면돌기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배수/통기구를 설치하므로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우선 담수조에 유입되고 과잉의 물은 상기 배수/통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담수조에 유입된 물은 점차 모세관현상으로 식물의 뿌리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수/통기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므로서 관련분야에의 이용 및 응용이 기대된다 하겠다.

Claims (1)

  1. 화분(1)의 밑바닥에 돌출되게 저면돌기부(4)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배수/통기구(7)를 설치하며, 저부 외곽으로 담수조(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저면돌기형 화분.
KR2020010005375U 2001-02-28 2001-02-28 저면돌기형 화분 KR200230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75U KR200230583Y1 (ko) 2001-02-28 2001-02-28 저면돌기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75U KR200230583Y1 (ko) 2001-02-28 2001-02-28 저면돌기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583Y1 true KR200230583Y1 (ko) 2001-07-03

Family

ID=7308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375U KR200230583Y1 (ko) 2001-02-28 2001-02-28 저면돌기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5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10B1 (ko) * 2012-02-20 2014-06-19 한선주 생태 기둥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110B1 (ko) * 2012-02-20 2014-06-19 한선주 생태 기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KR200444397Y1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100479212B1 (ko)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KR200230583Y1 (ko) 저면돌기형 화분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278171Y1 (ko) 이중화분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78159Y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화분
JPH0613445U (ja) 植物栽培容器
KR200160181Y1 (ko) 컵 포트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0317161Y1 (ko) 난초용 화분
KR200183627Y1 (ko) 도로 장식용 화분
CN208258530U (zh) 一种新型兰花种植盆
KR20220002080U (ko) 수직형 화분
TWI508655B (zh) 模組化花盆組
US10827688B2 (en) Aeration container
KR200350600Y1 (ko) 화분
CN207543743U (zh) 一种生态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