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27Y1 - 도로 장식용 화분 - Google Patents
도로 장식용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627Y1 KR200183627Y1 KR2019970031810U KR19970031810U KR200183627Y1 KR 200183627 Y1 KR200183627 Y1 KR 200183627Y1 KR 2019970031810 U KR2019970031810 U KR 2019970031810U KR 19970031810 U KR19970031810 U KR 19970031810U KR 200183627 Y1 KR200183627 Y1 KR 2001836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body
- colander
- road
- soil
- flowerpo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에 담겨지는 흙의 량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도로 장식용 화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로 장식용 화분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흙이 담겨지기 위한 공간부를 가지는 상측 바디와, 상기 상측 바디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소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바디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면과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살들이등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들의 사이사이에 메시 형태로 구멍이 형성된 소쿠리와,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가지며 상기 상측바디를 지탱하기 위한 하측 바디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에 담겨지는 흙의 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도로 장식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도(人道)의 가장자리 혹은 차도(車道)의 경계선에는 통상 도로의 환경을 개선하고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화분들을 장식해 놓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도로 장식용 화분은 항상 일정한 량의 흙이 담겨지는 상측 바디(Body)와, 상기 상측 바디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측 바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바디와 하측 바디에는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도로 장식용 화분은 상측 바디 내부에 흙이 너무 많이 담겨지기 때문에 화분의 중량이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상기 화분을 이동시키는데 힘이 많이 드는 애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화분의 상측 바디가 무겁기 때문에 하측 바디가 상측 바디를 지탱하기가 어려워 하측 바디의 형상이 변형되는 예가 많으며, 상/하측 바디가 결합되는 부분에 균열이 발생되고, 또한 상기 화분에 흙을 많이 담아야 함으로써 공수가 증가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측 바디 안에 담기는 흙의 량이 많아서 화분갈이를 할 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에 담겨지는 흙의 량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도로 장식용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시형태로 구멍이 형성된 소쿠리를 화분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식물의 뿌리에 원할하게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도로 장식용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도로 장식용 화분은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흙이 담겨지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되며 소쿠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걸림턱과, 상기 상측 바디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바닥면과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살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살들의 사이사이에 메시 형태로 구멍이 형성된 소쿠리와,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을 가지며 상기 상측 바디를 지탱하기 위한 하측 바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장식용 화분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을 적게 담을 때의 도로 장식용 화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많은 량의 흙을 담을 때의 도로 장식용 화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측 바디 12 : 하측 바디
16 : 걸림턱 18 : 소쿠리
20 : 제1보강살 22 : 제2보강살
24 : 보강턱 30 : 구멍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장식용 화분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 도로 장식용 화분은 흙이 담겨지기 위한 소정 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상측 바디(Body) 10과, 상기 상측 바디 10을 지탱하기 위한 하측 바디 12와, 상기 상측 바디 10에 당겨지는 흙의 량을 조절하는 소쿠리 1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 바디 10, 하측 바디 12 및 소쿠리 18은 각각 별도로 사출 제작된다.
상기 상측 바디 1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공 14가 장공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측 둘레면에는 위로 돌출된 다수개의 걸림턱 16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 16은 상기 상측 바디 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소쿠리 18이 상측 바디 10에 안착될 때 소쿠리 18을 고정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측 바디 10의 최하단에는 하측 바디의 고정부 12a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고정홈 1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 바디 12의 상면에는 물이 빠지기 위한 다수개의 배수공 26이 형성되며, 최상단에는 상기 고정홈 10a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부 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쿠리 18은 상측 바디 10에 끼워져 결합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제작된다. 상기 소쿠리 18의 테두리에는 약 4~6개 정도의 보강턱 24가 부착된다. 상기 소쿠리 18의 바닥면에는 약 6개 정도의 제1보강살 2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소쿠리 18의 바닥면 중심에는 물이 빠지기 위한 구멍 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쿠리 18의 둘레면에는 제2보강살 22가 일정한 간격으로 균증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보강살 20의 사이사이와 상기 제2보강살 22의 사이사이에는 메시형태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흙을 통과한 물은 상기 구멍을 통해 빠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보강살 20과 제2보강살 22는 상기 소쿠리 18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흙의 중량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로 장식용 화분의 결합 상태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로 장식용 화분의 상측 바디 10에 흙을 적게 담고자 할 때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 26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측 바디 12를 바닥에 놓은 후, 상기 상측 바디 10과 하측 바디 12를 고정 결합시킨다. 즉 상기 상측 바디 10의 최하단에 형성된 고정홈 10a에 상기 하측 바디의 고정부 12a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후, 바닥면이 위로 향하도록 소쿠리 18을 상측 바디 10의 공간부에 안착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소쿠리 18의 공간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상측 바디 1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소쿠리 18의 테두리면이 상기 상측 바디의 걸림턱 16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소쿠리 10은 상측 바디 10에 고정 지지된다. 이후 상기 상측 바디 10에 흙을 담게 되면, 상기 흙은 소쿠리 18의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이로써, 상기 도로 장식용 화분의 상측 바디 10에는 흙이 적게 담겨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로 장식용 화분의 상측 바디 10에 흙을 많이 담고자 할 때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 26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측 바디 12를 바닥에 놓은 후, 상기 상측 바디 10과 하측 바디 12를 결합 고정시킨다. 즉 상기 상측 바디 10의 최하단에 형성된 고정홈 10a에 상기 하측 바디의 고정부 12a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후, 바닥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소쿠리 18을 상측 바디 10의 공간부에 안착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소쿠리 18의 공간부가 위로 향하도록 상측 바디 1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소쿠리 18의 테두리면이 상측 바디의 걸림턱 16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소쿠리 18은 상측 바디 10에 고정 지지된다. 이후 상기 상측 바디 10에 흙을 담게 되면, 상기 흙은 소쿠리 18의 공간부까지 담겨지게 된다. 이로써, 상기 도로 장식용 화분의 상측 바디 10에는 흙이 많이 담겨지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에 담겨지는 흙의 량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해 하측 바디가 지탱해야 할 무게가 가벼워짐으로서 하측바디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음은 물론, 상/하측 바디의 결합부분에 변형이 생기거나 균열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해소되고, 화분의 중량이 가벼워져 이동하기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그리고 어떤 경우라도 본 고안의 화분은 종래의 화분에 비해 흙이 적게 담기게 되고 따라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화분갈이를 할 때에도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분의 상측 바디에 소쿠리를 안착시킴으로써 식물의 뿌리에 산소를 원활히 공급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식물의 수명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다수개의 배수공(14)이 형성된 상측 바디(10)와, 상기 상측 바디를 지탱하기 위한 하측 바디(12)로 구성된 도로 장식용 화분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바디(10)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위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턱(16)과, 상기 상측 바디(10)의 내측 하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턱(16)에 안착되는 것으로 중앙에 구멍(30)이 있고 바닥면과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보강살(20,22)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살들의 사이사이에 메시 형태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소쿠리(1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장식용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1810U KR200183627Y1 (ko) | 1997-11-07 | 1997-11-07 | 도로 장식용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1810U KR200183627Y1 (ko) | 1997-11-07 | 1997-11-07 | 도로 장식용 화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364U KR19990018364U (ko) | 1999-06-05 |
KR200183627Y1 true KR200183627Y1 (ko) | 2000-06-01 |
Family
ID=1951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1810U KR200183627Y1 (ko) | 1997-11-07 | 1997-11-07 | 도로 장식용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362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044B1 (ko) | 2019-08-05 | 2020-02-07 | 이승수 | 조경용 화분 |
-
1997
- 1997-11-07 KR KR2019970031810U patent/KR20018362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044B1 (ko) | 2019-08-05 | 2020-02-07 | 이승수 | 조경용 화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364U (ko) | 1999-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03587A (en) | Flowerpot assembly | |
JPH0763278B2 (ja) |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 |
KR100653314B1 (ko) | 화분 | |
KR20070069244A (ko) |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 |
KR200183627Y1 (ko) | 도로 장식용 화분 | |
KR101201355B1 (ko) |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 |
KR20170112660A (ko) |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 |
US5088234A (en) | Plant holder | |
KR200230583Y1 (ko) | 저면돌기형 화분 | |
KR102213943B1 (ko) | 조립식 화분 | |
KR20190125730A (ko) | 기능성 화분 | |
KR900001143Y1 (ko) | 화분 | |
KR200170397Y1 (ko) | 크기 조절이 가능한 화분 | |
KR200359279Y1 (ko) | 식재용 인조석 | |
KR102334901B1 (ko) | 조립식 화분 | |
KR200257496Y1 (ko) | 식물재배용 다단식 선반 | |
JPH0810119A (ja) | 陶器製花器 | |
KR200278197Y1 (ko) |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 |
KR200182370Y1 (ko) |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 |
KR200241195Y1 (ko) |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 |
KR950005161Y1 (ko) | 화분 장식편 | |
KR200306807Y1 (ko) | 탁자용 상판구조 | |
KR200174616Y1 (ko) | 화분 | |
KR200234688Y1 (ko) | 착탈식 입체화분 | |
KR200432518Y1 (ko) | 화분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