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195Y1 -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195Y1
KR200241195Y1 KR2020010013315U KR20010013315U KR200241195Y1 KR 200241195 Y1 KR200241195 Y1 KR 200241195Y1 KR 2020010013315 U KR2020010013315 U KR 2020010013315U KR 20010013315 U KR20010013315 U KR 20010013315U KR 200241195 Y1 KR200241195 Y1 KR 200241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stored
outsid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2020010013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195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심지를 이용하여 물을 일정량씩 배출 가능한 수분공급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수분공급장치는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여 화분에 공급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내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정량씩 배출하는 심지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분 공급장치는 심지를 장착함으로써 물을 배출하여 화분에 지속적으로 일정량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FLOWER PORT}
본 고안은 화분 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저장된 케이스에 심지를 연결함으로서 물을 유출시켜 화분에 연속하여 정량씩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화분 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차로 정보화됨에 따라 삭막해져 가는 실내 분위기를 보다 인간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로 꾸미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실내에서 화초를 기르는 것도 이러한 시도의 하나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 이나 사무실 등에는 관상 혹은 건강의 목적으로 화초를 재배하고 있으며, 또한, 화원에서도 다량의 화초를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화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화초는 일정 주기로 물을 지속하여 공급해주어야 화초의 성장에도 유리하다. 물론, 화초의 종류에 따라 많은 량의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화초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그러나, 화초에 주기적으로 계속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작업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작업이다. 특히, 휴가철 등에 가족 단위로 놀러 가는 경우, 화초에 수분을 공급하는 일이 어렵게 된다. 물론, 수분을 한 번에 많이 공급하고 놀러 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많은 량의 수분으로 인하여 화초가 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규모의 화분을 보유한 화원의 경우에는 각 화초에 수분을 주기적으로 공급한다는 것이 더욱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이 저장된 케이스의 내부에 심지를 연결함으로써 물을 일정량씩 화초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관리자가 없는 경우에도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초의 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수분공급장치가 화분에 놓여진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수분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분 수분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수분공급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수분공급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여 화분에 공급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내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정량씩 배출하는 심지부재를 포함하는 수분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형성된 원형홀의 테두리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캡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호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부재는 상기 호스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장착되는 호스부재와, 상기 호스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심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인접한 화분에 물을 정량씩 공급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수분공급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수분공급장치가 화분에 놓여진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 수분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화분 수분공급장치(60)는 화분(1)에 얹혀짐으로써 화분(1)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화분 수분공급장치(60)는 바위, 산, 물레방아, 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그 크기는 화분에 얹혀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물론, 상기 형상 이외에도 모형화 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물이 유출되는 유출수단(61;도3)은 화분 수분공급장치(6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수분을 화분(1)에 저장된 흙(3)에 공급하게 된다.
도 3 에는 이러한 수분 공급장치가 도시되며, 상기 수분공급장치는 섬유질의 심지부재를 이용하여 물을 유출시키는 방식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60)는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67)와, 상기 케이스(67)의 하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수단(61)과, 상기 유출수단(61)의 내부에 장착되어 저장된 물을 정량씩 외부로 배출하는 심지부재(64)를 포함한다.
상기 유출수단(61)은 케이스(67)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부(62)와, 상기 테두리부(62)의 외부면에 나사결합방식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캡부(63)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부재(64)는 상기 캡부(63)에 고정되어 물을 흡수함으로써 물을 외부로 유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62)의 내부에는 지지부재(65)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65)는 그 중간부에 관통홀(66)이 형성되어 상기 심지부재(65)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66)은 상기 캡부(63) 형성된 홀(도시안됨)과 대응됨으로써 심지부재(65)가 수분 공급장치(60)의 내부에서 외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저장된 물이 상기 심지부재(65)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심지부재(65)가 구비된 상기 유출수단(61)은 한 개 혹은 그 이상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에는 이러한 심지를 이용한 수분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수분 공급장치(70)의 내부 일측에 호스부재(71)를 설치하고, 상기 호스부재(71)의 내부를 통하여 섬유재질의 심지부재(74)를 삽입한 구조이다.
상기 호스부재(71)는 소정 직경을 갖으며, 일단부(71a)는 케이스(7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타단부(71b)는 케이스(72)의 외부로 소정 거리 돌출 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부재(71)의 내부에 섬유재질의 심지부재(74)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심지부재(74)의 일단부(75)는 케이스(72)의 내저부에 접촉하고, 타단부(76)는 호스부재(71)의 외부로 돌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된 물은 상기 심지부재(74)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도 5에도 이러한 심지를 이용한 수분 공급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분 공급장치(80)는 화분(81)에 얹혀지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어 이동 가능한 방식이다. 즉, 수분 공급장치(80)는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82)와, 상기 케이스(82)에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호스(83)와, 상기호스(83)의 내부에 삽입되어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심지(84)를 포함한다.
이러한 호스(83)의 일단부(83a)는 케이스(82)의 내부에 접촉하고, 타단부(83b)는 화분(81)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82) 내부의 물이 상기 심지(84)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수분 공급장치(80)는 상기 실시예들에 도시된 수분 공급장치와 달리, 화분(81)과 일정거리 떨어져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원하는 화분(81)에 호스(83)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 공급장치는 심지를 장착함으로써 물을 배출하여 화분에 지속적으로 일정량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4)

  1.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하여 화분에 공급하는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 내부에 장착되어 물을 외부로 정량씩 배출하는 심지부재를 포함하는 수분 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형성된 원형홀의 테두리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캡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수분공급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호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심지부재는 상기 호스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수분 공급장치.
  4.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장착되는 호스부재와, 상기 호스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정량씩 외부로 유출시키는 심지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심지부재를 인접한 화분에 연결하여 물을 정량씩 공급가능한 수분 공급장치.
KR2020010013315U 2001-05-08 2001-05-08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KR200241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15U KR200241195Y1 (ko) 2001-05-08 2001-05-08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315U KR200241195Y1 (ko) 2001-05-08 2001-05-08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594A Division KR20020069978A (ko) 2001-02-28 2001-02-28 화분 수분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195Y1 true KR200241195Y1 (ko) 2001-10-12

Family

ID=7306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315U KR200241195Y1 (ko) 2001-05-08 2001-05-08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1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420B1 (ko) 2020-09-03 2021-06-24 그린폴리텍(주) 복합 폐비닐을 이용한 데크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420B1 (ko) 2020-09-03 2021-06-24 그린폴리텍(주) 복합 폐비닐을 이용한 데크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241195Y1 (ko) 심지를 이용한 화분 수분공급장치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US20220210988A1 (en) Adjustable, Controlled Rate Plant Watering Device
CN2575969Y (zh) 保湿透气花盆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KR200288854Y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실내용 자동급수화분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303931Y1 (ko) 건축물 실내 기둥 장식용 화분
KR200348057Y1 (ko) 물받침대가 필요없는 화분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20200090361A (ko) 자가 정화 및 관수기능을 갖는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186536Y1 (ko) 화분받침대의 물 배수장치
JPH1156136A (ja) ペットボトル等を活用した植木鉢等への給水装置
KR200339660Y1 (ko) 화분
KR20130096473A (ko) 화분용 급수기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KR200278159Y1 (ko) 이중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화분
KR200284611Y1 (ko) 양수화분
KR200339654Y1 (ko) 화분 거치대
CN2819761Y (zh) 自动供水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