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807Y1 - 탁자용 상판구조 - Google Patents

탁자용 상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807Y1
KR200306807Y1 KR20-2002-0037754U KR20020037754U KR200306807Y1 KR 200306807 Y1 KR200306807 Y1 KR 200306807Y1 KR 20020037754 U KR20020037754 U KR 20020037754U KR 200306807 Y1 KR200306807 Y1 KR 200306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present
table top
decorative
decorati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현
Original Assignee
조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현 filed Critical 조주현
Priority to KR20-2002-0037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8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자의 상판에 장식을 위하여 어항이나 화분등을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키며, 견고한 상판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탁자용 상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일정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의 하측으로 측벽을 갖는 상판부재의 일측에는 일정한 크기의 장식공을 형성한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의 장식공 저면 외경으로 밀접 고정되며 이 장식공과 대응되도록 장식홈을 형성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위치하지않는 외경으로는 표면부의 저면 공간을 겹층된 합판을 구비하여 표면부의 저면을 보강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와 커버부의 저면으로는 마감처리하는 마감부를 붙착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탁자용 상판에 화분이나 어항을 형성하여, 탁자에 장식미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으며, 견고한 상판구조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탁자용 상판구조{ A PLATE STRUCTURE FOR TABLE }
본 고안은 탁자용 상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탁자의 상판에 장식을 위하여 어항이나 화분등을 형성가능하도록 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키며, 견고한 상판 구조를 갖도록 형성한 탁자용 상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대리석이나 천연대리석등으로 탁자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탁자만 있으면 장식미가 감소되어 어항이나 또는 화분등으로 장식하여 위치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어항이나 화분을 탁자의 상판에 위치시키게 되면 탁자의 공간사용에 제약을 받아 사용이 불편하였으며, 어항이나 화분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탁자의 유동에 의하여 탁자로 부터 낙하하여 어항이나 화분이 파손되어 장식할 수가 없어 장식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을 장식하게 되면 화분에 물을 주고 난 후에 화분에서 나오는 여분의 물이 탁자를 오염시키거나, 흙이 탁자로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되는 상판에 화분이나 어항을 조성할수 있도록 요홈을 형성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키며, 탁자의 오염을 방지하며 견고한 탁자용 상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의 하측으로 측벽을 갖는 상판부재의 일측에는 일정한 크기의 장식공을 형성한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의 장식공 저면 외경으로 밀접 고정되며 이 장식공과 대응되도록 장식홈을 형성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위치하지않는 외경으로는 표면부의 저면공간을 겹층된 합판을 구비하여 표면부의 저면을 보강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와 커버부의 저면으로는 마감처리하는 마감부를 붙착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용 상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면부에 형성된 장식공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방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용 상판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탁자용 상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탁자용 상판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탁자용 상판에 어항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탁장용 상판에 화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판 10 : 표면부
11 : 상판부재 12 : 측벽
13 : 장식공 14 : 방지홈
20 : 커버부 21 : 저면판
30 : 충진부 40 : 마감부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탁자상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탁자상판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습기나 물기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형상으로 상판부재(11)을 형성하고, 이 상판부재(11)의 끝단에 연장되어 하방 측면으로는 측벽(12)을 형성하며, 또한 상기 상판부재(11)의 일정위치에 일정한 크기의 장식공(13)을 형성하고, 이 장식공(13)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방지홈(14)을 형성한 표면부(1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표면부(10)의 장식공(13) 저면 외경으로 밀접 고정되며, 이 장식공(13)과 대응되도록 장식홈(21)을 형성한 커버부(2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커버부(20)의 테두리는 표면부(10)에 형성된 장식공(13)의 저면 테두리와 밀접되도록 부착한다.
또한 상기 표면부(10)의 저면으로는 상기 커버부(20)가 위치하지 않는 공간을 충진하여 상판부재(11)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합판을 겹층하여 형성한 충진부(3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20)의 저면과 합판이 충진된 충진부(30)의 저면에 위치되어 붙착되고 표면부재의 측벽 끝단 내측으로 밀접되는 합판으로 형성된 마감부(40)를 저면에 부착하여 탁자용 상판(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형성되는 탁자용 상판에 어항을 구성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하여 형성되는 탁자용 상판에 화분을 형성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되는 상판(1)에 형성된 장식공(13)의 테두리 저면으로 밀접되어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된 커버부(20)를 구비하여, 어항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도중에 어항에서 물이 넘치게 되면 상기 장식공(13)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방지홈(14)에 삽입되어 탁자 전체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인조대리석으로 형성되는 장식공(13)에 화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커버부(20)에 토양을 형성한 상태에서 식목하면 된다.
만약에 흙이나 물을 주고 난 후에 물을 너무 많이 주어 흐르게 되어도 장식공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방지홈(14))에 삽입되어 탁자 전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되는 탁자용 상판(1)에 어항이나 화분을 형성하여 장식미를 향상시킬수가 있게 된다.
또한 표면부(10)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겹층으로 형성되는 합판을 충진부(20)로 사용하여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면서 견고한 상판을 얻을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탁자용 상판에 사각형상의 장식공(13)을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원형이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탁자용 상판에 화분이나 어항을 형성하여, 탁자에 장식미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으며, 견고한 상판구조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일정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의 하측으로 측벽을 갖는 상판부재의 일측에는 일정한 크기의 장식공을 형성한 표면부와,
    상기 표면부의 장식공 저면 외경으로 밀접 고정되며 이 장식공과 대응되도록 장식홈을 형성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가 위치하지않는 외경으로는 표면부의 저면 공간을 겹층된 합판을 구비하여 표면부의 저면을 보강하는 충진부와,
    상기 충진부와 커버부의 저면으로는 마감처리하는 마감부를 붙착하여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용 상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에 형성된 장식공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방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용 상판구조
KR20-2002-0037754U 2002-12-18 2002-12-18 탁자용 상판구조 KR200306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54U KR200306807Y1 (ko) 2002-12-18 2002-12-18 탁자용 상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754U KR200306807Y1 (ko) 2002-12-18 2002-12-18 탁자용 상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807Y1 true KR200306807Y1 (ko) 2003-03-11

Family

ID=4940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54U KR200306807Y1 (ko) 2002-12-18 2002-12-18 탁자용 상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8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75B1 (ko) * 2011-06-15 2012-01-05 주식회사유담 장식용 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75B1 (ko) * 2011-06-15 2012-01-05 주식회사유담 장식용 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6807Y1 (ko) 탁자용 상판구조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KR101012174B1 (ko) 제단용 화환대
JP3220941B2 (ja) 種子発芽育成具
KR200365127Y1 (ko) 배수 받침대가 일체화된 화분
KR200344754Y1 (ko) 화분 구조
JP3100688U (ja) 鉢様容器
JP3027162U (ja) 植木鉢カバー
JPH0448680Y2 (ko)
JPH058828Y2 (ko)
KR100848883B1 (ko) 자연석 화분
CN2934399Y (zh) 新型座、蹲便器水箱盖
KR200183627Y1 (ko) 도로 장식용 화분
KR100556543B1 (ko)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JP2004305691A (ja) 多様性器体
JPH0142448Y2 (ko)
KR200242446Y1 (ko) 이중화분
JPH0453734Y2 (ko)
CN201135054Y (zh) 花盆
KR200200898Y1 (ko) 이중 꽃꽂이 화분
JP3081001U (ja) 植物の植栽に適する萩焼製の容器
KR200266511Y1 (ko) 콩나물 재배기
JP3111375U (ja) プランター
CN2128823Y (zh) 室内养植花卉防污染装饰型套盆
JPS63302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