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6543B1 -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 Google Patents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6543B1
KR100556543B1 KR1020040023590A KR20040023590A KR100556543B1 KR 100556543 B1 KR100556543 B1 KR 100556543B1 KR 1020040023590 A KR1020040023590 A KR 1020040023590A KR 20040023590 A KR20040023590 A KR 20040023590A KR 100556543 B1 KR100556543 B1 KR 100556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water
basket
water supply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388A (ko
Inventor
박상희
박성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박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박성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102004002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5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2009/405Two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다양한 모양의 일반적인 꽃꽂이용 꽃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꽃바구니의 내부를 방수부재로 방수 코팅하고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를 설치하였으며, 그리고 하단부분에는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수조를 형성하고 양질의 용토를 투입하여 자동급수가 되도록 조성한 뒤 초본류 및 교본류를 식재하여 상품이 되었을 때 저수부재에 꽃꽂이용 생화를 꽂아 이중으로 상품을 구성하여 생화가 시들었을 때도 장기간 관상할 수 있는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꽃꽂이, 꽃바구니. 채움부재. 화분. 저수부재

Description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Flowerpot capable of water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저수부재에서 꽃을 제거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꽃바구니. 11...방수부재.
20...받침부재. 21...지지부.
22...구멍 23...상측공간부
24...채움부재 25...공간부.
30...수조 31...저수부재
32...절화용 꽃 33...초본류 또는 교본류.
34...수납공간부 35...물
100...화분 a...용기.
b...손잡이
본 발명은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모양의 일반적인 꽃꽂이용 꽃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꽃바구니의 내부를 방수부재로 방수 코팅하고 내부에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를 설치하였으며, 그리고 하단부분에는 받침부재를 설치하여 수조를 형성하여, 항상 급수가 가능하므로 저수부재에 절화용 생화를 꽂아 싱싱하게 필 수 있게 하고 또한 주변에 초본류 및 교본류를 함께 심어서 조성하여 유통함으로 장기간 관상하면서 재배함으로 키우는 사람의 정서 함양을 물론 준 사람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을 선물하거나 꽃 장식을 하기 위해서는 꽃바구니에 꽃을 꽂아 여려 모양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꽃바구니는 대부분 대나무를 엮어서 바구니를 만들거나 또는 합성수지제로 엮어서 용기를 구성하여 내부에 오아시스와 같은 저수부재를 설치한 후 상기 저수부재에 꽃을 꽂아 선물용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꽃바구니는 방수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저수부재에 많은 물기가 수반될 수 없기 때문에 꽃이 쉽게 시드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이러한 꽃바구니는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이 고가이면서 장기간 전시할 수 없는 문제점과 며칠 후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환경오염도 되고 준 사람의 성의도 함께 폐기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목적은 꽃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고 또한 꽃바구니를 화 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꽃과 초본류 또는 교본류를 심어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도록 꽃바구니 내부를 방수부재로 방수 처리한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꽃바구니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를 내설하여 꽃을 꽂을 수 있게 한 것과 또한 초본류 또는 교본류를 같이 심어 화분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꽃바구니 내의 하부에 받침부재를 내설하여 별도의 수조를 같은 공간에 형성할 수 있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처리가 안 된 일반적인 꽃바구니 내에 같은 모양 및 크기의 방수 처리된 용기를 내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꽃바구니에 내설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를 수조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에 수납공간부를 구성한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저수부재에서 꽃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꽃을 담는 용기인 꽃바구니(10)의 내측에 몰탈등으로 방수부재(11)를 도포하여 방수처리 하고 내부 하단부측에는 받침부재(20)를 설치한다.
상기 꽃바구니(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나무를 엮어서 구성되거나 또는 합성수지를 엮어서 구성되는 일반 꽃바구니를 사용한다 또한 외측도 수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상측공간부(23)에 채워지는 채움부재(24)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에서 주입되는 물(35)을 통과하여 꽃바구니의 하부측부에 구성되는 수조(30)에 모여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22)을 천공하였으며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에는, 받침부재(2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21)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부(21)의 중앙에는 공간부(25)를 구성한다.
상기 공간부(25)는 상측공간부(23)에 채워진 채움부재(24)가 채워지게 되고 수분이 채워진 채움부재(24)를 통해 삼투압방식에 의해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채움부재(24)에 둘려 싸여 임위부분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31)를 설치한다.
상기 저수부재(31)에는 절화용 꽃(32)을 꽂아 장식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저수부재(31)에는 삼투압방식에 의해 수분을 수조(30)로부터 또한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20)의 하단에 구성된 지지부(21)내의 공간부(25)에 채워진 채움부재(24)가 수조(30)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므로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기가 채움부재를 촉촉이 젖어지게 되고 상기 채움부재(24)를 통로로 삼투압방식에 의해 수분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저수부재(31)에 꽂혀진 꽃은 장기간이 지나도 항상 싱싱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초본류 또는 교본류(33) 역시 수조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오랜시간이 지나 꽃이 수명이 다하여 시들어진 꽃(32)은 저수부재(31)로 부터 제거하고 저수부재(31)의 주위에 심어진 초본류 또는 교본류(33)에 의하여 본체인 화분(100)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꽃바구니(10)측에 구성된 손잡이(b)는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운반시에는 부착하여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고, 화분(100)이나 꽃바구니(10)와 같이 관상용으로 활용할 때에는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꽃바구니(10)의 내부를 방수부재로 방수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로 꽃바구니와 같은 형태의 용기(a)를 삽입한 후 받침부제(20)를 설치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측공간부(23)에 위치한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31)를 받침부재(20)에 형성한 수납공간부(34)에 삽입 설치하여 상기 저수부재(31)의 하단부가 수조(30) 내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보다 꽃 또는 초본류, 교본류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내부를 몰탈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방수부재로 방수 처리한 꽃바구니에 꽃과 초본류 또는 교본류를 같이 심어 꽃을 선물한 사람의 정성을 오래 간직할 수 있고 또한 꽃이 시들면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1. 꽃바구니에 있어서, 꽃과 초본류 또는 교본류를 심어 수분을 항상 공급할 수 있도록 꽃바구니(10)내부를 방수부재(11)로 방수처리하고 채움부재가 채워진 꽃바구니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저수부재(31)를 내설하여 꽃을 꽂을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꽃바구니(10) 내부 하측에 받침부재(20)를 내설하여 별도의 수조(30)를 같은 공간에 형성하고 꽃바구니의 양측에 손잡이(b)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2. 1항에 있어서 받침부재(20)에 다수개의 구멍(22)을 천공하고 하측에는 다수개의 공간부(25)를 갖는 지지부(21)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3. 1항에 있어서 방수처리가 안 된 일반적인 꽃바구니 내에, 방수처리된 같은 모양 및 크기의 용기(a)를 내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4. 2항에 있어서 저수부재(31)를 수조(30)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20)에 수납공간부(34)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5. 1항에 있어서 용토를 넣은 꽃바구니(10)에 초본류 및 교본류(33)를 식재하고 저수부재(31)에는 절화용 꽃(32)을 꽃꽂이하여 2중 상품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KR1020040023590A 2004-04-06 2004-04-06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KR10055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90A KR100556543B1 (ko) 2004-04-06 2004-04-06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90A KR100556543B1 (ko) 2004-04-06 2004-04-06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88A KR20050098388A (ko) 2005-10-12
KR100556543B1 true KR100556543B1 (ko) 2006-03-06

Family

ID=3727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90A KR100556543B1 (ko) 2004-04-06 2004-04-06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5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740B1 (ko) * 2007-03-29 2008-09-09 박상희 꽃꽂이용 이단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88A (ko)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5747U (ja) 自動給水植木鉢
KR200405109Y1 (ko) 다용도 어항
CN103749201A (zh) 一种层壁组合式花盆及其制作方法
KR100556543B1 (ko) 급수가 가능한 꽃꽂이용 화분.
KR101012174B1 (ko) 제단용 화환대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N202750527U (zh) 一种自动吸水式花盆
KR100758538B1 (ko) 관상식물의 식생 방법
KR200300226Y1 (ko) 화분커버
CN203761937U (zh) 一种层壁组合式花盆
KR20080088137A (ko) 다기능 어항
JP3194240U (ja) プリザーブド植物を利用した盆栽、及び同盆栽用の鉢
KR200180078Y1 (ko) 물받이통을 갖는 화분 장식용기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KR200402372Y1 (ko) 캔 화분
CN216533083U (zh) 一种花卉种植容器
KR200274703Y1 (ko) 통풍과 미관을 고려한 이중벽 화분
JP3108292U (ja) 培地付き切り花及び生花商品
JP2007529335A (ja) 装飾アレンジメントを作る方法
KR100818147B1 (ko) 탄성 화분
JP2003310061A (ja) 底面潅水を利用する植物栽培用容器
KR20170055350A (ko) 장식용 화분
JPH10178908A (ja) 栽培装置
JP3578676B2 (ja) 花挿し器付花器
KR20160046568A (ko) 화병 또는 화분 기능을 겸한 분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