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549Y1 -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 Google Patents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549Y1
KR200438549Y1 KR2020060030689U KR20060030689U KR200438549Y1 KR 200438549 Y1 KR200438549 Y1 KR 200438549Y1 KR 2020060030689 U KR2020060030689 U KR 2020060030689U KR 20060030689 U KR20060030689 U KR 20060030689U KR 200438549 Y1 KR200438549 Y1 KR 200438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rame
pocket
wall
decorative member
pla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만
Original Assignee
유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만 filed Critical 유재만
Priority to KR2020060030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5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woode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액자 내부의 배면부의 전면으로 장식부재가 형성되는데, 상기 장식부재에는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포켓은 그 자체로 기암괴석, 암벽, 산 등을 형상화한 특유의 자연미를 형성한다. 한편, 포켓에 의해 형성된 내측의 식재공간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관상용으로 가꾸거나 키울 수 있는 화분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꽃꽂이나 분재의 경우 이러한 효과를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나 포켓이 액자의 내부에 부착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의하면, 액자나 벽걸이 화분의 고급화 및 차별화가 가능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벽걸이 화분, 액자형 화분, 액자형 벽걸이 화분, 벽걸이형 액자

Description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THE WALL MOUNTED TYPE PICTURE FRAME IN WHICH A FLOWERPOT IS EQUIPPED}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별도로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포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3은 도1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의 일실시예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액자 2. 액자의 내면 배면부
3. 수분공급재 4. 장식부재
5. 식재공간 6. 포켓
7. 액자의 바닥부 8. 조명부
9. 전원부 10. 배수부
본 고안은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 내부에 부착된 장식부재에는 특유한 형상을 갖는 포켓이 형성되고 포켓의 외측은 소정의 자연미를 제공하고 포켓의 내측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관상용으로 가꾸거나 키우기 위한 식재공간이 형성되어 화분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벽걸이 화분 등은 화분을 실내외 바닥에 놓고 감상하던 것을 단순히 벽에 걸어놓고 감상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거나, 그 차지하는 공간이 콤팩트한 액자 형태가 아니라 평판, 액자 등의 밖으로 전면으로 식재공간을 추가로 덧붙인 형태들의 것으로 실내외 인테리어의 공간활용에 비효율적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특유한 형상을 갖는 포켓의 외측에 의해 소정의 자연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의 식재공간에 의해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관상용으로 가꾸거나 키울 수 있는 화분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액자의 내부에 부착됨으로써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화분이 구비된 벽 걸이형 액자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자 내부 배면부의 전면으로 장식부재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장식부재는 내측으로 아래쪽이 막히고 위쪽이 열려있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식재공간에 꽃이나 나무 등 식물을 심는 경우에는 액자 내부 배면부와 장식부재 사이에 액자 바닥부분에 공급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수분공급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포켓은 장식부재에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포켓을 만들어 장식부재의 전면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식재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는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자(1)의 내부 배면부(2)의 전면으로 장식부재(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장식부재(4)에는 내측으로 아래쪽이 막히고 위쪽이 열려있는 식재공간(5)이 형성되는 특유한 형상의 포켓(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재공간(5)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는 경우에는, 상기 액자(1)의 내부 배면부(2)와 장식부재(4) 사이에 상기 액자(1)의 바닥부(7)에 공급된 물을 흡수하여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 주는 수분공급재(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공급재(3)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 스폰지, 발포합성수지 등과 같이 상기 액자(1)의 바닥부(7)에 공급된 물을 쉽게 흡수하여 상기 식재공간(5)에 심어져 있는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식재공간(5)은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식부재(4)에 형성된 상기 포켓(6) 내측의 빈 공간으로서 돌이나 흙 등을 채워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거나 기타 장식물을 놓아 둘 수 있는 곳이다.
상기 포켓(6)는 도1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하는 상기 식재공간(5)의 갯수나 크기에 따라 상기 장식부재(4)에 가로방향으로 칼집을 낸 다음, 열적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칼집을 낸 부분을 자연스럽게 잡아당기는 성형과정에 의해 내측으로는 아래쪽이 막히고 위쪽이 열려있는 상기 식재공간(5)을 형성하며 외측으로는 기암괴석, 암벽, 산 등을 형상화한 소정의 자연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6)은 상기 장식부재(4)에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로 상기 포켓(6)을 만들어 상기 장식부재(4)의 전면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상기 식재공간(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자(1)의 테두리부 내부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재공 간(5), 장식부재(4), 포켓(6) 등을 비추는 조명부(8)와 상기 조명부(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9)를 형성하여 실내외 인테리어로서의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액자(1)의 바닥부(7)에는 도1, 도2,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과잉인 경우에 배수할 수 있는 배수구(10)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에 의하면, 장식부재에 형성된 특유한 형상을 갖는 포켓의 외측에 의해 소정의 자연미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켓 내측의 식재공간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관상용으로 가꾸거나 키울 수 있는 화분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꽃꽂이나 분재의 경우 이러한 효과를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식재공간이 형성되는 포켓이 액자의 내부에 부착됨으로써 공간활용의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다.

Claims (3)

  1. 액자(1) 내부 배면부(2)의 전면으로 장식부재(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장식부재(4)에는 아래쪽이 막히고 위쪽이 열려있는 식재공간(5)이 형성되는 포켓(6)이 있는 벽걸이형 액자에 있어서,
    상기 식재공간(5)은 상기 장식부재(4)의 전면에 별도의 상기 식재공간(5)을 형성하는 상기 포켓(6)이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1) 내부 배면부(2)와 상기 장식부재(4)의 사이에 상기 액자(1) 바닥부(7)에 공급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수분공급재(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3. 삭제
KR2020060030689U 2006-11-29 2006-11-29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0438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89U KR200438549Y1 (ko) 2006-11-29 2006-11-29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689U KR200438549Y1 (ko) 2006-11-29 2006-11-29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549Y1 true KR200438549Y1 (ko) 2008-02-21

Family

ID=4162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689U KR200438549Y1 (ko) 2006-11-29 2006-11-29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5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57B1 (ko) 2009-06-02 2010-04-02 (주)렌즈 엘이디 조명등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0501B1 (ko) 2010-04-07 2011-06-09 에코숲길(주) 식물 액자
KR101050413B1 (ko) 2010-03-03 2011-07-19 재삼 이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KR101097967B1 (ko) 2009-12-23 2011-12-23 이성보 실생 산수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57B1 (ko) 2009-06-02 2010-04-02 (주)렌즈 엘이디 조명등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7967B1 (ko) 2009-12-23 2011-12-23 이성보 실생 산수화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413B1 (ko) 2010-03-03 2011-07-19 재삼 이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KR101040501B1 (ko) 2010-04-07 2011-06-09 에코숲길(주) 식물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933B1 (ko) 실내외 조경용 장식물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101070331B1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KR200390580Y1 (ko) 액자형 화분
KR200437492Y1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JP3827680B2 (ja) 花卉植栽構造
CN202750527U (zh) 一种自动吸水式花盆
JP2008000119A (ja) 植物活力と環境効果を持続する植木鉢と花瓶、鑑賞用水槽、容器
CN100563428C (zh) 水培花卉盆
JP3755138B2 (ja) 花卉植栽構造
KR20140005582U (ko) 직물 화분
CN203692041U (zh) 一种保持盆内土壤持续湿润的花盆
KR200470278Y1 (ko) 그래스 외피 화분
JP3135647U (ja) 額に入れた壁掛け型観賞用植物
KR200420667Y1 (ko) 물받이 내장형 화분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KR101006427B1 (ko) 조경물
KR101011378B1 (ko)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CN2442503Y (zh) 生态环境花盆
JP2003310061A (ja) 底面潅水を利用する植物栽培用容器
KR200246685Y1 (ko) 장식용 화분
WO2007026417A1 (ja) 花卉植栽構造
KR200370206Y1 (ko) 화초 재배장소가 구비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