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413B1 -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413B1
KR101050413B1 KR1020100019138A KR20100019138A KR101050413B1 KR 101050413 B1 KR101050413 B1 KR 101050413B1 KR 1020100019138 A KR1020100019138 A KR 1020100019138A KR 20100019138 A KR20100019138 A KR 20100019138A KR 101050413 B1 KR101050413 B1 KR 10105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pocket portion
wall
main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삼 이
Original Assignee
재삼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삼 이 filed Critical 재삼 이
Priority to KR102010001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재료로 제작되어진 도판 전면에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화분용 포켓이 구비되어지도록 함으로서 분재액자의 기능을 수행함과 함께 황토의 질감을 살려 미술 조각의 예술성이 가미된 벽걸이형 실내 장식재로서의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A FLOWER POT TYPE WALL DECORATION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화분 일체형 벽장식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형 벽걸이 장식 또는 실내 벽면 장식용 타일로 활용되어질 수 있으며 도예 부조 조형 예술타입의 장식재에 통기성이 뛰어난 포켓을 형성하여 식물의 생장환경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한 벽장식재 구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용 내,외장재로서의 벽재는 타일처럼 의장 이외의 다른 기능은 갖고 있지 않은 단조로운 평면체로 싫증이 나기 쉽다.
또한, 벽면에는 직접 화초를 심을 수 없었으므로 통상 화분을 걸어두거나 바닥에 놓고 감상하게 되는데, 종래의 화분은 다수 설치할 경우 공간부의 점유 면적이 넓고 이동이 불편함을 감안하여 크게 구성하지는 못하고 대부분 소형으로 구성되어 특정 화초에 국한하여 심는게 보통이고 따라서 다양한 화초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화분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또한 이와같은 화분은 사람의 시야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적정 높이의 받침대 등이 추가로 구성하여야 하는 폐단도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것은 보행시 잦은 충돌에 의하여 쓰러지므로서 화분이 파손되는 등 제반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상기 문제 해결을 위해 종래에는 벽에 화초를 심어 새로운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고, 벽의 기초가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도 안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화분을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화분일체형 황토벽재" 가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1998-06234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황토 벽장재는 황토가루를 점토, 점양토, 섬유질 스사, 목초근 등 여타 배합물의 아교제로 성형하는 등 황토 첨가물에 불과하고 불에 구운 세라믹 에 비하여 강도가 약하고 외장 벽재로 상용이 어렵다. 물 빠지는 배수관이 별도로 있어야 함으로 내장 벽재인 벽부착 화분으로서도 불합리한 구조이다.
또한, 종래에는 조형 예술품에 화분을 부가하여 벽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감상함으로써 특유의 조형미를 제공함과 아울러 실내 인테리어 및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이 국내 선행특허등록 제582270호로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벽걸이형 화분은 대체로 망구조의 지지부재를 벽에 고정시키고, 이러한 지지부재에 화분을 지지시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화분은 건물 내 벽체를 산만하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이같이 종래의 벽걸이 화분 등은 화분을 실내외 바닥에 놓고 감상하던 것을 단순히 벽에 걸어놓고 감상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거나, 그 차지하는 공간이 콤팩트한 액자 형태가 아니라 평판, 액자 등의 밖으로 전면으로 식재공간을 추가로 덧붙인 형태들의 것으로 실내외 인테리어의 공간활용에 비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화분의 재질이 마블,합성수지류 등 화분 내에 일체화하거나 별도로 포켓을 만들어 장식부재의 전면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식재공간을 형성했지만 생육하는 것임을 감안하여 통기 및 배수성과 공중습도를 배양 환경을 갖추기 위해서는 별도의 난석 등 보조재로 추가해야 하는 등 이러한 형태는 단순히 벽체에 화분 용기를 고정한 것으로 감상분으로서의 기능 등 식재된 식물과 함께 화분의 가치와 심미감은 표출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현재까지 나온 난초화분들은 감상과 재배를 동시에 만족하는 분이 많지 않고 혹, 두 가지 모두를 만족할만한 화분이더라도 난이 요구하는 배양조건과 감상용 분으로서의 기대에 못 미치는 약간의 개량에만 그침으로서, 난초에 관한 지식이 없는 초보자들에게 있어 난 재배 이전에 어떠한 화분이 난초를 재배하기에 좋을지 그 선택조차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숨쉬는 벽으로 이뤄진 황토세라믹 분재의 기능적 특성과 함께 회화 조각의 조형 예술적 감상기능을 표출함과 동시에 벽체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차별화 된 식재환경속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고급화 된 벽장식용 화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키가 작은 "지생란" 및 "착생란"등의 식물을 전용으로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여 감상미와 재배기능을 겸비하며 실내 벽장식용 타일 또는 벽걸이형 액자 형태의 장식재 제작방법을 제공함으로서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함께 보다 다양한 형태의 실내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식물의 생육시 수분 삼투성을 이용해 수분을 흡,방출하는 다공질의 통기성이 뛰어난 황토재료를 이용하여 액자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생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2개가 쌍을 이루어 상호 대향면에 도판 성형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져 있는 상,하 석고금형을 제작하는 석고금형 제작단계와; 도판의 재료가 될 옹기토 60~80중량%과 고령토 20~40중량%를 혼합하여 고르게 반죽하는 원료배합 및 반죽단계와; 상기 반죽된 원료를 유압 프레스 금형의 상,하 베이스판에 장착된 석고금형 사이에 적정량으로 투입한 후, 유압을 작동시켜 프레스 가압을 실시함으로 판형태의 기물을 성형하되, 기물에는 전면으로 돌출 구비되고 내부가 개방된 포켓부가 형성되어지는 기물 정형단계와; 상기 정형된 완성 기물을 150℃~300℃의 온도로 열건조를 실시함과 함께 기물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열건조 및 장식시유단계와; 상기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150~1200℃의 온도로 소성하는 소성단계와; 상기 소성에 의해 완성된 부조 도판 포켓부위의 개방부에 별도 제작된 막음판을 결합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마감을 실시하는 막음판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 가능한 대리석과 유사한 고강도임에도 수분흡수력이 뛰어난 황토 벽장재로서 "숨쉬는 벽" 기능을 극대화하여 실내공간에서 자동습도조절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다공질 황토의 모세관 현상에서 생기는 수분 삼투압을 이용, 식재용 공극(포켓)을 일시적 수분 저장소로 사용하여 수분 흡-방출시 방출부위의 표면처리 등을 통해 수분공급 시기를 예측할 수 있게된다.
또한, 고온에서도 태토와 유약의 소결이 가능하여 고강도를 이루는 옹기질 황토를 소재로 하여 반 입체 분재 도판을 구성함으로, 배수성, 통기성 보습성 및 병해 억제성이 매우 우수하며 난 뿌리 생육을 저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배양토(흙)없이도 생육이 가능한 식재공간을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화분형 장식재의 제작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장식재의 기물 성형장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성형된 부조도판의 가공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3a는 정형된 기물 도판의 가공시 상태 단면도.
3b는 가공이 완성된 도판의 배면 사시도.
3c는 막음판 결합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식재 도판의 완성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장식재 도판의 액자틀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장식재 도판의 타일형 장식재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중요하게 이용되는 다공성 황토로 소결된 도판에서 일어나는 삼투압이나 모세관현상, 물의 증산작용과 응집력 등 식재용 포켓부의 물이 도판으로 침투하고 배수구 없는 방출과 급 건조시 다시 수분을 포켓으로 끌어와 장시간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원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네가지로 정리하여 먼저 설명을 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포켓부의 물이 도판에 흡수되는 힘의 요인은 삼투압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삼투압이란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반투막으로 막아놓았을 때,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용매가 옮겨가는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을 말한다.
즉, 혼합 황토의 소결과 비소결 특성으로 수분을 다량 흡수하는데 포켓부의 공급된 물의 농도는 도판속의 정제되어 휘발중인 물의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포켓부의 물은 도판으로 침투하게 되면서 이 힘으로 물이 도판 전체로 상승하고 퍼지게 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모세관 현상을 들 수 있다. 모세관현상[毛細管現象,capillary phenomenon]이란 쉽게 설명하자면, 빨대를 음료수에 꽂게 되면 빨대에 음료수 높이 보다 약간 높게 올라와 있는 걸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즉, 아주 가는 모세관이면 물이 그만큼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식물 관다발처럼 황토 다공질로 이뤄진 통기공과 모세관은 아주 가늘다. 그러므로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도판의 끝단까지 침투하여 퍼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볼 수 있는 자연현상의 하나로서, 흡수지나 천에 물이 저절로 스며드는 까닭도 흡수지나 천의 섬유가 모세관 구실을 하여 물을 빨아올리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식물이 물을 흡수하는 가장 근본적 힘은 증산작용이다. 증산작용을 쉽게 설명하자면 식물잎 뒷면을 보면(현미경) 기공이라는 부분이 있다. 이 구멍을 통해 온도가 높을수록(제한적), 빛이 강할수록, 식물 내부의 물이 많을 경우 이 기공을 통해 식물 내부의 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마치 빨래가 마르듯 내부의 물이 나가게 되는 것인데, 하지만 나가는 것이 있으면 들어오는 것이 있어야 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계속 빠지며 휘발해 방출되는 물의 힘에 의해 물이 포켓(뿌리쪽 공극)에서 계속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즉, 물의 방출이 계속 물을 흡수하게 되는 힘이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네 번째로는 물의 응집력을 들 수 있다. 실례로, 물을 두 방울 떨어뜨려서 약간 기울이면 순식간에 붙어 하나의 물방울로 합쳐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물끼리 서로 합쳐지려는 응집력 때문인데 혼합 황토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수분 흡수력으로 다공성과 통기성을 가진 내부의 가는 모세관 내부의 물이 서로 자꾸 합쳐지려는 힘 때문에 위로 결국 위로 상승하게 되는 힘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식물의 뿌리에서 흡수된 수분이나 양분이 식물체 전체에 퍼지는 것도 역시 이 현상에 의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형 벽장식재의 제작과정을 도 1의 순서도를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단계: 석고금형 제작>
먼저, 전면에 부조 조각되고 식재 공간인 포켓이 되는 공극이 하나 이상 구성된 금형 제작용 부조도판에 뒷면은 메인 포켓이 형성된 배면부가 뚫린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켓속이 보이는 배면부 내측에는 7~15개의 돌기가 10~25㎜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데 식재시 뿌리를 잡아주고 활착을 돕는 역할을 하도록 공극의 상단 중심부에서 원형으로 위치를 잡아야 하며 또한 돌기가 있음에도 상,하 금형사이 가압 성형된 제품이 상하 이동방향으로 잘 빠지도록 하기 위해서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원통모양으로 만든다,
다시말해 배양토가 없거나 약간의 물이끼만으로 식재한 경우 초기 식재의 안정화가 기간동안이나 이끼식물의 자생과 건조시 공극율의 차이를 극복하고 이끼류나 뿌리의 건조시 물공급시에도 부유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식재용 포켓에 물을 공급할 경우 상기의 돌기사이에 놓인 식물 뿌리는 물론이고 다공질의 포켓 속 넓은 표면적을 가진 삼투압에 의해 또는 부조도판속의 모세관을 따라 수분이 다량 이동하게 되고 이때 황토 도판이 수분베이스 역할과 함께 수분 배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오래된 통상의 방법으로 부조도판 가공시 식재용 포켓을 별도로 만들어 부착할 경우는 점토 부착시 건조도나 점토입자의 압착, 접착용 해교제의 첨가 등으로 성형품 불량률은 물론이고 수분의 이동이 막혀 소기의 목적 달성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판과 분리되 보이는 포켓의 이질감과 입체 디자인의 연결없는 구성 등 완성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포켓은 도판을 구성함에 있어 꼭 식재를 위한 주머니 형태가 아니라 화면속 풍경의 자연물이나 비구상인 경우 선과 면 색채 부조 등 미적 구성요소를 앞쪽으로 살짝 돌출시켜 공극을 만들고 이를 식재용 포켓으로 활용 조형 예술적 일체감과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포켓에 물을 채우면 즉시 물의 이동과 함께 물을 머금은 상태를 유지하며 수분방출(물의 증산작용)이 시작된다. 따라서 도판에 미적 요소를 이용한 예술성은 물론이고 가능한 넓고 깊게 부조 조각하여 넓은 표면적을 유지한 반 입체 요철들을 많이 가지도록 도판의 표면을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는 부조물임으로 주로 앞면 장식에 집중되었으나 식재용 포켓을 제외한 나머지 배면부 평판 부분은 건축 내-외장 벽장재로 시공시 벽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함으로 타일의 뒷면과 같이 접착물의 표면적을 최대한 살린 사각이나 둥근모양으로 1~2㎜로 파 들어간 모양으로 타일용 '굽발'을 만들어 두어야 한다.
다시 정리해 보면, 상기 제시한 방법으로 점토나 석고 등 모형재료로 부조 조각과 공극이 하나로 부조 조각된 부조도판을 10~15㎜ 두께의 타일모양 형태의 완성제품을 다듬고 꾸며낸 다음 석고금형(100,200)을 떠내기 위한 원형으로 만든다.
여기에 대량생산을 위한 프레스 금형의 상판과 하판 형틀이 될 수 있도록 미술품 조각에 있어서 "원형 석고뜨기"와 같이 원형의 앞판 뒷판을 기준으로 수평 중심에 분리선을 그어 나누고 석고 슬러지를 만들어 형틀에서 굳힐 준비를 한다.
각각의 에어 분출관이 장착된 형틀에 석고 혼합액을 부어 음각이 판형으로 분리된 상,하 프레스 형틀에 지지되어 부착하고 가능한 프레스 가압용 석고 금형(100,200)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2단계: 원료 배합 및 반죽>
이후, 본 발명 장식용 도판(10;도자기판)의 재료가 될 옹기질 황토 즉, 노란색의 밝은 황토가 주성분인 일명 옹기토를 전통 도자기인 백토의 원토가 되는 고령토와 제품 모양이나 특성(강도 및 온도),성형 두께 등에 따라 3:1에서 5:1사이의 적정 비율로 다르게 혼합한다.
즉, 옹기토 60~80중량%에 고령토 20~40중량%의 범위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옹기토나 고령토는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화, 상용화 된 원료임으로 혼합 반죽하는 제토 공정을 토대로 태토의 공기를 빼내고 숙성하는 등을 "토련"과정이라고 하며 이를 "토련기"라는 자동기계로 기계물레성형 점토기준인 혼수율 20~25%사이로 혼련하여 사용한다.
상기 다량의 수분함량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물레질 이외의 방법으로는 성형이 쉽지 않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공기막을 이용한 자동 유압프레스의 "습식 가압성형법"으로 석기질의 습식 도판 성형 베이스(태토=질)를 준비하고 이후 공정에서 습식타일과 같은 부조 도판으로 성형하여 열 건조와 고온 소성 등 세라믹 공정을 거칠 경우 수분이 빠져나간 자리가 미세한 공기통로 즉, 다공질의 통기공과 통기성 모세관이 다량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3단계: 기물 성형 및 정형>
그리고, 상기 혼합된 옹기토와 고령토의 혼합물(이하 '태토')를 유압 프레스 금형의 상,하 틀인 베이스판에 상기 1단계에서 제작한 석고금형(100,200)을 각각 도 2에서와 같이 장착하고 그 장착한 석고금형(100,200) 사이에 적정 크기의 태토를 넣고 유압으로 작동하는 프래스 자동화 기계로 가압하여 조각과 도판을 한번에 판 형태로 성형함으로서 기물을 도판(10) 형태로 성형시키게 된다.
이때 태토의 다공성 극대화를 위하여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점력이 매우 클 수밖에 없는 태토 소재를 프레스로 습식 가압 성형함에 있어, 석고나 프레스의 물리적 접촉이 아닌 공기막을 형성한 석고금형으로 부터 성형된 제품을 분리한 후 약한 바람으로 반 건조한 다음 성형틀의 맞물린 자국(tip,팁)과 포켓의 상단부분을 뚫어주는 등 제품의 표면을 다듬고 정리하는 정형과정을 거친다.
즉, 도 3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이 완성된 도판(10)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공간인 메인 포켓부(11)가 전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짐과 함께 배면측에는 통공부(1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 포켓부(11) 상부를 도 3b에서와 같이 조각칼을 이용하여 절개시켜 메인 포켓부(11)의 상부가 개방되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대형 도판으로 성형하여 횡이나 종 방향으로 적층 배열되는 다단형 화분 구조체나 연결형으로 여러 개의 소형포켓부(15)을 형성할 수도 있고 추가 물 급수를 위한 작은 개구부를 가진 수분저장용 물통인 저수조 포켓부를 만들 수도 있다.
<4단계: 열건조 및 장식시유>
상기 정형된 완성 기물 도판(10)을 150℃~300℃의 온도로 하여 도자 세라믹의 초벌판과 유사한 상태가 되도록함과 함께 표면 흡착이 크고 건조 강도를 유지토록 열 건조 시킨다.
이때, 이색성의 상감체를 채우는 상감처리나 분장하는 공정이 있을 경우 그 표면을 브러쉬(수세미)로 닦아내는 공정이 추가되며, 이 후 상감문양이 표출된 일면에 일정 비율로 혼합 제조된 유약을 시유하는 공정이 추가로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판(10)의 전면부로 한차례 일정량의 유약 시유가 도포되고, 이 후 포켓 부 중심 등 수분이 다량 발산되는 방출부위에 유약의 분사량을 조절하는데 다음 공정의 소결시 일종의 유약 막을 형성함으로서 수분의 휘발성 방출에 영향을 끼친다.
이때, 유약의 도포가 너무 많으면 수분의 증발을 방해받아 실내의 습도조절 기능이 떨어지고, 유약의 도포가 너무 적으면 수분 증발이 과도하여 배수관이 있는 분재 분처럼 실내공간의 습도조절은 좋으나 식물까지 마르지 않도록 수분공급을 자주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도판(10)의 공극(포켓) 갯수와 위치, 크기에 따라 습도조절시 수분 배출 면적에 맞추어 일주일에서 10일 전후하여 수분을 모두 방출할 수 있도록 도판의 두께와 크기에 따라 유약의 분사량을 70%~ 99%로 적절히 조정하여 도포해야 한다.
<5단계: 소성>
그리고, 상기 분장 장식에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150~1200℃의 온도로 소성하여(소성시간의 경우 단가마에서는 7-8시간, 터널가마에서는 2시간이내) 도판(10)을 소성 제조하다.
이때, 석기질의 소결 온도에 따른 포켓과 도판의 수분 흡수 및 건조상태의 미묘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세라믹 멀라이트(초벌구이 제품이나 토기, 테라코타제품, 유약을 바르지 않은 도자물 등과 같이 다공성을 유지한 상기의 소결온도로 굽는 공정)특성에 맞추어 소재 변화를 얻음으로서 분경의 수분함량을 가름할 수 있어 최적의 생육조건을 유지토록 물의 공급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실내 가습을 위한 수분 측정기의 역할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실내 가습은 문제없으나 난 배양에 요구되는 수분율을 적절히 예측하여 조절하지 못하여 과습 또는 건조를 유발하므로 부착란 등 까다로운 화초의 재배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소성은 1회 내지 3회로 반복소성을 실시할 수 있으며 소성 후 별도의 유리나 안료 채식을 더하여 850~ 950℃의 낮은 온도로 장식소성 하는 즉, 일반적인 상회소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6단계: 막음판 결합>
상기 제작이 이루어진 부조 도판(10)의 메인 포켓부(11) 배면측에 관통 되어진 통공부(12)에는 같은 재질로 막음판(13)을 별도로 성형하여 실리콘, 에폭시 등의 무기화학 본드를 접착재로 하여 결합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막음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그러나 액자 형태로 사용할 경우 액자 뒷판의 통공부(12)로는 수분 배출을 막도록 기타 아크릴계 수지나 우레탄 목재 금속 등의 여타 재질로 막음판(13)을 성형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최종 결과물에 액자를 같이 입힐 경우에는 액자의 배면판 내부에 막음판을 첨부하거나 함께 성형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통공부(12) 주변에는 막음판(13)이 안착 결합되도록 안착턱(11b)이 형성되어져 있어 막음판(13)의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7단계: 액자틀 결합>
이후, 분재 도판(10)의 용도가 벽 부착용 벽장재로 사용되거나 도판 성형시 액자모양까지 일괄 황토로 성형되어 그 자체로 완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판(10)을 액자용 베이스로 디자인했거나 또는 분재 도판을 책상이나 바닥에 세울 경우 등 액자 테두리 배면부 취부공을 형성해 지지봉(대)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 테두리를 감싸는 액자틀 및 배면판을 결합시킴으로서 본 발명은 분재 액자로도 완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판(10)의 테두리를 감싸는 액자틀(20) 및 배면판(30)을 결합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분재액자가 완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과정을 거쳐 제작되어진 본 발명 액자형 벽장식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요철형상의 부조 조각이 이루어진 도판(10)에는 식물의 식재를 위한 포켓부(1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포켓부(11) 내벽면에는 다수의 돌기(11a)가 10~25㎜길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져 있어 식재시 뿌리를 잡아주고 활착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말해 배양토가 없거나 약간의 물이끼만으로 식재한 경우 초기 식재의 안정화가 기간동안이나 이끼식물의 자생과 건조시 공극율의 차이를 극복하고 이끼류나 뿌리의 건조시 물공급시에도 부유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재용 포켓에 물을 공급할 경우 상기의 돌기사이에 놓인 식물 뿌리는 물론이고 다공질의 포켓 속 넓은 표면적을 가진 삼투압에 의해 또는 부조도판속의 모세관을 따라 수분이 다량 이동하게 되고 이때 황토 도판이 수분베이스 역할과 함께 수분 배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장식재 제작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자형 장식재를 제작하는 과정 위주로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실내벽체를 이루는 타일형 장식재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액자틀 결합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도판(도자기판) 11 : 메인 포켓부
11a: 돌기 11b: 안착턱
12 : 통공부 13 : 막음판
15 : 소형 포켓부 20 : 액자틀
30 : 배면판
100,200 : 석고금형

Claims (8)

  1. 삭제
  2. 소정의 자연미와 심미감을 주는 그림이나 다양한 문양이 입체적인 부조로 조각되어 전면에 나타내어지는 도자기판이 구비되어지는 벽걸이형 액자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판의 재료는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 흡 방출이 용이하도록 다공질의 통기성 재질인 황토재료가 주성분인 옹기토를 포함하되,
    상기 도자기판의 재료는 상기 옹기토 60~80중량%, 고령토 20~40중량%로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부조로 조각된 장식이 있는 도자기판 전면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내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부를 이루는 메인 포켓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도자기판에는 메인 포켓부의 배면측이 개방되어지는 통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부에는 막음판이 결합 구비되며,
    상기 메인 포켓부의 내벽면에는 식재시 뿌리를 잡아주고 활착을 도와줄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으며, 통공부 주변에는 막음판의 안착을 위한 안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2개가 쌍을 이루어 상호 대향면에 도판 성형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져 있는 상,하 석고금형을 제작하는 석고금형 제작단계;(ST 1)
    도판의 재료가 될 옹기토와 고령토를 혼합하여 고르게 반죽하는 원료배합 및 반죽단계;(ST 2)
    상기 반죽된 원료를 유압 프레스 금형의 상,하 베이스판에 장착된 석고금형 사이에 적정량으로 투입한 후, 유압을 작동시켜 프레스 가압을 실시함으로 판형태의 기물을 성형하되, 성형된 기물에는 전면으로 돌출 구비되고 내부는 배면측으로 개방된 통공부를 형성함과 함께 통공부 주변에는 막음판의 안착을 위한 안착턱이 형성되고, 내벽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식재를 위해 상부를 절개시켜서 상부가 개방되는 메인 포켓부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기물 정형단계;(ST 3)
    상기 정형된 완성 기물을 열건조를 실시함과 함께 기물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열건조 및 장식시유단계;(ST 4)
    상기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소성하는 소성단계;(ST 5)
    상기 소성에 의해 완성된 부조 도판의 메인 포켓부 배면측에 형성된 통공부에 별도 제작된 막음판을 결합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마감을 실시하는 막음판 결합단계;(ST 6)를 포함하되,
    상기 열건조 및 장식시유단계(ST 4)에서는, 이색성의 상감체를 채우는 상감처리 및 분장하는 공정이 있을 경우 그 표면을 브러쉬(수세미)로 닦아내는 공정이 추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제작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 결합단계(ST 6) 후에는 도판의 둘레에 액자틀을 결합하는 액자틀 결합단계(ST 7)가 실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제작방법.
KR1020100019138A 2010-03-03 2010-03-03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KR10105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38A KR101050413B1 (ko) 2010-03-03 2010-03-03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138A KR101050413B1 (ko) 2010-03-03 2010-03-03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413B1 true KR101050413B1 (ko) 2011-07-19

Family

ID=4492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138A KR101050413B1 (ko) 2010-03-03 2010-03-03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4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4741A (zh) * 2018-04-16 2018-09-18 鲁志高 外墙装饰件模具和外墙装饰件模具设备
KR102126501B1 (ko) * 2020-05-02 2020-06-24 최은호 식물벽화 시공 방법
KR20220167833A (ko) 2021-06-14 2022-12-22 유정식 식재공간이 생략된 친환경 판형 인테리어 겸용 화분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30067358A (ko) 2021-11-09 2023-05-16 안숭희 식재 타일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533A (ja) 2003-02-18 2004-09-09 Jiro Umehara 植栽緑化壁
KR100582270B1 (ko) * 2005-08-29 2006-05-23 오금석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KR20060113618A (ko) * 2006-10-13 2006-11-02 송정환 자연석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화분
KR200438549Y1 (ko) 2006-11-29 2008-02-21 유재만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533A (ja) 2003-02-18 2004-09-09 Jiro Umehara 植栽緑化壁
KR100582270B1 (ko) * 2005-08-29 2006-05-23 오금석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KR20060113618A (ko) * 2006-10-13 2006-11-02 송정환 자연석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화분
KR200438549Y1 (ko) 2006-11-29 2008-02-21 유재만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4741A (zh) * 2018-04-16 2018-09-18 鲁志高 外墙装饰件模具和外墙装饰件模具设备
KR102126501B1 (ko) * 2020-05-02 2020-06-24 최은호 식물벽화 시공 방법
KR20220167833A (ko) 2021-06-14 2022-12-22 유정식 식재공간이 생략된 친환경 판형 인테리어 겸용 화분 및 이의 제작방법
KR20230067358A (ko) 2021-11-09 2023-05-16 안숭희 식재 타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7266B (zh) 复合陶瓷结构体及其制作方法以及使用该复合陶瓷结构体之壁面结构
KR101050413B1 (ko) 화분일체형 벽장식재 및 그 제작방법
CN2211693Y (zh) 一种由三个有透气性能的盆型容器套装成的蓄水、保湿花盆
CN207538283U (zh) 一种植物吊顶装置
KR100582270B1 (ko)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CN212936934U (zh) 一种具有雾化功能的家庭景观陶瓷花盆
CN105340616A (zh) 一种花卉租赁用长期免维护种植装置
CN203492453U (zh) 一种生鲜复合花盆
KR101202026B1 (ko) 황토 석부작 제조 방법
CN202285742U (zh) 一种多功能漏斗形浇花器
KR200242315Y1 (ko) 송이석을 이용한 액자형 분재
KR200155499Y1 (ko) 화분일체형 황토 벽재
CN201491548U (zh) 实用简易组合花盆
KR200214427Y1 (ko) 수분공급이 용이한 석부작용 풍란분
KR20220167833A (ko) 식재공간이 생략된 친환경 판형 인테리어 겸용 화분 및 이의 제작방법
JP3025630U (ja) 植栽領域を表面に有する焼成造形物
CN220342973U (zh) 一种陶瓷花盆
CN115380728A (zh) 无底透气花盆
CN201115368Y (zh) 两用盛水器
JP7190242B1 (ja) 植木鉢内蔵保水鉢カバー
CN207505536U (zh) 保水保土带透气柱的花盆
JPH09121683A (ja) 植栽領域を表面に有する焼成造形物
KR200339556Y1 (ko) 난초 재배용 기능성 도자기 화분
CN109380013A (zh) 一种沙漠盆景的制作方法
CN205082395U (zh) 一种自动洒水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