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78Y1 - 그래스 외피 화분 - Google Patents

그래스 외피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78Y1
KR200470278Y1 KR2020130000931U KR20130000931U KR200470278Y1 KR 200470278 Y1 KR200470278 Y1 KR 200470278Y1 KR 2020130000931 U KR2020130000931 U KR 2020130000931U KR 20130000931 U KR20130000931 U KR 20130000931U KR 200470278 Y1 KR200470278 Y1 KR 200470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frame
grass
whipping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미
Original Assignee
박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미 filed Critical 박윤미
Priority to KR2020130000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및 철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화분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외피는 위핑러브그래스를 사용하여 화분의 본체를 완성한 후, 화분의 내측에 식물을 심어서 재배하거나 표면에 부착식물을 부착시켜서 재배하는 식물 재배용 화분인 그래스 외피 화분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프레임은 와이어 및 철사로 구성하고 외피를 위핑러브그래스로 구성하므로, 가공이 간편하여 화분의 형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서 천장에 매달거나 벽에 걸 수도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이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며, 자연친화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어 집안 또는 사무실의 인테리어 효과에도 긍정적이다. 그리고, 수분과 직접 맞닿은 화분의 특성상 수분에 의해 마모되거나 부식이 진행되지만, 수분에 매우 강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좋아서 식물의 생육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래스 외피 화분{flowerpot with Grass Cover}
본 고안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및 철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화분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외피는 위핑러브그래스를 사용하여 화분을 완성한 후, 화분의 내측에 식물을 심어서 재배하거나 표면에 부착식물을 부착시켜서 재배하는 식물 재배용 화분인 그래스 외피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에서 소규모의 식물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화분은 화초 및 난 등의 식물을 본체의 상부에 수용하여 재배 또는 관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주기적인 수분의 공급을 통해 식물이 성장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화분으로는 질흙을 일정한 모양으로 빚은 후 높은 온도에서 구운 자기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유지, 보수가 비교적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등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화분의 내측 공간에는 식물에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이 적층 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식적인 요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화분의 표면에 재배되는 식물과 부합되는 그림 및 조각 등이 표현된 것들도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분을 통하여 화초 등의 식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재배하여 관상용 또는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 중에서 재질이 플라스틱인 것은 소재가 가벼워서 이동 등이 수월한 점은 있지만, 통기성이 매우 좋지 않아서 식물이 생육하는데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며, 소재 자체가 자연친화적인 재질이 아니므로 식물을 키우는데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자기를 이용한 화분의 경우에는 플라스틱 소재와 다르게 통기성이 좋으나 자기의 특성상 질흙을 이용하므로 무게가 매우 무거워서 이동이 쉽지 않으며, 관리를 잘 못하면 쉽게 깨지는 특성이 있어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남아프리카가 원산이며 목초로 재배하는 외떡잎식물로 벼목이며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위핑러브그래스(weeping lovegrass)가 있다. 학명은 Eragrostis curvula로써, 능수참새그령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약 1M이고 줄기는 빽빽이 나며 잎은 가늘고 길게 자라는데, 길이가 약 50㎝, 너비가 약 2mm로서 한 여름이면 높이 자라서 휘어져 늘어지게 된다. 이삭은 길이가 약 20 ~ 30㎝이며 작은 종자가 많이 달려있어서, 자연적으로 번식하게 된다. 보통 봄에 종자를 뿌리는데, 생장이 빠르고 강한 뿌리를 넓게 뻗으므로 건조한 기후에 강하고 메마른 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이른 봄부터 자라기 시작하고, 보통 잎은 가축의 사료로 쓰이며, 급한 경사지에서도 뿌리를 잘 뻗고 잘 자라서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아주므로 토양침식 방지, 계단식 경사면 보호, 수로변 보호, 산지의 사방 공사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그래서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도로사면 보호를 위해서 도입되어 심겨진 후에 야생화 되었으며,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핑러브그래스는 가공이 간편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을 할 수 있고, 가벼워서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특히 수분에 강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으로 이용하여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핑러브그래스는 강도가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에 흙을 채워넣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을 단독으로 구성하기에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화분 내측의 흙 또는 물이 위핑러브그래스의 틈새로 빠져나가버려서 화분으로서의 기능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예를 들어보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17067호에는 이끼를 이용하여 내부에는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배양토(흙)가 채워진 화분 틀을 플라스틱 망으로 형성하고 겉에는 이끼를 감싸고 이끼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 줄로 묶어서 형성한 이끼화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3021호에는 고형물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된 인형화분과, 상기 인형화분 외부에 분말이끼를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만든 식물재배용 인형 화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프레임을 플라스틱 망 또는 이끼, 고형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인형을 사용하고 있지만, 위핑러브그래스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으므로 선행기술에 비하여 통기성이 좋고 무게도 가벼우며, 수분에 매우 강한 위핑러브그래스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설정을 감안하여 종래 식물 재배용 각종 화분이나 위핑러브그래스를 단독으로 사용하여서 야기되는 다양한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무게가 가볍고, 통기성이 좋으며, 수분에 매우 강력하며 가공이 간편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위핑러브그래스를 화분의 외피로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식물의 재배 관리가 용이하여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의 식재용기로 사용하며, 자연 친화적인 재료를 사용하므로 인테리어 효과에 긍정적인 그래스 외피 화분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 본 고안인 그래스 외피 화분은 와이어 및 철사 또는 강도가 단단한 노끈 등으로 원하는 모양 또는 형상의 화분 외형을 구성하여 화분의 프레임을 완성하고, 채취한 위핑러브그래스를 사용하여 상기의 프레임의 내측에 촘촘히 깔아서 외피를 완성하며, 외피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게 위핑러브그래스의 사이사이에 글루곤 또는 무독성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3 ~ 4㎝ 간격으로 칠해서 위핑러브그래스끼리 단단하게 접착하고, 상기의 외피 내측 상면에 배수 구멍이 뚫린 비닐소재 또는 부직포 등을 내피로 형성하여 화분의 흙이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그래스 외피 화분의 내측에 흙을 깔고서 식물을 고정시킨 후, 흙을 다시 채워 넣어서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을 완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프레임은 와이어 및 철사로 구성하고 외피를 위핑러브그래스로 구성하므로, 가공이 간편하여 화분의 형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화분의 무게가 가벼우므로 이동이 쉬우며 인테리어 효과를 위해서 천장에 매달거나 벽에 걸 수도 있다.
또한, 전국적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이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으며, 자연친화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어서 집안 또는 사무실의 인테리어 효과에도 긍정적이고, 수분과 직접 맞닿은 화분의 특성상 수분에 의해 마모되거나 부식이 진행되지만, 수분에 매우 강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좋아서 식물의 생육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그래스 외피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그래스 외피 화분의 분리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그래스 외피 화분의 실사용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그래스 외피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그래스 외피 화분의 분리도이며, 도 3은 그래스 외피 화분의 실사용예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그래스 외피 화분인 본체(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의 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위핑러브그래스를 이용하여 구성한 외피(11)와, 상기 외피(11)의 내측에 위치하며 하부에 수분 배출공(31)이 형성된 내피(12)와, 상기 프레임(10)의 양 측부에 형성된 걸이 지지대(21) 및 상기 걸이 지지대(21)를 모아서 고정하며 링 형상으로 된 걸이 링(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는 와이어와 철사, 굵은 나일론 끈 및 강도가 단단한 노끈 등을 사용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화분의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의 프레임(10)을 구성하는 동일한 재료로 걸이 지지대(21)를 상기 프레임(10)의 양 측부에 형성하여 걸이 링(20)에 모아지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걸이 링(20)의 재료 또한,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며, 걸이 링(20)은 본체(1)를 공중에 매달거나 벽에 매달 때 사용하는 용도이다.
또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위핑러브그래스를 사용하여 외피(11)를 구성하고, 상기 외피(11)의 내측에는 부직포 또는 투명비닐 등을 이용한 내피(12)를 위치시켜서 화분의 흙 또는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와 3을 살펴보면, 가장 외측에 와이어 및 철사 또는 굵은 나일론 끈, 강도가 단단한 노끈 등으로 화분 형상의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의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위핑러브그래스를 사용하여 프레임(10)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성한 외피(11)를 구성하고, 상기의 외피(11)의 내측에는 하단에 수분 배출공(31)이 마련된 내피(12)를 배치하여 본체(1)를 구성한다.
상기의 외피(11)를 구성하는 위핑러브그래스는 가공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요구 또는 취향에 맞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위핑러브그래스를 촘촘하게 배치한 후 3 ~ 4㎝ 간격으로 글루곤 또는 무독성 친환경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단단하게 고정하며, 강한 충격에도 풀어지거나 쏟아지지 않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의 위핑러브그래스로 구성된 외피(10)를 글루곤 및 무독성 친환경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프레임(10)과 강력하게 고정하도록 하며, 외피(11)의 내측에는 본체(1)에 담길 흙과 식물 또는 물이 쏟아지거나 빠져나가지 않도록 내피(12)를 배치하되, 수분이 흘러나갈 수 있도록 수분 배출공(31)을 형성한다.
상기 내피(12)를 구성하는 것은 부직포 또는 비닐 소재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무방하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체(1)에 식물을 흙과 같이 심은 후 수분을 공급하면 화분에 담긴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받아 식생하게 된다.
실사용예인 도 3에는 프레임(10)과 외피(11)를 박스형태로 구성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으며, 걸이 링(20)을 공중에 매달아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이나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체
10. 프레임
11. 외피
12. 내피
20. 걸이 링
21. 걸이 지지대
31. 수분 배출공

Claims (5)

  1. 식물 재배용 화분에 있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위핑러브그래스를 이용하여 구성한 외피(11)와;
    상기 외피(11)의 내측에 위치하고 하부에 수분 배출공(31)이 형성되며 비닐계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한 내피(12)와;
    상기 프레임(10)의 양 측부에 형성된 걸이 지지대(21)와;
    상기 걸이 지지대(21)를 모아서 고정하며 링 형상으로 구비된 걸이 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스 외피 화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및 걸이 링(20), 걸이 지지대(21)를 구성하는 것은 와이어 또는 철사 또는 나일론 끈 또는 노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스 외피 화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위핑러브그래스로 이루어진 외피(11)와 프레임(10)의 고정은 무독성 친환경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스 외피 화분.

  5. 삭제
KR2020130000931U 2013-02-05 2013-02-05 그래스 외피 화분 KR200470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931U KR200470278Y1 (ko) 2013-02-05 2013-02-05 그래스 외피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931U KR200470278Y1 (ko) 2013-02-05 2013-02-05 그래스 외피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278Y1 true KR200470278Y1 (ko) 2013-12-09

Family

ID=5075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931U KR200470278Y1 (ko) 2013-02-05 2013-02-05 그래스 외피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58Y1 (ko) * 2016-11-18 2017-04-10 최이경 식물 재배 키트
KR102507785B1 (ko) * 2022-10-05 2023-03-07 민경아 생분해 화분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따른 생분해 화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451U (ko) * 1984-10-08 1986-05-07
JPH11196676A (ja) * 1998-01-07 1999-07-27 Tosco Co Ltd 椰子マット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451U (ko) * 1984-10-08 1986-05-07
JPH11196676A (ja) * 1998-01-07 1999-07-27 Tosco Co Ltd 椰子マット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158Y1 (ko) * 2016-11-18 2017-04-10 최이경 식물 재배 키트
KR102507785B1 (ko) * 2022-10-05 2023-03-07 민경아 생분해 화분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따른 생분해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37673B2 (en) Live plant box
CN204540243U (zh) 专用家居种植石斛的基质分层花盆
KR200470278Y1 (ko) 그래스 외피 화분
TWM509520U (zh) 多功能花盆結構
KR200438549Y1 (ko)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JP2012223177A (ja) 観葉植物の育成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部材と植木鉢
CN202750527U (zh) 一种自动吸水式花盆
JP3827680B2 (ja) 花卉植栽構造
CN100563428C (zh) 水培花卉盆
JP7349126B2 (ja) 植物育成用鉢
JP3262724B2 (ja) 栽培装置
KR200365120Y1 (ko) 수조가 구비된 화분
CN203563442U (zh) 一种用于盆栽攀援花草的储水立柱
CN203985222U (zh) 分节透气观湿可倒栽花盆
KR101968815B1 (ko) 패각류를 이용한 화분
KR101360092B1 (ko) 코코피트 혼합물이 충진된 부직포 포트 및 그로우 백
KR100818147B1 (ko) 탄성 화분
KR20100028316A (ko) 식물 재배용 인형용기의 제작방법
CN205431207U (zh) 一种挂兜式园林室内景观墙
JP3149228U (ja) 植物栽培装置
KR20220075934A (ko) 수경식물 가습기
KR100379852B1 (ko) 튜브형 분화 및 튜브형 포트에서의 꽃 재배 방법
Iverson Have You the Yen To Make Things Grow?
KR20240012219A (ko)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관상용 화분
KR20210056857A (ko) 수분유지 및 휴대가 용이한 화초식재방법 및 그 화초식재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