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143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143Y1
KR900001143Y1 KR2019860017673U KR860017673U KR900001143Y1 KR 900001143 Y1 KR900001143 Y1 KR 900001143Y1 KR 2019860017673 U KR2019860017673 U KR 2019860017673U KR 860017673 U KR860017673 U KR 860017673U KR 900001143 Y1 KR900001143 Y1 KR 900001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pot
main body
support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326U (ko
Inventor
이태근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손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손영희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60017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143Y1/ko
Publication of KR880009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분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분 본체 11 : 환상돌턱
12 : 소경부 13 : 걸림돌조
20 : 받침대 21 : 돌편
22 : 받침편 23 : 지지구
24 : 걸림요홈 30 : 통기용 간격
본 고안은 화분 저부에 받침대를 동일한 외형으로서 착탈 자재토록 구성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분 본체 저면에 약간 큰 받침대를 별도로 사용하여 왔기때문에 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에 고인 물속에 먼지나 오물이 섞여 외관상 지저분하여서 불편하였고, 화분의 위치를 바꿀 때에도 화분본체와 받침대를 따로 따로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받침대에 고인 물에 잠겼던 화분본체 저면부에서 물이 흐르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받침다리겸 장식용으로 분리하여 착삽한 것이 있었으나, 화분에 물을 줄때에 저면으로 유출되어 나오는 배수를 받아 주는 용기역활을 수행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코져 화분본체와 동일 형상의 받침대를 화분본체의 하부에 삽착하여 배수 처리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분 본체 하부를 환상돌턱으로 형성하여 소경부를 두고 이에 형성된 걸림돌조와 이와 대응되는 걸림요홈을 가진 지지구가 내측으로 형성된 받침대로 삽착 자재토록 하여, 화분에서 배출되는 여분의 물을 받을 수 있으며, 또한 통기성을 부여하고, 화분 본체와 받침대 외형을 동일하게 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화분의 재치면적이 종래의 화분 받침대 보다는 적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화분이 동시에 받침대가 일체로 이동이 되어 더욱 그 취급이 간편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같이 화분 본체(10)하부에 환상돌턱(11)을 형성하며 그 직하부에는 본체(10)의 직경보다는 적당량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부(12)를 두고 바깥 둘레에 연하여 걸림돌조(13)를 형성하며, 화분본체(10)의 외형과 동일 형상으로된 받침대(20)에는 내부 저면에서 상부로 돌출한 다수의 돌편(21)과 외부저면으로 돌출한 다수의 받침편(22)을 형성하고, 내측 원주면 상에는 수개의 지지구(23)를 등간격으로 세워 설치하고 지지구(23)내향일측으로 걸림요홈(24)을 형성하여 상기한 본체(10) 소경부(12)의 걸림돌조(13)와 끼워 맞춤이 자재토록 하되, 상기한 본체(10)를 받침대(20)에 삽착시 통기용 간격(30)을 형성토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4는 통기용 요입홈, 15는 배수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10)를 받침대(20)에 삽입할 때에 본체(10)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약간 누르면 본체(10) 소경부(12)에 형성된 걸림돌조(13)가 받침대(20) 지지구(23)의 내향으로 형성된 걸림요홈(24)에 삽착되어지며, 이대 본체(10)의 환상돌턱(11)과 받침대(20)사이의 통기용 간격(30)이 형성되고, 이 통기공간격(30)과 지지구(23)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본체(10)의 통기용 요입홈(14)이나 받침대(20)에 형성된 돌편(21)사이의 공간을 거쳐 배수공(15)을 가진 본체(10) 저면으로 공급되어. 받침대(20)내부의 돌편(21)은 본체(10)저면이 안착되어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화분에 물을 줄때에, 흙에 흡수되고 남은 물은 배수공(15)을 통해 받침대(20)에 낙하되어 담수되며, 상당량의 물이 담수될 때에는 화분본체(10)와 받침대(20)를 약간 잡아 당기면 삽착되었던 걸림돌조(13)가 쉽게 이탈하므로 받침대(20)의 담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20)에 본체(10)를 삽착시, 통기공 간격(30)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양호하며, 지지구(23)에 형성된 걸림요홈(24)과 본체(10)의 걸림돌조(13)에 의해 착탈이 용이하고, 화분본체(10)에서 낙하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고 받침대(20)에 고이므로서 주변은 항상 청결할 뿐만 아니라, 받침대(20)를 본체(10)와 동일형상의 외형으로 결합구성하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며 화분의 위치 이동이 간편한 장점을 가진 것이다.

Claims (1)

  1. 화분본체(10)의 하부에 소경부(12)를 형성하여 이와 끼워맞춤이 되고, 저면에 다수의 돌편(21)을 가진 받침대(20)로된 것에 있어서. 상기한 화분본체(10)의 소경부(12)의 바깥둘레에 연하여 걸림돌조(13)를 형성하고. 상기한 받침대(20)의 내주면상에는 내향으로 돌설되고, 걸림요홈(24)을 가진 지지구(23)를 등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하며, 이 걸림요홈(24)에 상기한 걸림돌조(13)가 간견(30)을 두고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분.
KR2019860017673U 1986-11-12 1986-11-12 화분 KR900001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673U KR900001143Y1 (ko) 1986-11-12 1986-11-12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673U KR900001143Y1 (ko) 1986-11-12 1986-11-12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326U KR880009326U (ko) 1988-07-22
KR900001143Y1 true KR900001143Y1 (ko) 1990-02-17

Family

ID=1925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673U KR900001143Y1 (ko) 1986-11-12 1986-11-12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1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97B1 (ko) * 2022-11-01 2023-08-29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화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97B1 (ko) * 2022-11-01 2023-08-29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화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326U (ko) 198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2148A (en) Hanging rope mounted adjustable position plant pot
US20090205251A1 (en) Flower Pot
CA1085166A (en) Planter
US4236351A (en) Planter with tubular air hole member
JPH0763278B2 (ja) 着生植物用多孔式栽培容器
KR101301014B1 (ko) 화분 상부면 다공성 보호커버
KR100653314B1 (ko) 화분
KR200214155Y1 (ko) 화분
KR900001143Y1 (ko) 화분
US6237508B1 (en) Stand convertible to a table or decorative container
KR20160074150A (ko) 다용도 화분받침
US5088234A (en) Plant holder
KR101014627B1 (ko) 화분
KR940007608Y1 (ko) 화분 받침대
US5020274A (en) Plant hanger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JPH0810119A (ja) 陶器製花器
JPH052651U (ja) 植木鉢用手提げ具
KR200174616Y1 (ko) 화분
KR200183627Y1 (ko) 도로 장식용 화분
KR200271332Y1 (ko) 배수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
JP3035128U (ja) 壁掛けプランター
KR200339654Y1 (ko) 화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