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897B1 - 화분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897B1
KR102571897B1 KR1020220143625A KR20220143625A KR102571897B1 KR 102571897 B1 KR102571897 B1 KR 102571897B1 KR 1020220143625 A KR1020220143625 A KR 1020220143625A KR 20220143625 A KR20220143625 A KR 20220143625A KR 102571897 B1 KR102571897 B1 KR 10257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pace
upper port
pot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우
Original Assignee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는, 제 1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상부 바디 측벽부 및 제 1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부 바디 측벽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포트 개구를 구비하는 상부 바디와, 제 1 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제 1 공간과 함께 상부 포트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하부 바디 측벽부를 구비하는 하부 바디를 포함하는 상부 포트; 및 상부 포트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포트 공간을 구비하는 하부 포트;를 포함한다. 하부 포트는, 하부 포트 바닥면을 갖는 하부 포트 바닥부; 상부 포트를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받침대; 및 하부 포트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부 포트 측벽부;를 포함한다. 하부 바디는, 받침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포트 바닥부; 상부 포트 바닥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 포트 바닥부에 형성되는 상부 포트 홀; 및 하부 포트 바닥부와 마주하도록 상부 포트 바닥부의 일면에 상부 포트 홀의 넓이보다 넓은 넓이로 형성되는 바닥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조립체{FLOWERPOT ASSEMBLY}
본 발명은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식재하는데 사용되는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목적은 관상용, 공기정화용, 실내 습도조절용 등 다양한 목적이 있다. 실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은 주변의 공기를 정화해 주는 동시에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고, 딱딱하고 무미건조한 공간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장식품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이유로 도심의 공기질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고, 사람들은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환기를 꺼려함에 따라 실내 환경은 더욱 열악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식물을 키우는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대개 화초나 관상수 등의 식물을 화분에 담아서 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화분 안에 배양토를 넣고, 배양토에 식물을 심어서 주기적으로 물을 주며 기르는게 일반적이다.
화분은 식물을 심거나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식재도구이다. 통상적으로,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몸통부분을 이루는 측벽은 막혀 있으며, 바닥면에는 배수 및 통기 목적으로 사용되는 배수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할 때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물을 주는데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즉, 화분의 통기성이나 물빠짐 특성에 맞춰 물을 주는 시기와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면 식물의 생육이 원활하지 않거나, 식물의 뿌리가 괴사하기 쉽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식물의 생육에 최적화된 화분을 개발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KR 2011-0002377 U (2011.03.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통기성과 물빠짐 특성을 갖고, 관리 편의성이 향상된 화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는, 제 1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상부 바디 측벽부 및 상기 제 1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바디 측벽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포트 개구를 구비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제 1 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 1 공간과 함께 상부 포트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하부 바디 측벽부를 구비하는 하부 바디를 포함하는 상부 포트; 및 상기 상부 포트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포트 공간을 구비하는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포트는, 하부 포트 바닥면을 갖는 하부 포트 바닥부; 상기 상부 포트를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부 포트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포트 바닥부;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에 형성되는 상부 포트 홀; 및 상기 하부 포트 바닥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의 일면에 상기 상부 포트 홀의 넓이보다 넓은 넓이로 형성되는 바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포크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네 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포트는,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스포크 각각의 끝단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포트 홀은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포트 홀의 넓이(Sh)와, 상기 바닥홈의 높이(Hg)와, 상기 받침대의 높이(Hs)는 다음 수식1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1
Sh(㎟) : (Hg+Hs)(㎜) = 115 : 1 ~ 135 : 1
상기 하부 바디의 높이(Hb)와, 상기 받침대의 표면에서 상기 하부 포트 공간의 최상단까지 높이(Hr)는 다음 수식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2
Hb(㎜) : Hr(㎜) = 1.5 : 1 ~ 3 : 1
상기 상부 포트 공간의 부피(Vp)와, 상기 상부 포트 홀의 넓이(Sh)는 다음 수식3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3
Vp(㎣) : Sh(㎟) = 190 : 1 ~ 230 : 1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상부 바디 측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최하단에서 상기 상부 포트 홀의 최상단까지의 거리(Dh)와, 상기 상부 포트 개구에서 상기 배출구의 최하단까지의 거리(Dd)는 다음 수식4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4
Dh(㎜) : Dd(㎜) = 2 : 1 ~ 12 : 1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포트는 각각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 포트 공간의 최상단 넓이(Sb)는 상기 제 1 공간의 최상단 넓이(S1)보다 작고, 상기 제 2 공간의 최상단 넓이(S2)는 상기 하부 포트의 최상단 넓이(Sb)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측벽부는, 최상단에 상기 상부 포트 개구가 형성되고,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최하단의 넓이가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의 최상단의 넓이보다 넓은 상부 측벽부; 및 상기 상부 측벽부와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를 연결하고, 중력 작용 방향에 대해 비평형하게 배치되는 지지면을 갖는 원통형의 연결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의 높이(Ht)와, 상기 상부 측벽부의 내면과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는 다음 수식5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5
Ht(㎜) : Ds(㎜) = 1.3 : 1 ~ 1.6 : 1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는 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관리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는 식물이 식재되는 상부 포트와 상부 포트를 떠받치는 하부 포트 사이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이 식재된 배양토 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에 식물이 식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하부 포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식물이 식재된 화분내에서의 시간에 따른 습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에 식물이 식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배양토(S)와 식물(P)의 뿌리(R)가 담길 수 있는 상부 포트 공간(111)을 갖는 상부 포트(110)와, 상부 포트(1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하부 포트 공간(141)을 갖는 하부 포트(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배양토(S)는 인공적으로 조제한 흙, 또는 천연 토양 등 식물이 뿌리내릴 수 있는 다양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포트(110)는 상부 바디(112)와, 하부 바디(121)를 포함한다.
상부 바디(112)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 포트(1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상부 포트(110)에 식재된 식물(P)의 뿌리(R) 쪽으로 집중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부 바디(112)의 내측에는 제 1 공간(113)이 마련된다. 상부 바디(112)는 제 1 공간(113)을 구획 형성하는 원통형의 상부 바디 측벽부(114)를 포함한다. 상부 바디 측벽부(114)는 상부 측벽부(115)와, 연결 측벽부(116)를 포함한다. 상부 측벽부(115)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측벽부(115)의 최하단 넓이는 하부 바디(121)의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최상단의 넓이보다 넓다. 연결 측벽부(116)는 상부 측벽부(115)의 최하단과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최상단을 연결한다. 연결 측벽부(116)는 후술할 상부 포트 바닥부(125)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 1 공간(113)에 담기는 배양토(S)를 떠받칠 수 있는 지지면(117)을 갖는다.
상부 측벽부(115)의 최상단에는 제 1 공간(113)과 연결되는 상부 포트 개구(118)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측벽부(115)에는 배출구(119)가 구비된다. 배출구(119)는 상부 포트 공간(111)에 공급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포트 공간(111)에 물이 과도하게 공급될 때 배출구(119)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19)를 통해 물이 배출됨으로써 상부 포트 공간(111)에 과도한 양의 물이 담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바디(121)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 포트(11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상부 포트(110)에 식재된 식물(P)의 뿌리(R) 쪽으로 집중시키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하부 바디(121)의 내측에는 제 2 공간(122)이 마련된다. 제 2 공간(122)은 제 1 공간(113)과 함께 상부 포트 공간(111)을 형성한다. 제 2 공간(122)의 최상단 넓이(S2)는 제 1 공간(113)의 최상단 넓이(S1)보다 작다. 하부 바디(121)는 하부 바디 측벽부(123)와, 상부 포트 바닥부(125)를 포함한다. 하부 바디 측벽부(123)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최상단은 연결 측벽부(116)와 연결된다. 상부 포트 바닥부(125)는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최하단을 덮는다.
상부 포트 바닥부(125)는 상부 포트 공간(111)에 담기는 배양토(S)를 떠받칠 수 있는 상부 포트 바닥면(126)을 갖는다. 상부 포트 바닥부(125)에는 상부 포트 홀(127)과, 바닥홈(128)이 형성된다. 상부 포트 홀(127)은 상부 포트 바닥부(12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 포트 바닥부(125)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부 포트 홀(127)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포트 홀(127)은 상부 포트 공간(111)에 공급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상부 포트(110)에 담긴 배양토(S)에 흡수된 물은 상부 포트 홀(127)과 바닥홈(128)을 통해 상부 포트(11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포트 공간(111)에 물이 관수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양토(S)의 습도는 점진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바닥홈(128)은 상부 포트 바닥부(125)의 하부면에 상부 포트 홀(127)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닥홈(128)은 상부 포트 바닥부(125)의 상부 포트 밑면(129)과 상부 포트 밑면(129)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바닥 림(1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다. 바닥홈(128)은 상부 포트(110)와 하부 포트(140)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부 포트(140)는 상부 포트(1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부 포트(110)를 떠받칠 수 있다. 하부 포트(140)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하부 포트(140) 내부로 물을 관수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하부 포트(140)의 내측에는 상부 포트(11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하부 포트 공간(141)이 마련된다.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 넓이(Sb)는 제 1 공간(113)의 최상단 넓이(S1)보다 작고, 제 2 공간(122)의 최상단 넓이(S2)보다 크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 포트(110)에 대한 하부 포트(140)의 상대 크기를 가능한 작게 하면서 저면 관수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면 관수는 물을 하부 포트(140)의 하부 포트 공간(141)에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부 포트(140)에 공급된 물은 상부 포트(110)의 바닥홈(128) 및 상부 포트 홀(127)을 통해 상부 포트 공간(111)에 담긴 배양토(S)로 공급될 수 있다.
하부 포트(140)는 하부 포트 측벽부(142)와, 하부 포트 바닥부(145)를 포함한다. 하부 포트 측벽부(142)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포트 측벽부(142)의 최상단에는 하부 포트 공간(141)과 연결되는 하부 포트 개구(143)가 구비된다. 하부 포트 바닥부(145)는 하부 포트 측벽부(142)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하부 포트 측벽부(142)의 최하단을 덮는다.
하부 포트 바닥부(145)에는 받침대(147)와, 지지돌기(150)가 배치된다. 받침대(147)는 상부 포트(110)를 하부 포트 바닥면(14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하부 포트 바닥면(146)으로부터 돌출된다. 받침대(147)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148)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포크(148)는 하부 포트 바닥면(146)의 중심으로부터 하부 포트 측벽부(142) 쪽으로 연장된다. 스포크(148)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네 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네 개의 스포크(148)는 상부 포트(110)의 바닥 림(130)을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다. 또한 전후좌우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148)는 상부 포트(110)와 하부 포트(140)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안정적인 통로를 제공하고, 상부 포트(110)와 하부 포트(140) 사이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분 조립체(100) 주위의 공기 흐름 방향이 다양하게 변화하더라도 상부 포트(110)와 하부 포트(140)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지지돌기(150)는 복수의 스포크(148) 각각의 끝단에서 하부 포트 바닥면(14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지지돌기(150)는 하부 포트 측벽부(142)로부터 하부 포트 바닥면(146)의 중심 쪽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포트(110)가 하부 포트(140)에 놓일 때 지지돌기(150)는 상부 포트(110)의 하부 바디 측벽부(123)와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포트(110)는 받침대(147) 위에서 이동이 제한되며, 하부 포트(140)의 중앙에 놓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부 포트(110)는 상부 포트 홀(127)이 받침대(147)의 중심부(149)에 위치하도록 하부 포트(140)에 놓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식물(P)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제공하고 관리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상부 포트(11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과 하부 포트(1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최적화된 비율로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와, 바닥홈(1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가 다음 수식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수식1
Sh(㎟) : (Hg+Hs)(㎜) = 115 : 1 ~ 135 : 1
위의 수식1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15(Hg+Hs)(㎜) ≤ Sh(㎟) ≤ 135(Hg+Hs)(㎜)
여기에서,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는 상부 포트 홀(127)을 통해 상부 포트(110)에서 빠져나가는 물의 배출 속도와 관련이 있는 설계 요소이다.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상대적으로 크면 물빠짐 속도가 증가하고,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상대적으로 작으면 물빠짐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그리고 바닥홈(1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를 더한 값은 상부 포트(110)와 하부 포트(140)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의 높이와 관련이 있는 설계 요소이다. 상부 포트(110)는 받침대(147)에 의해 하부 포트(140)의 하부 포트 바닥면(14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되므로 공기가 하부 포트 바닥면(146)과 상부 포트 밑면(129)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공기가 하부 포트 바닥면(146)과 상부 포트 밑면(129) 사이를 통과할 때 상부 포트(110) 내부의 공기와 물이 상부 포트 홀(127)을 통해 상부 포트(110)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포트 바닥면(146)과 상부 포트 밑면(129) 사이에서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수록 상부 포트 홀(127)을 통한 물빠짐이 촉진될 수 있다. 즉, 하부 포트 바닥면(146)과 상부 포트 밑면(129) 사이에서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상부 포트(110)에 담긴 배양토(S)의 수분이 상부 포트 홀(127)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고, 배양토(S) 속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부 포트 바닥면(146)과 상부 포트 바닥면(126) 사이에서의 공기 흐름은 상부 포트(110)에 담긴 배양토(S) 중의 습도를 낮추는데 중요한 영향을 준다.
물빠짐 속도가 빨라지거나, 배양토(S) 내 습도 하락 속도가 빨라지면 갈수(渴水) 현상으로 인해 식물의 생육환경이 악화되고, 사용자가 물을 더 자주 주어야하므로 관리가 번거로워질 수 있다. 반면, 물빠짐 속도가 느려지거나, 배양토(S) 내 습도 하락 속도가 느려지면 과습 현상으로 인해 식물의 생육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물빠짐 속도와 배양토(S) 내 습도 하락 속도가 적절하게 설계된 화분 조립체는 관리 편의성이 향상되고, 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분 조립체의 관리 편의성은 사용자가 물을 너무 자주 주지 않아도 되어 관수 회수가 줄어들고 관수에 따른 번거로움이 감소하는 척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관리 편의성이 우수한 화분 조립체는 사용자가 적절한 시점(예를 들어, 1주일)마다 관수를 하여 식물을 기를 수 있는 화분 조립체라 할 수 있다.
도 6은 화분에 담긴 배양토 내에서의 시간에 따른 습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는 일반적인 실내 환경에서 갈수 현상과 과습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습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으로, 세로축은 습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h)을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실선은 갈수 기준선을 나타내고, 점신은 과습 기준선을 나타낸다. 갈수 기준선과 과습 기준선 사이의 영역 A는 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습도 변화 영역을 나타낸다. 배양토 내에서의 습도가 시간에 따라 영역 A 내에서 변화할 때 식물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이 유지되고, 관리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양토 내에서의 습도가 갈수 기준선 하측의 영역 B 내에서 변화할 때 갈수 현상이 촉진된다. 그리고 배양토 내에서의 습도가 과습 기준선 상측의 영역 C 내에서 변화할 때 과습 현상이 촉진된다.
위의 수식1의 조건은 시뮬레이션 분석과 실험적 분석을 통해 획득한 것으로, 상부 포트(110)에 담긴 배양토(S) 내에서의 습도가 시간에 따라 도 6의 그래프에 나타낸 영역 A 내에서 변화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즉, Sh(㎟)와 (Hg+Hs)(㎜)의 비율이 115 : 1 ~ 135 : 1의 범위에 있을 때 물빠짐 속도와 배양토(S) 내 습도 하락 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Sh(㎟)와 (Hg+Hs)(㎜)의 비율이 115 : 1 미만(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바닥홈(1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를 더한 값의 115배 미만)인 경우, 물빠짐 속도가 저하되어 과습 현상이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Sh(㎟)와 (Hg+Hs)(㎜)의 비율이 135 : 1을 초과(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바닥홈(1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를 더한 값의 135배를 초과)하는 경우, 물빠짐 속도가 증대되어 갈수 현상이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수식1의 조건은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과도하게 크거나 작을 때는 위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고, 바닥홈(1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를 더한 값이 과도하게 크거나 작을 때에도 위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수식1의 조건은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50㎟ ~ 2000㎟ 범위이고, 바닥홈(1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를 더한 값이 1㎜ ~ 10㎜ 범위인 경우에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상부 포트(110)의 하부 바디(121)의 높이(Hb)와, 하부 포트(140)의 받침대(147)의 표면에서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까지 높이(Hr)가 다음 수식2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2
Hb(㎜) : Hr(㎜) = 1.5 : 1 ~ 3 : 1
하부 포트(140)의 받침대(147)의 표면에서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까지 높이(Hr)는 하부 포트(140) 속으로 삽입되는 상부 포트(110)의 삽입 깊이와 관련이 있다. 즉, 받침대(147)의 표면에서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까지 높이(Hr)가 상대적으로 크면 상부 포트(110)의 하부 바디(121)가 하부 포트(140) 속으로 더욱 깊이 잠기게 된다.
위의 수식2에서 Hb(㎜)와 Hr(㎜)의 비율은 저면 관수와 관련이 있다. 즉, Hb(㎜)와 Hr(㎜)의 비율이 1.5 : 1 ~ 3 : 1의 범위에 있을 때 상부 포트(110)가 하부 포트(140)에 놓인 상태에서 하부 포트(140)에 물을 공급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 포트(140)를 통해 상부 포트(110)의 배양토(S)에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Hb(㎜)와 Hr(㎜)의 비율이 1.5 : 1미만(하부 바디(121)의 높이(Hb)가 받침대(147)의 표면에서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까지 높이(Hr)의 1.5배 미만)인 경우, 상부 포트(110)의 상부 바디(112)와 하부 포트(14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좁아 상부 포트(110)가 하부 포트(140)에 놓인 상태에서 하부 포트(140)에 물을 공급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반면, Hb(㎜)와 Hr(㎜)의 비율이 3 : 1을 초과(하부 바디(121)의 높이(Hb)가 받침대(147)의 표면에서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까지 높이(Hr)의 3배 초과)인 경우, 하부 포트(140)에 충분한 양의 물이 담기기 어렵고, 상부 포트(110)의 배양토(S)에 충분한 수분이 하부 포트(140)로부터 공급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상부 포트 공간(111)의 부피(Vp)와,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가 다음 수식3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3
Vp(㎣) : Sh(㎟) = 190 : 1 ~ 230 : 1
위의 수식3에서 Vp(㎣)와 Sh(㎟)의 비율은 물빠짐 속도와 관련이 있다. 즉, Vp(㎣)와 Sh(㎟)의 비율이 190 : 1 ~ 230 : 1의 범위에 있을 때 상부 포트(110)에 담긴 배양토(S) 내에서의 습도가 시간에 따라 도 6의 그래프에 나타낸 영역 A 내에서 변화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Vp(㎣)와 Sh(㎟)의 비율이 190 : 1 미만(상부 포트 공간(111)의 부피(Vp)가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의 190배 미만)인 경우, 물빠짐 속도가 증대되어 갈수 현상이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Vp(㎣)와 Sh(㎟)의 비율이 230 : 1을 초과(상부 포트 공간(111)의 부피(Vp)가 상부 포트 홀(127)의 넓이(Sh)의 230배 초과)인 경우, 물빠짐 속도가 저하되어 과습 현상이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배출구(119)의 최하단에서 상부 포트 홀(127)의 최상단까지의 거리(Dh)와, 상부 포트 개구(118)에서 배출구(119)의 최하단까지의 거리(Dd)가 다음 수식4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4
Dh(㎜) : Dd(㎜) = 2 : 1 ~ 12 : 1
위의 수식4에서 Dh(㎜)와 Dd(㎜)의 비율이 2 : 1 ~ 12 : 1의 범위에 있을 때 식물(P)의 생육에 유리한 양의 물을 상부 포트(110) 내부로 공급하는데 유리하다. Dh(㎜)와 Dd(㎜)의 비율이 2 : 1 미만(배출구(119)의 최하단에서 상부 포트 홀(127)의 최상단까지의 거리(Dh)가 상부 포트 개구(118)에서 배출구(119)의 최하단까지의 거리(Dd)의 2배 미만)인 경우, 상부 포트 개구(118)를 통해 상부 포트(110) 내부의 배양토(S)에 물을 공급하는 상황에서 배양토(S)에 충분한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고 물이 배출구(119)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반면, Dh(㎜)와 Dd(㎜)의 비율이 12 : 1을 초과(배출구(119)의 최하단에서 상부 포트 홀(127)의 최상단까지의 거리(Dh)가 상부 포트 개구(118)에서 배출구(119)의 최하단까지의 거리(Dd)의 12배 초과)인 경우, 상부 포트 개구(118)를 통해 과도한 양의 물이 상부 포트(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관수 시간이 길어져 관리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제 2 공간의 높이(Ht)와, 상부 포트(110)의 상부 측벽부(115)의 내면과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가 다음 수식5의 조건을 만족한다. 여기에서, 상부 측벽부(115)의 내면과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는 상부 측벽부(115)와 하부 바디 측벽부(123)를 상부 포트 바닥부(125)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 상에 투영할 경우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최상단 내주면이 상부 측벽부(115)의 최하단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수식5
Ht(㎜) : Ds(㎜) = 1.3 : 1 ~ 1.6 : 1
위의 수식5에서 Ht(㎜)와 Ds(㎜)의 비율은 물빠짐 속도와 관련이 있다. 즉, Ht(㎜)와 Ds(㎜)의 비율이 1.3 : 1 ~ 1.6 : 1의 범위에 있을 때 상부 포트(110)에 담긴 배양토(S) 내에서의 습도가 시간에 따라 도 6의 그래프에 나타낸 영역 A 내에서 변화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Ht(㎜)와 Ds(㎜)의 비율이 1.3 : 1 미만(제 2 공간의 높이(Ht)가 상부 포트(110)의 상부 측벽부(115)의 내면과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의 1.3배 미만)인 경우, 물빠짐 속도가 저하된다. 이 경우, 상부 포트(110) 내부의 배양토(S) 중 연결 측벽부(116)에 의해 지지되는 배양토(S)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고, 연결 측벽부(116)에 의해 지지되는 배양토(S)에서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Ht(㎜)와 Ds(㎜)의 비율이 1.3 : 1 미만일 때, 과습 현상이 촉진되고, 연결 측벽부(116)에 의해 지지되는 배양토(S)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수분이 흡수될 수 있어 관수 시간이 길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Ht(㎜)와 Ds(㎜)의 비율이 1.6 : 1을 초과(제 2 공간의 높이(Ht)가 상부 포트(110)의 상부 측벽부(115)의 내면과 하부 바디 측벽부(123)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의 1.6배 초과)인 경우, 물빠짐 속도가 증대되어 식물(P)의 뿌리가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기 전에 물이 배양토(S)로부터 빠져나가고, 갈수 현상이 촉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100)는 식물(P)의 생육에 유리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관리 편의성이 우수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상부 포트와 하부 포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는 배양토(S)와 식물(P)의 뿌리(R)가 담길 수 있는 상부 포트 공간(211)을 갖는 상부 포트(210)와, 상부 포트(210)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하부 포트 공간(141)을 갖는 하부 포트(140)를 포함한다. 하부 포트(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 포트(210)는 상부 바디(212)와, 하부 바디(221)를 포함한다.
상부 바디(212)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바디(212)의 내측에는 제 1 공간(213)이 마련된다. 상부 바디(212)는 제 1 공간(213)을 구획 형성하는 원통형의 상부 바디 측벽부(214)를 포함한다. 상부 바디 측벽부(214)는 상부 측벽부(215)와, 연결 측벽부(216)를 포함한다. 상부 측벽부(215)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측벽부(215)의 최하단 넓이는 하부 바디(221)의 하부 바디 측벽부(223)의 최상단의 넓이보다 넓다. 연결 측벽부(216)는 상부 측벽부(215)의 최하단과 하부 바디 측벽부(223)의 최상단을 연결한다. 연결 측벽부(216)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공간(213)에 담기는 배양토(S)를 떠받칠 수 있는 지지면(217)을 갖는다.
상부 측벽부(215)의 최상단에는 제 1 공간(213)과 연결되는 상부 포트 개구(218)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측벽부(215)에는 배출구(219)가 구비된다.
하부 바디(221)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바디(221)의 내측에는 제 2 공간(222)이 마련된다. 제 2 공간(222)은 제 1 공간(213)과 함께 상부 포트 공간(211)을 형성한다. 제 2 공간(222)의 최상단 넓이(S2)는 제 1 공간(213)의 최상단 넓이(S1)보다 작다. 하부 바디(221)는 하부 바디 측벽부(223)와, 상부 포트 바닥부(225)를 포함한다. 하부 바디 측벽부(223)는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바디 측벽부(223)의 최상단은 연결 측벽부(216)와 연결된다. 상부 포트 바닥부(225)는 하부 바디 측벽부(223)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하부 바디 측벽부(223)의 최하단을 덮는다.
상부 포트 바닥부(225)는 상부 포트 공간(211)에 담기는 배양토(S)를 떠받칠 수 있는 상부 포트 바닥면(226)을 갖는다. 상부 포트 바닥부(225)에는 상부 포트 홀(227)과, 바닥홈(228)이 형성된다. 상부 포트 홀(227)은 상부 포트 바닥부(22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 포트 바닥부(225)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부 포트 홀(227)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홈(228)은 상부 포트 바닥부(225)의 하부면에 상부 포트 홀(227)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바닥홈(228)은 상부 포트 바닥부(225)의 상부 포트 밑면(229)과 상부 포트 밑면(229)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바닥 림(23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는 상부 포트 홀(227)의 넓이(Sh)와, 바닥홈(228)의 높이(Hg)와, 받침대(147)의 높이(Hs)가 다음 수식1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수식1
Sh(㎟) : (Hg+Hs)(㎜) = 115 : 1 ~ 135 : 1
이러한 수식1의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식1의 조건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는 상부 포트(210)의 하부 바디(221)의 높이(Hb)와, 하부 포트(140)의 받침대(147)의 표면에서 하부 포트 공간(141)의 최상단까지 높이(Hr)가 다음 수식2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2
Hb(㎜) : Hr(㎜) = 1.5 : 1 ~ 3 : 1
이러한 수식2의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식2의 조건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는 상부 포트 공간(211)의 부피(Vp)와, 상부 포트 홀(227)의 넓이(Sh)가 다음 수식3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3
Vp(㎣) : Sh(㎟) = 190 : 1 ~ 230 : 1
이러한 수식3의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식3의 조건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는 배출구(219)의 최하단에서 상부 포트 홀(227)의 최상단까지의 거리(Dh)와, 상부 포트 개구(218)에서 배출구(219)의 최하단까지의 거리(Dd)가 다음 수식4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4
Dh(㎜) : Dd(㎜) = 2 : 1 ~ 12 : 1
이러한 수식4의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식4의 조건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200)는 제 2 공간의 높이(Ht)와, 상부 포트(210)의 상부 측벽부(215)의 내면과 하부 바디 측벽부(223)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가 다음 수식5의 조건을 만족한다.
수식5
Ht(㎜) : Ds(㎜) = 1.3 : 1 ~ 1.6 : 1
이러한 수식5의 조건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식1의 조건에 따른 효과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상부 포트가 원기둥 형태의 상부 바디와 원기둥 형태의 하부 바디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상부 포트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부 포트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부 포트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부 포트의 받침대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스포크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받침대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포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과 하부 포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간의 수치적 비율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화분 조립체 110, 210 : 상부 포트
111, 211 : 상부 포트 공간 112, 212 : 상부 바디
113, 213 : 제 1 공간 114, 214 : 상부 바디 측벽부
115, 215 : 상부 측벽부 116, 216 : 연결 측벽부
117, 217 : 지지면 118, 218 : 상부 포트 개구
119, 219 : 배출구 121, 221 : 하부 바디
122, 222 : 제 2 공간 123, 223 : 하부 바디 측벽부
125, 225 : 상부 포트 바닥부 126, 226 : 상부 포트 바닥면
127, 227 : 상부 포트 홀 128, 228 : 바닥홈
140 : 하부 포트 141 : 하부 포트 공간
142 : 하부 포트 측벽부 143 : 하부 포트 개구
145 : 하부 포트 바닥부 146 : 하부 포트 바닥면
147 : 받침대 148 : 스포크
150 : 지지돌기

Claims (11)

  1. 제 1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상부 바디 측벽부 및 상기 제 1 공간과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바디 측벽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포트 개구를 구비하는 상부 바디와, 상기 제 1 공간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제 1 공간과 함께 상부 포트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하부 바디 측벽부를 구비하는 하부 바디를 포함하는 상부 포트; 및 상기 상부 포트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포트 공간을 구비하는 하부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포트는, 하부 포트 바닥면을 갖는 하부 포트 바닥부; 상기 상부 포트를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받침대; 및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 포트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부 포트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포트 바닥부;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에 형성되는 상부 포트 홀; 및 상기 하부 포트 바닥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의 일면에 상기 상부 포트 홀의 넓이보다 넓은 넓이로 형성되는 바닥홈;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스포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포크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네 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포트 홀은 상기 상부 포트 바닥부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포트 홀의 넓이(Sh)와, 상기 바닥홈의 높이(Hg)와, 상기 받침대의 높이(Hs)는 다음 수식1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수식1
    Sh(㎟) : (Hg+Hs)(㎜) = 115 : 1 ~ 135 : 1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포트는,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와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스포크 각각의 끝단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의 높이(Hb)와, 상기 받침대의 표면에서 상기 하부 포트 공간의 최상단까지 높이(Hr)는 다음 수식2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수식2
    Hb(㎜) : Hr(㎜) = 1.5 : 1 ~ 3 : 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트 공간의 부피(Vp)와, 상기 상부 포트 홀의 넓이(Sh)는 다음 수식3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수식3
    Vp(㎣) : Sh(㎟) = 190 : 1 ~ 230 : 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는,
    상기 상부 바디 측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최하단에서 상기 상부 포트 홀의 최상단까지의 거리(Dh)와, 상기 상부 포트 개구에서 상기 배출구의 최하단까지의 거리(Dd)는 다음 수식4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수식4
    Dh(㎜) : Dd(㎜) = 2 : 1 ~ 12 : 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와, 상기 하부 포트는 각각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 포트 공간의 최상단 넓이(Sb)는 상기 제 1 공간의 최상단 넓이(S1)보다 작고, 상기 제 2 공간의 최상단 넓이(S2)는 상기 하부 포트의 최상단 넓이(Sb)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 측벽부는,
    최상단에 상기 상부 포트 개구가 형성되고,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최하단의 넓이가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의 최상단의 넓이보다 넓은 상부 측벽부; 및
    상기 상부 측벽부와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를 연결하고, 중력 작용 방향에 대해 비평형하게 배치되는 지지면을 갖는 원통형의 연결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의 높이(Ht)와, 상기 상부 측벽부의 내면과 상기 하부 바디 측벽부의 내면 사이의 이격 거리(Ds)는 다음 수식5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조립체.
    수식5
    Ht(㎜) : Ds(㎜) = 1.3 : 1 ~ 1.6 : 1
KR1020220143625A 2022-11-01 2022-11-01 화분 조립체 KR10257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625A KR102571897B1 (ko) 2022-11-01 2022-11-01 화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625A KR102571897B1 (ko) 2022-11-01 2022-11-01 화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897B1 true KR102571897B1 (ko) 2023-08-29

Family

ID=8780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625A KR102571897B1 (ko) 2022-11-01 2022-11-01 화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8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43Y1 (ko) * 1986-11-12 1990-02-17 제일제당주식회사 화분
JPH0372277U (ko) * 1989-08-10 1991-07-22
KR100844450B1 (ko) * 2007-04-21 2008-07-07 최승수 화분받침대
KR20110002377A (ko) 2009-07-01 2011-01-07 농업회사법인 농산무역 유한회사 심정펌프장치와 공기열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한 열원저장식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KR20150012390A (ko) * 2013-07-25 2015-02-04 권주몽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43Y1 (ko) * 1986-11-12 1990-02-17 제일제당주식회사 화분
JPH0372277U (ko) * 1989-08-10 1991-07-22
KR100844450B1 (ko) * 2007-04-21 2008-07-07 최승수 화분받침대
KR20110002377A (ko) 2009-07-01 2011-01-07 농업회사법인 농산무역 유한회사 심정펌프장치와 공기열 히트펌프장치를 이용한 열원저장식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KR20150012390A (ko) * 2013-07-25 2015-02-04 권주몽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8274B2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KR102571897B1 (ko) 화분 조립체
KR20080004675U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214155Y1 (ko) 화분
KR20100055176A (ko) 화분장치
CN206866147U (zh) 一种多功能陶砂花盆
KR20110003274U (ko) 기능성 화분
EP0181328A1 (en) FLOWERPOT.
CN209768498U (zh) 一种栽培水槽
KR20210078469A (ko) 벽면 설치용 식물 포트의 적층 설치 구조
JPH11253054A (ja) 植物栽培用二重鉢
CN108064606B (zh) 一种挂墙花盆
CN206791116U (zh) 一种多棱体立体花盆
CN2086047U (zh) 具有蓄水功能的花盆
CN218042677U (zh) 一种防溢水陶瓷花盆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JPH01277427A (ja) 裁培容器及び裁培装置
CN217608529U (zh) 一种种植盆
KR200432390Y1 (ko) 물받이 트레이와 구리편을 갖는 화분
CN210808386U (zh) 一种新型种植箱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CN207948276U (zh) 组合花盆
CN209861720U (zh) 高透气性花盆
KR200146903Y1 (ko) 미니화분세트
KR200278231Y1 (ko) 공기 통기공을 갖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