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50B1 -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50B1
KR100844450B1 KR1020070039079A KR20070039079A KR100844450B1 KR 100844450 B1 KR100844450 B1 KR 100844450B1 KR 1020070039079 A KR1020070039079 A KR 1020070039079A KR 20070039079 A KR20070039079 A KR 20070039079A KR 100844450 B1 KR100844450 B1 KR 10084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drain hole
drip tray
hol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수
Original Assignee
최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수 filed Critical 최승수
Priority to KR102007003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물받이를 화분받침대 저부로부터 이탈시키더라도 화분받침대의 배수공으로부터 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의 절약 및 주변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는 화분(10)을 지지하며,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공(51)이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공(51)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시키는 물받이(100)와,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로부터 이탈시킬때 배수공(51)을 폐쇄시키고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에 위치시킬때 배수공(51)을 개방시키는 배수공 개폐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화분받침대는 물받이를 화분받침대의 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화분받침대의 배수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수공을 통한 물의 배출을 방지하여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재공급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고, 별도의 용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분받침대에 장착된 물받이를 사용하여 화분에 물을 재공급할 수 있어 화분에 물을 주기가 용이하며, 화분에 재공급된 물은 화분받침대로 배수되지 않으므로 주변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물받이에 물을 가득하게 채워 화분에 공급하더라도 화분에서 물의 일부가 흡수되고 나머지 물은 물받이에 수용되므로 물받이에서는 물이 넘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화분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화분, 화분받침대, 물받이, 개폐수단

Description

화분받침대{flower supporter}
도 1은 종래 화분이 안착된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개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화분받침대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캐스터 바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화분 50...화분받침대
51...배수공 60...마감판
70...구형가이드 80...구형회전체
90...연동체 100...물받이
본 발명은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받이를 화분받침대 저부로부터 이탈시키더라도 화분받침대의 배수공으로부터 물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 변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재공급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배수공(11)이 형성된 화분(10)은 화분받침대(30)에 안착하여 설치하며, 화분받침대(30)의 저부에는 배수공(31)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시킬 수 있는 물받이(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20)에 물이 고이게 되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받이(20)에 수용된 물을 별도의 하수구를 통하여 물을 버리게 되고, 물받이(20)를 다시 화분받침대(30)에 장착한 후 다른 물받이 용기 등을 사용하여 화분(10)에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물받이(20)에 수용된 물을 화분(10)에 공급할 경우 공급된 물은 배수공(11)을 통해 바닥면에 물이 유출되므로 반드시 물받이(20)를 화분받침대(30)에 장착한 후 다른 용기로 화분(10)에 물을 공급하여야 하고, 물받이(20)에 수용된 물은 반드시 버려야 하므로 물받이(20)에 수용된 물을 재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화분(10)에 물을 공급할 때 물받이(20)에 수용되는 물이 넘치는 지를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으며, 물이 넘칠 경우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받이 를 화분받침대의 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화분받침대의 배수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수공을 통한 물의 배출을 방지하여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재공급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고, 별도의 용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분받침대에 장착된 물받이를 사용하여 화분에 물을 재공급할 수 있어 화분에 물을 주기가 용이하며, 화분에 재공급된 물은 화분받침대로 배수되지 않으므로 주변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받이에 물을 가득하게 채워 화분에 공급하더라도 화분에서 물의 일부가 흡수되고 나머지 물은 물받이에 수용되므로 물받이에서는 물이 넘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화분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는 화분을 지지하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공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시키는 물받이를 구비하는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를 화분받침대의 저부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배수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물받이를 화분받침대 저부에 위치시킬 때 상기 배수공을 개방시키는 배수공 개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 개폐수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배수공을 폐쇄시키고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구멍과 하부구멍이 형성되며 내부에 구형공간을 형성하는 구형가이드와; 상기 구형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구형회전체와; 상기 구형회전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구멍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물받이가 화분받침대 저부로 진입시 물받이 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관통부와 상/하부구멍을 연통시키는 제1연동핀과, 상기 물받이를 화분받침대 저부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물받이 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관통부와 상/하부구멍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제2연동핀을 구비하는 연동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받침대는 상기 연동체의 상면에 상기 하부구멍의 내벽에 안착되어 상기 구형회전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화분받침대의 배수공 상면에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양토에 의해 배수공이 폐쇄되지 않도록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화분받침대의 상면에 화분이 안착되는 마감판을 구비하여 화분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배양토의 이물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공에 필터를 결합하여서 배양토로 인해 상기 상부구멍 또는 관통부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개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화분받침대체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화분받침대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는 화분(10)을 지지하며,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공(51)이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공(51)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시키는 물받이(100)와, 상기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배수공(51)을 폐쇄시키고 상기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에 위치시킬 때 상기 배수공(51)을 개방시키는 배수공 개폐수단을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공 개폐수단은 상기 배수공(51)에 밀착결합되는 구형가이드(70)와, 구형가이드(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형회전체(80)와, 상기 구형회전체(80)에 결합되어 상기 물받이(100)의 출입에 따라 연동되는 연동체(90)를 구비한다.
상기 구형가이드(70)는 그 외주면이 상기 배수공(51)에 밀착 결합되어 폐쇄시키고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구멍(71)과 하부구멍(72)이 형성되며 내부에 구형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구형회전체(80)는 상기 구형가이드(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동체(90)는 상기 구형회전체(80)에 결합되어 상기 장공인 하부구멍(72)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물받이(100)가 화분받침대(50) 저부로 진입시 물받이(100) 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관통부(81)와 상/하부구멍(71)(72)을 연통시키는 제1연동핀(91)과, 상기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로부터 이탈시킬 때 물받이(100) 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관통부(81)와 상/하부구멍(71)(72)의 연결을 차단 시키는 제2연동핀(92)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가이드(70)는 상부(70a)와 하부(70b)로 구획되어 구형회전체(80)를 구형가이드(70)의 내부공간에 장착하고, 연동체(90) 상부에 돌출된 돌기부(93)를 포함한 연동체(90)를 하부구멍(72)을 통해 삽입하여 돌기부(93)를 구형회전체(8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삽입구(82)에 삽입시켜 연동체(90)를 구형회전체(80)에 결합시킨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체(90)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구멍(72)의 내벽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구멍(72)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되는 걸림부(94)가 형성되어 상기 구형회전체(80)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화분받침대(50)의 배수공(51) 상면에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양토에 의해 배수공(51)이 폐쇄되지 않도록 필터(53)를 구비하여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배양토로 인해 상기 상부구멍(71) 또는 관통부(81)가 폐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화분받침대(50)의 상면에 화분(10)이 안착되는 마감판(60)을 구비하여 화분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배양토의 이물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받침대(50)의 하단부에는 상기 화분받침대를 이동시키는 바퀴(210)가 장착된 캐스터(200)를 구비하여 화분받침대(5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바퀴(210)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경우 화분받침대(50)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나, 이때, 바퀴(210) 중앙부에 형성된 홈(220) 내부에 고 무링(230)을 삽입하여 화분받침대(5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100)는 화분받침대(50)에 형성된 가이드(미도시)에 안내되어서 정확한 위치로 출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분받침대는, 도 4에서와 같이 물받이(100)가 화분받침대(50)의 저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구형회전체(80)의 관통부(81)가 구형가이드(70)의 상/하부구멍(71)(72)과 연통되어서, 화분(10)으로부터의 배수물이 물받이(10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물받이(100)에 물이 차서 물을 버리거나 화분(10)에 다시 공급시키도록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물받이(100) 단부에 상기 제2연동핀(92)이 걸려서 연동되면서 구형회전체(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관통부(81)가 이동되면서 관통부(81)와 상/하부구멍(71)(72)의 연결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화분(10)으로부터 배수물이 화분받침대(50) 저부로 낙하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관통부(81)의 위치이동으로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배수공(51)을 통해 바닥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받이(100)에 저장된 물을 화분(10)에 재공급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고, 별도의 용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분받침대(50)에 장착된 물받이(100)를 사용하여 화분(10)에 물을 재공급할 수 있어 화분에 물을 주기가 용이하며, 화분에 재공급된 물은 화분받침대로 배수되지 않으므로 주변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100)에 물을 가득하게 채워 화분(10)에 공급하더라도 화분(10) 에서 물의 일부가 흡수되고 나머지 물은 물받이(100)에 수용되므로 물받이(100)에서는 물이 넘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화분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100)를 다시 화분받침대(50) 저부로 진입시키게 되면, 물받이(100)의 단부가 제1연동핀(91)을 연동시키면서 진입되게 되므로, 구형회전체(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관통부(81)와 상/하부구멍(71)(72)이 연통되어 배수공(51)을 통해 화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수물은 물받이(100)로 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는 물받이를 화분받침대의 저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화분받침대의 배수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배수공을 통한 물의 배출을 방지하여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화분에 재공급할 수 있어 물을 절약할 수 있고, 별도의 용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 화분받침대에 장착된 물받이를 사용하여 화분에 물을 재공급할 수 있어 화분에 물을 주기가 용이하며, 화분에 재공급된 물은 화분받침대로 배수되지 않으므로 주변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물받이에 물을 가득하게 채워 화분에 공급하더라도 화분에서 물의 일부가 흡수되고 나머지 물은 물받이에 수용되므로 물받이에서는 물이 넘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화분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화분을 지지하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공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을 수용시키는 물받이를 구비하는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배수공(51)을 폐쇄시키고, 상기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에 위치시킬 때 상기 배수공(51)을 개방시키는 배수공 개폐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 개폐수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배수공(51)을 폐쇄시키고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구멍(71)과 하부구멍(72)이 형성되며 내부에 구형공간을 형성하는 구형가이드(70)와;
    상기 구형가이드(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그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부(81)가 형성된 구형회전체(80)와;
    상기 구형회전체(8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구멍(72)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물받이(100)가 화분받침대(50) 저부로 진입시 물받이(100) 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관통부(81)와 상/하부구멍(71)(72)을 연통시키는 제1연동핀(91)과, 상기 물받이(100)를 화분받침대(50) 저부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물받이(100) 단부에 연동되어 상기 관통부(81)와 상/하부구멍(71)(72)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제2연동핀(92)을 구비하는 연동체(9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체(90)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구멍(72)의 내벽에 안착되어 상기 구형회전체(80)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부(9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받침대(50)의 배수공(51) 상면에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양토에 의해 배수공(51)이 폐쇄되지 않도록 필터(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받침대(50)의 상면에 화분(10)이 안착되는 마감판(60)을 구비하여 화분으로 배출되는 물 또는 배양토의 이물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6. 제 1 항 내지 제 3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받침대(50)의 하 단부에는 상기 화분받침대를 이동시키는 바퀴(210)가 장착된 캐스터(2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210) 중앙부에는 홈(220)이 형성되고, 그 홈(220) 내부에 고무링(23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받침대.
KR1020070039079A 2007-04-21 2007-04-21 화분받침대 KR10084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079A KR100844450B1 (ko) 2007-04-21 2007-04-21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079A KR100844450B1 (ko) 2007-04-21 2007-04-21 화분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450B1 true KR100844450B1 (ko) 2008-07-07

Family

ID=3982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079A KR100844450B1 (ko) 2007-04-21 2007-04-21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1Y1 (ko) * 2017-08-22 2018-04-18 전권식 화분 거치대
CN111919632A (zh) * 2020-09-02 2020-11-13 凤阳丰硕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西瓜爬藤架
KR102571897B1 (ko) * 2022-11-01 2023-08-29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화분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656U (ko) 1986-06-06 1987-12-14
JPH0386047U (ko) * 1989-12-19 1991-08-30
KR200359189Y1 (ko) 2004-05-11 2004-08-21 임병왕 화분 받침대
KR200431730Y1 (ko) 2006-08-23 2006-11-24 최승수 화분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6656U (ko) 1986-06-06 1987-12-14
JPH0386047U (ko) * 1989-12-19 1991-08-30
KR200359189Y1 (ko) 2004-05-11 2004-08-21 임병왕 화분 받침대
KR200431730Y1 (ko) 2006-08-23 2006-11-24 최승수 화분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31Y1 (ko) * 2017-08-22 2018-04-18 전권식 화분 거치대
CN111919632A (zh) * 2020-09-02 2020-11-13 凤阳丰硕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西瓜爬藤架
KR102571897B1 (ko) * 2022-11-01 2023-08-29 폿츠컴퍼니 주식회사 화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2941B2 (en) Sprout lid for container
TWI496535B (zh) 植栽容器
KR100844450B1 (ko) 화분받침대
WO2012148086A2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JP2016123418A (ja) 植物用の貯水部を有するポット
KR100864528B1 (ko) 화분 조립체
KR200431730Y1 (ko) 화분 받침대
JP2014027909A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KR200416033Y1 (ko)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JP5355218B2 (ja) 植木鉢用底面給水タンク
KR200442373Y1 (ko) 개량 화분받침대
KR20120037304A (ko)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JP7273396B2 (ja) ウオーターサーバー
CN208480352U (zh) 一种盆栽用的组合型花盆
JP2001078595A (ja) 植木鉢の自動給水装置及びその部品
KR200359189Y1 (ko) 화분 받침대
KR20160003171U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KR100716168B1 (ko) 화분 받침대
JPH0442378Y2 (ko)
KR200327235Y1 (ko) 화분 거치대
KR200458782Y1 (ko) 대체 토양용 화분 조립체
KR200474578Y1 (ko) 벽걸이 화분
KR100332148B1 (ko) 나물시루의배수장치구조물
KR20130003844U (ko) 배기형 찻병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