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171U -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171U
KR20160003171U KR2020150001581U KR20150001581U KR20160003171U KR 20160003171 U KR20160003171 U KR 20160003171U KR 2020150001581 U KR2020150001581 U KR 2020150001581U KR 20150001581 U KR20150001581 U KR 20150001581U KR 20160003171 U KR20160003171 U KR 20160003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hole
pollen
guide rai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8835Y1 (ko
Inventor
권영두
전성화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filed Critical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Priority to KR2020150001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3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1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 받침대의 상면에 고이지 않고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로 곧바로 유도되어 배수될 수 있으며, 화분 받침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를 가이드레일의 양측 어느 방향에서라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에 화분(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면(111)이 구비되고,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13)이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해주는 물받이(1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111)은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A stand for flower pot}
본 고안은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 받침대의 상면에 고이지 않고 하측의 물받이로 곧바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나무, 꽃, 식물 등을 심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고, 인체에 필요한 산소를 배출하면서 사람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흡수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화분에 심겨지는 식물의 생육을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되고, 화분에 공급된 물은 하측의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화분을 실내에서 기르고 있는 경우에는 화분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그대로 흘려보내지 않고 물받이에 일정량을 모아 보관한 다음 한 번에 내다버릴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화분받침대가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62401호로 선출원된 화분받침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분받침대(1)는, 하단에 소정높이를 갖는 다수개의 다리(3)가 구비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화분에서 물을 배출하는 배출공(5)이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배출공(5)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납해주는 물받이(7)가 구비된다. 따라서,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따로 물받이(7)에 일정량 보관하였다가 추후에 물받이(7)를 화분받침대(1)로부터 분리하여 보관된 물을 처리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물받이(7)가 구비된 화분받침대(1)는 그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화분에서 배수된 물이 배출공(5)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고 화분받침대(1)의 상면에 고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화분을 통과한 물은 대부분 혼탁한 흙물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흙물이 제대로 배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분받침대(1)가 쉽게 더러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화분받침대(1)로 인해 실내 인테리어를 오히려 망가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받이(7)는 일측 방향에서만 수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납되는 물받이(7)가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분받침대(1)의 저면 일측에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거나, 화분받침대(1)의 복수의 다리(3) 중 하나를 스토퍼 역할로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물받이(7)가 벽을 향해 있는 경우 물받이(7)를 분리할 수 없음에 따라, 받침대(1)를 일정각도 돌린 후 물받이(7)를 분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 받침대의 상면에 고이지 않고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로 곧바로 유도되어 배수될 수 있도록 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분 받침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를 가이드레일의 양측 어느 방향에서라도 수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면에 화분(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면(111)이 구비되고,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13)이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하는 물받이(1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111)은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7)은 본체(110) 저면에 단면 상에서 'ㄴ'자 형상이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20)는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부(121)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121)는 가이드레일(117)의 단부에 걸림 멈춤되는 단턱부(123);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받이(120)가 가이드레일(117)에 결합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면(111)은, 상기 화분(10)의 저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평탄면(1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111a)으로부터 상기 배수공(11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1b)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면에 화분(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면(111)이 구비되고,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13)이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하는 물받이(1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111)에는 중앙에 위치된 배수공(113)을 중심으로 복수의 배수홈부(119);가 방사상으로 이격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배수홈부(119)는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화분이 놓이게 되는 받침면을 배수공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화분 받침대의 상면에 고이지 않고 물받이로 곧바로 배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분 받침대를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분 받침대의 하부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를 가이드레일의 양측 어느 방향에서라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 받침대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물받이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 받침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1 실시예,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2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3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9는 도 8의 Ⅱ-Ⅱ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A방향에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4 실시예,
도 12는 도 11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100)는, 화분 받침면(111)과 배수공(113)이 구비되는 본체(110)와, 상기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해주는 물받이(1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111)은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는 상면에 화분(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면(111)이 구비된다. 받침면(111)의 가장자리에는 배수되는 물이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해줌과 아울러, 본체(110)의 구조를 보강해줄 수 있도록 테두리(11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면(111)에는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물받이(120)로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13)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하나의 배수공(113)이 받침면(111)의 중심부에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받침면(111)은 배수공(113)이 형성된 중심부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만일, 받침면(111)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경우 화분(10)을 통과한 흙물이 배수공(113)을 통해 곧바로 배수되지 않고 받침면(111) 상으로 퍼져 받침면(111)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받침면(111)을 배수공(113) 측으로 일정각도(θ) 경사지게 형성해줌으로써, 화분(10)을 통과한 물이 받침면(111) 상으로 퍼져지 않고 배수공(113)을 통해 곧바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의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면(111)은 화분(10)의 저면 테두리와 상응하는 부위가 평탄면(111a)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평탄면(111a)에서 배수공(11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받침면(111) 전체가 배수공(11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그 상면에 놓이게 되는 화분(10)의 종류에 따라 충분한 지지가 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화분(10)의 저면 테두리를 지지해주게 되는 받침면(111)의 가장자리는 평탄면(111a)으로 형성하고, 받침면(111)의 중심부는 배수공(11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평탄면(111a)의 상부에는 화분(10) 저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수밀을 유지해주는 연질의 실링부재(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화분(10)을 통과하는 물의 양에 비해 배수공(113)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경우, 상기 배수공(113)을 통해 물이 곧바로 배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배수되지 못한 물이 화분(10)의 저면과 평탄면(111a)의 틈새를 통해 받침면(111)의 가장자리로 흘러나올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12)가 화분(10) 저면과 평탄면(111a)의 틈새를 메우도록 하여 수밀성능을 향상시켜줌으로써, 배수되지 못한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받침면(111)은 화분(10)의 저면 테두리와 상응하는 부위가 평탄면(111a)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평탄면(111a)에서 배수공(11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탄면(111a)은 다양한 직경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다단 구조(d1 ~ d4)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평탄면(111a)의 직경이 하나의 특정 사이즈로 형성된 경우 그보다 작은 직경의 화분(10)이 경사면(111b)에 놓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직경의 화분(10)이 놓일 수 있도록 평탄면(111a)을 다단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소정 범위의 직경으로 형성된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물받이(120)는 본체(110)의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물받이(120)는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117)은 도 9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저면에 'ㄴ'자로 형성되어 2개가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물받이(120)의 상부 테두리에는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부(12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121)에는 가이드레일(117)의 단부에 걸려서 멈춤될 수 있도록 단턱부(123)가 구비된다. 단턱부(123)는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가이드레일(117)보다 소정 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단턱부(123)는 물받이(120)가 가이드레일(117)을 통해 내측으로 진행할 때 전방으로의 진행을 차단하여 물받이(120)가 정해진 위치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가이드레일(117)과 단턱부(123)가 구비된 물받이(120)의 구조에 의해 물받이(120)를 가이드레일(117)의 양방향(A 또는 B 방향)(도 8 및 도 10 참조)에서 모두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단턱부(123)는 물받이(120)의 결합 시 스토퍼 역할을 해줌으로써, 가이드레일(117)의 양방향에 형성된 개구 중 어느 방향에서 물받이(120)를 결합하더라도 물받이(120)가 결합되는 위치를 본체(110)의 하부 중심부에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100)는, 화분(10)이 놓이게 되는 받침면(111)을 배수공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해줌으로써, 화분(10)을 통과한 물이 화분 받침대(100)의 상면에 고이지 않고 곧바로 배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분 받침대(100)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 받침대(100)의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17)이 단면 상에서 'ㄴ'자로 형성되어 2개가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받이(120)에 가이드레일(117)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부(123)를 구비한다. 따라서, 물받이(120)를 가이드레일(117)의 양측 어느 방향에서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받이(120)를 수납 또는 분리하기 위해 화분 받침대(100)를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화분(10)이 놓이게 되는 받침면(111)을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화분을 통과한 물이 배수공(113)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는 경우라면 다양한 구조로 변경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화분(10)이 놓이게 되는 본체(110)의 받침면(111)을 수평면으로 형성하되, 상기 받침면(111)에는 배수공(113)을 회전 중심으로 복수의 배수홈부(119)를 방사상으로 이격 형성해주는 구조로 변경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홈부(119)는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받침면(111)이 수평면으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화분을 통과한 물이 복수의 배수홈부(119)를 따라 배수공(113) 측으로 유도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10 : 화분 100 : 화분 받침대
110 : 본체 111 : 받침면
111a : 평탄면 111b: 경사면
112 : 실링부재 113 : 배수공
115 : 테두리 117 : 가이드레일
119 : 배수홈부 120 : 물받이
121 : 플랜지부 123 : 단턱부

Claims (4)

  1. 상면에 화분(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면(111)이 구비되고,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13)이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하는 물받이(1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111)은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17)은 본체(110) 저면에 단면 상에서 'ㄴ'자 형상이 서로 대향되게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120)는 상부 테두리에 플랜지부(121)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121)는 가이드레일(117)의 단부에 걸림 멈춤되는 단턱부(123);를 더 포함하여, 상기 물받이(120)가 가이드레일(117)에 결합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화분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111)은,
    상기 화분(10)의 저면 테두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평탄면(1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탄면(111a)으로부터 상기 배수공(113)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1b)으로 형성된 화분 받침대.
  4. 상면에 화분(1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면(111)이 구비되고, 화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113)이 구비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7)에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수공(113)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수납하는 물받이(12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면(111)에는 중앙에 위치된 배수공(113)을 중심으로 복수의 배수홈부(119);가 방사상으로 이격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배수홈부(119)는 배수공(113)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화분 받침대.
KR2020150001581U 2015-03-13 2015-03-13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KR200488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81U KR200488835Y1 (ko) 2015-03-13 2015-03-13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581U KR200488835Y1 (ko) 2015-03-13 2015-03-13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171U true KR20160003171U (ko) 2016-09-21
KR200488835Y1 KR200488835Y1 (ko) 2019-03-26

Family

ID=5704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581U KR200488835Y1 (ko) 2015-03-13 2015-03-13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4542A1 (en) * 2020-10-05 2022-04-14 Hamlin Hugh Planter drainage assembly
US20220174888A1 (en) * 2019-04-04 2022-06-09 Cotte Co., Ltd. Receiving tray for pot stan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127Y1 (ko) * 2004-07-27 2004-10-15 박영제 배수 받침대가 일체화된 화분
JP5236831B1 (ja) * 2012-10-12 2013-07-17 邦彦 山中 植木鉢用受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4888A1 (en) * 2019-04-04 2022-06-09 Cotte Co., Ltd. Receiving tray for pot stand
US11930748B2 (en) * 2019-04-04 2024-03-19 Cotte Co., Ltd. Receiving tray for pot stand
WO2022074542A1 (en) * 2020-10-05 2022-04-14 Hamlin Hugh Planter draina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35Y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6028A1 (en) Sprout lid for container
US9521815B2 (en) Container
US20190322417A1 (en) Stackable container
US6125579A (en) Drainage disk and reservoir system for a planter
US9192111B2 (en) Pot for a hydroponic device
US20160128282A1 (en) Water catching and draining saucer and complementary catch basin
KR200488835Y1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KR20130004813A (ko) 저수조를 구비한 육묘포트
US20170079217A1 (en) Terrarium
JP3044352U (ja) 水耕栽培器
GB2545163A (en) A plant growing system for static solution hydroponics
US5044119A (en) Flowerpot bowl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CN107920474B (zh) 花盆底部构件及使用了该底部构件的花盆
KR20180002505U (ko)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KR102550539B1 (ko) 가습 효과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 장치
US11246268B2 (en) Potted plant tray
JP3053687U (ja) フラワーベンチ用排水構造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US20160235016A1 (en) Soft plant pot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JP2011030578A (ja) 縦置き水耕栽培装置
WO2020110454A1 (ja) 鉢受台
KR20170032668A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1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3

Effective date: 201808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