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33Y1 -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033Y1 KR200416033Y1 KR2020050034205U KR20050034205U KR200416033Y1 KR 200416033 Y1 KR200416033 Y1 KR 200416033Y1 KR 2020050034205 U KR2020050034205 U KR 2020050034205U KR 20050034205 U KR20050034205 U KR 20050034205U KR 200416033 Y1 KR200416033 Y1 KR 2004160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p tray
- drip
- present
- drain hole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하단부에 물받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폐쇄면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관통된 본체; 본체의 하부 내측공간에 형성된 물받이부; 및 물받이부 내로 수용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한다.
화분, 물받이, 물흐름방지턱, 구조, 하부, 폐쇄면, 배수공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에서 물받이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정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화분 본체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전체적인 외형이 원형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전체적인 외형이 각형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14 : 배수공
15 : 물흐름방지턱 20 : 물받이부재
30 : 물받이부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하단부에 물받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화분이라 함은 화초를 심어 가꾸는 관상용품의 일종으로, 내부에 화초 및 천연 또는 인공토양이 충전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의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토양 내에 함유된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화분은 통상 그 하부의 폐쇄면에 물받이 받침대를 받쳐주어 배수공을 통과한 수분이 화분의 주변 바닥면으로 흘러내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물받이 받침대와 화분이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보관시에 물받이 받침대의 분실 위험이 높고, 또한 물받이 받침대에 일시 저장된 수분을 수거하기 위해 화분을 물받이 받침대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취급이 매우 불 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물받이 받침대가 화분에 대해 그 외적 디자인이 일치하지 않거나 화분의 외관과 조화감을 주지 못할 우려가 많고, 이로 인해 화분의 원래 목적인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분에 물받이부를 일체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보관 및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미를 저하시키지 않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 내의 토양으로부터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수분의 배수성, 및 화분 내부의 청결성 등을 향상시켜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폐쇄면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관통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받이부; 및
물받이부 내로 수용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폐쇄면은 배수공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물받이부의 수용공간 내에는 물받이부재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공과 인접하는 폐쇄면의 하부면에는 물흐름방지턱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본체(10), 본체(10)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20), 및 물받이부재(20)를 수용하는 물받이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상부에 개구(1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각종 화초 및 천연 또는 인공토양 등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2)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폐쇄면(13)이 형성되고, 이 폐쇄면(1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14)이 구비되며, 이 배수공(14)을 통해 충전공간(12) 내에 충전된 토양을 통과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폐쇄면(13)은 배수공(14)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토양을 통과한 물의 배수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물받이부(30)는 본체(10)의 폐쇄면(13) 하부에 배치되고, 상술한 물받이부재(20)가 서랍식으로 인입 내지 인출되는 수용공간(31)을 가진다.
물받이부재(20)는 그 내부에 화분 내의 토양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수거하는 수거공간이 형성되고, 그 외측단부에는 손잡이부(2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물받이부(30)의 양 내측벽과 물받이부재(20)가 상호 접동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레일 및 고정레일(22, 32)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어, 물받이부재(20)의 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또한, 수용공간(31) 내에는 상술한 물받이부재(20)가 수용공간(31) 내로 과도하게 인입됨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33)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공(14)과 인접하는 폐쇄면(13)의 하부면에는 물흐름방지턱(15)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물흐름방지턱(15)은 배수공(14)을 통과한 물이 폐쇄면(13)의 하부면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수공(14)을 통과한 물이 물받이부(30)의 수용공간(31) 측벽 내지는폐쇄면(13)의 하부면 등으로 흘러들어가는 경우, 이러한 물 또는 물 내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 등도 물받이부(30)의 수용공간(31) 측벽 내지는 폐쇄면(1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 그 청결성을 저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물받이부(30) 내측벽에 부착된 오염물질로 인해 물받이부재(20)의 인입 내지는 인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사용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물흐름방지턱(15)은 화분의 물받이부(30)의 청결성 뿐만 아니라 물받이부재(20)의 작동성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10)가 소정의 문양이 형성된 각형으로 이루어진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본체(10)의 외형에 상관없이 본체(10) 하부 측에 물받이부재(20)가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와 달리 그 외관미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즉 종래의 화분은 물받이부재(20)와의 외관이 일치하지 않거나 조화를 이루어지 못하였지만, 본 고안은 본체(10)에 물받이부재(20)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그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제2실시예는 물받이부(30)의 하부에 지지부재(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이다.
본체(10)의 폐쇄면(13) 하부면에 다수의 제1결합리브(3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부재(40)의 상부면에 다수의 제2결합리브(45)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결합리브(35, 45)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결합리브(35, 45)의 분리가능한 결합에 의해, 물받이부(30)의 하부에 지지부재(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물받이부재(20)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물받이부재(20)의 작동성을 향상시킨다.
그 외에 나머지 구성 및 작동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ㄴ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 본 제3실시예는 본체(10)의 하부에 물받이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물받이부(30)는 그 상부에 결합홈(36)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36)에 본체(10)의 하단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결합홈(36)의 중앙에는 본체(10)의 배수공(14)과 연통하는 관통공(36a)이 형성된다.
또한, 물받이부(30) 및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7) 및 결합홈(37)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물받이부(30) 및 본체(1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본체(10) 및 물받이부(30)의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본체(10) 및 물받이부(30)의 외형이 각형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체(10)의 하부면에 다수의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물받이부(30)의 상부면에 결합면(38)이 돌출되며, 이 결합면(38)에는 다수의 결합홈(3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본체(10)의 결합돌기(17)와 결합면(28)의 결합홈(37)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하부에 물받이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화분에 물받이부를 일체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보관 및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미를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 내의 토양으로부터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수분의 배수성, 및 화분 내부의 청결성 등을 향상시켜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폐쇄면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관통된 본체;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받이부; 및상기 물받이부 내의 수용공간으로 수용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폐쇄면은 배수공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물받이부 내에는 물받이부재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제3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과 인접하는 폐쇄면의 하부면에는 물흐름방지턱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물받이부의 하부에는 물받이부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화분의 하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4205U KR200416033Y1 (ko) | 2005-12-05 | 2005-12-05 |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4205U KR200416033Y1 (ko) | 2005-12-05 | 2005-12-05 |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033Y1 true KR200416033Y1 (ko) | 2006-05-10 |
Family
ID=4176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4205U KR200416033Y1 (ko) | 2005-12-05 | 2005-12-05 |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033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313U (ko) * | 2016-07-21 | 2018-01-31 | 이부건 |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
WO2024011277A1 (en) * | 2022-07-12 | 2024-01-18 | PerkyPod PTY LTD | Pot for a plant |
-
2005
- 2005-12-05 KR KR2020050034205U patent/KR2004160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313U (ko) * | 2016-07-21 | 2018-01-31 | 이부건 |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
KR200486775Y1 (ko) * | 2016-07-21 | 2018-06-28 | (주)태원하이텍 |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
WO2024011277A1 (en) * | 2022-07-12 | 2024-01-18 | PerkyPod PTY LTD | Pot for a pla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1237B1 (ko) |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 |
US6131334A (en) | Self-watering tray | |
US5819469A (en) | Support plate for flower-pots that prevents overflow and inhibits mosquito propagation | |
KR20090002388U (ko) | 화분 받침대 | |
KR200416033Y1 (ko) |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 |
KR20080050363A (ko) |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 |
KR200472503Y1 (ko) | 배수트랩 | |
KR20110009107U (ko) |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 |
KR100844450B1 (ko) | 화분받침대 | |
KR20170003848U (ko) | 물받이 화분 | |
KR101229172B1 (ko) |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 |
KR200486775Y1 (ko) |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 |
US20080141586A1 (en) | Universal plant pot base | |
KR200215008Y1 (ko) | 우산꽂이 | |
JP3742327B2 (ja) | 植木鉢ケース | |
KR101211468B1 (ko) | 욕실용 슬리퍼 | |
KR100716168B1 (ko) | 화분 받침대 | |
CN112261868A (zh) | 碗架 | |
KR102199527B1 (ko) |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 |
KR20200002798U (ko) | 비누 받침대 | |
KR200353522Y1 (ko) |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 |
KR200249908Y1 (ko) | 화분 받침대 | |
KR200166781Y1 (ko) | 화분물받이대 | |
KR200350495Y1 (ko) |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 |
KR200302956Y1 (ko) | 조립식 화분 받침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