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33Y1 -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033Y1
KR200416033Y1 KR2020050034205U KR20050034205U KR200416033Y1 KR 200416033 Y1 KR200416033 Y1 KR 200416033Y1 KR 2020050034205 U KR2020050034205 U KR 2020050034205U KR 20050034205 U KR20050034205 U KR 20050034205U KR 200416033 Y1 KR200416033 Y1 KR 200416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drip
present
drain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균
Original Assignee
정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균 filed Critical 정태균
Priority to KR2020050034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0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0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하단부에 물받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폐쇄면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관통된 본체; 본체의 하부 내측공간에 형성된 물받이부; 및 물받이부 내로 수용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한다.
화분, 물받이, 물흐름방지턱, 구조, 하부, 폐쇄면, 배수공

Description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FLOWERPOT WITH A WATERSPOUT}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에서 물받이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정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화분 본체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전체적인 외형이 원형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전체적인 외형이 각형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14 : 배수공
15 : 물흐름방지턱 20 : 물받이부재
30 : 물받이부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하단부에 물받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화분이라 함은 화초를 심어 가꾸는 관상용품의 일종으로, 내부에 화초 및 천연 또는 인공토양이 충전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의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토양 내에 함유된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화분은 통상 그 하부의 폐쇄면에 물받이 받침대를 받쳐주어 배수공을 통과한 수분이 화분의 주변 바닥면으로 흘러내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물받이 받침대와 화분이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보관시에 물받이 받침대의 분실 위험이 높고, 또한 물받이 받침대에 일시 저장된 수분을 수거하기 위해 화분을 물받이 받침대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취급이 매우 불 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물받이 받침대가 화분에 대해 그 외적 디자인이 일치하지 않거나 화분의 외관과 조화감을 주지 못할 우려가 많고, 이로 인해 화분의 원래 목적인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화분에 물받이부를 일체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보관 및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미를 저하시키지 않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 내의 토양으로부터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수분의 배수성, 및 화분 내부의 청결성 등을 향상시켜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폐쇄면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관통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받이부; 및
물받이부 내로 수용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폐쇄면은 배수공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물받이부의 수용공간 내에는 물받이부재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공과 인접하는 폐쇄면의 하부면에는 물흐름방지턱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본체(10), 본체(10)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20), 및 물받이부재(20)를 수용하는 물받이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상부에 개구(11)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각종 화초 및 천연 또는 인공토양 등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2)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폐쇄면(13)이 형성되고, 이 폐쇄면(1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14)이 구비되며, 이 배수공(14)을 통해 충전공간(12) 내에 충전된 토양을 통과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폐쇄면(13)은 배수공(14)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토양을 통과한 물의 배수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물받이부(30)는 본체(10)의 폐쇄면(13) 하부에 배치되고, 상술한 물받이부재(20)가 서랍식으로 인입 내지 인출되는 수용공간(31)을 가진다.
물받이부재(20)는 그 내부에 화분 내의 토양으로부터 흘러내린 물을 수거하는 수거공간이 형성되고, 그 외측단부에는 손잡이부(2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물받이부(30)의 양 내측벽과 물받이부재(20)가 상호 접동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레일 및 고정레일(22, 32)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어, 물받이부재(20)의 접동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또한, 수용공간(31) 내에는 상술한 물받이부재(20)가 수용공간(31) 내로 과도하게 인입됨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33)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공(14)과 인접하는 폐쇄면(13)의 하부면에는 물흐름방지턱(15)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 물흐름방지턱(15)은 배수공(14)을 통과한 물이 폐쇄면(13)의 하부면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수공(14)을 통과한 물이 물받이부(30)의 수용공간(31) 측벽 내지는폐쇄면(13)의 하부면 등으로 흘러들어가는 경우, 이러한 물 또는 물 내에 함유된 각종 오염물질 등도 물받이부(30)의 수용공간(31) 측벽 내지는 폐쇄면(13)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 그 청결성을 저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렇게 물받이부(30) 내측벽에 부착된 오염물질로 인해 물받이부재(20)의 인입 내지는 인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사용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물흐름방지턱(15)은 화분의 물받이부(30)의 청결성 뿐만 아니라 물받이부재(20)의 작동성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본체(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본체(10)가 소정의 문양이 형성된 각형으로 이루어진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분은 본체(10)의 외형에 상관없이 본체(10) 하부 측에 물받이부재(20)가 서랍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와 달리 그 외관미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즉 종래의 화분은 물받이부재(20)와의 외관이 일치하지 않거나 조화를 이루어지 못하였지만, 본 고안은 본체(10)에 물받이부재(20)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그 외관미가 저하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제2실시예는 물받이부(30)의 하부에 지지부재(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이다.
본체(10)의 폐쇄면(13) 하부면에 다수의 제1결합리브(3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부재(40)의 상부면에 다수의 제2결합리브(45)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결합리브(35, 45)가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결합리브(35, 45)의 분리가능한 결합에 의해, 물받이부(30)의 하부에 지지부재(4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물받이부재(20)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물받이부재(20)의 작동성을 향상시킨다.
그 외에 나머지 구성 및 작동들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ㄴ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 본 제3실시예는 본체(10)의 하부에 물받이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의 물받이부(30)는 그 상부에 결합홈(36)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36)에 본체(10)의 하단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결합홈(36)의 중앙에는 본체(10)의 배수공(14)과 연통하는 관통공(36a)이 형성된다.
또한, 물받이부(30) 및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17) 및 결합홈(37)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물받이부(30) 및 본체(1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본체(10) 및 물받이부(30)의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본체(10) 및 물받이부(30)의 외형이 각형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체(10)의 하부면에 다수의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물받이부(30)의 상부면에 결합면(38)이 돌출되며, 이 결합면(38)에는 다수의 결합홈(3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본체(10)의 결합돌기(17)와 결합면(28)의 결합홈(37)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하부에 물받이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화분에 물받이부를 일체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보관 및 취급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미를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분 내의 토양으로부터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수분의 배수성, 및 화분 내부의 청결성 등을 향상시켜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폐쇄면이 형성되며, 이 폐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관통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물받이부; 및
    상기 물받이부 내의 수용공간으로 수용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물받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면은 배수공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 내에는 물받이부재의 진입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과 인접하는 폐쇄면의 하부면에는 물흐름방지턱이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의 하부에는 물받이부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화분의 하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KR2020050034205U 2005-12-05 2005-12-05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KR200416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05U KR200416033Y1 (ko) 2005-12-05 2005-12-05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205U KR200416033Y1 (ko) 2005-12-05 2005-12-05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033Y1 true KR200416033Y1 (ko) 2006-05-10

Family

ID=4176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205U KR200416033Y1 (ko) 2005-12-05 2005-12-05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0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13U (ko) * 2016-07-21 2018-01-31 이부건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WO2024011277A1 (en) * 2022-07-12 2024-01-18 PerkyPod PTY LTD Pot for a pla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13U (ko) * 2016-07-21 2018-01-31 이부건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KR200486775Y1 (ko) * 2016-07-21 2018-06-28 (주)태원하이텍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WO2024011277A1 (en) * 2022-07-12 2024-01-18 PerkyPod PTY LTD Pot for a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US6131334A (en) Self-watering tray
US5819469A (en) Support plate for flower-pots that prevents overflow and inhibits mosquito propagation
KR20090002388U (ko) 화분 받침대
KR200416033Y1 (ko)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KR20080050363A (ko)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100844450B1 (ko) 화분받침대
KR20170003848U (ko) 물받이 화분
KR101229172B1 (ko) 이동식 화분 급수장치
KR200486775Y1 (ko)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US20080141586A1 (en) Universal plant pot base
KR200215008Y1 (ko) 우산꽂이
JP3742327B2 (ja) 植木鉢ケース
KR101211468B1 (ko) 욕실용 슬리퍼
KR100716168B1 (ko) 화분 받침대
CN112261868A (zh) 碗架
KR102199527B1 (ko)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KR20200002798U (ko) 비누 받침대
KR200353522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KR200249908Y1 (ko) 화분 받침대
KR200166781Y1 (ko) 화분물받이대
KR200350495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KR200302956Y1 (ko) 조립식 화분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