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22Y1 -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 Google Patents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22Y1
KR200353522Y1 KR20-2004-0009129U KR20040009129U KR200353522Y1 KR 200353522 Y1 KR200353522 Y1 KR 200353522Y1 KR 20040009129 U KR20040009129 U KR 20040009129U KR 200353522 Y1 KR200353522 Y1 KR 200353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tray
water
drain hole
le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완규
Original Assignee
반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완규 filed Critical 반완규
Priority to KR20-2004-0009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받침대, 특히 물발침통을 물받침대에 일체형으로 설치한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물받침대의 상판의 배수구멍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는 배수구멍턱을 형성하고, 물받침대의 다리의 안쪽에 물받침통지지대를 형성하여, 물받침통을 서랍식으로 여닫아 빼낼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데,
외관이 단정하여 미관상 좋고, 보다 큰 물받침통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된 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배수된 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에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Water stand containing water vessel}
본 고안은 물받침대, 특히 물받침통을 물받침대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실내에서 편리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화초를 생육하기 위해서는 'u'자 형태의 물받침대를 사용하는데, 배수된 물을 처리하고 깨끗한 관리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화분을 들어내고 물받침대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물받침대에 홈을 형성하여 물받침통을 끼워 매다는 형태의 경우에는, 물받침통의 크기가 작아 화분에 충분한 급수를 하기가 어려웠고, 여닫이가 용이하지 않아 물받침통을 빼낼 때 배수된 물이 넘쳐 흐르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큰 물받침통을 물받침대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배수된 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구조인데,
이는 외관이 단정하여 미관상 좋고, 보다 큰 물받침통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된 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깨끗한 관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실내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11 : 상판턱
12 : 배수구멍 13 : 배수구멍턱
20 : 다리 21 : 물받침통지지대
30 : 물받침통 31 : 입수구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받침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판의 둘레를 따라 위로 돌출되는 상판턱을 형성하고, 배수구멍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는 배수구멍턱을 형성하며, 다리의 안쪽에 물받침통지지대를 형성하여 물받침통을 서랍식으로 여닫아 빼낼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설치하는데, 물받침통은 상부에 입수구멍이 형성된 형태의 용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단면도 이다.
본 고안의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는 크게 상판(10), 다리(20), 물받침통(30)의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판(10)은 상판(10)의 둘레를 따라 위로 돌출되는 상판턱(11)과 배수구멍(12)을 형성하고, 배수구멍(12)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는 배수구멍턱(13)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클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다리(20)는 양쪽으로 개구되며, 다리(20)의 안쪽에는 물받침통(30)을 서랍식으로 여닫아 빼낼 수 있도록 'ㄴ'자 형태의 물받침통지지대(21) 2개를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하는데, 각각 양쪽의 끝부분이 다리(20)에 연결된다.
이때 물받침통지지대(21)는 구조를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상단 끝부분을 연장하여 상판(10)에 닿게 형성할 수도 있고, 하단 끝부분을 연장하여 서로 연결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단 끝부분을 'ㄱ'자 형태로 형성하여 바닥에서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물받침대의 형태나 재질에 따라서 다리(20)와 물받침통지지대(21)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리(20)의 한쪽만 개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끝으로 물받침통(30)은 상부에 배수구멍턱(13)보다는 크고 물받침통(30)의 상부의 넓이보다는 작은 입수구멍(31)을 형성하고, 물받침통지지대(21) 사이에 서랍식으로 여닫아 빼낼 수 있는 형태의 용기로 형성하는데, 밖으로 노출되는 양측면에는 조각을 하거나 고리 등을 달아 장식 겸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인데,
이는 물받침대의 물받침통(30)을 다리(20)와 같이 맨 바닥을 이용하여 설치되게 하고, 물받침통(30)의 양측면에만 물받침통지지대(21)를 형성하여 서랍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한 간단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인데,
이는 물받침통지지대(21)를 'ㅁ'자 형태로 형성하고, 물받침통(30)의 양쪽 하단부를 'ㄱ'자 형태로 형성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물받침대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분으로 급수된 물이 분토를 적시고 상판(10)으로 배수되면, 상판턱(11)은 배수된 물이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멍(12)을 통하여 물받침통(30)으로 흐르게 한다. 이때 배수구멍턱(13)은 배수되는 물이 상판(10)의 아랫면을 타고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물받침통(30)의 입수구멍(31) 안으로만 흘러내리게 한다.
따라서 물받침통(30)은 물받침통(30)의 넓이보다는 작게 입수구멍(31)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물받침통(30)을 여닫아 빼내거나 배수된 물을 처리할 때 담긴 물이 쉽게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침통(30)으로 배수가 완료되면 물받침통(30)만 서랍식으로 빼내어 배수된 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물받침통지지대(21)는 물받침통(3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전하게 빠져나오게 하고 다시 끼우기 용이하게 하며, 다리(20) 등에 연결되어 서로 지지하게 되므로 물받침대의 구조를 튼튼하게 한다. 또한 물받침통지지대(21)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물받침통(30) 양측면의 위치와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는 물받침통이 물받침대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외관이 단정하여 미관상 좋고, 보다 큰 물받침통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된 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배수된 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깨끗한 관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실내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물받침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판의 둘레를 따라 위로 돌출되는 상판턱을 형성하고, 배수구멍의 둘레를 따라 아래로 돌출되는 배수구멍턱을 형성하며, 다리의 안쪽에 물받침통지지대를 형성하여, 물받침통을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물받침통은 상부에 입수구멍을 형성하고, 서랍식으로 여닫아 빼낼 수 있는 형태의 용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KR20-2004-0009129U 2004-03-30 2004-03-30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KR200353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29U KR200353522Y1 (ko) 2004-03-30 2004-03-30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129U KR200353522Y1 (ko) 2004-03-30 2004-03-30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22Y1 true KR200353522Y1 (ko) 2004-06-18

Family

ID=4934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129U KR200353522Y1 (ko) 2004-03-30 2004-03-30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5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82B1 (ko) 2006-08-01 2008-01-09 이규상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US20200352107A1 (en) * 2017-11-03 2020-11-12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pot
WO2024011277A1 (en) * 2022-07-12 2024-01-18 PerkyPod PTY LTD Pot for a pla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82B1 (ko) 2006-08-01 2008-01-09 이규상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US20200352107A1 (en) * 2017-11-03 2020-11-12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pot
US11559007B2 (en) * 2017-11-03 2023-01-24 Republic Of Korea(Manage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pot
WO2024011277A1 (en) * 2022-07-12 2024-01-18 PerkyPod PTY LTD Pot for a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37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090002388U (ko) 화분 받침대
KR200353522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물받침대
GB2545163A (en) A plant growing system for static solution hydroponics
KR100653314B1 (ko) 화분
JP3162718U (ja) 植え鉢
KR200465181Y1 (ko) 화분 겸용 테이블
KR200485858Y1 (ko) 물받이 화분
KR200350495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JP3151391U (ja) 植え鉢
KR200442373Y1 (ko) 개량 화분받침대
JP3742327B2 (ja) 植木鉢ケース
CN213155162U (zh) 一种石膏家居工艺品
KR200481744Y1 (ko) 착탈식 화분
CN204616531U (zh) 组合式植栽装置
JP3086047U (ja) 排水容器付植木鉢台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KR200449981Y1 (ko) 진공흡착에 의한 벽면부착 장식용 화분
KR200480826Y1 (ko) 제단용 꽃 장식대
JP3205576U (ja) 底面吸水鉢
JP5457568B1 (ja) 植木鉢用受け皿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JP3107012U (ja) 植木鉢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