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58Y1 - 물받이 화분 - Google Patents

물받이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58Y1
KR200485858Y1 KR2020160002374U KR20160002374U KR200485858Y1 KR 200485858 Y1 KR200485858 Y1 KR 200485858Y1 KR 2020160002374 U KR2020160002374 U KR 2020160002374U KR 20160002374 U KR20160002374 U KR 20160002374U KR 200485858 Y1 KR200485858 Y1 KR 200485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water
handle
water receiver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48U (ko
Inventor
오미숙
Original Assignee
오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숙 filed Critical 오미숙
Priority to KR2020160002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5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 화분과 별도로 구비된 물받이 받침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분 자체에 물받이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물받이 화분은 화분 본체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삽입 인출이 가능한 물받이 서랍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 본체는 화초를 심기 위해 상부에는 중공의 흙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이 내주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의 중앙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 아래는 중공의 서랍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 수용부는 물받이 서랍의 삽입과 인출을 위한 서랍 입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서랍은 중공의 물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하단 및 양측단의 외형은 상기 서랍 입출구의 입구 형상에 상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삽입 인출을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서랍은 전후면에 각각 내측으로 형성된 정·배면 오목 손잡이가 형성되고, 인출 과정에서 좌우 양손으로 받쳐들 수 있도록 좌우 양 측면에 측면 오목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물받이 서랍이 닫힌 상태일 때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물받이서랍의 상단 외주를 에워싸며 측면 중앙부를 지나 연장된 손잡이 대와, 물받이서랍 측면 중앙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와 손잡이 대는 상기 손잡이 힌지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물받이 서랍 상단은 상기 손잡이 대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 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물받이 화분은 화분과 물받이가 일체화되므로 이동의 편리함은 물론 시각적 심미감을 유발하며, 다량의 물이 배수되었을 때 물받이 서랍을 손으로 지지하기 쉽게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편리한 손잡이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물받이 화분{FLOWER POT EQUIPPED WATER BASKET}
본 고안은 화초를 위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에 있는 꽃이나 나무는 물을 흠뻑 주서 길러야 하는데 사람이 들기 어려운 크기의 화분에 물을 흠뻑 주면 화분 밑으로 물이 흘러 넘치기 때문에 거실 또는 사무실에서 물을 주기 어려워 화장실이나 밖으로 옮겨야 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에서처럼 종래 대형 화분(p)들은 화분 아래 물받이(w) 가 구비된 받침대(s)를 주로 사용하였다. 종래의 받침대(s)는 받침대의 높이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부설된 물받이(w)의 용량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또한, 종래의 별도로 구비된 받침대(s)는 화분 설치시 이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화분의 이동시에 화분과 받침대를 동시에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화분에 물받이를 부설한 관련 선행기술로는 KR 제20-040667호, KR 제20-0260068호를 참조할 수 있다.
KR 20-0420667 Y1 KR 20-0260068 Y1
본 고안은 종래 화분과 별도로 구비된 물받이 받침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분 자체에 물받이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물받이 화분은 화분 본체(10)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삽입 인출이 가능한 물받이 서랍(20)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 본체(10)는 화초를 심기 위해 상부에는 중공의 흙 수용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12)이 내주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의 중앙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2) 아래는 중공의 서랍 수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물받이 서랍(20)의 삽입과 인출을 위한 서랍 입출구(131)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중공의 물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상·하단 및 양측단의 외형은 상기 서랍 입출구(131)의 입구 형상에 상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삽입 인출을 위한 손잡이(22)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서랍(20)은 전후면에 각각 내측으로 형성된 정·배면 오목 손잡이(221)가 형성되고, 인출 과정에서 좌우 양손으로 받쳐들 수 있도록 좌우 양 측면에 측면 오목 손잡이(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물받이 화분은 화분 본체(10)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삽입 인출이 가능한 물받이 서랍(20)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 본체(10)는 화초를 심기 위해 상부에는 중공의 흙 수용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12)이 내주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의 중앙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2) 아래는 중공의 서랍 수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물받이 서랍(20)의 삽입과 인출을 위한 서랍 입출구(131)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중공의 물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상·하단 및 양측단의 외형은 상기 서랍 입출구(131)의 입구 형상에 상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삽입 인출을 위한 손잡이(22)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22)는 물받이 서랍이 닫힌 상태일 때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2231)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물받이서랍의 상단 외주를 에워싸며 측면 중앙부를 지나 연장된 손잡이 대(2232)와, 물받이서랍 측면 중앙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힌지(2233)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231)와 손잡이 대(2232)는 상기 손잡이 힌지(2233)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물받이 서랍(20) 상단은 상기 손잡이 대(2232)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 턱(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서랍을 전후로 삽입 인출 가능하도록 정면과 배면에 서랍 입출구(131)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정면과 배면에 각각 손잡이(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또한,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외부에서 물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또한, 상기 흙 수용홀(11) 내부는 상기 격벽(12) 위로 다공의 메쉬(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쉬(31) 위로는 다량의 우드칩으로 메워진 우드칩층(32)이 형성되며, 상기 우드칩층(32) 위로는 상토로 채워진 상토층(33)이 각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 화분은 화분과 물받이가 일체화되므로 이동의 편리함은 물론 시각적 심미감을 유발한다. 또한, 화분의 용량과 크기에 맞게 대용량의 물받이를 구비할 수 있고, 전후 양방향으로 서랍 인출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부가하였다. 또한, 배수되는 물의 양을 눈으로 볼 수 있어 물 넘침을 예방할 수 있고, 물받이 서랍을 비울 수 있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내부는 상토의 유실을 막고 배수가 용이한 화분 흙의 적층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값 비싼 상토층만으로 메워질 경우 발생 되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다량의 물이 배수되었을 때 물받이 서랍을 손으로 지지하기 쉽게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손잡이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화분과 물받이 받침이 별도로 제조되어 구비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화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화분의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화분의 실시예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화분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서랍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 화분의 사용 상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 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 화분은 화분 본체(10)에 전면이나 배면, 또는 양면 모두로 인출 가능한 서랍 방식의 물받이 서랍(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 본체(10) 및 물받이 서랍(20)의 구조를 도 3을 통해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화분 본체(10)는 화분 흙을 수용하기 위해 중공으로 형성된 흙 수용홀(11)과 화분 본체의 상 하부를 구획하기 위한 격벽(12)이 내부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의 중앙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흙 수용홀(11)과 배수구(121)가 형성된 격벽(12) 부분까지는 종래의 화분의 구성과 다를 바 없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 상기 화분 본체(10)의 외주가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즉, 상기 격벽의 하부에 물받이 서랍(20)을 수용하기 위한 서랍 수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물받이 서랍(20)을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서랍 입출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서랍 입출구(131)는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서랍을 삽입 인출할 수 있도록 어느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전면 또는 후면 어디로도 삽입 인출할 수 있도록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관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서랍(20)은 바구니 형태로 물을 받기 위해 중공의 물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서랍의 상·하단 및 양 측단의 외형 즉, 정면에서 보는 단면은 상기 서랍 입출구(131)의 입구 형상에 딱 맞게 형성되어 서랍 입출구(131)의 입구에 가이드 되어 들어가고 나올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인출을 용이하기 위하여 손잡이(22)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22)는 물받이 서랍이 전후로 인출 가능한 구조일 경우 정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물받이 서랍의 전면과 후면은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서랍(20)이 닫혔을 때 화분 본체(10)의 면과 일체감을 줄 수 있는 평면 또는 곡면을 이루는 것이 외관상 좋다. 그렇지 않다면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외주 면의 일체감은 없더라도 외관상 조화를 이루어 심미감을 일으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 서랍(20)은 외부에 길고 투명한 게이지가 형성되어, 눈으로 내부의 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물받이 서랍(20)을 비우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정·배면 오목 손잡이(221)과 측면 오목 손잡이(222)는 상기 손잡이(22)의 개량된 형태이다. 그 손잡이들이 사면에 각각 형성된 이유는 정·배면에 형성된 손잡이는 서랍의 인출을 위해 형성된 것이고, 양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는 물받이 서랍(20)이 약 3 분의 2 정도 인출되었을 때 양손으로 물받이 서랍(20)을 들어올릴 때 잡기 위함이다. 정·배면 오목 손잡이(221)가 오목한 형태를 취하는 주된 이유는 형태적 일체감을 위한 것이고, 측면 오목 손잡이(222)가 오목한 형태를 취한 주된 이유는 물받이 서랍이 삽입 인출될 때 방해가 되지 않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의 흙 수용홀(11)에 경제적이고 효과적이 화분 흙을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흙 수용홀(11)의 하부는 값 비싼 상토의 유실을 막되, 배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화분이 적절한 함수율을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도 5의 실시예와 같은 메쉬(31)가 구비된다. 상기 메쉬(31)는 메쉬 몸체(311)에 물빠짐구(312)가 다수 구비된 형태로 그물 망 등 공지의 다양한 부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쉬(31) 위로는 값 비싼 상토 대신 상토의 양을 줄이되, 적절한 함수율과 배수율을 지닌 친환경의 우드칩을 쌓아 우드칩층(32)이 형성되고, 그 위로 화초를 심기 위한 상토층(33)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 서랍(20)의 삽입 인출의 편리성과 꺼낸 후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좀 더 개량된 손잡이에 관한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는 물받이 서랍이 닫힌 상태일 때 잡기 쉽도록 다소 돌출된 손잡이부(2231)가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231)와 일체로 형성되되, 좌우로 연장되어 물받이 서랍(20)의 상단을 외주면으로 에워싸며 물받이 서랍(20)의 측면 상단 중앙부를 지나는 지점까지 연장되어 손잡이 대(223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대(2232)에는 상기 물받이 서랍(20) 양 측면 상단 중앙지점에서 회동을 위해 연결되는 손잡이 힌지(2233)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231) 및 손잡이 대(2232)는 상기 손잡이 힌지(2233)에 의해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물받이 서랍(20) 상단에는 손잡이 대(2232)가 아래로 처져 수평으로 당기는 힘을 방해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 턱(24)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 서랍(20)이 처음 인출될 때는 손잡이부(2231)와 손잡이 대(2232)가 누워있어 당기는 힘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지만, 물받이 서랍(20)이 약 3 분의 2 정도 인출되었을 때는 손잡이부(2231)와 손잡이 대(2232)를 90도 회전시켜 당기는 힘을 수직방향으로 바꿈으로써 물받이 서랍(20)을 편리하게 옮길 수 있다.
상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내용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는 물론 이와 균등한 범위에까지 미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화분 본체 11: 흙 수용홀
12: 격벽 121: 배수구
13: 서랍 수용부 131: 서랍 입출구
20: 물받이 서랍 21: 물 수용홀
22: 손잡이 221: 정·배면 오목 손잡이
222: 측면 오목 손잡이 2231: 손잡이부
2232: 손잡이 대 2233: 손잡이 힌지
23: 게이지 24: 손잡이 턱
31: 메쉬 32: 우드칩층
33: 상토층

Claims (6)

  1. 화분 본체(10)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삽입 인출이 가능한 물받이 서랍(20)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 본체(10)는 화초를 심기 위해 상부에는 중공의 흙 수용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12)이 내주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의 중앙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2) 아래는 중공의 서랍 수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물받이 서랍(20)의 삽입과 인출을 위한 서랍 입출구(131)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중공의 물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상·하단 및 양측단의 외형은 상기 서랍 입출구(131)의 입구 형상에 상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삽입 인출을 위한 손잡이(22)를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서랍(20)은 전후면에 각각 내측으로 형성된 정·배면 오목 손잡이(221)가 형성되고, 인출 과정에서 좌우 양손으로 받쳐들 수 있도록 좌우 양 측면에 측면 오목 손잡이(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2. 화분 본체(10) 및 상기 화분 본체의 하부에 삽입 인출이 가능한 물받이 서랍(20)을 포함하되,
    상기 화분 본체(10)는 화초를 심기 위해 상부에는 중공의 흙 수용홀(11)이 형성되고, 상·하부를 구획하는 격벽(12)이 내주 벽면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12)의 중앙에는 물 빠짐을 위한 배수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12) 아래는 중공의 서랍 수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물받이 서랍(20)의 삽입과 인출을 위한 서랍 입출구(131)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중공의 물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상·하단 및 양측단의 외형은 상기 서랍 입출구(131)의 입구 형상에 상응하는 외형으로 형성되며, 삽입 인출을 위한 손잡이(22)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22)는 물받이 서랍이 닫힌 상태일 때 전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2231)와, 상기 손잡이부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물받이서랍의 상단 외주를 에워싸며 측면 중앙부를 지나 연장된 손잡이 대(2232)와, 물받이서랍 측면 중앙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 힌지(2233)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231)와 손잡이 대(2232)는 상기 손잡이 힌지(2233)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물받이 서랍(20) 상단은 상기 손잡이 대(2232)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 턱(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수용부(13)는 관통형으로 형성되어, 서랍을 전후로 삽입 인출 가능하도록 정면과 배면에 서랍 입출구(131)를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정면과 배면에 각각 손잡이(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서랍(20)은 외부에서 물의 높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 수용홀(11) 내부는 상기 격벽(12) 위로 다공의 메쉬(31)가 구비되고, 상기 메쉬(31) 위로는 다량의 우드칩으로 메워진 우드칩층(32)이 형성되며, 상기 우드칩층(32) 위로는 상토로 채워진 상토층(33)이 각각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 화분.
  6. 삭제
KR2020160002374U 2016-05-02 2016-05-02 물받이 화분 KR200485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74U KR200485858Y1 (ko) 2016-05-02 2016-05-02 물받이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74U KR200485858Y1 (ko) 2016-05-02 2016-05-02 물받이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48U KR20170003848U (ko) 2017-11-10
KR200485858Y1 true KR200485858Y1 (ko) 2018-03-06

Family

ID=6040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74U KR200485858Y1 (ko) 2016-05-02 2016-05-02 물받이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83A (ko) * 2018-09-27 2020-04-06 최종환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0745A (zh) * 2017-11-27 2018-03-2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防漏水盆栽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59Y1 (ko) * 2011-08-16 2012-03-06 오세군 자동 물공급 기능을 가진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754U (ko) * 1975-09-17 1977-03-24
KR200260068Y1 (ko) 2001-09-18 2002-01-10 권해용 물받이 병을 갖는 장식용 화분
KR100456563B1 (ko) 2002-08-31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터리형 무접점 인포메이션 스위치
KR20140101618A (ko) * 2013-02-12 2014-08-20 음현진 엘이디가 구비된 미니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59Y1 (ko) * 2011-08-16 2012-03-06 오세군 자동 물공급 기능을 가진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683A (ko) * 2018-09-27 2020-04-06 최종환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KR102199527B1 (ko) * 2018-09-27 2021-01-07 최종환 원터치 서랍형 물받이를 구비한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48U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076B1 (ko)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200485858Y1 (ko) 물받이 화분
CN103783888A (zh) 一种固定式花架
CN205830530U (zh) 一种岩棉种植盆
CN210053968U (zh) 一种隔热花盆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JP3742327B2 (ja) 植木鉢ケース
CN208524374U (zh) 一种新型花盆架
KR200416033Y1 (ko)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
KR200406769Y1 (ko) 화분 진열대의 배수장치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CN211430232U (zh) 一种开放式立体菜园的植株锁定结构
CN207118353U (zh) 一种透气花盆
KR200465179Y1 (ko) 이동식 칸막이 화분 겸용 수납장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200381411Y1 (ko) 화분 진열대
KR200350495Y1 (ko) 물받침통이 내장된 화분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CN213155162U (zh) 一种石膏家居工艺品
CN204482463U (zh) 一种可叠套的花盆
CN212184314U (zh) 一种防溢水的陶瓷花盆
TWM492609U (zh) 立體種植器
CN209807850U (zh) 一种去积水可移动花架
KR20110011906U (ko) 서랍이 내장된 화분
KR102652312B1 (ko) 수직 정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